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교리공부 > 기본기

기본기

vipassīsuttaṃ(SN 12.4)[위빳시 경]

0 405 2017.08.26 14:54

vipassīsuttaṃ(SN 12.4)[위빳시 경]


sāvatthiyaṃ viharati ... pe ... “vipassissa, bhikkhave,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 pubbeva sambodhā anabhisambuddhassa bodhisattasseva sato etadahosi — ‘kicchaṃ vatāyaṃ loko āpanno jāyati ca jīyati ca mīyati ca cavati ca upapajjati ca. atha ca panimassa dukkhassa nissaraṇaṃ nappajānāti jarāmaraṇassa. kudāssu nāma imassa dukkhassa nissaraṇaṃ paññāyissati jarāmaraṇassā’”ti?

사왓티에서 머물다. … "비구들이여, 위빳시 세존ㆍ아라한ㆍ정등각에게 깨닫기 전 완전한 깨달음을 성취하지 못한 보살이었을 때 이런 생각이 들었다. ㅡ ‘참으로 이 세상은 고통으로 가득하구나. 태어나고 늙고 죽고, 다른 상태로 다시 태어난다. 그러나 늙음-죽음[노사(老死)]라는 이 괴로움으로부터 벗어남을 꿰뚫어 알지 못한다. 참으로 어디서 늙음-죽음이라는 이 괴로움으로부터 벗어남이 분명히 알려질 것인가?’라고.”

“atha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etadahosi — ‘kimhi nu kho sati jarāmaraṇaṃ hoti, kiṃpaccayā jarāmaraṇan’ti? atha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yoniso manasikārā ahu paññāya abhisamayo — ‘jātiyā kho sati jarāmaraṇaṃ hoti, jātipaccayā jarāmaraṇan’”ti.

“비구들이여, 그러자 위빳시 보살에게 이런 생각이 들었다. ㅡ ‘무엇이 있을 때 늙음-죽음이 있으며 무엇을 조건으로 늙음-죽음이 있는가?’라고. 비구들이여, 그러자 위빳시 보살에게 여리작의(如理作意)에 의한, 지혜에 의한 관통이 생겼다. ㅡ ‘태어남[생(生)]이 있을 때 늙음-죽음이 있다. 태어남을 조건으로 늙음-죽음이 있다.’라고.”

“atha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etadahosi — ‘kimhi nu kho sati jāti hoti, kiṃpaccayā jātī’ti? atha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yoniso manasikārā ahu paññāya abhisamayo — ‘bhave kho sati jāti hoti, bhavapaccayā jātī’”ti.

“비구들이여, 그러자 위빳시 보살에게 이런 생각이 들었다. ㅡ ‘무엇이 있을 때 태어남이 있으며 무엇을 조건으로 태어남이 있는가?’라고. 비구들이여, 그러자 위빳시 보살에게 여리작의(如理作意)에 의한, 지혜에 의한 관통이 생겼다. ㅡ ‘존재[유(有)]가 있을 때 태어남이 있다. 존재를 조건으로 태어남이 있다.’라고.”

“atha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etadahosi — ‘kimhi nu kho sati bhavo hoti, kiṃpaccayā bhavo’ti? atha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yoniso manasikārā ahu paññāya abhisamayo — ‘upādāne kho sati bhavo hoti, upādānapaccayā bhavo’”ti.

“비구들이여, 그러자 위빳시 보살에게 이런 생각이 들었다. ㅡ ‘무엇이 있을 때 존재가 있으며 무엇을 조건으로 존재가 있는가?’라고. 비구들이여, 그러자 위빳시 보살에게 여리작의(如理作意)에 의한, 지혜에 의한 관통이 생겼다. ㅡ ‘집착[취(取)]가 있을 때 존재가 있다. 집착을 조건으로 존재가 있다.’라고.”

“atha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etadahosi — ‘kimhi nu kho sati upādānaṃ hoti, kiṃpaccayā upādānan’ti? atha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yoniso manasikārā ahu paññāya abhisamayo — ‘taṇhāya kho sati upādānaṃ hoti, taṇhāpaccayā upādānan’”ti.

“비구들이여, 그러자 위빳시 보살에게 이런 생각이 들었다. ㅡ ‘무엇이 있을 때 집착이 있으며 무엇을 조건으로 집착이 있는가?’라고. 비구들이여, 그러자 위빳시 보살에게 여리작의(如理作意)에 의한, 지혜에 의한 관통이 생겼다. ㅡ ‘갈애[애(愛)]가 있을 때 집착이 있다. 갈애를 조건으로 집착이 있다.’라고.”

“atha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etadahosi — ‘kimhi nu kho sati taṇhā hoti, kiṃpaccayā taṇhā’ti? atha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yoniso manasikārā ahu paññāya abhisamayo — ‘vedanāya kho sati taṇhā hoti, vedanāpaccayā taṇhā’”ti.

“비구들이여, 그러자 위빳시 보살에게 이런 생각이 들었다. ㅡ ‘무엇이 있을 때 갈애가 있으며 무엇을 조건으로 갈애가 있는가?’라고. 비구들이여, 그러자 위빳시 보살에게 여리작의(如理作意)에 의한, 지혜에 의한 관통이 생겼다. ㅡ ‘경험[수(受)]가 있을 때 갈애가 있다. 경험을 조건으로 갈애가 있다.’라고.”

“atha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etadahosi — ‘kimhi nu kho sati vedanā hoti, kiṃpaccayā vedanā’ti? atha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yoniso manasikārā ahu paññāya abhisamayo — ‘phasse kho sati vedanā hoti, phassapaccayā vedanā’”ti.

“비구들이여, 그러자 위빳시 보살에게 이런 생각이 들었다. ㅡ ‘무엇이 있을 때 경험이 있으며 무엇을 조건으로 경험이 있는가?’라고. 비구들이여, 그러자 위빳시 보살에게 여리작의(如理作意)에 의한, 지혜에 의한 관통이 생겼다. ㅡ ‘촉(觸)이 있을 때 경험이 있다. 촉(觸)을 조건으로 경험이 있다.’라고.”

“atha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etadahosi — ‘kimhi nu kho sati phasso hoti, kiṃpaccayā phasso’ti? atha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yoniso manasikārā ahu paññāya abhisamayo — ‘saḷāyatane kho sati phasso hoti, saḷāyatanapaccayā phasso’”ti.

“비구들이여, 그러자 위빳시 보살에게 이런 생각이 들었다. ㅡ ‘무엇이 있을 때 촉(觸)이 있으며 무엇을 조건으로 촉(觸)이 있는가?’라고. 비구들이여, 그러자 위빳시 보살에게 여리작의(如理作意)에 의한, 지혜에 의한 관통이 생겼다. ㅡ ‘육입(六入)이 있을 때 촉(觸)이 있다. 육입(六入)을 조건으로 촉(觸)이 있다.’라고.”

“atha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etadahosi — ‘kimhi nu kho sati saḷāyatanaṃ hoti, kiṃpaccayā saḷāyatanan’ti? atha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yoniso manasikārā ahu paññāya abhisamayo — ‘nāmarūpe kho sati saḷāyatanaṃ hoti, nāmarūpapaccayā saḷāyatanan’”ti.

“비구들이여, 그러자 위빳시 보살에게 이런 생각이 들었다. ㅡ ‘무엇이 있을 때 육입(六入)이 있으며 무엇을 조건으로 육입(六入)이 있는가?’라고. 비구들이여, 그러자 위빳시 보살에게 여리작의(如理作意)에 의한, 지혜에 의한 관통이 생겼다. ㅡ ‘명색(名色)이 있을 때 육입(六入)이 있다. 명색(名色)을 조건으로 육입(六入)이 있다.’라고.”

“atha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etadahosi — ‘kimhi nu kho sati nāmarūpaṃ hoti, kiṃpaccayā nāmarūpan’ti? atha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yoniso manasikārā ahu paññāya abhisamayo — ‘viññāṇe kho sati nāmarūpaṃ hoti, viññāṇapaccayā nāmarūpan’”ti.

“비구들이여, 그러자 위빳시 보살에게 이런 생각이 들었다. ㅡ ‘무엇이 있을 때 명색(名色)이 있으며 무엇을 조건으로 명색(名色)이 있는가?’라고. 비구들이여, 그러자 위빳시 보살에게 여리작의(如理作意)에 의한, 지혜에 의한 관통이 생겼다. ㅡ ‘식(識)이 있을 때 명색(名色)이 있다. 식(識)을 조건으로 명색(名色)이 있다.’라고.”

“atha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etadahosi — ‘kimhi nu kho sati viññāṇaṃ hoti, kiṃpaccayā viññāṇan’ti? atha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yoniso manasikārā ahu paññāya abhisamayo — ‘saṅkhāresu kho sati viññāṇaṃ hoti, saṅkhārapaccayā viññāṇan’”ti.

“비구들이여, 그러자 위빳시 보살에게 이런 생각이 들었다. ㅡ ‘무엇이 있을 때 식(識)이 있으며 무엇을 조건으로 식(識)이 있는가?’라고. 비구들이여, 그러자 위빳시 보살에게 여리작의(如理作意)에 의한, 지혜에 의한 관통이 생겼다. ㅡ ‘행(行이 있을 때 식(識)이 있다. 행(行)을 조건으로 식(識)이 있다.’라고.”

“atha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etadahosi — ‘kimhi nu kho sati saṅkhārā honti, kiṃpaccayā saṅkhārā’ti? atha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yoniso manasikārā ahu paññāya abhisamayo — ‘avijjāya kho sati saṅkhārā honti, avijjāpaccayā saṅkhārā’”ti.

“비구들이여, 그러자 위빳시 보살에게 이런 생각이 들었다. ㅡ ‘무엇이 있을 때 행(行)이 있으며 무엇을 조건으로 행(行)이 있는가?’라고. 비구들이여, 그러자 위빳시 보살에게 여리작의(如理作意)에 의한, 지혜에 의한 관통이 생겼다. ㅡ ‘무명(無明)이 있을 때 행(行)이 있다. 무명(無明)을 조건으로 행(行)이 있다.’라고.”

“iti hidaṃ avijjāpaccayā saṅkhārā; saṅkhārapaccayā viññāṇaṃ ... pe ... evametassa kevalassa dukkhakkhandhassa samudayo hoti. ‘samudayo, samudayo’ti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ṃ udapādi, ñāṇaṃ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이렇게 참으로 이 무명(無明)을 조건으로 행(行)이, 행(行)을 조건으로 식(識)이, 식(識)을 조건으로 명색(名色)이, 명색(名色)을 조건으로 육입(六入)이, 육입(六入)을 조건으로 촉(觸)이, 촉(觸)을 조건으로 수(受)가, 수(受)를 조건으로 애(愛)가, 애(愛)를 조건으로 취(取)가, 취(取)를 조건으로 유(有)가, 유(有)를 조건으로 생(生)이, 생(生)을 조건으로 노사(老死)와 수비고우뇌(愁悲苦憂惱)가 생긴다. 이와 같이 전체 괴로움의 무더기의 일어남이 있다. 비구들이여, 참으로 위빳시 보살에게 ‘일어남, 일어남’이라는 전에 들어보지 못한 법들에 대한 안(眼)이 생기고, 지(知)가 생기고, 혜(慧)가 생기고, 명(明)이 생기고, 광(光)이 생겼다.

“atha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etadahosi — ‘kimhi nu kho asati jarāmaraṇaṃ na hoti, kissa nirodhā jarāmaraṇanirodho’ti? atha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yoniso manasikārā ahu paññāya abhisamayo — ‘jātiyā kho asati jarāmaraṇaṃ na hoti, jātinirodhā jarāmaraṇanirodho’”ti.

“비구들이여, 그러자 위빳시 보살에게 이런 생각이 들었다. ㅡ ‘무엇이 없을 때 노사(老死)가 없으며 무엇의 멸(滅)로부터 노사(老死)의 멸(滅)이 있는가?’라고. 비구들이여, 그러자 위빳시 보살에게 여리작의(如理作意)에 의한, 지혜에 의한 관통이 생겼다. ㅡ ‘생(生)이 없을 때 노사(老死)가 없다. 생(生)의 멸(滅)로부터 노사(老死)의 멸(滅)이 있다.’라고.”

“atha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etadahosi — ‘kimhi nu kho asati jāti na hoti, kissa nirodhā jātinirodho’ti? atha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yoniso manasikārā ahu paññāya abhisamayo — ‘bhave kho asati jāti na hoti, bhavanirodhā jātinirodho’”ti.

“비구들이여, 그러자 위빳시 보살에게 이런 생각이 들었다. ㅡ ‘무엇이 없을 때 생(生)이 없으며 무엇의 멸(滅)로부터 생(生)의 멸(滅)이 있는가?’라고. 비구들이여, 그러자 위빳시 보살에게 여리작의(如理作意)에 의한, 지혜에 의한 관통이 생겼다. ㅡ ‘유(有)가 없을 때 생(生)이 없다. 유(有)의 멸(滅)로부터 생(生)의 멸(滅)이 있다.’라고.”

“atha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etadahosi — ‘kimhi nu kho asati bhavo na hoti, kissa nirodhā bhavanirodho’ti? atha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yoniso manasikārā ahu paññāya abhisamayo — ‘upādāne kho asati bhavo na hoti, upādānanirodhā bhavanirodho’”ti.

“비구들이여, 그러자 위빳시 보살에게 이런 생각이 들었다. ㅡ ‘무엇이 없을 때 유(有)가 없으며 무엇의 멸(滅)로부터 유(有)의 멸(滅)이 있는가?’라고. 비구들이여, 그러자 위빳시 보살에게 여리작의(如理作意)에 의한, 지혜에 의한 관통이 생겼다. ㅡ ‘취(取)가 없을 때 유(有)가 없다. 취(取)의 멸(滅)로부터 유(有)의 멸(滅)이 있다.’라고.”

“atha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etadahosi — ‘kimhi nu kho asati upādānaṃ na hoti, kissa nirodhā upādānanirodho’ti? atha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yoniso manasikārā ahu paññāya abhisamayo — ‘taṇhāya kho asati upādānaṃ na hoti, taṇhānirodhā upādānanirodho’”ti.

“비구들이여, 그러자 위빳시 보살에게 이런 생각이 들었다. ㅡ ‘무엇이 없을 때 취(取)가 없으며 무엇의 멸(滅)로부터 취(取)의 멸(滅)이 있는가?’라고. 비구들이여, 그러자 위빳시 보살에게 여리작의(如理作意)에 의한, 지혜에 의한 관통이 생겼다. ㅡ ‘애(愛)가 없을 때 취(取)가 없다. 애(愛)의 멸(滅)로부터 취(取)의 멸(滅)이 있다.’라고.”

“atha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etadahosi — ‘kimhi nu kho asati taṇhā na hoti, kissa nirodhā taṇhānirodho’ti? atha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yoniso manasikārā ahu paññāya abhisamayo — ‘vedanāya kho asati taṇhā na hoti, vedanānirodhā taṇhānirodho’”ti.

“비구들이여, 그러자 위빳시 보살에게 이런 생각이 들었다. ㅡ ‘무엇이 없을 때 애(愛)가 없으며 무엇의 멸(滅)로부터 애(愛)의 멸(滅)이 있는가?’라고. 비구들이여, 그러자 위빳시 보살에게 여리작의(如理作意)에 의한, 지혜에 의한 관통이 생겼다. ㅡ ‘수(受)가 없을 때 애(愛)가 없다. 수(受)의 멸(滅)로부터 애(愛)의 멸(滅)이 있다.’라고.”

“atha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etadahosi — ‘kimhi nu kho asati vedanā na hoti, kissa nirodhā vedanānirodho’ti? atha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yoniso manasikārā ahu paññāya abhisamayo — ‘phasse kho asati vedanā na hoti, phassanirodhā vedanānirodho’”ti.

“비구들이여, 그러자 위빳시 보살에게 이런 생각이 들었다. ㅡ ‘무엇이 없을 때 수(受)가 없으며 무엇의 멸(滅)로부터 수(受)의 멸(滅)이 있는가?’라고. 비구들이여, 그러자 위빳시 보살에게 여리작의(如理作意)에 의한, 지혜에 의한 관통이 생겼다. ㅡ ‘촉(觸)이 없을 때 수(受)가 없다. 촉(觸)의 멸(滅)로부터 수(受)의 멸(滅)이 있다.’라고.”

“atha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etadahosi — ‘kimhi nu kho asati phasso na hoti, kissa nirodhā phassanirodho’ti? atha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yoniso manasikārā ahu paññāya abhisamayo — ‘saḷāyatane kho asati phasso na hoti, saḷāyatananirodhā phassanirodho’”ti.

“비구들이여, 그러자 위빳시 보살에게 이런 생각이 들었다. ㅡ ‘무엇이 없을 때 촉(觸)이 없으며 무엇의 멸(滅)로부터 촉(觸)의 멸(滅)이 있는가?’라고. 비구들이여, 그러자 위빳시 보살에게 여리작의(如理作意)에 의한, 지혜에 의한 관통이 생겼다. ㅡ ‘육입(六入)이 없을 때 촉(觸)이 없다. 육입(六入)의 멸(滅)로부터 촉(觸)의 멸(滅)이 있다.’라고.”

“atha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etadahosi — ‘kimhi nu kho asati saḷāyatanaṃ na hoti, kissa nirodhā saḷāyatananirodho’ti? atha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yoniso manasikārā ahu paññāya abhisamayo — ‘nāmarūpe kho asati saḷāyatanaṃ na hoti, nāmarūpanirodhā saḷāyatananirodho’”ti.

“비구들이여, 그러자 위빳시 보살에게 이런 생각이 들었다. ㅡ ‘무엇이 없을 때 육입(六入)이 없으며 무엇의 멸(滅)로부터 육입(六入)의 멸(滅)이 있는가?’라고. 비구들이여, 그러자 위빳시 보살에게 여리작의(如理作意)에 의한, 지혜에 의한 관통이 생겼다. ㅡ ‘명색(名色)이 없을 때 육입(六入)이 없다. 명색(名色)의 멸(滅)로부터 육입(六入)의 멸(滅)이 있다.’라고.”

“atha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etadahosi — ‘kimhi nu kho asati nāmarūpaṃ na hoti, kissa nirodhā nāmarūpanirodho’ti? atha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yoniso manasikārā ahu paññāya abhisamayo — ‘viññāṇe kho asati nāmarūpaṃ na hoti, viññāṇanirodhā nāmarūpanirodho’”ti.

“비구들이여, 그러자 위빳시 보살에게 이런 생각이 들었다. ㅡ ‘무엇이 없을 때 명색(名色)이 없으며 무엇의 멸(滅)로부터 명색(名色)의 멸(滅)이 있는가?’라고. 비구들이여, 그러자 위빳시 보살에게 여리작의(如理作意)에 의한, 지혜에 의한 관통이 생겼다. ㅡ ‘식(識)이 없을 때 명색(名色)이 없다. 식(識)의 멸(滅)로부터 명색(名色)의 멸(滅)이 있다.’라고.”

“atha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etadahosi — ‘kimhi nu kho asati viññāṇaṃ na hoti, kissa nirodhā viññāṇanirodho’ti? atha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yoniso manasikārā ahu paññāya abhisamayo — ‘saṅkhāresu kho asati viññāṇaṃ na hoti, saṅkhāranirodhā viññāṇanirodho’”ti.

“비구들이여, 그러자 위빳시 보살에게 이런 생각이 들었다. ㅡ ‘무엇이 없을 때 식(識) 없으며 무엇의 멸(滅)로부터 식(識)의 멸(滅)이 있는가?’라고. 비구들이여, 그러자 위빳시 보살에게 여리작의(如理作意)에 의한, 지혜에 의한 관통이 생겼다. ㅡ ‘행(行)이 없을 때 식(識)이 없다. 행(行)의 멸(滅)로부터 식(識)의 멸(滅)이 있다.’라고.”

“atha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etadahosi — ‘kimhi nu kho asati saṅkhārā na honti, kissa nirodhā saṅkhāranirodho’ti? atha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yoniso manasikārā ahu paññāya abhisamayo — ‘avijjāya kho asati saṅkhārā na honti, avijjānirodhā saṅkhāranirodho’”ti.

“비구들이여, 그러자 위빳시 보살에게 이런 생각이 들었다. ㅡ ‘무엇이 없을 때 행(行)이 없으며 무엇의 멸(滅)로부터 행(行)의 멸(滅)이 있는가?’라고. 비구들이여, 그러자 위빳시 보살에게 여리작의(如理作意)에 의한, 지혜에 의한 관통이 생겼다. ㅡ ‘무명(無明)이 없을 때 행(行)이 없다. 무명(無明)의 멸(滅)로부터 행(行)의 멸(滅)이 있다.’라고.”

“iti hidaṃ avijjānirodhā saṅkhāranirodho; saṅkhāranirodhā viññāṇanirodho ... pe ... evametassa kevalassa dukkhakkhandhassa nirodho hotīti. ‘nirodho, nirodho’ti kho, bhikkhave, vipassissa bodhisattassa pubbe ananussutesu dhammesu cakkhuṃ udapādi, ñāṇaṃ udapādi, paññā udapādi, vijjā udapādi, āloko udapādi”.

이렇게 참으로 이 무명(無明)의 멸(滅)로부터 행(行)의 멸(滅)이, 행(行)의 멸(滅)로부터 식(識)의 멸(滅)이, 식(識)의 멸(滅)로부터 명색(名色)의 멸(滅)이, 명색(名色)의 멸(滅)로부터 육입(六入)의 멸(滅)이, 육입(六入)의 멸(滅)로부터 촉(觸)의 멸(滅)이, 촉(觸)의 멸(滅)로부터 수(受)의 멸(滅)이, 수(受)의 멸(滅)로부터 애(愛)의 멸(滅)이, 애(愛)의 멸(滅)로부터 취(取)의 멸(滅)이, 취(取)의 멸(滅)로부터 유(有)의 멸(滅)이, 유(有)의 멸(滅)로부터 생(生)의 멸(滅)이, 생(生)의 멸(滅)로부터 노사(老死)와 수비고우뇌(愁悲苦憂惱)가 멸(滅)한다. 이와 같이 전체 괴로움의 무더기의 멸(滅)이 있다. 비구들이여, 참으로 위빳시 보살에게 ‘멸(滅), 멸(滅)’이라는 전에 들어보지 못한 법들에 대한 안(眼)이 생기고, 지(知)가 생기고, 혜(慧)가 생기고, 명(明)이 생기고, 광(光)이 생겼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