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불교입문 > 해피스님 이야기

해피스님 이야기

대담 ㅡ 창조론과 진화론에 대한 불교의 입장(부산 수행 180124)

0 852 2018.01.26 11:38

대담 창조론과 진화론에 대한 불교의 입장(부산 수행 180124)

[동영상] https://youtu.be/XwXUxqidmYE

 

창조론과 진화론에 대한 불교의 입장을 묻는 질문에 답하였습니다. 창조론은 삼종외도(三種外道)의 하나로서 불교에서는 당연히 부정됩니다. 반면에 진화론은 단정적으로 부정하기 곤란한 우리 삶에서 드러나 보이는 현상입니다. 다만, 진화론이 설명할 수 있는 삶의 영역은 매우 제한적입니다. 그래서 불교를 진화론에 담을 수는 없습니다. 마치 작은 그릇 안에 바다를 담겠다는 어리석음인 것입니다.

 

창조론은 삼종외도의 하나로서 분명히 부정됩니다. titthāyatanādisuttaṃ (AN 3.62)[외도의 주장 경(A3:61)]비구들이여, 어떤 사문-바라문은 이런 주장과 이런 견해를 가지고 있다. 사람이 즐거움이나 괴로움이나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음을 경험하는 것은 모두 전생의 행위가 원인이다.’라고. 비구들이여, 어떤 사문-바라문은 이런 주장과 이런 견해를 가지고 있다. 사람이 즐거움이나 괴로움이나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음을 경험하는 것은 모두 신()의 창조가 원인이다.’라고. 비구들이여, 어떤 사문·바라문은 이런 주장과 이런 견해를 가지고 있다. 사람이 즐거움이나 괴로움이나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음을 경험하는 것은 모두 원인도 없고 조건도 없다[무인무연(無因無緣)]이다.’라고.라고 하여 삼종외도를 소개하며 그 주장을 타파합니다. http://니까야.org/bbs/board.php?bo_table=nikaya08_05_07&wr_id=1

 

진화론은 물질의 영역에서 식물과 동물이라는 생명들에 대한 진화의 과정을 설명하는데 불교에서는 그 중 동물에 속한 것으로의 중생을 대상으로 고멸(苦滅)의 법()을 설합니다. 그런데 중생은 오취온(五取蘊)입니다. ()-()-()-()-() 오온(五蘊)에 집착이 함께하는 상태인 것입니다. 몸인 색()과 마음인 식() 그리고 마음이 주도적으로 몸과 함께하는 삶에서 2차적 생겨나는 것들인 수()-()-()입니다. 이 중에 진화론이 설명할 수 있는 범주는 어디까지입니까? 몸인 색() 즉 물질의 영역에서 그 변화의 과정을 설명하는 것이 진화론이라고 이해하면 잘못된 것일까요?

 

불교(佛敎)는 색()-()-()-()-() 오온(五蘊)이라는 내 삶의 구성요소 모두를 설명하고 또한 그 집합체로서의 내 존재를 설명합니다[오온(五蘊)+() 오취온(五取蘊) : 불완전한 존재상태 = ()]. 그 존재에 수반되는 고()의 문제와 그 문제의 해소[고멸(苦滅)]을 중심에 두고 포괄적으로 삶을 설명하는 깨달음이고 가르침입니다.

 

진화론은 삶의 제한적 영역에 대한 설명입니다. 불교가 설명하는 삶의 포괄적 이해와 견줄 수 없습니다. 그래서 불교 안에서 진화론으로 불교를 포괄하려는 시도는 마치 작은 그릇 안에 바다를 담겠다는 어리석음과도 같은 것이라고 해야 합니다.

 

[참고] 좀 더 연구가 필요한 주제이지만, 진화론, 뇌 과학 등 물질의 영역에서 삶을 해석하려는 시도는 아마도 삼종외도 중 무인무연(無因無緣)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입니다. 무인무연(無因無緣)은 신구의(身口意) 삼업(三業)의 원인-조건에 해당하는 심()과 탐진치(貪嗔癡)의 부정이라고 보아야 하는데, 이것이 곧 마음이 몸과 만나기 이전의 영역에 대한 부정이기 때문입니다. 진화론, 뇌 과학 등 현대과학에 근거한 학문들이 색() 즉 물질의 영역에서 삶을 해석하려는 시도가 바로 마음이 몸과 함께하는 영역에서 삶을 설명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진화론 또한 삼종이도의 가르침을 통해 불교 안에서 타파된 주장입니다.

 

수업에서는 세상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는데,

 

1) 세기경(世起經) http://cafe.naver.com/happybupdang/5963와 답글들

2) 아비부 경(A3:80)] http://cafe.naver.com/happybupdang/11498

3) 십사무기(十四無記)의 포괄적 이해 http://cafe.naver.com/happybupdang/11116

4) 세상의 끝① ☞ 로히땃사 경(S2:26) http://cafe.naver.com/happybupdang/3133

5) 세상의 끝② ☞ http://cafe.naver.com/happydhamma/489

 

등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