홈 > 불교입문 > 차제설법

차제설법

6. sīhasuttaṃ (AN 8.12-시하 경)

0 128 2022.05.15 21:43

6. sīhasuttaṃ (AN 8.12-시하 경)

 

evaṃ vutte sīho senāpati bhagavantaṃ etadavoca “abhikkantaṃ, bhante, abhikkantaṃ, bhante ... pe ... upāsakaṃ maṃ, bhante, bhagavā dhāretu ajjatagge pāṇupetaṃ saraṇaṃ gatan”ti.

 

이렇게 말하자 시하 장군은 세존에게 이렇게 말했다. 정말 기쁩니다, 대덕이시여, 정말 기쁩니다. 대덕이시여! 대덕이시여, 세존께서는 저를 오늘부터 살아있는 동안 귀의한 남신자로 받아 주십시오."

 

“anuviccakāraṃ kho, sīha, karohi. anuviccakāro tumhādisānaṃ ñātamanussānaṃ sādhu hotī”ti. “imināpāhaṃ, bhante, bhagavato bhiyyosomattāya attamano abhiraddho, yaṃ maṃ bhagavā evamāha ‘anuviccakāraṃ kho, sīha, karohi. anuviccakāro tumhādisānaṃ ñātamanussānaṃ sādhu hotī’ti. mañhi, bhante, aññatitthiyā sāvakaṃ labhitvā kevalakappaṃ vesāliṃ paṭākaṃ parihareyyuṃ ‘sīho amhākaṃ senāpati sāvakattaṃ upagato’ti. atha ca pana bhagavā evamāha ‘anuviccakāraṃ, sīha, karohi. anuviccakāro tumhādisānaṃ ñātamanussānaṃ sādhu hotī’ti. esāhaṃ, bhante, dutiyampi bhagavantaṃ saraṇaṃ gacchāmi dhammañca bhikkhusaṅghañca. upāsakaṃ maṃ bhagavā dhāretu ajjatagge pāṇupetaṃ saraṇaṃ gatan”ti.

 

시하여, 잘 알고 나서 행해야 합니다. 그대같이 잘 알려진 사람은 잘 알고 나서 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덕이시여, ‘시하여, 잘 알고 나서 행해야 합니다. 그대같이 잘 알려진 사람은 잘 알고 나서 행하는 것이 좋습니다.’라고 저에게 말씀하신 것에 의해 저는 세존께 더 많이 기쁘고 만족합니다. 대덕이시여, 외도들은 저를 제자로 얻으면 시하 장군이 우리의 제자가 되었다.’라며 웨살리 전체에 깃발을 들고 나를 것입니다. 그런데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시하여, 잘 알고 나서 행해야 합니다. 그대같이 잘 알려진 사람은 잘 알고 나서 행하는 것이 좋습니다.’라고. 대덕이시여, 이런 저는 두 번째도 의지처인 세존 그리고 가르침과 비구 상가에게로 갑니다. 고따마 존자께서는 저를 오늘부터 살아있는 동안 귀의한 남신자로 받아 주십시오.”

 

“dīgharattaṃ kho te, sīha, nigaṇṭhānaṃ opānabhūtaṃ kulaṃ, yena nesaṃ upagatānaṃ piṇḍakaṃ dātabbaṃ maññeyyāsī”ti. “imināpāhaṃ, bhante, bhagavato bhiyyosomattāya attamano abhiraddho, yaṃ maṃ bhagavā evamāha ‘dīgharattaṃ kho te, sīha, nigaṇṭhānaṃ opānabhūtaṃ kulaṃ, yena nesaṃ upagatānaṃ piṇḍakaṃ dātabbaṃ maññeyyāsī’ti. sutaṃ metaṃ, bhante ‘samaṇo gotamo evamāha mayhameva dānaṃ dātabbaṃ, mayhameva sāvakānaṃ dātabbaṃ; mayhameva dinnaṃ mahapphalaṃ, na aññesaṃ dinnaṃ mahapphalaṃ; mayhameva sāvakānaṃ dinnaṃ mahapphalaṃ, na aññesaṃ sāvakānaṃ dinnaṃ mahapphalan’ti, atha ca pana maṃ bhagavā nigaṇṭhesupi dāne samādapeti. api ca, bhante, mayamettha kālaṃ jānissāma. esāhaṃ, bhante, tatiyampi bhagavantaṃ saraṇaṃ gacchāmi dhammañca bhikkhusaṅghañca. upāsakaṃ maṃ, bhante, bhagavā dhāretu ajjatagge pāṇupetaṃ saraṇaṃ gatan”ti.

 

시하여, 오랫동안 그대의 가문은 니간타들에게 원하는 것을 채워주는 샘이었다. 찾아오는 그들에게 그대의 가문에 의해 공양물이 주어져야 함을 생각해야 한다.” “대덕이시여, ‘시하여, 오랫동안 그대의 가문은 니간타들에게 원하는 것을 채워주는 샘이었다. 찾아오는 그들에게 그대의 가문에 의해 공양물이 주어져야 함을 생각해야 한다.’라고 저에게 말씀하신 것에 의해 저는 세존께 더 많이 기쁘고 만족합니다. 대덕이시여, 저는 사문 고따마는 오직 나에게만 공양물이 주어지고, 오직 나의 제자들에게만 공양물이 주어져야 한다. 오직 나에게 주어진 것이 큰 결실이 있고 다른 곳에 주어진 것에는 큰 결실이 없다. 오직 나의 제자들에게 주어진 것이 큰 결실이 있고, 다른 제자들에게 주어진 것에는 큰 결실이 없다.’라고 말한다.’라고 들었습니다. 그러나 세존께서는 저에게 니간타들에 대한 보시도 권유합니다. 대덕이시여, 그러니 저희는 여기에서 적당한 때를 알 것입니다. 대덕이시여, 그런 저는 세 번째도 의지처인 세존 그리고 가르침과 비구 상가에게로 갑니다. 고따마 존자께서는 저를 오늘부터 살아있는 동안 귀의한 남신자로 받아 주십시오.”

 

atha kho bhagavā sīhassa senāpatissa anupubbiṃ kathaṃ kathesi, seyyathidaṃ dānakathaṃ sīlakathaṃ saggakathaṃ, kāmānaṃ ādīnavaṃ okāraṃ saṃkilesaṃ nekkhamme ānisaṃsaṃ pakāsesi. yadā bhagavā aññāsi sīhaṃ senāpatiṃ kallacittaṃ muducittaṃ vinīvaraṇacittaṃ udaggacittaṃ pasannacittaṃ, atha yā buddhānaṃ sāmukkaṃsikā dhammadesanā taṃ pakāsesi dukkhaṃ samudayaṃ nirodhaṃ maggaṃ. seyyathāpi nāma suddhaṃ vatthaṃ apagatakāḷakaṃ sammadeva rajanaṃ paṭiggaṇheyya; evamevaṃ sīhassa senāpatissa tasmiṃyeva āsane virajaṃ vītamalaṃ dhammacakkhuṃ udapādi “yaṃ kiñci samudayadhammaṃ, sabbaṃ taṃ nirodhadhamman”ti.

 

그러자 세존은 시하 장군에게 이와 같은 순서대로의 가르침을 설했다[차제설법(次第說法)]. ㅡ 보시(布施)의 가르침, ()의 가르침, 천상(天上)의 가르침, 소유의 삶의 위험과 저열함과 오염, 출리(出離)에 대한 이익을 설명했다. 세존은 꾸따단따 바라문의 심()이 준비되고, 부드러워지고, 장애에서 벗어나고, 높아지고, 고와진 것을 알았을 때, 부처님들의 찬탄 받는 설법인 고()-()-()-()를 설명했다. 예를 들면, 얼룩이 없는 깨끗한 천은 색깔을 잘 받을 것이다. 이처럼 그 자리에서 꾸따단따 바라문에게 자라나는 것은 무엇이든지 모두 소멸하는 것이다.’라는 티끌이 없고 때가 없는 법의 눈[법안(法眼)]이 생겼다.

 

atha kho sīho senāpati diṭṭhadhammo pattadhammo viditadhammo pariyogāḷhadhammo tiṇṇavicikiccho vigatakathaṃkatho vesārajjappatto aparappaccayo satthusāsane bhagavantaṃ etadavoca “adhivāsetu me, bhante, bhagavā svātanāya bhattaṃ saddhiṃ bhikkhusaṅghenā”ti. adhivāsesi bhagavā tuṇhībhāvena.

 

그러자 법을 보고, 법을 얻고, 법을 알고, 법을 관통하고, 의심을 건너고, 불확실에서 벗어나고, 자기 확신을 얻고, 스승의 가르침에서 다른 스승을 의지하지 않게 된 시하 장군은 세존에게 이렇게 말했다. 대덕이시여, 세존께서는 비구 상가와 함께 내일의 식사를 저에게 허락해 주십시오.”라고. 세존은 침묵으로 동의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