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교리공부 > 팔정도

팔정도

M44와 도론(徒論)[nettippakaraṇa]의 비교 ㅡ 계(界)-정(定)-혜(慧)

0 678 2017.08.05 23:39

M44와 도론(徒論)[nettippakaraṇa]의 비교 ㅡ 계(界)-정(定)-혜(慧)


● cūḷavedallasuttaṃ (MN 44)[교리문답의 작은 경]

“katamo panāyye, ariyo aṭṭhaṅgiko maggo”ti?

“그러면 스님[담마딘나 비구니], 무엇이 여덟 요소로 구성된 성스러운 도(道)입니까?”

“ayameva kho, āvuso visākh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sammāsaṅkappo sammāvācā sammākammanto sammāājīvo sammāvāyāmo sammāsati sammāsamādhī”ti. “ariyo panāyye, aṭṭhaṅgiko maggo saṅkhato udāhu asaṅkhato”ti?

“도반 위사카여, 이것이 여덟 요소로 구성된 성스러운 도(道)이니, 정견(正見), 정사유(正思惟), 정어(正語), 정업(正業), 정명(正命), 정정진(正精進), 정념(正念), 정정(正定)입니다.”

“스님, 그러면 여덟 요소로 구성된 성스러운 도(道)는 유위(有爲)입니까 아니면 무위(無爲)입니까?”

“ariyo kho, āvuso visākha, aṭṭhaṅgiko maggo saṅkhato”ti.

“도반 위사카여, 여덟 요소로 구성된 성스러운 도(道)는 유위(有爲)입니다.”

“ariyena nu kho, ayye, aṭṭhaṅgikena maggena tayo khandhā saṅgahitā udāhu tīhi khandhehi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saṅgahito”ti?

“스님, 여덟 요소로 구성된 성스러운 도(道)에 삼온(三蘊)에 포함됩니까 아니면 삼온(三蘊)에 여덟 요소로 구성된 성스러운 도(道)가 포함됩니까?”

“na kho, āvuso visākha, ariyena aṭṭhaṅgikena maggena tayo khandhā saṅgahitā; tīhi ca kho, āvuso visākha, khandhehi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saṅgahito. yā cāvuso visākha, sammāvācā yo ca sammākammanto yo ca sammāājīvo ime dhammā sīlakkhandhe saṅgahitā. yo ca sammāvāyāmo yā ca sammāsati yo ca sammāsamādhi ime dhammā samādhikkhandhe saṅgahitā. yā ca sammādiṭṭhi yo ca sammāsaṅkappo, ime dhammā paññākkhandhe saṅgahitā”ti.

“도반 위사카여, 여덟 요소로 구성된 성스러운 도(道)에 삼온(三蘊)이 포함되는 것이 아니고, 삼온(三蘊)에 여덟 요소로 구성된 성스러운 도(道)가 포함됩니다. 도반 위사카여, 정어(正語)와 정업(正業)과 정명(正命)이라는 이 법들은 계온(戒蘊)에 포함됩니다. 정정진(正精進)과 정념(正念)과 정정(正定)이라는 이 법들은 정온(定蘊)에 포함됩니다. 정견(正見)과 정사유(正思惟)라는 이 법들은 혜온(慧蘊)에 포함됩니다.”

“katamo panāyye, samādhi, katame dhammā samādhinimittā, katame dhammā samādhiparikkhārā, katamā samādhibhāvanā”ti?

“그러면 스님, 무엇이 삼매고, 어떤 법들이 삼매의 상(相)이고, 어떤 법들이 삼매의 필수품이고, 무엇이 삼매수행(三昧修行)입니까?”

“yā kho, āvuso visākha, cittassa ekaggatā ayaṃ samādhi; cattāro satipaṭṭhānā samādhinimittā; cattāro sammappadhānā samādhiparikkhārā. yā tesaṃyeva dhammānaṃ āsevanā bhāvanā bahulīkammaṃ, ayaṃ ettha samādhibhāvanā”ti. 

“도반 위사카여, 심일경성(心一境性)이 삼매고, 사념처(四念處)가 삼매의 상(相)이고, 사정근(四正勤)이 삼매의 필수품이고, 여기서 그 법들의 실천과 수행과 많이 행함이 삼매수행입니다.”

● Khuddaka Nikāya, nettippakaraṇapāḷi, 4. paṭiniddesavāro, 2. vicayahārasampāto[도론(道論)]

tattha suññatavimokkhamukhaṃ paññākkhandho, animittavimokkhamukhaṃ samādhikkhandho, appaṇihitavimokkhamukhaṃ sīlakkhandho. so tīṇi vimokkhamukhāni bhāvayanto tayo khandhe bhāvayati, tayo khandhe bhāvayanto ariyaṃ aṭṭhaṅgikaṃ maggaṃ bhāvayati. tattha yā ca sammāvācā yo ca sammākammanto yo ca sammāājīvo, ayaṃ sīlakkhandho, yo ca sammāvāyāmo yā ca sammāsati yo ca sammāsamādhi, ayaṃ samādhikkhandho, yā ca sammādiṭṭhi yo ca sammāsaṅkappo, ayaṃ paññākkhandho.

거기서 공해탈(空解脫)의 입구가 혜온(慧蘊)이고, 무상해탈(無相解脫)의 입구가 정온(定蘊)이고, 무원해탈(無願解脫)의 입구가 계온(戒蘊)이다. 그 세 가지 해탈(解脫)의 입구를 수행할 때 삼온(三蘊)에 대해 닦는다. 삼온(三蘊)에 대해 닦을 때 여덟 요소로 구성된 성스러운 도(道)를 닦는다. 거기서 정어(正語)와 정업(正業)과 정명(正命)이라는 이것이 계온(戒蘊)이다. 정정진(正精進)과 정념(正念)과 정정(正定)이라는 이것이 정온(定蘊)이다. 정견(正見)과 정사유(正思惟)라는 이것이 혜온(慧蘊)이다.

tattha sīlakkhandho ca samādhikkhandho ca samatho, paññākkhandho vipassanā. yo samathavipassanaṃ bhāveti, tassa dve bhavaṅgāni bhāvanaṃ gacchanti kāyo cittañca, bhavanirodhagāminī paṭipadā dve padāni sīlaṃ samādhi ca. so hoti bhikkhu bhāvitakāyo bhāvitasīlo bhāvitacitto bhāvitapañño. kāye bhāviyamāne dve dhammā bhāvanaṃ gacchanti sammākammanto sammāvāyāmo ca, sīle bhāviyamāne dve dhammā bhāvanaṃ gacchanti sammāvācā sammāājīvo ca, citte bhāviyamāne dve dhammā bhāvanaṃ gacchanti sammāsati sammāsamādhi ca, paññāya bhāviyamānāya dve dhammā bhāvanaṃ gacchanti sammādiṭṭhi sammāsaṅkappo ca.

거기서 계온(戒蘊)과 정온(定蘊)이 사마타이고, 혜온(慧蘊)이 위빳사나이다. 사마타-위빳사나를 닦는 그의 두 가지 존재의 구성요소의 닦음이 있으니 신(身)과 심(心)이다. 존재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은 두 가지이니 계(戒)와 삼매이다. 그 비구는 신(身)을 닦고 계(戒)를 닦고 심(心)을 닦고 혜(慧)를 닦는다. 신(身)의 수행에서는 정업(正業)과 정정진(正精進)의 두 가지 법을 닦고, 계(戒)의 수행에서는 정어(正語)와 정명(正命)의 두 가지 법을 닦고, 심(心)의 수행에서는 정념(正念)과 정정(正定)의 두 가지 법을 닦고, 혜(慧)의 수행에서는 정견(正見)과 정사유(正思惟)의 두 가지 법을 닦는다.

● subhasuttaṃ(DN 10)[수바 경]

“bhavañhi ānando tassa bhoto gotamassa dīgharattaṃ upaṭṭhāko santikāvacaro samīpacārī. bhavametaṃ ānando jāneyya, yesaṃ so bhavaṃ gotamo dhammānaṃ vaṇṇavādī ahosi, yattha ca imaṃ janataṃ samādapesi nivesesi patiṭṭhāpesi. katamesānaṃ kho, bho ānanda, dhammānaṃ so bhavaṃ gotamo vaṇṇavādī ahosi; kattha ca imaṃ janataṃ samādapesi nivesesi patiṭṭhāpesī”ti?

“아난다 존자께서는 오랫동안 고따마 존자의 시자이었으며 항상 임석해 있었으며 항상 곁에 모시고 사셨습니다. 그러므로 아난다 존자께서는 이러한 것을 잘 아실 것입니다. 즉 그분 세존께서는 법들을 칭송하여 말씀하셨으며 그 안에서 사람들을 격려하고 분발하게 하고 기쁘게 하셨습니다. 아난다 존자시여, 그러면 그분 고따마 존자께서 칭송하여 말씀하셨으며 그 안에서 사람들을 격려하고 분발하게 하고 기쁘게 하신 그 법들은 무엇입니까?”

“tiṇṇaṃ kho, māṇava, khandhānaṃ so bhagavā vaṇṇavādī ahosi; ettha ca imaṃ janataṃ samādapesi nivesesi patiṭṭhāpesi. katamesaṃ tiṇṇaṃ? ariyassa sīlakkhandhassa, ariyassa samādhikkhandhassa, ariyassa paññākkhandhassa. imesaṃ kho, māṇava, tiṇṇaṃ khandhānaṃ so bhagavā vaṇṇavādī ahosi; ettha ca imaṃ janataṃ samādapesi nivesesi patiṭṭhāpesī”ti.

“바라문 학도여, 그분 세존께서는 세 가지 무더기[삼온(三蘊)]을 칭송하여 말씀하셨으며 그 안에서 사람들을 격려하고 분발하게 하고 기쁘게 하셨다. 그러면 무엇이 셋인가? 성스러운 계온(戒蘊), 성스러운 정온(定蘊), 성스러운 혜온(慧蘊)이다. 바라문 학도여, 그분 세존께서는 이러한 삼온(三蘊)을 칭송하여 말씀하셨으며 그 안에서 사람들을 격려하고 분발하게 하고 기쁘게 하셨다.”

⇒ ariyassa sīlakkhandhassa, ariyassa samādhikkhandhassa, ariyassa paññākkhandhassa를 사문과경(沙門果經)의 수행쳬계에 의해 설함

⇒ 그래서 팔정도(八正道)가 삼온(三蘊)에 속하는 것이지 삼온(三蘊)이 팔정도(八正道)에 속하는 것이 아님.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