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교리공부 > 기본기

기본기

제3장 대전기경(D14) 위빳시부처님3)[깨달음의 본질 & 범천의 권청](기본기 서울 170505)

0 679 2017.08.26 15:08

▣ 제3장 대전기경(D14) 위빳시부처님3)[깨달음의 본질 & 범천의 권청](기본기 서울 170505)

   [동영상] ☞ https://youtu.be/9NoHfaEOxjE

깨달음을 성취한 위빳시 부처님은 당신의 깨달음을 개념적으로 언급하면서 중생들이 깨닫기 어려울 것이라고 걱정합니다. 이때 어떤 대범천이 나타나 법문을 설해주실 것을 요청하고 위빳시 부처님은 그 청을 받아들입니다. 다만, 청을 받아들이는 조건으로 그간의 믿음을 버려야 한다고 말하는데, 자아[아(我)]에 대한 믿음에서 벗어나야 이 법을 알 수 있다는 의미로 설명하였습니다. ☞ 「자아에 속지 않아야 합니다(http://cafe.naver.com/happydhamma/812)」 참조.

ㅇ 깨달음의 대표 개념 ㅡ atakka[takka를 넘어섬]
ㅇ 중생의 대표 개념 ㅡ ālaya[집착의 경향]


한편, ālaya[집착의 경향]는 유식(唯識)에 가면 제8식 아뢰야식으로 나타나는데 동의하기 어렵습니다. ālaya[집착의 경향]는 식(識)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atakka의 대응 상황 즉 takka의 근본 조건인 번뇌 즉 상(想)의 병듦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상(想)의 병듦으로의 번뇌[루(漏)]를 지칭하는 집착의 경향[ālaya]을 식(識)의 일종으로 해석하는데서 유식은 부처님의 말씀에 대해 차이를 보인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