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교리공부 > 분석경들

분석경들

2. 분석경(分析經) - 2)십이연기(十二緣起) [vibhaṅgasuttaṃ (SN 12.2)]

0 1,042 2017.08.26 17:17

Vibhaṅgasutta[분석경(S12:2)]

 
Katamañca, bhikkhave, jarāmaraṇaṃ? Yā tesaṃ tesaṃ sattānaṃ tamhi tamhi sattanikāye jarā jīraṇatā khaṇḍiccaṃ pāliccaṃ valittacatā āyuno saṃhāni indriyānaṃ paripāko; ayaṃ vuccati jarā. Yā tesaṃ tesaṃ sattānaṃ tamhā tamhā sattanikāyā cuti cavanatā bhedo antaradhānaṃ maccu maraṇaṃ kālakiriyā khandhānaṃ bhedo kaḷevarassa nikkhepo, idaṃ vuccati maraṇaṃ. Iti ayañca jarā, idañca maraṇaṃ. Idaṃ vuccati, bhikkhave, jarāmaraṇaṃ. 
 
까따만짜, 빅카웨-, 자라-마라낭? 야- 떼-상 떼-상 삿따-낭 땀히 땀히 삿따니까-예- 자라- 지-라나따- 칸딧짱 빨-릿짱 왈릿따짜따- 아-유노- 상하-니 인드리야-낭 빠리빠-꼬-; 아양 웃짜띠 자라-. 야- 떼-상 떼-상 삿따-낭 땀하- 땀하- 삿따니까-야- 쭈띠 짜와나따- 베-도- 안따라다-낭 맛쭈 마라낭 깔-라끼리야- 칸다-낭 베-도- 깔레-와랏사 닉케-뽀-, 이당 웃짜띠 마라낭. 이띠 아얀짜 자라-, 이단짜 마라낭. 이당 웃짜띠, 빅카웨-, 자라-마라낭.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늙음-죽음[노사(老死)]인가? 이런저런 중생들의 무리 가운데서 이런저런 중생들의 늙음, 노쇠함, 부서진 [치아], 희어진 [머리털], 주름진 피부, 수명의 감소, 감각기능[根]의 쇠퇴 - 이를 일러 늙음이라 한다. 이런저런 중생들의 무리로부터 이런저런 중생들의 종말, 제거됨, 부서짐, 사라짐, 사망, 죽음, 서거, 오온의 부서짐, 시체를 안치함, 생명기능[命根]의 끊어짐 - 이를 일러 죽음이라 한다. 이것이 늙음이고 이것이 죽음이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늙음·죽음이라 한다.

Katamā ca, bhikkhave, jāti? Yā tesaṃ tesaṃ sattānaṃ tamhi tamhi sattanikāye jāti sañjāti okkanti abhinibbatti khandhānaṃ pātubhāvo āyatanānaṃ paṭilābho. Ayaṃ vuccati, bhikkhave, jāti. 
 
까따마- 짜, 빅카웨-, 자-띠? 야- 떼-상 떼-상 삿따-낭 땀히 땀히 삿따니까-예- 자-띠 산자-띠 옥깐띠 아비닙밧띠 칸다-낭 빠-뚜바-오 아-야따나-낭 빠띨라-보-. 아양 웃짜띠, 빅카웨-, 자-띠.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태어남[생(生)]인가? 이런저런 중생들의 무리로부터 이런저런 중생들의 태어남, 출생, 도래함, 생김, 탄생, 오온의 나타남, 감각장소[處]를 획득함 -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태어남이라 한다.

Katamo ca, bhikkhave, bhavo? Tayome, bhikkhave, bhavā—  kāmabhavo, rūpabhavo, arūpabhavo. Ayaṃ vuccati, bhikkhave, bhavo.
 
까따모- 짜, 빅카웨-, 바오-? 따요-메-, 빅카웨-, 바와- ㅡ 까-마바오-, 루-빠바오-, 아루-빠바오-. 아양 웃짜띠, 빅카웨-, 바오-.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존재[유(有)]인가? 비구들이여, 세 가지 존재가 있나니 욕계의 존재, 색계의 존재, 무색계의 존재이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존재라 한다.

Katamañca, bhikkhave, upādānaṃ? Cattārimāni, bhikkhave, upādānāni—  kāmupādānaṃ, diṭṭhupādānaṃ, sīlabbatupādānaṃ, attavādupādānaṃ. Idaṃ vuccati, bhikkhave, upādānaṃ. 
 
까따만짜, 빅카웨-, 우빠-다-낭? 짯따-리마-니, 빅카웨-, 우빠-다-나-니 ㅡ 까-무빠-다-낭. 딧투빠-다-낭, 실-랍바뚜빠-다-낭, 앗따와-두빠-다-낭. 이당 웃짜띠, 빅카웨-, 우빠-다-낭.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집착[취(取)]인가? 비구들이여, 네 가지 집착이 있나니 소유의 집착, 견해의 집착, 계율과 의례의식의 집착, 자아의 교리의 집착이다. -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집착이라 한다.

Katamā ca, bhikkhave, taṇhā? Chayime, bhikkhave, taṇhākāyā—  rūpataṇhā, saddataṇhā, gandhataṇhā, rasataṇhā, phoṭṭhabbataṇhā, dhammataṇhā. Ayaṃ vuccati, bhikkhave, taṇhā. 
 
까따마- 짜, 빅카웨-, 딴하-? 차이이메-, 빅카웨-, 딴하-까-야- ㅡ 루-빠딴하-, 삿다딴하-, 간다딴하-, 라사딴하-, 폿탑바딴하-, 담마딴하-. 아양 웃짜띠, 빅카웨-, 딴하-.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갈애[애(愛)]인가? 비구들이여, 여섯 가지 갈애의 무리[六愛身]가 있나니 형색에 대한 갈애, 소리에 대한 갈애, 냄새에 대한 갈애, 맛에 대한 갈애, 감촉에 대한 갈애, 법에 대한 갈애이다. -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갈애라 한다.

Katamā ca, bhikkhave, vedanā? Chayime, bhikkhave, vedanākāyā—  cakkhusamphassajā vedanā, sotasamphassajā vedanā, ghānasamphassajā vedanā, jivhāsamphassajā vedanā, kāyasamphassajā vedanā, manosamphassajā vedanā. Ayaṃ vuccati, bhikkhave, vedanā. 
 
까따마- 짜, 빅카웨-, 웨-다나-? 차이이메-, 빅카웨-, 웨-다나-까-야- ㅡ 짝쿠삼팟사자- 웨-다나-, 소-따삼팟사자- 웨-다나-, 가-나삼팟사자- 웨-다나-, 지우하-삼팟사자- 웨다나-, 까-야삼팟사자- 웨-다나-, 마노-삼팟사자- 웨-다나-. 아양 웃짜띠, 빅카웨-, 웨-다나-.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느낌[수(受)]인가? 비구들이여, 여섯 가지 느낌의 무리가 있나니 눈의 촉에서 생긴 느낌, 귀의 촉에서 생긴 느낌, 코의 촉에서 생긴 느낌, 혀의 촉에서 생긴 느낌, 몸의 촉에서 생긴 느낌, 마노의 촉에서 생긴 느낌이다. -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느낌이라 한다.

Katamo ca, bhikkhave, phasso? Chayime, bhikkhave, phassakāyā—  cakkhusamphasso, sotasamphasso, ghānasamphasso, jivhāsamphasso, kāyasamphasso, manosamphasso. Ayaṃ vuccati, bhikkhave, phasso.
 
까따모- 짜, 빅카웨-, 팟소-? 차이이메-, 빅카웨-, 팟사까-야- ㅡ 짝쿠삼팟소-, 소-따삼팟소-, 가-나삼팟소-, 지우하-삼팟소-, 까-야삼팟소-, 마노-삼팟소-. 아양 웃짜띠, 빅카웨-, 팟소-.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촉(觸)인가? 비구들이여, 여섯 가지 촉의 무리가 있나니 눈의 촉, 귀의 촉, 코의 촉, 혀의 촉, 몸의 촉, 마노의 촉이다. -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촉이라 한다.

Katamañca, bhikkhave, saḷāyatanaṃ? Cakkhāyatanaṃ, sotāyatanaṃ, ghānāyatanaṃ, jivhāyatanaṃ, kāyāyatanaṃ, manāyatanaṃ—  idaṃ vuccati, bhikkhave, saḷāyatanaṃ. 
 
까따만짜, 빅카웨-, 살라-야따낭? 짝카-야따낭,  소-따-야따낭, 가-나-야따낭, 지우하-야따낭, 까-야-야따낭,  마나-야따낭 ㅡ 이당 웃짜띠, 빅카웨-, 살라-야따낭.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여섯 감각주관[육입(六入)]인가? 눈의 감각주관, 귀의 감각주관, 코의 감각주관, 혀의 감각주관, 몸의 감각주관, 마노의 감각주관이다. -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여섯 감각주관이라 한다.

Katamañca, bhikkhave, nāmarūpaṃ? Vedanā, saññā, cetanā, phasso, manasikāro—  idaṃ vuccati nāmaṃ. Cattāro ca mahābhūtā, catunnañca mahābhūtānaṃ upādāyarūpaṃ. Idaṃ vuccati rūpaṃ. Iti idañca nāmaṃ, idañca rūpaṃ. Idaṃ vuccati, bhikkhave, nāmarūpaṃ. 
 
까따만짜, 빅카웨-, 나-마루-빵? 웨-다나-, 산냐-, 쩨-따나-, 팟소-, 마나시까-로- ㅡ 이당 웃짜띠 나-망. 짯따-로- 짜 마하-부-따-, 짜뚠난짜 마하-부-따-낭 우빠-다-야루-빵. 이당 웃짜띠 루-빵. 이띠 이단짜 나-망, 이단짜 루-빵. 이당 웃짜띠, 빅카웨-, 나-마루-빵.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정신·물질[명색(名色)]인가? 수(受), 상(想), 사(思), 촉(觸), 작의(作意) - 이를 일러 정신이라 한다. 그리고 네 가지 근본물질과 네 가지 근본물질에서 파생된 물질 - 이를 일러 물질이라 한다. 이것이 정신이고 이것이 물질이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정신·물질이라 한다.

Katamañca, bhikkhave, viññāṇaṃ? Chayime, bhikkhave, viññāṇakāyā—  cakkhuviññāṇaṃ, sotaviññāṇaṃ, ghānaviññāṇaṃ, jivhāviññāṇaṃ, kāyaviññāṇaṃ, manoviññāṇaṃ. Idaṃ vuccati, bhikkhave, viññāṇaṃ.
 
까따만짜, 빅카웨-, 윈냐-낭? 차이이메-, 빅카웨-, 윈냐-나까-야- ㅡ 짝쿠윈냐-낭, 소-따윈냐낭, 가-나윈냐-낭, 지우하-윈냐-낭, 까-야윈냐-낭, 마노-윈냐-낭. 이당 웃짜띠, 빅카웨-, 윈냐-낭.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식(識)인가? 비구들이여, 여섯 가지 식(識)의 무리가 있나니 눈의 식[안식(眼識)], 귀의 식[이식(耳識)], 코의 식[비식(鼻識)], 혀의 식[설식(舌識)], 몸의 식[신식(身識)], 마노의 식[의식(意識)]이다. -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식(識)이라 한다.

Katame ca, bhikkhave, saṅkhārā? Tayome, bhikkhave, saṅkhārā—  kāyasaṅkhāro, vacīsaṅkhāro, cittasaṅkhāro. Ime vuccanti, bhikkhave, saṅkhārā. 
 
까따메- 짜, 빅카웨-, 상카-라-? 따요-메-, 빅카웨-, 상카-라- ㅡ 까-야상카-로-, 와찌-상카-로-, 찟따상카-로-. 이메- 웃짠띠, 빅카웨-, 상카-라-.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형성작용들[행(行)]인가? 비구들이여, 세 가지 형성작용들이 있나니 몸의 형성작용[신행(身行)], 말의 형성작용[어행(語行)], 마음의 형성작용[심행(心行)]이다. -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형성작용들이라 한다

Katamā ca, bhikkhave, avijjā? Yaṃ kho, bhikkhave, dukkhe aññāṇaṃ, dukkhasamudaye aññāṇaṃ, dukkhanirodhe aññāṇaṃ, dukkhanirodhagāminiyā paṭipadāya aññāṇaṃ. Ayaṃ vuccati, bhikkhave, avijjā. 
 
까따마- 짜, 빅카웨-, 아윗자-? 양 코-, 빅카웨-, 둑케- 안냐-낭, 둑카사무다예- 안냐-낭, 둑카니로-데- 안냐-낭, 둑카니로-다가-미니야- 빠띠빠다-야 안냐-낭. 아양 웃짜띠, 빅카웨-, 아윗자-.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무명(無明)인가? 비구들이여, 괴로움[고(苦)]에 대한 무지(無知), 괴로움의 일어남[고집(苦集)]에 대한 무지, 괴로움의 소멸[고멸(苦滅)]에 대한 무지, 괴로움의 소멸로 인도하는 실천[고멸도(苦滅道)]에 대한 무지이다. -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무명이라 한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