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교리공부 > 분석경들

분석경들

분석경 - 5)념처(念處) & 념처수행(念處修行) [vibhaṅgasuttaṃ (SN 47.40)]

0 858 2017.08.27 08:47
“satipaṭṭhānañca vo, bhikkhave, desessāmi satipaṭṭhānabhāvanañca satipaṭṭhānabhāvanāgāminiñca paṭipadaṃ. taṃ suṇātha”. “katamañca, bhikkhave, satipaṭṭhānaṃ? idha, bhikkhave, bhikkhu kāye kāyānupassī viharat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vineyya loke abhijjhādomanassaṃ; vedanāsu vedanānupassī viharati ... pe ... citte cittānupassī viharati ... pe ... dhammesu dhammānupassī viharat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vineyya loke abhijjhādomanassaṃ. idaṃ vuccati, bhikkhave, satipaṭṭhānaṃ”

사띠빳타-난짜 오-, 빅카웨-, 데-셋-사-미 사띠빳타-나바-와난짜 사띠빳타-나바-와나-가-미닌짜 빠띠빠당. 땅 수나-타. 까따만짜, 빅카웨-, 사띠빳타-낭? 이다, 빅카웨-, 빅쿠 까-예- 까-야-누빳시- 위하라띠 아-따-삐 삼빠자-노- 사띠마-, 위네이야 로-께- 아빗자-도-마낫상; 웨-다나-수 웨-다나-누빳시- 위하라띠 … 뻬- … 찟떼- 찟따-누빳시- 위하라띠 … 뻬- … 담메-수 담마-누빳시- 위하라띠 아-따-삐 삼빠자-노- 사띠마-, 위네이야 로-께- 아빗자-도-마낫상. 이당 웃짜띠, 빅카웨-, 사띠빳타-낭.

비구들이여, 그대들에게 사띠의 확립[념처(念處)]와 사띠의 확립을 닦는 것[념처수행(念處修行)]과 사띠의 확립을 닦는 것으로 이끄는 실천에 대해서 설하겠다. 그것을 들어라.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사띠의 확립[념처(念處)-satipaṭṭhāna]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몸[신(身)]에서 몸을 이어 보는 자로 머문다. 알아차리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옳음의 유지-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자이다. 그는 세상에서 간탐(慳貪)과 고뇌(苦惱)를 제어한다. 경험[수(受)]에서 경험을 이어 보는 자로 머문다. … 마음[심(心)]에서 마음을 이어 보는 자로 머문다. … 법[법(法)]에서 법을 이어 보는 자로 머문다. 알아차리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옳음의 유지-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자이다. 그는 세상에서 간탐(慳貪)과 고뇌(苦惱)를 제어한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사띠의 확립이라고 불린다."

“katamā ca, bhikkhave, satipaṭṭhānabhāvanā? idha, bhikkhave, bhikkhu samudayadhammānupassī kāyasmiṃ viharati, vayadhammānupassī kāyasmiṃ viharati, samudayavayadhammānupassī kāyasmiṃ viharat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vineyya loke abhijjhādomanassaṃ. samudayadhammānupassī vedanāsu viharati ... pe ... samudayadhammānupassī citte viharati... samudayadhammānupassī dhammesu viharati, vayadhammānupassī dhammesu viharati, samudayavayadhammānupassī dhammesu viharat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vineyya loke abhijjhādomanassaṃ. ayaṃ vuccati, bhikkhave, satipaṭṭhānabhāvanā.”

까따마- 짜, 빅카웨-, 사띠빳타-나바-와나-? 이다, 빅카웨-, 빅쿠 사무다야담마-누빳시- 까-야스밍 위하라띠, 와야담마-누빳시- 까-야스밍 위하라띠, 사무다야와야담마-누빳시- 까-야스밍 위하라띠, 아-따-삐 삼빠자-노- 사띠마-, 위네이야 로-께- 아빗자-도-마낫상. 사무다야담마-누빳시- 웨-다나-수 위하라띠 … 뻬- … 사무다야담마-누빳시- 찟떼- 위하라띠 … 사무다야담마-누빳시- 담메-수 위하라띠, 와야담마-누빳시- 담메-수 위하라띠, 사무다야와야담마-누빳시- 담메-수 위하라띠, 아-따-삐 삼빠자-노- 사띠마-, 위네이야 로-께- 아빗자-도-마낫상. 아양 웃짜띠, 빅카웨-, 사띠빳타-나바-와나-.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알아차림의 확립을 닦는 것[념처수행(念處修行)-satipaṭṭhānabhāvanā]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일어남의 법을 이어 보는 자로 몸[신(身)]에 머문다. 사라짐의 법을 이어 보는 자로 몸에 머문다. 일어남사라짐의 법을 이어 보는 자로 몸에 머문다. 알아차리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옳음의 유지-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자이다. 그는 세상에서 간탐(慳貪)과 고뇌(苦惱)를 제어한다. 일어남의 법을 이어 보는 자로 경험[수(受)]에 머문다 … 일어남의 법을 이어 보는 자로 마음[심(心)]에 머문다 … 일어남의 법을 이어 보는 자로 법[법(法)]에 머문다. 사라짐의 법을 이어 보는 자로 법에 머문다. 일어남사라짐의 법을 이어 보는 자로 법에 머문다. 알아차리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옳음의 유지-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자이다. 그는 세상에서 간탐(慳貪)과 고뇌(苦惱)를 제어한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사띠의 확립을 닦는 것이라고 불린다."

“katamā ca, bhikkhave, satipaṭṭhānabhāvanāgāminī paṭipadā?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sammāsaṅkappo, sammāvācā, sammākammanto, sammāājīvo, sammāvāyāmo, sammāsati, sammāsamādhi. ayaṃ vuccati, bhikkhave, satipaṭṭhānabhāvanāgāminī paṭipadā”ti.

까따마- 짜, 빅카웨-, 사띠빳타-나바-와나-가-미니- 빠띠빠다-? 아야메-와 아리요- 앗탕기꼬- 막고- 세이야티당 ㅡ 삼마-딧티, 삼마-상깝뽀-, 삼마-와-짜-, 삼마-깜만또-, 삼마-아-지-오-, 삼마-와-야-모-, 삼마-사띠, 삼마-사마-디. 아양 웃짜띠, 빅카웨-, 사띠빳타-나바-와나-가-미니- 빠띠빠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사띠의 확립을 닦는 것으로 이끄는 실천인가? 그것은 바로 이 여덟 요소로 구성된 성스러운 도(道)이니. 그것은 정견(正見), 정사유(正思惟), 정어(正語), 정업(正業), 정명(正命), 정정진(正精進), 정념(正念), 정정(正定)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사띠의 확립을 닦는 것으로 이끄는 실천이라고 불린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