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교리공부 > 기본기

기본기

기본기의 유래 & 차례1[여래 출현의 의미~전생이야기](기본기법회 180108)

0 728 2018.01.09 15:40

▣ 기본기의 유래 & 차례1[여래 출현의 의미~전생이야기](기본기법회 180108)

   [동영상] https://youtu.be/eVilW1vJP9w


기본기 법회를 시작하였습니다. 쉬운 공부가 아니라 토대가 되는 공부라는 의미입니다. 이미 있던 삼매의 끝, 이미 있던 고행의 끝에 깨달음을 성취했는데 거기 어디에 불교랄 것이 있느냐는 문제 제기(*)에 대해 전혀 다른 개념의 삼매를 토대로 하고, 고행은 깨달음의 길이 아니라는 것을 확인한 이후에 구체적 존재 의미를 가지는 새로운 길을 걸어 완성한 깨달음의 자리에 불교는 실제적으로 존재한다는 점을 설명하였습니다.


(*) 2011224일에 작성된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기본기(基本技)의 개념을 처음 세운 글이라고 하겠습니다. http://cafe.naver.com/happybupdang/2324

 

현재 상태로 제작중인 교재는 모두 19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간략히 요약하고 나서 본 수업에 들어가기로 하였습니다. 첫 수업에서는 제1장 세 가지 법으로부터 제5장 사까무니 부처님의 전생 이야기까지를 핵심적 의미 중심으로 간략히 설명하였습니다.


-   차           례   -


제1장 세 가지 법(法) 


• 나는 누구인가? - 여래(如來) 출현의 의미


제2장 시대의 구분 


「사실에 괴리(乖離)된 삶은 고(苦)를 만들고, 사실에 부합(符合)한 삶은 락(樂)을 만든다.」


Ⅰ. 부처님 이전 


• 사실에 부합한 삶이 알려지지 않음 → 불만족[고(苦)]


Ⅱ. 부처님 이후


• 사실에 부합한 삶이 알려짐 → 만족[고멸(苦滅)] = 행복[락(樂)]


제3장 전승된 가르침 


Ⅰ. 전승의 중심 네 가지

    ; 연기(緣起)ㅡ삼법인(三法印)

      팔정도(八正道)ㅡ칠불통계(七佛通戒)

         

Ⅱ. 업인과보(業因果報) ; 행위가 가지는 과(果)와 보(報)의 법칙성

    ; 가르침의 토대 ㅡ 업(業)과 결실 있음[kamma – kiriya]

      공통된 가르침 ㅡ 업(業)-결실 있음-정진(精進)


• 고(苦)의 과(果)와 보(報)를 가져오는 행위[법(法)] - 열 가지 삿된 길, 십악업(十惡業)

• 락(樂)의 과(果)와 보(報)를 가져오는 행위[법(法)]은 ㅡ 십정도(十正道), 십선업(十善業)


Ⅲ. 이외의 전승된 가르침(1) 

   ;  「과거-미래-현재의 아라한·정등각들인 그분 세존들」을 설하는 경전들


Ⅲ. 이외의 전승된 가르침(2)


제4장 과거의 여섯 부처님


Ⅰ. 율장과 4부 니까야에 나타나는 과거 여섯 부처님의 용례


Ⅱ. 대전기경(大傳記經)(D14)[mahāpadānasuttaṃ]


제5장 사꺄무니 부처님의 전생 이야기


1. 꾸따단따 경(D5)

2. 마하수닷사나 경(D17)

3. 마하고윈다 경(D19)

4.가띠까라 경(M81)

5. 마가데와 경(M83)

6. 쇠똥 경(S22:96)

7. 사쩨따나 경(A3:15)

8. 자애 경(A7:58-2 또는 AN7:62)

9. 일곱 개의 태양 경(A7:62 또는 AN7:66)

10. 웰라마 경(A9:20)

11. 삼십이상경(D30)


[첨부] 불교적 제사 방법


제6장 사꺄무니 부처님의 탄생 이야기


제7장 출가 이전의 이야기


[1] 늙음과 병듦과 죽음에 대한 고찰


[2] 초선(初禪)의 경험


[3] 초선(初禪)의 경험을 회상함 


[4] 부처님의 가족


제8장 출가에서 깨달음까지


Ⅰ. 주된 과정 ㅡ 성구(聖求) 경(M26), 마하삿짜까 경(M36), 왕자 보디의 경(M85), 상가라와 경(M100)


Ⅱ.「아직 깨닫기 전 보살(菩薩)이었을 적 이야기」의 경전 용례

    [pubbeva sambodhā anabhisambuddhassa bodhisattasseva]


Ⅲ.「안(眼)-지(知)-혜(慧)-명(明)-광(光)이 생겼다」의 경전 용례

  [cakkhuṃ udapādi, ñāṇaṃ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제9장 깨달음


Ⅰ. 「여래는 이것을 깨달았고 실현하였다」의 경전 용례 

   [taṃ tathāgato abhisambujjhati abhisameti]


Ⅱ.「위없는 바른 깨달음의 선언」의 경전 용례

  [‘anuttaraṃ sammāsambodhiṃ abhisambuddho’ti paccaññāsiṃ]


제10장 처음 바른 깨달음을 성취했을 때[paṭhamābhisambuddho]


제11장 초전법륜(初轉法輪)


• 전법륜경(S56:11)-무아상경(S22:59)-불타오름경(S35:28)

• 라시야 경(S42:12)

• 성구경(M26)


제12장 사성제(四聖諦)


1. 사성제(四聖諦)


2. 길과 실천 ⇒ 사성제(四聖諦)


3. 사성제의 심화


제13장 두 단계의 깨달음


제14장 차제설법(次第說法)


Ⅰ. 경전 용례


• 암바타 경(D3)

• 꾸따단따 경(D5)

• 대전기경(D14)

• 우빨리 경(M56)

• 브라흐마유 경(M91)

• 시하경(A8:12)

• 욱가경1(A8:21)

• 욱가경2(A8:22)


• 우다이 경(A5:159)[Udāyīsutta]


Ⅱ-Ⅰ. 차제설법(次第說法)의 이해


Ⅱ-Ⅱ. 왜 – 어떻게? [계(戒)-보시(布施)-생천(生天)]


[참고] 제자들의 구성


Ⅰ. 계(戒)에 의한 구성

Ⅱ. 삶의 방식에 의한 구성 – 재가제자


제15장 전법선언(傳法宣言)


제16장 부처님 만년(晩年)의 가르침 ㅡ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D16)]


제17장 부처님의 완전한 열반 이후에 설해진 경전들


[Ⅰ] 완전한 열반 이후라고 직접 설해진 경전


1. 수바 경(D10)

2. 마두라 경(M84)

3. 고따무까 경(M94)

4. 고빠까목갈라나 경(M108)


[Ⅱ] 빠딸리뿟따에서 설해진 경전


1. 앗타까나가라 경 (MN 52) & (AN 11.16)

2. 고따무카 경 (MN 94)

3. 꾹꾸따라마 경1 (SN 45.18)

4. 꾹꾸따라마 경2 (SN 45.19)

5. 꾹꾸따라마 경3 (SN 45.20)

6. 계(戒) 경 (SN 47.21)

7. 오래 머묾 경 (SN 47.22)

8. 쇠퇴 경 (SN 47.23)

9. 나라다 경 (AN 5.50)


[Ⅲ] 호칭에 의해 유추되는 경전


1. 처소 경 (S16:10)

2. 의복 경 (S16:11)


[Ⅳ] 기타


1. 박꿀라 경 (M124) → 이법에 출가한 후 80년

2. 빠야시 경(D23) → 여래(如來)의 반열반(般涅槃) 이후에 아라한을 찬탄하는 표현

                     [마두라 경(M84) & 나라다 경 (AN 5.50)]


제18장 부처님 이후의 불교 - 마하깟사빠 존자


• 깟사빠 상윳따(S16) 중


제19장 미래 부처님 – 멧떼야[미륵] 

 

 

• 전륜성왕 사자후 경(D26)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