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교리공부 > 사성제

사성제

Re: [사성제 해설 - 진리의 분석경(M141)](진리상윳따 1704281)

saccavibhaṅgasuttaṃ(MN 141)[진리의 분석 경]


evaṃ me sutaṃ — ekaṃ samayaṃ bhagavā bārāṇasiyaṃ viharati isipatane migadāye. tatra kho bhagavā bhikkhū āmantesi — “bhikkhavo”ti. “bhadante”ti te bhikkhū bhagavato paccassosuṃ. bhagavā etadavoca —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ㅡ 한때 세존께서는 바라나시의 이시빠따나에 있는 사슴공원에 머무셨다. 거기서 세존께서는 비구들을 부르셨다. "비구들이여."라고. "대덕이시여."라고 그 비구들은 세존께 대답했다.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ㅡ


“tathāgatena, bhikkhave, arahatā sammāsambuddhena bārāṇasiyaṃ isipatane migadāye anuttaraṃ dhammacakkaṃ pavattitaṃ appaṭivattiyaṃ samaṇena vā brāhmaṇena vā devena vā mārena vā brahmunā vā kenaci vā lokasmiṃ, yadidaṃ — catunnaṃ ariyasaccānaṃ ācikkhanā desanā paññāpanā paṭṭhapanā vivaraṇā vibhajanā uttānīkammaṃ. katamesaṃ catunnaṃ? dukkhassa ariyasaccassa ācikkhanā desanā paññāpanā paṭṭhapanā vivaraṇā vibhajanā uttānīkammaṃ, dukkhasamudayassa ariyasaccassa ācikkhanā desanā paññāpanā paṭṭhapanā vivaraṇā vibhajanā uttānīkammaṃ, dukkhanirodhassa ariyasaccassa ācikkhanā desanā paññāpanā paṭṭhapanā vivaraṇā vibhajanā uttānīkammaṃ, dukkhanirodhagāminiyā paṭipadāya ariyasaccassa ācikkhanā desanā paññāpanā paṭṭhapanā vivaraṇā vibhajanā uttānīkammaṃ. tathāgatena, bhikkhave, arahatā sammāsambuddhena bārāṇasiyaṃ isipatane migadāye anuttaraṃ dhammacakkaṃ pavattitaṃ appaṭivattiyaṃ samaṇena vā brāhmaṇena vā devena vā mārena vā brahmunā vā kenaci vā lokasmiṃ, yadidaṃ — imesaṃ catunnaṃ ariyasaccānaṃ ācikkhanā desanā paññāpanā paṭṭhapanā vivaraṇā vibhajanā uttānīkammaṃ.


"비구들이여, 바라나시의 이시빠따나에 있는 사슴공원에서 여래-아라한-정등각에 의해 사문이나 바라문이나 신이나 마라나 범천이나 세상에서 누구도 되돌릴 수 없는 위없는 법의 바퀴가 구르기 시작했는데, 그것은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사성제(四聖諦)]를 공표하고, 전달하고, 선언하고, 시작하고, 드러내고, 분석하고, 해설한 것이다. 무엇이 넷인가? 괴로움의 성스러운 진리[고성제(苦聖蹄)]를 공표하고, 전달하고, 선언하고, 시작하고, 드러내고, 분석하고, 해설한 것이다. 괴로움의 일어남의 성스러운 진리[고집성제(苦集聖諦)]를 공표하고, 전달하고, 선언하고, 시작하고, 드러내고, 분석하고, 해설한 것이다. 괴로움의 소멸의 성스러운 진리[고멸성제(苦滅聖諦)]를 공표하고, 전달하고, 선언하고, 시작하고, 드러내고, 분석하고, 해설한 것이다. 괴로움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의 성스러운 진리[고멸도성제(苦滅道聖諦)]를 공표하고, 전달하고, 선언하고, 시작하고, 드러내고, 분석하고, 해설한 것이다. 비구들이여, 바라나시의 이시빠따나에 있는 사슴공원에서 여래-아라한-정등각에 의해 사문이나 바라문이나 신이나 마라나 범천이나 세상에서 누구도 되돌릴 수 없는 위없는 법의 바퀴가 구르기 시작했는데, 그것은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사성제(四聖諦)]를 공표하고, 전달하고, 선언하고, 시작하고, 드러내고, 분석하고, 해설한 것이다.”


“sevatha, bhikkhave, sāriputtamoggallāne; bhajatha, bhikkhave, sāriputtamoggallāne. paṇḍitā bhikkhū anuggāhakā sabrahmacārīnaṃ. seyyathāpi, bhikkhave, janetā, evaṃ sāriputto; seyyathāpi jātassa āpādetā, evaṃ moggallāno. sāriputto, bhikkhave, sotāpattiphale vineti, moggallāno uttamatthe. sāriputto, bhikkhave, pahoti cattāri ariyasaccāni vitthārena ācikkhituṃ desetuṃ paññāpetuṃ paṭṭhapetuṃ vivarituṃ vibhajituṃ uttānīkātun”ti. idamavoca bhagavā. idaṃ vatvāna sugato uṭṭhāyāsanā vihāraṃ pāvisi.


"현명하고 동료수행자들에게 도움을 주는 비구들이니, 비구들이여, 사리뿟따와 목갈라나와 함께 살아라. 비구들이여, 사리뿟따와 목갈라나와 함께 실천하라. 말하자면, 비구들이여, 사리뿟따는 낳아준 자와 같고, 목갈라나는 태어난 자를 양육하는 자와 같다. 비구들이여, 사리뿟따는 예류과(預流果)로 이끌고, 목갈라나는 가장 높은 곳으로 이끈다. 비구들이여, 사리뿟따는 사성제(四聖諦)를 상세하게 공표할 수 있고, 전달할 수 있고, 선언할 수 있고, 시작할 수 있고, 드러낼 수 있고, 분석할 수 있고, 해설할 수 있다.”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이렇게 말씀하신 후 선서(善逝)께서는 자리에서 일어나서 거처로 들어가셨다.


tatra kho āyasmā sāriputto acirapakkantassa bhagavato bhikkhū āmantesi — “āvuso, bhikkhave”ti. “āvuso”ti kho te bhikkhū āyasmato sāriputtassa paccassosuṃ. āyasmā sāriputto etadavoca —


그러자 사리뿟다 존자는 세존께서 가시고 오래지 않아서 비구들을 불렀다. ㅡ "도반 비구들이여."라고. "도반이시여."라고 그 비구들은 사리뿟따 존자에게 대답했다. 사리뿟따 존자는 이렇게 말했다. ㅡ


“tathāgatena, āvuso, arahatā sammāsambuddhena bārāṇasiyaṃ isipatane migadāye anuttaraṃ dhammacakkaṃ pavattitaṃ appaṭivattiyaṃ samaṇena vā brāhmaṇena vā devena vā mārena vā brahmunā vā kenaci vā lokasmiṃ, yadidaṃ — catunnaṃ ariyasaccānaṃ ācikkhanā desanā paññāpanā paṭṭhapanā vivaraṇā vibhajanā uttānīkammaṃ. katamesaṃ catunnaṃ? dukkhassa ariyasaccassa ācikkhanā desanā paññāpanā paṭṭhapanā vivaraṇā vibhajanā uttānīkammaṃ, dukkhasamudayassa ariyasaccassa ācikkhanā desanā paññāpanā paṭṭhapanā vivaraṇā vibhajanā uttānīkammaṃ, dukkhanirodhassa ariyasaccassa ācikkhanā desanā paññāpanā paṭṭhapanā vivaraṇā vibhajanā uttānīkammaṃ, dukkhanirodhagāminiyā paṭipadāya ariyasaccassa ācikkhanā desanā paññāpanā paṭṭhapanā vivaraṇā vibhajanā uttānīkammaṃ.


"도반들이여, 바라나시의 이시빠따나에 있는 사슴공원에서 여래-아라한-정등각에 의해 사문이나 바라문이나 신이나 마라나 범천이나 세상에서 누구도 되돌릴 수 없는 위없는 법의 바퀴가 구르기 시작했는데, 그것은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사성제(四聖諦)]를 공표하고, 전달하고, 선언하고, 시작하고, 드러내고, 분석하고, 해설한 것이다. 무엇이 넷인가? 괴로움의 성스러운 진리[고성제(苦聖蹄)]를 공표하고, 전달하고, 선언하고, 시작하고, 드러내고, 분석하고, 해설한 것이다. 괴로움의 일어남의 성스러운 진리[고집성제(苦集聖諦)]를 공표하고, 전달하고, 선언하고, 시작하고, 드러내고, 분석하고, 해설한 것이다. 괴로움의 소멸의 성스러운 진리[고멸성제(苦滅聖諦)]를 공표하고, 전달하고, 선언하고, 시작하고, 드러내고, 분석하고, 해설한 것이다. 괴로움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의 성스러운 진리[고멸도성제(苦滅道聖諦)]를 공표하고, 전달하고, 선언하고, 시작하고, 드러내고, 분석하고, 해설한 것이다.

 

“katamañcāvuso, dukkhaṃ ariyasaccaṃ? jātipi dukkhā, jarāpi dukkhā, maraṇampi dukkhaṃ, sokaparidevadukkhadomanassupāyāsāpi dukkhā, yampicchaṃ na labhati tampi dukkhaṃ; saṃkhittena pañcupādānakkhandhā dukkhā.


그러면 도반들이여, 무엇이 괴로움인가? 태어남[생(生)]도 괴로움이고, 늙음[노(老)]도 괴로움이고, 죽음[사(死)]도 괴로움이다. 슬픔-비탄-고통-고뇌-절망[수비고우뇌(愁悲苦憂惱)]도 괴로움이다. 구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것도 괴로움[구부득고(求不得苦)]이다. 간략히 말하면, 오취온(五取蘊)이 괴로움이다[오취온고(五取蘊苦)].

 

“katamā cāvuso, jāti? yā tesaṃ tesaṃ sattānaṃ tamhi tamhi sattanikāye jāti sañjāti okkanti abhinibbatti khandhānaṃ pātubhāvo āyatanānaṃ paṭilābho, ayaṃ vuccatāvuso — ‘jāti’”.


도반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태어남[생(生)]인가? 이런저런 중생들의 무리에서 이런저런 중생들의 태어남, 출생, 나타남, 탄생, 온(蘊)의 출현, 처(處)의 획득, 도반들이여, 이것이 태어남이라고 불린다. 


“katamā cāvuso, jarā? yā tesaṃ tesaṃ sattānaṃ tamhi tamhi sattanikāye jarā jīraṇatā khaṇḍiccaṃ pāliccaṃ valittacatā āyuno saṃhāni indriyānaṃ paripāko, ayaṃ vuccatāvuso — ‘jarā’”.


도반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늙음[노(老)]인가? 이런저런 중생들의 무리에서 이런저런 중생들의 늙음, 노쇠함, 치아가 부러짐, 머리가 흼, 주름진 피부, 수명의 감소, 기능[근(根)]의 파괴, 도반들이여, 이것이 늙음이라고 불린다. 


“katamañcāvuso, maraṇaṃ? yā tesaṃ tesaṃ sattānaṃ tamhā tamhā sattanikāyā cuti cavanatā bhedo antaradhānaṃ maccu maraṇaṃ kālaṃkiriyā khandhānaṃ bhedo kaḷevarassa nikkhepo jīvitindriyassupacchedo, idaṃ vuccatāvuso — ‘maraṇaṃ’”.


도반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죽음[사(死)]인가? 이런저런 중생들의 무리에서 이런저런 중생들의 종말, 제거됨, 해체, 사라짐, 사망, 죽음, 서거, 온(蘊)의 해체, 육체를 내려놓음, 명근(命根)의 끊어짐, 도반들이여, 이것이 죽음이라고 불린다. 


“katamo cāvuso, soko? yo kho, āvuso, aññataraññatarena byasanena samannāgatassa aññataraññatarena dukkhadhammena phuṭṭhassa soko socanā socitattaṃ antosoko antoparisoko, ayaṃ vuccatāvuso — ‘soko’”.


도반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슬픔[수(愁)]인가? 도반들이여, 이런 저런 불행을 만나고 이런 저런 불만족한 것에 맞닿은 사람의 슬픔, 슬퍼함, 슬퍼짐, 내면의 큰 슬픔, 도반들이여, 이것이 슬픔이라고 불린다. 


“katamo cāvuso, paridevo? yo kho, āvuso, aññataraññatarena byasanena samannāgatassa aññataraññatarena dukkhadhammena phuṭṭhassa ādevo paridevo ādevanā paridevanā ādevitattaṃ paridevitattaṃ, ayaṃ vuccatāvuso — ‘paridevo’”.


도반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비탄[비(悲)]인가? 도반들이여, 이런 저런 불행을 만나고 이런 저런 불만족한 것에 맞닿은 사람의 한탄, 비탄, 한탄함, 비탄함, 한탄스러움, 비탄스러움, 도반들이여, 이것이 비탄이라고 불린다. 


“katamañcāvuso, dukkhaṃ? yaṃ kho, āvuso, kāyikaṃ dukkhaṃ kāyikaṃ asātaṃ kāyasamphassajaṃ dukkhaṃ asātaṃ vedayitaṃ, idaṃ vuccatāvuso — ‘dukkhaṃ’”.


도반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괴로움[고(苦)]인가? 도반들이여, 몸에서 결과 되는 괴로움, 몸에서 결과 되는 불편, 신촉(身觸)에서 생긴 괴롭고 불편한 경험, 도반들이여, 이것이 괴로움이라고 불린다. 


“katamañcāvuso, domanassaṃ? yaṃ kho, āvuso, cetasikaṃ dukkhaṃ cetasikaṃ asātaṃ manosamphassajaṃ dukkhaṃ asātaṃ vedayitaṃ, idaṃ vuccatāvuso — ‘domanassaṃ’”.


도반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고뇌[우(憂)]인가? 도반들이여, 마음[심(心)→행위]에서 결과 되는 괴로움, 마음에서 결과 되는 불편, 의촉(意觸)에서 생긴 괴롭고 불편한 느낌, 도반들이여, 이것이 고뇌라고 불린다. 


“katamo cāvuso, upāyāso? yo kho, āvuso, aññataraññatarena byasanena samannāgatassa aññataraññatarena dukkhadhammena phuṭṭhassa āyāso upāyāso āyāsitattaṃ upāyāsitattaṃ, ayaṃ vuccatāvuso — ‘upāyāso’”.


도반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절망[뇌(惱)]인가? 도반들이여, 이런 저런 불행을 만나고 이런 저런 불만족한 것에 맞닿은 사람의 실망, 절망, 실망스러움, 절망스러움, 도반들이여, 이것이 절망이라고 불린다. 


“katamañcāvuso, yampicchaṃ na labhati tampi dukkhaṃ? jātidhammānaṃ, āvuso, sattānaṃ evaṃ icchā uppajjati — ‘aho vata, mayaṃ na jātidhammā assāma; na ca, vata, no jāti āgaccheyyā’ti. na kho panetaṃ icchāya pattabbaṃ. idampi — ‘yampicchaṃ na labhati tampi dukkhaṃ’. jarādhammānaṃ, āvuso, sattānaṃ ... pe ... byādhidhammānaṃ, āvuso, sattānaṃ... maraṇadhammānaṃ, āvuso, sattānaṃ... sokaparidevadukkhadomanassupāyāsadhammānaṃ, āvuso, sattānaṃ evaṃ icchā uppajjati — ‘aho vata, mayaṃ na sokaparidevadukkhadomanassupāyāsadhammā assāma; na ca, vata, no sokaparidevadukkhadomanassupāyāsā āgaccheyyun’ti. na kho panetaṃ icchāya pattabbaṃ. idampi — ‘yampicchaṃ na labhati tampi dukkhaṃ’”.


도반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괴로움인가? 도반들이여, 태어나는 것인 중생들에게 이런 바람이 일어난다. ‘오 참으로 우리에게 태어나는 것이 없기를! 참으로 우리에게 그 태어남이 오지 않기를!’이라고. 그러나 이것은 원함으로써 얻어지지 않는다.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이것도 괴로움이다. 도반들이여, 늙는 것인 중생들에게 이런 바람이 일어난다. ‘오 참으로 우리에게 늙는 것이 없기를! 참으로 우리에게 그 늙음이 오지 않기를!’이라고. 그러나 이것은 원함으로써 얻어지지 않는다.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이것도 괴로움이다. 도반들이여, 병드는 것인 중생들에게 이런 바람이 일어난다. ‘오 참으로 우리에게 병드는 것이 없기를! 참으로 우리에게 그 병이 오지 않기를!’이라고. 그러나 이것은 원함으로써 얻어지지 않는다.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이것도 괴로움이다. 도반들이여, 죽는 것인 중생들에게 이런 바람이 일어난다. ‘오 참으로 우리에게 죽는 것이 없기를! 참으로 우리에게 그 죽음이 오지 않기를!’이라고. 그러나 이것은 원함으로써 얻어지지 않는다.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이것도 괴로움이다. 도반들이여, 슬픔-비탄-고통-고뇌-절망하는 것인 중생들에게 이런 바람이 일어난다.‘오 참으로 우리에게 슬픔-비탄-고통-고뇌-절망하는 것이 없기를! 참으로 우리에게 그 슬픔-비탄-고통-고뇌-절망이 오지 않기를!’이라고. 그러나 이것은 원함으로써 얻어지지 않는다.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이것도 괴로움이다. 

 

“katame cāvuso, saṃkhittena pañcupādānakkhandhā dukkhā? seyyathidaṃ — rūpupādānakkhandho, vedanupādānakkhandho, saññupādānakkhandho, saṅkhārupādānakkhandho, viññāṇupādānakkhandho. ime vuccantāvuso — ‘saṃkhittena pañcupādānakkhandhā dukkhā’. idaṃ vuccatāvuso — ‘dukkhaṃ ariyasaccaṃ’”.


도반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간략히 말한 오취온고(五取蘊苦)인가? 이러하다. - 색취온(色取蘊), 수취온(受取蘊), 상취온(想取蘊), 행취온(行取蘊), 식취온(識取蘊). 도반들이여, 이것이 간략히 말한 오취온고(五取蘊苦)라고 불린다. 도반들이여, 이것이 고성제(苦聖諦)라고 불린다.


“katamañcāvuso, dukkhasamudayaṃ ariyasaccaṃ? yāyaṃ taṇhā ponobbhavikā nandīrāgasahagatā tatratatrābhinandinī, seyyathidaṃ — kāmataṇhā bhavataṇhā vibhavataṇhā, idaṃ vuccatāvuso — ‘dukkhasamudayaṃ ariyasaccaṃ’”.


도반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고집성제(苦集聖諦)인가? 그것은 「다시 존재로 이끌고 즐김과 탐(貪)이 함께하며 여기저기서 즐기는 자(者)」인 갈애이다. 즉 소유의 갈애[욕애(慾愛)], 존재의 갈애[유애(有愛)], 존재하지 않음의 갈애[무유애(無有愛)]이다. 도반들이여, 이것이 고집성제(苦集聖諦)라고 불린다.


“katamañcāvuso, dukkhanirodhaṃ ariyasaccaṃ? yo tassāyeva taṇhāya asesavirāganirodho cāgo paṭinissaggo mutti anālayo, idaṃ vuccatāvuso — ‘dukkhanirodhaṃ ariyasaccaṃ’”.


도반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고멸성제(苦滅聖諦)인가? 갈애가 남김없이 빛바래어 소멸함, 버림, 놓아버림, 벗어남, 집착의 경향이 없음이다. 도반들이여, 이를 일러 고멸성제(苦滅聖諦)라 한다.


“katamañcāvuso, dukkhanirodhagāminī paṭipadā ariyasaccaṃ?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sammāsaṅkappo, sammāvācā, sammākammanto, sammāājīvo, sammāvāyāmo, sammāsati, sammāsamādhi.


도반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고멸도성제(苦滅道聖諦)인가? 그것은 바로 여덟 가지 구성요소를 가진 성스러운 도[팔지성도(八支聖道)]이니, 즉 바른 견해[정견(正見)], 바른 사유[정사유(正思惟)], 바른 말[정어(正語)], 바른 행위[정업(正業)], 바른 생활[정명(正命)], 바른 노력[정정진(正精進)], 바른 사띠[정념(正念)], 바른 삼매[정정(正定)]이다.


“katamācāvuso, sammādiṭṭhi? yaṃ kho, āvuso, dukkhe ñāṇaṃ, dukkhasamudaye ñāṇaṃ, dukkhanirodhe ñāṇaṃ, dukkhanirodhagāminiyā paṭipadāya ñāṇaṃ, ayaṃ vuccatāvuso — ‘sammādiṭṭhi’”.


"도반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바른 견해인가? 도반들이여! 그것은 확실히 괴로움에 대한 앎과 괴로움의 일어남에 대한 앎과 괴로움의 소멸에 대한 앎과 괴로움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에 대한 앎이다. 도반들이여, 이것이 바른 견해라고 불린다.


“katamo cāvuso, sammāsaṅkappo? nekkhammasaṅkappo, abyāpādasaṅkappo, avihiṃsāsaṅkappo, ayaṃ vuccatāvuso — ‘sammāsaṅkappo’”.


도반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바른 사유인가? 출리(出離)의 사유와 분노 않음의 사유와 비폭력(非暴力)의 사유이다. 도반들이여, 이것이 바른 사유라고 불린다.


“katamā cāvuso, sammāvācā? musāvādā veramaṇī, pisuṇāya vācāya veramaṇī, pharusāya vācāya veramaṇī, samphappalāpā veramaṇī, ayaṃ vuccatāvuso — ‘sammāvācā’”.


도반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바른 말인가? 거짓되게 말하는 것을 멀리하고, 이간질하는 말을 멀리하고, 악담하는 말을 멀리하고, 잡담하는 것을 멀리하는 것이다. 도반들이여, 이것이 바른 말이라고 불린다.


“katamo cāvuso, sammākammantī? pāṇātipātā veramaṇī, adinnādānā veramaṇī, kāmesumicchācārā veramaṇī, ayaṃ vuccatāvuso — ‘sammākammanto’”.


도반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바른 행위인가? 살아있는 생명 해치는 것을 멀리하고, 주지 않는 물건 가지는 것을 멀리하고, 잘못된 성적인 행위를 멀리하는 것이다. 도반들이여, 이것이 바른 행위라고 불린다.


“katamo cāvuso, sammāājīvo? idhāvuso, ariyasāvako micchāājīvaṃ pahāya sammāājīvena jīvikaṃ kappeti, ayaṃ vuccatāvuso — ‘sammāājīvo’”.


도반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바른 생활인가? 도반들이여, 여기, 성스러운 제자들은 잘못된 생활을 버리고, 바른 생활로 생계를 유지한다. 도반들이여, 이것이 바른 생활이라고 불린다.


“katamo cāvuso, sammāvāyāmo? idhāvuso, bhikkhu anuppannānaṃ pāpakānaṃ akusalānaṃ dhammānaṃ anuppādāya chandaṃ janeti vāyamati vīriyaṃ ārabhati cittaṃ paggaṇhāti padahati, uppannānaṃ pāpakānaṃ akusalānaṃ dhammānaṃ pahānāya chandaṃ janeti vāyamati vīriyaṃ ārabhati cittaṃ paggaṇhāti padahati, anuppannānaṃ kusalānaṃ dhammānaṃ uppādāya chandaṃ janeti vāyamati vīriyaṃ ārabhati cittaṃ paggaṇhāti padahati, uppannānaṃ kusalānaṃ dhammānaṃ ṭhitiyā asammosāya bhiyyobhāvāya vepullāya bhāvanāya pāripūriyā chandaṃ janeti vāyamati vīriyaṃ ārabhati cittaṃ paggaṇhāti padahati, ayaṃ vuccatāvuso — ‘sammāvāyāmo’”.


도반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바른 노력인가? 도반들이여, 여기, 비구는 일어나지 않은 악한 불선법들을 일어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용의(用意)를 생기게 하고, 노력하고, 정진으로 힘쓰고, 마음을 다잡아 이끌려고 애를 쓴다. 일어난 악한 불선법들을 버리기 위하여, 용의를 생기게 하고, 노력하고, 정진으로 힘쓰고, 마음을 다잡아 이끌려고 애를 쓴다. 일어나지 않은 선법들을 일어나게 하기 위하여, 용의를 생기게 하고, 노력하고, 정진으로 힘쓰고, 마음을 다잡아 이끌려고 애를 쓴다. 일어난 선법들을 지속시키고, 혼란스럽지 않게 하고, 더욱 더 증장시키고, 충만하게 하고, 닦아서 완성하기 위하여 용의를 생기게 하고, 노력하고, 정진으로 힘쓰고, 마음을 다잡아 이끌려고 애를 쓴다. 도반들이여, 이것이 바른 노력이라고 불린다.

 

“katamā cāvuso, sammāsati? idhāvuso, bhikkhu kāye kāyānupassī viharat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vineyya loke abhijjhādomanassaṃ. vedanāsu vedanānupassī viharati ... pe ... citte cittānupassī viharati... dhammesu dhammānupassī viharat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vineyya loke abhijjhādomanassaṃ, ayaṃ vuccatāvuso — ‘sammāsati’”.


도반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바른 사띠인가? 도반들이여, 여기, 비구는 몸[신(身)]에서 몸을 이어 보면서 머문다. 알아차리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옳음의 유지-향상을 위해 노력하여 세상에 대한 간탐(慳貪)과 고뇌(苦惱)를 제어한다. 경험[수(受)]에서 경험을 이어 보면서 머문다. 알아차리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옳음의 유지-향상을 위해 노력하여 세상에 대한 간탐(慳貪)과 고뇌(苦惱)를 제어한다. 마음[심(心)]에서 마음을 이어 보면서 머문다. 알아차리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옳음의 유지-향상을 위해 노력하여 세상에 대한 간탐(慳貪)과 고뇌(苦惱)를 제어한다. 법(法)에서 법을 이어 보면서 머문다. 알아차리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옳음의 유지-향상을 위해 노력하여 세상에 대한 간탐(慳貪)과 고뇌(苦惱)를 제어한다. 도반들이여, 이것이 바른 사띠라고 불린다.


“katamo cāvuso, sammāsamādhi? idhāvuso, bhikkhu vivicceva kāmehi vivicca akusalehi dhammehi savitakkaṃ savicāraṃ vivekajaṃ pītisukhaṃ paṭham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ati, vitakkavicārānaṃ vūpasamā ajjhattaṃ sampasādanaṃ cetaso ekodibhāvaṃ avitakkaṃ avicāraṃ samādhijaṃ pītisukhaṃ dutiy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ati, pītiyā ca virāgā upekkhako ca viharati ... pe ... tatiyaṃ jhānaṃ... viharati, ayaṃ vuccatāvuso — ‘sammāsamādhi’. idaṃ vuccatāvuso — ‘dukkhanirodhagāminī paṭipadā ariyasaccaṃ’”.


도반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바른 삼매인가? 도반들이여, 여기 비구는 소유적 사유들로부터 벗어나고, 불선법(不善法)들로부터 벗어나서, 위딱까가 있고 위짜라가 있고 떨쳐버림에서 생긴 기쁨과 즐거움으로 초선(初禪)을 성취하여 머문다. 위딱까와 위짜라의 가라앉음으로 인해, 안으로 평온함과 마음의 집중된 상태가 되어, 위딱까도 없고 위짜라도 없고 삼매에서 생긴 기쁨과 즐거움으로 제이선(第二禪)을 성취하여 머문다. 기쁨의 빛바램으로부터 평정하게 머물고, 사띠-삼빠자나 하면서 몸으로 즐거움을 경험하니, 성인들이 말하는 “평정에서 사띠 하면서 즐거움에 머문다[사념락주(捨念樂住)].”는 제삼선(第三禪)을 성취하여 머문다. 즐거움의 버림과 괴로움의 버림으로부터, 이미 만족과 불만들의 사라짐으로부터 괴로움도 없고 즐거움도 없는 평정과 청정한 사띠[사념청정(捨念淸淨)]의 제사선(第四禪)을 성취하여 머문다. 도반들이여, 이것이 바른 삼매라고 불린다. 도반들이여, 이것이 고멸도성제(苦滅道聖諦)라고 불린다.

 

“tathāgatenāvuso, arahatā sammāsambuddhena bārāṇasiyaṃ isipatane migadāye anuttaraṃ dhammacakkaṃ pavattitaṃ appaṭivattiyaṃ samaṇena vā brāhmaṇena vā devena vā mārena vā brahmunā vā kenaci vā lokasmiṃ, yadidaṃ — imesaṃ catunnaṃ ariyasaccānaṃ ācikkhanā desanā paññāpanā paṭṭhapanā vivaraṇā vibhajanā uttānīkamman”ti.


도반들이여, 바라나시의 이시빠따나에 있는 사슴공원에서 여래-아라한-정등각에 의해 사문이나 바라문이나 신이나 마라나 범천이나 세상에서 누구도 되돌릴 수 없는 위없는 법의 바퀴가 구르기 시작했는데, 그것은 이러한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사성제(四聖諦)]를 공표하고, 전달하고, 선언하고, 시작하고, 드러내고, 분석하고, 해설한 것이다.”라고.


idamavoca āyasmā sāriputto. attamanā te bhikkhū āyasmato sāriputtassa bhāsitaṃ abhinandunti.


사리뿟따 존자는 이와 같이 설했다. 그 비구들은 아주 기뻐서 사리뿟따 존자의 말씀을 즐거워하였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