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교리공부 > 팔정도

팔정도

mahācattārīsakasuttaṃ (MN 117)[커다란 마흔의 경]

mahācattārīsakasuttaṃ (MN 117)[커다란 마흔의 경]


evaṃ me sutaṃ — ekaṃ samayaṃ bhagavā sāvatthiyaṃ viharati jetavane anāthapiṇḍikassa ārāme. tatra kho bhagavā bhikkhū āmantesi — “bhikkhavo”ti. “bhadante”ti te bhikkhū bhagavato paccassosuṃ. bhagavā etadavoca — “ariyaṃ vo, bhikkhave, sammāsamādhiṃ desessāmi saupanisaṃ saparikkhāraṃ. taṃ suṇātha, sādhukaṃ manasi karotha; bhāsissāmī”ti. “evaṃ, bhante”ti kho te bhikkhū bhagavato paccassosuṃ. bhagavā etadavoca —

이렇게 나에게 들려졌다. ㅡ 한때 세존께서는 사왓티에서 제따와나의 아나타삔디까 사원에 머무셨다. 거기서 세존께서는 비구들을 부르셨다. ㅡ “비구들이여.”라고. “대덕이시여.”라고 그 비구들은 세존께 대답했다.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ㅡ “비구들이여, 그대들에게 기반을 가지고 필수품을 갖춘 성스러운 바른 삼매를 설하겠다. 그것을 듣고 잘 사고하라. 나는 설할 것이다.”라고. “알겠습니다, 대덕이시여.”라고 그 비구들은 세존께 대답했다.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ㅡ

“katamo ca, bhikkhave, ariyo sammāsamādhi saupaniso saparikkhāro?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sammāsaṅkappo, sammāvācā, sammākammanto, sammāājīvo, sammāvāyāmo, sammāsati; yā kho, bhikkhave, imehi sattahaṅgehi cittassa ekaggatā parikkhatā — ayaṃ vuccati, bhikkhave, ariyo sammāsamādhi saupaniso itipi, saparikkhāro itipi. tatra, bhikkhave, sammādiṭṭhi pubbaṅgamā hoti. kathañca, bhikkhave, sammādiṭṭhi pubbaṅgamā hoti? micchādiṭṭhiṃ ‘micchādiṭṭhī’ti pajānāti, sammādiṭṭhiṃ ‘sammādiṭṭhī’ti pajānāti — sāssa hoti sammādiṭṭhi.

“그러면 무엇이 기반을 가지고 필수품을 갖춘 성스러운 바른 삼매[정정(正定)]인가? 정견(正見), 정사유(正思惟), 정어(正語), 정업(正業), 정명(正命), 정정진(正精進), 정념(正念)이라는 이런 일곱 가지 요소와 함께한 심일경성(心一境性)이 갖추어진 것 ㅡ 비구들이여, 이것이 기반을 가졌다고도 필수품을 갖추었다고도 하는 성스러운 바른 삼매이다. 비구들이여, 거기서 바른 견해[정견(正見)]이 앞서는 것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떻게 바른 견해가 앞서는 것인가? 삿된 견해를 삿된 견해라고 분명히 알고, 바른 견해를 바른 견해라고 분명히 안다. ㅡ 이것이 바른 견해이다.

“katamā ca, bhikkhave, micchādiṭṭhi? ‘natthi dinnaṃ, natthi yiṭṭhaṃ, natthi hutaṃ, natthi sukatadukkaṭānaṃ kammānaṃ phalaṃ vipāko, natthi ayaṃ loko, natthi paro loko, natthi mātā, natthi pitā, natthi sattā opapātikā, natthi loke samaṇabrāhmaṇā sammaggatā sammāpaṭipannā ye imañca lokaṃ parañca lokaṃ sayaṃ abhiññā sacchikatvā pavedentī’ti — ayaṃ, bhikkhave, micchādiṭṭhi.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삿된 견해인가? '①보시(報施)도 없고 ②공물도 없고 제물도 없다. ③선행(善行)과 악행(惡行)의 업(業)들에 대한 과(果)도 없고 보(報)도 없다. ④이 세상도 없고 저 세상도 없다. ⑤어머니도 없고 아버지도 없다. ⑥화생(化生)하는 중생도 없고 ⑦이 세상과 저 세상을 스스로 수승한 지혜로 실현하여 선언하는, 바른 완성과 바른 실천을 갖춘 사문·바라문들도 이 세상에는 없다.'라는 ㅡ 비구들이여, 이것이 삿된 견해이다.

“katamā ca, bhikkhave, sammādiṭṭhi? sammādiṭṭhiṃpahaṃ, bhikkhave, dvāyaṃ vadāmi — atthi, bhikkhave, sammādiṭṭhi sāsavā puññabhāgiyā upadhivepakkā; atthi, bhikkhave, sammādiṭṭhi ariyā anāsavā lokuttarā maggaṅgā. katamā ca, bhikkhave, sammādiṭṭhi sāsavā puññabhāgiyā upadhivepakkā? ‘atthi dinnaṃ, atthi yiṭṭhaṃ, atthi hutaṃ, atthi sukatadukkaṭānaṃ kammānaṃ phalaṃ vipāko, atthi ayaṃ loko, atthi paro loko, atthi mātā, atthi pitā, atthi sattā opapātikā, atthi loke samaṇabrāhmaṇā sammaggatā sammāpaṭipannā ye imañca lokaṃ parañca lokaṃ sayaṃ abhiññā sacchikatvā pavedentī’ti — ayaṃ, bhikkhave, sammādiṭṭhi sāsavā puññabhāgiyā upadhivepakkā.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바른 견해인가? 비구들이여, 바른 견해는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나는 말한다. ㅡ 비구들이여, 번뇌와 함께하고 공덕에 연결되고 몸과 생명에 대한 애착을 익게 하는 바른 견해가 있다. 비구들이여, 성스럽고 번뇌의 영향을 받지 않고 세상을 넘어섰고 길의 요소인 바른 견해가 있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번뇌와 함께하고 공덕에 연결되고 몸과 생명에 대한 애착을 익게 하는 바른 견해인가? '①보시(報施)도 있고 ②공물도 있고 제물도 있다. ③선행(善行)과 악행(惡行)의 업(業)들에 대한 과(果)도 있고 보(報)도 있다. ④이 세상도 있고 저 세상도 있다. ⑤어머니도 있고 아버지도 있다. ⑥화생(化生)하는 중생도 있고 ⑦이 세상과 저 세상을 스스로 수승한 지혜로 실현하여 선언하는, 바른 완성과 바른 실천을 갖춘 사문·바라문들도 이 세상에는 있다.'라는 ㅡ 비구들이여, 이것이 번뇌와 함께하고 공덕에 연결되고 몸과 생명에 대한 애착을 익게 하는 바른 견해이다.

“katamā ca, bhikkhave, sammādiṭṭhi ariyā anāsavā lokuttarā maggaṅgā? yā kho, bhikkhave, ariyacittassa anāsavacittassa ariyamaggasamaṅgino ariyamaggaṃ bhāvayato paññā paññindriyaṃ paññābalaṃ dhammavicayasambojjhaṅgo sammādiṭṭhi maggaṅgaṃ — ayaṃ vuccati, bhikkhave, sammādiṭṭhi ariyā anāsavā lokuttarā maggaṅgā. so micchādiṭṭhiyā pahānāya vāyamati, sammādiṭṭhiyā, upasampadāya, svāssa hoti sammāvāyāmo. so sato micchādiṭṭhiṃ pajahati, sato sammādiṭṭhiṃ upasampajja viharati, sāssa hoti sammāsati. itiyime tayo dhammā sammādiṭṭhiṃ anuparidhāvanti anuparivattanti,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sammāvāyāmo, sammāsati.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성스럽고 번뇌의 영향을 받지 않고 세상을 넘어섰고 길의 요소인 바른 견해인가?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심(心), 번뇌 없는 심(心), 성스러운 길을 구족한 자가 성스러운 길을 닦았기 때문에 생긴 지혜, 지혜의 기능, 지혜의 힘, 택법각지(擇法覺支), 바른 견해, 길의 요소 ㅡ 비구들이여, 이것이 성스럽고 번뇌의 영향을 받지 않고 세상을 넘어섰고 길의 요소인 바른 견해라고 불린다. 그는 삿된 견해를 버리고 바른 견해를 구족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것이 바른 노력이다. 그는 사띠 하면서 삿된 견해를 버리고, 사띠 하면서 바른 견해를 구족하여 머문다. 이것이 바른 사띠이다. 이러한 세 가지 법이 바른 견해를 호위하고 지켜나가니 곧 바른 견해-바른 노력-바른 사띠이다. 

“tatra, bhikkhave, sammādiṭṭhi pubbaṅgamā hoti. kathañca, bhikkhave, sammādiṭṭhi pubbaṅgamā hoti? micchāsaṅkappaṃ ‘micchāsaṅkappo’ti pajānāti, sammāsaṅkappaṃ ‘sammāsaṅkappo’ti pajānāti, sāssa hoti sammādiṭṭhi.

비구들이여, 거기서 바른 견해가 앞서는 것이다. 비구들이여, 어떻게 바른 견해가 앞서는가? 삿된 사유를 삿된 사유라고 분명히 알고, 바른 사유를 바른 사유라고 분명히 안다. 이것이 바른 견해이다.

“katamo ca, bhikkhave, micchāsaṅkappo? kāmasaṅkappo, byāpādasaṅkappo, vihiṃsāsaṅkappo — ayaṃ, bhikkhave, micchāsaṅkappo.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삿된 사유인가? 소유의 사유, 분노의 사유, 폭력의 사유 ㅡ 비구들이여, 이것이 삿된 사유이다.

“katamo ca, bhikkhave, sammāsaṅkappo? sammāsaṅkappaṃpahaṃ, bhikkhave, dvāyaṃ vadāmi — atthi, bhikkhave, sammāsaṅkappo sāsavo puññabhāgiyo upadhivepakko; atthi, bhikkhave, sammāsaṅkappo ariyo anāsavo lokuttaro maggaṅgo. katamo ca, bhikkhave, sammāsaṅkappo sāsavo puññabhāgiyo upadhivepakko? nekkhammasaṅkappo, abyāpādasaṅkappo, avihiṃsāsaṅkappo — ‘ayaṃ, bhikkhave, sammāsaṅkappo sāsavo puññabhāgiyo upadhivepakko’”.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바른 사유인가? 비구들이여, 바른 사유는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나는 말한다. ㅡ 비구들이여, 번뇌와 함께하고 공덕에 연결되고 몸과 생명에 대한 애착을 익게 하는 바른 사유가 있다. 비구들이여, 성스럽고 번뇌의 영향을 받지 않고 세상을 넘어섰고 길의 요소인 바른 사유가 있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번뇌와 함께하고 공덕에 연결되고 몸과 생명에 대한 애착을 익게 하는 바른 사유인가? 출리(出離)의 사유, 분노 않음의 사유, 비폭력의 사유 ㅡ 비구들이여, 이것이 번뇌와 함께하고 공덕에 연결되고 몸과 생명에 대한 애착을 익게 하는 바른 사유이다.
 “katamo ca, bhikkhave, sammāsaṅkappo ariyo anāsavo lokuttaro maggaṅgo? yo kho, bhikkhave, ariyacittassa anāsavacittassa ariyamaggasamaṅgino ariyamaggaṃ bhāvayato takko vitakko saṅkappo appanā byappanā cetaso abhiniropanā vacīsaṅkhāro — ayaṃ, bhikkhave, sammāsaṅkappo ariyo anāsavo lokuttaro maggaṅgo. so micchāsaṅkappassa pahānāya vāyamati, sammāsaṅkappassa upasampadāya, svāssa hoti sammāvāyāmo. so sato micchāsaṅkappaṃ pajahati, sato sammāsaṅkappaṃ upasampajja viharati; sāssa hoti sammāsati. itiyime tayo dhammā sammāsaṅkappaṃ anuparidhāvanti anuparivattanti,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sammāvāyāmo, sammāsati.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성스럽고 번뇌의 영향을 받지 않고 세상을 넘어섰고 길의 요소인 바른 사유인가?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심(心), 번뇌 없는 심(心), 성스러운 길을 구족한 자가 성스러운 길을 닦았기 때문에 생긴 딱까, 위딱까, 사유, 마음의 고정, 마음의 전념, 마음의 적용, 말의 형성작용 ㅡ 비구들이여, 이것이 성스럽고 번뇌의 영향을 받지 않고 세상을 넘어섰고 길의 요소인 바른 사유라고 불린다. 그는 삿된 사유를 버리고 바른 사유를 구족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것이 바른 노력이다. 그는 사띠 하면서 삿된 사유를 버리고, 사띠 하면서 바른 사유를 구족하여 머문다. 이것이 바른 사띠이다. 이러한 세 가지 법이 바른 사유를 호위하고 지켜나가니 곧 바른 견해-바른 노력-바른 사띠이다. 

“tatra, bhikkhave, sammādiṭṭhi pubbaṅgamā hoti. kathañca, bhikkhave, sammādiṭṭhi pubbaṅgamā hoti? micchāvācaṃ ‘micchāvācā’ti pajānāti, sammāvācaṃ ‘sammāvācā’ti pajānāti; sāssa hoti sammādiṭṭhi. katamā ca, bhikkhave, micchāvācā? musāvādo, pisuṇā vācā, pharusā vācā, samphappalāpo — ayaṃ, bhikkhave, micchāvācā. katamā ca, bhikkhave, sammāvācā? sammāvācaṃpahaṃ, bhikkhave, dvāyaṃ vadāmi — atthi, bhikkhave, sammāvācā sāsavā puññabhāgiyā upadhivepakkā; atthi, bhikkhave, sammāvācā ariyā anāsavā lokuttarā maggaṅgā. katamā ca, bhikkhave, sammāvācā sāsavā puññabhāgiyā upadhivepakkā? musāvādā veramaṇī, pisuṇāya vācāya veramaṇī, pharusāya vācāya veramaṇī, samphappalāpā veramaṇī — ayaṃ, bhikkhave, sammāvācā sāsavā puññabhāgiyā upadhivepakkā. katamā ca, bhikkhave, sammāvācā ariyā anāsavā lokuttarā maggaṅgā? yā kho, bhikkhave, ariyacittassa anāsavacittassa ariyamaggasamaṅgino ariyamaggaṃ bhāvayato catūhi vacīduccaritehi ārati virati paṭivirati veramaṇī — ayaṃ, bhikkhave, sammāvācā ariyā anāsavā lokuttarā maggaṅgā. so micchāvācāya pahānāya vāyamati, sammāvācāya upasampadāya; svāssa hoti sammāvāyāmo. so sato micchāvācaṃ pajahati, sato sammāvācaṃ upasampajja viharati; sāssa hoti sammāsati. itiyime tayo dhammā sammāvācaṃ anuparidhāvanti anuparivattanti,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sammāvāyāmo, sammāsati.

비구들이여, 거기서 바른 견해가 앞서는 것이다. 비구들이여, 어떻게 바른 견해가 앞서는가? 삿된 말을 삿된 말이라고 분명히 알고, 바른 말을 바른 말이라고 분명히 안다. 이것이 바른 견해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삿된 말인가? 망어(妄語), 양설(兩舌), 악구(惡口), 기어(綺語) ㅡ 비구들이여, 이것이 삿된 말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바른 말인가? 비구들이여, 바른 말은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나는 말한다. ㅡ 비구들이여, 번뇌와 함께하고 공덕에 연결되고 몸과 생명에 대한 애착을 익게 하는 바른 말이 있다. 비구들이여, 성스럽고 번뇌의 영향을 받지 않고 세상을 넘어섰고 길의 요소인 바른 말이 있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번뇌와 함께하고 공덕에 연결되고 몸과 생명에 대한 애착을 익게 하는 바른 말인가? 망어(妄語)를 삼감, 양설(兩舌)을 삼감, 악구(惡口)를 삼감, 기어(綺語)를 삼감 ㅡ 비구들이여, 이것이 번뇌와 함께하고 공덕에 연결되고 몸과 생명에 대한 애착을 익게 하는 바른 말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성스럽고 번뇌의 영향을 받지 않고 세상을 넘어섰고 길의 요소인 바른 말인가?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심(心), 번뇌 없는 심(心), 성스러운 길을 구족한 자가 성스러운 길을 닦았기 때문에 생긴 말로 짓는 네 가지 잘못된 행위로부터의 떠남, 제어, 자제, 삼감 ㅡ 비구들이여, 이것이 성스럽고 번뇌의 영향을 받지 않고 세상을 넘어섰고 길의 요소인 바른 말이라고 불린다. 그는 삿된 말을 버리고 바른 말을 구족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것이 바른 노력이다. 그는 사띠 하면서 삿된 말을 버리고, 사띠 하면서 바른 말을 구족하여 머문다. 이것이 바른 사띠이다. 이러한 세 가지 법이 바른 말을 호위하고 지켜나가니 곧 바른 견해-바른 노력-바른 사띠이다. 

“tatra, bhikkhave, sammādiṭṭhi pubbaṅgamā hoti. kathañca, bhikkhave, sammādiṭṭhi pubbaṅgamā hoti? micchākammantaṃ ‘micchākammanto’ti pajānāti, sammākammantaṃ ‘sammākammanto’ti pajānāti; sāssa hoti sammādiṭṭhi. katamo ca, bhikkhave, micchākammanto? pāṇātipāto, adinnādānaṃ, kāmesumicchācāro — ayaṃ, bhikkhave, micchākammanto. katamo ca, bhikkhave, sammākammanto? sammākammantaṃpahaṃ, bhikkhave, dvāyaṃ vadāmi — atthi, bhikkhave, sammākammanto sāsavo puññabhāgiyo upadhivepakko; atthi, bhikkhave, sammākammanto ariyo anāsavo lokuttaro maggaṅgo. katamo ca, bhikkhave, sammākammanto sāsavo puññabhāgiyo upadhivepakko? pāṇātipātā veramaṇī, adinnādānā veramaṇī, kāmesumicchācārā veramaṇī — ayaṃ, bhikkhave, sammākammanto sāsavo puññabhāgiyo upadhivepakko. katamo ca, bhikkhave, sammākammanto ariyo anāsavo lokuttaro maggaṅgo? yā kho, bhikkhave, ariyacittassa anāsavacittassa ariyamaggasamaṅgino ariyamaggaṃ bhāvayato tīhi kāyaduccaritehi ārati virati paṭivirati veramaṇī — ayaṃ, bhikkhave, sammākammanto ariyo anāsavo lokuttaro maggaṅgo. so micchākammantassa pahānāya vāyamati, sammākammantassa upasampadāya; svāssa hoti sammāvāyāmo. so sato micchākammantaṃ pajahati, sato sammākammantaṃ upasampajja viharati; sāssa hoti sammāsati. itiyime tayo dhammā sammākammantaṃ anuparidhāvanti anuparivattanti,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sammāvāyāmo, sammāsati.

비구들이여, 거기서 바른 견해가 앞서는 것이다. 비구들이여, 어떻게 바른 견해가 앞서는가? 삿된 행위를 삿된 행위라고 분명히 알고, 바른 행위를 바른 행위라고 분명히 안다. 이것이 바른 견해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삿된 행위인가? 살생(殺生), 투도(偸盜), 사음(邪淫) ㅡ 비구들이여, 이것이 삿된 행위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바른 행위인가? 비구들이여, 바른 행위는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나는 말한다. ㅡ 비구들이여, 번뇌와 함께하고 공덕에 연결되고 몸과 생명에 대한 애착을 익게 하는 바른 행위가 있다. 비구들이여, 성스럽고 번뇌의 영향을 받지 않고 세상을 넘어섰고 길의 요소인 바른 행위가 있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번뇌와 함께하고 공덕에 연결되고 몸과 생명에 대한 애착을 익게 하는 바른 행위인가? 살생(殺生)을 삼감, 투도(偸盜)를 삼감, 사음(邪淫)을 삼감 ㅡ 비구들이여, 이것이 번뇌와 함께하고 공덕에 연결되고 몸과 생명에 대한 애착을 익게 하는 바른 행위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성스럽고 번뇌의 영향을 받지 않고 세상을 넘어섰고 길의 요소인 바른 행위인가?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심(心), 번뇌 없는 심(心), 성스러운 길을 구족한 자가 성스러운 길을 닦았기 때문에 생긴 몸으로 짓는 세 가지 잘못된 행위로부터의 떠남, 제어, 자제, 삼감 ㅡ 비구들이여, 이것이 성스럽고 번뇌의 영향을 받지 않고 세상을 넘어섰고 길의 요소인 바른 행위라고 불린다. 그는 삿된 행위를 버리고 바른 행위를 구족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것이 바른 노력이다. 그는 사띠 하면서 삿된 행위를 버리고, 사띠 하면서 바른 행위를 구족하여 머문다. 이것이 바른 사띠이다. 이러한 세 가지 법이 바른 행위를 호위하고 지켜나가니 곧 바른 견해-바른 노력-바른 사띠이다. 

“tatra, bhikkhave, sammādiṭṭhi pubbaṅgamā hoti. kathañca, bhikkhave, sammādiṭṭhi pubbaṅgamā hoti? micchāājīvaṃ ‘micchāājīvo’ti pajānāti, sammāājīvaṃ ‘sammāājīvo’ti pajānāti; sāssa hoti sammādiṭṭhi. katamo ca, bhikkhave, micchāājīvo? kuhanā, lapanā, nemittikatā, nippesikatā, lābhena lābhaṃ nijigīsanatā — ayaṃ, bhikkhave, micchāājīvo. katamo ca, bhikkhave, sammāājīvo? sammāājīvaṃpahaṃ, bhikkhave, dvāyaṃ vadāmi — atthi, bhikkhave, sammāājīvo sāsavo puññabhāgiyo upadhivepakko; atthi, bhikkhave, sammāājīvo ariyo anāsavo lokuttaro maggaṅgo. katamo ca, bhikkhave, sammāājīvo sāsavo puññabhāgiyo upadhivepakko? idha, bhikkhave, ariyasāvako micchāājīvaṃ pahāya sammāājīvena jīvikaṃ kappeti — ayaṃ, bhikkhave, sammāājīvo sāsavo puññabhāgiyo upadhivepakko. katamo ca, bhikkhave, sammāājīvo ariyo anāsavo lokuttaro maggaṅgo? yā kho, bhikkhave, ariyacittassa anāsavacittassa ariyamaggasamaṅgino ariyamaggaṃ bhāvayato micchāājīvā ārati virati paṭivirati veramaṇī — ayaṃ, bhikkhave, sammāājīvo ariyo anāsavo lokuttaro maggaṅgo. so micchāājīvassa pahānāya vāyamati, sammāājīvassa upasampadāya; svāssa hoti sammāvāyāmo. so sato micchāājīvaṃ pajahati, sato sammāājīvaṃ upasampajja viharati; sāssa hoti sammāsati. itiyime tayo dhammā sammāājīvaṃ anuparidhāvanti anuparivattanti,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sammāvāyāmo, sammāsati.

비구들이여, 거기서 바른 견해가 앞서는 것이다. 비구들이여, 어떻게 바른 견해가 앞서는가? 삿된 생활을 삿된 생활이라고 분명히 알고, 바른 생활을 바른 생활이라고 분명히 안다. 이것이 바른 견해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삿된 생활인가? 사기, 아첨, 예언, 요술, 이득 때문에 이득을 추구함 ㅡ 비구들이여, 이것이 삿된 생활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바른 생활인가? 비구들이여, 바른 생활은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나는 말한다. ㅡ 비구들이여, 번뇌와 함께하고 공덕에 연결되고 몸과 생명에 대한 애착을 익게 하는 바른 생활이 있다. 비구들이여, 성스럽고 번뇌의 영향을 받지 않고 세상을 넘어섰고 길의 요소인 바른 생활이 있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번뇌와 함께하고 공덕에 연결되고 몸과 생명에 대한 애착을 익게 하는 바른 생활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성스러운 제자들은 삿된 생활을 버리고 바른 생활로 생계를 유지한다. ㅡ 비구들이여, 이것이 번뇌와 함께하고 공덕에 연결되고 몸과 생명에 대한 애착을 익게 하는 바른 생활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성스럽고 번뇌의 영향을 받지 않고 세상을 넘어섰고 길의 요소인 바른 생활인가?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심(心), 번뇌 없는 심(心), 성스러운 길을 구족한 자가 성스러운 길을 닦았기 때문에 생긴 삿된 생활로부터의 떠남, 제어, 자제, 삼감 ㅡ 비구들이여, 이것이 성스럽고 번뇌의 영향을 받지 않고 세상을 넘어섰고 길의 요소인 바른 생활이라고 불린다. 그는 삿된 생활을 버리고 바른 생활을 구족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것이 바른 노력이다. 그는 사띠 하면서 삿된 생활을 버리고, 사띠 하면서 바른 생활을 구족하여 머문다. 이것이 바른 사띠이다. 이러한 세 가지 법이 바른 생활을 호위하고 지켜나가니 곧 바른 견해-바른 노력-바른 사띠이다. 

“tatra, bhikkhave, sammādiṭṭhi pubbaṅgamā hoti. kathañca, bhikkhave, sammādiṭṭhi pubbaṅgamā hoti? sammādiṭṭhissa, bhikkhave, sammāsaṅkappo pahoti, sammāsaṅkappassa sammāvācā pahoti, sammāvācassa sammākammanto pahoti, sammākammantassa sammāājīvo pahoti, sammāājīvassa sammāvāyāmo pahoti, sammāvāyāmassa sammāsati pahoti, sammāsatissa sammāsamādhi pahoti, sammāsamādhissa sammāñāṇaṃ pahoti, sammāñāṇassa sammāvimutti pahoti. iti kho, bhikkhave, aṭṭhaṅgasamannāgato sekkho, dasaṅgasamannāgato arahā hoti. (tatrapi sammāñāṇena aneke pāpakā akusalā dhammā vigatā bhāvanāpāripūriṃ gacchanti).

비구들이여, 거기서 바른 견해가 앞서는 것이다. 비구들이여, 어떻게 바른 견해가 앞서는가? 비구들이여, 바른 견해를 가진 자에게 바른 사유가 가능하다. 바른 사유를 가진 자에게 바른 말이 가능하다. 바른 말을 가진 자에게 바른 행위가 가능하다. 바른 행위를 가진 자에게 바른 생활이 가능하다. 바른 생활을 가진 자에게 바른 노력이 가능하다. 바른 노력을 가진 자에게 바른 사띠가 가능하다. 바른 사띠를 가진 자에게 바른 삼매가 가능하다. 바른 삼매를 가진 자에게 바른 앎이 가능하다. 바른 앎을 가진 자에게 바른 해탈이 가능하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여덟 요소를 갖춘 유학(有學)과 열 요소를 갖춘 아라한이 있다.(거기서도 바른 앎으로부터 다양한 악한 불선법(不善法)들을 제거하고 수행의 완성으로 나아간다)

“tatra, bhikkhave, sammādiṭṭhi pubbaṅgamā hoti. kathañca, bhikkhave, sammādiṭṭhi pubbaṅgamā hoti? sammādiṭṭhissa, bhikkhave, micchādiṭṭhi nijjiṇṇā hoti. ye ca micchādiṭṭhipaccayā aneke pāpakā akusalā dhammā sambhavanti te cassa nijjiṇṇā honti. sammādiṭṭhipaccayā aneke kusalā dhammā bhāvanāpāripūriṃ gacchanti. sammāsaṅkappassa, bhikkhave, micchāsaṅkappo nijjiṇṇo hoti ... pe ... sammāvācassa, bhikkhave, micchāvācā nijjiṇṇā hoti... sammākammantassa, bhikkhave, micchākammanto nijjiṇṇo hoti... sammāājīvassa, bhikkhave, micchāājīvo nijjiṇṇo hoti... sammāvāyāmassa, bhikkhave, micchāvāyāmo nijjiṇṇo hoti... sammāsatissa, bhikkhave, micchāsati nijjiṇṇā hoti... sammāsamādhissa, bhikkhave, micchāsamādhi nijjiṇṇo hoti... sammāñāṇassa, bhikkhave, micchāñāṇaṃ nijjiṇṇaṃ hoti... sammāvimuttassa, bhikkhave, micchāvimutti nijjiṇṇā hoti. ye ca micchāvimuttipaccayā aneke pāpakā akusalā dhammā sambhavanti te cassa nijjiṇṇā honti. sammāvimuttipaccayā ca aneke kusalā dhammā bhāvanāpāripūriṃ gacchanti.

비구들이여, 거기서 바른 견해가 앞서는 것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떻게 바른 견해가 앞서는가? 비구들이여, 바른 견해를 가진 자에게 삿된 견해가 극복된다. 그러면 삿된 견해를 조건으로 생겨나는 다양한 악한 불선법도 극복된다. 바른 견해를 조건으로 생겨나는 다양한 선법(善法)들은 수행의 완성으로 나아간다. 비구들이여, 바른 사유를 가진 자에게 삿된 사유가 극복된다. … 바른 말을 가진 자에게 삿된 말이 극복된다. … 바른 행위를 가진 자에게 삿된 행위가 극복된다. … 바른 생활을 가진 자에게 삿된 생활이 극복된다. … 바른 노력을 가진 자에게 삿된 노력이 극복된다. … 바른 사띠를 가진 자에게 삿된 사띠가 극복된다. … 바른 삼매를 가진 자에게 삿된 삼매가 극복된다. … 바른 앎을 가진 자에게 삿된 앎이 극복된다. … 바른 해탈을 가진 자에게 삿된 해탈이 극복된다. 그러면 삿된 해탈을 조건으로 생겨나는 다양한 악한 불선법도 극복된다. 바른 해탈을 조건으로 생겨나는 다양한 선법(善法)들은 수행의 완성으로 나아간다. 

“iti kho, bhikkhave, vīsati kusalapakkhā, vīsati akusalapakkhā — mahācattārīsako dhammapariyāyo pavattito appaṭivattiyo samaṇena vā brāhmaṇena vā devena vā mārena vā brahmunā vā kenaci vā lokasmiṃ.

비구들이여, 이러한 스무 가지 선(善)의 측면과 스무 가지 불선(不善)의 측면이 있다. 이 커다란 마흔의 법문이 굴려졌는데, 세상에서 사문, 바라문, 신, 마라, 범천 등 누구에 의해서도 멈춰질 수 없다.

“yo hi koci, bhikkhave, samaṇo vā brāhmaṇo vā imaṃ mahācattārīsakaṃ dhammapariyāyaṃ garahitabbaṃ paṭikkositabbaṃ maññeyya tassa diṭṭheva dhamme dasasahadhammikā vādānuvādā gārayhaṃ ṭhānaṃ āgacchanti — sammādiṭṭhiṃ ce bhavaṃ garahati, ye ca micchādiṭṭhī samaṇabrāhmaṇā te bhoto pujjā, te bhoto pāsaṃsā; sammāsaṅkappaṃ ce bhavaṃ garahati, ye ca micchāsaṅkappā samaṇabrāhmaṇā te bhoto pujjā, te bhoto pāsaṃsā; sammāvācaṃ ce bhavaṃ garahati ... pe ... sammākammantaṃ ce bhavaṃ garahati... sammāājīvaṃ ce bhavaṃ garahati... sammāvāyāmaṃ ce bhavaṃ garahati... sammāsatiṃ ce bhavaṃ garahati... sammāsamādhiṃ ce bhavaṃ garahati... sammāñāṇaṃ ce bhavaṃ garahati ... sammāvimuttiṃ ce bhavaṃ garahati, ye ca micchāvimuttī samaṇabrāhmaṇā te bhoto pujjā, te bhoto pāsaṃsā. yo koci, bhikkhave, samaṇo vā brāhmaṇo vā imaṃ mahācattārīsakaṃ dhammapariyāyaṃ garahitabbaṃ paṭikkositabbaṃ maññeyya tassa diṭṭheva dhamme ime dasasahadhammikā vādānuvādā gārayhaṃ ṭhānaṃ āgacchanti. yepi te, bhikkhave, ahesuṃ okkalā vassabhaññā VAR ahetuvādā akiriyavādā natthikavādā tepi mahācattārīsakaṃ dhammapariyāyaṃ na garahitabbaṃ napaṭikkositabbaṃ amaññiṃsu VAR. taṃ kissa hetu? nindābyārosaupārambhabhayā”ti.

비구들이여, 어떠한 사문이나 바라문이 이 커다란 마흔 가지 법문이 비난받아야 하고 거부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면, 그의 주장에 대하여 지금여기에서 그를 비난할 수 있는 열 가지 합리적인 추론을 제시할 수 있다. 그가 바른 견해를 비난하면, 그는 삿된 견해를 갖고 있는 사문이나 바라문들을 공경하고 칭찬하는 것이 된다. 그가 바른 사유를 비난하면, 그는 삿된 사유를 갖고 있는 사문이나 바라문들을 공경하고 칭찬하는 것이 된다. 그가 바른 말을 비난하면, 그는 삿된 말을 갖고 있는 사문이나 바라문들을 공경하고 칭찬하는 것이 된다. 그가 바른 행위를 비난하면, 그는 삿된 행위를 갖고 있는 사문이나 바라문들을 공경하고 칭찬하는 것이 된다. 그가 바른 생황을 비난하면, 그는 삿된 생활을 갖고 있는 사문이나 바라문들을 공경하고 칭찬하는 것이 된다. 그가 바른 노력을 비난하면, 그는 삿된 노력을 갖고 있는 사문이나 바라문들을 공경하고 칭찬하는 것이 된다. 그가 바른 사띠를 비난하면, 그는 삿된 사띠를 갖고 있는 사문이나 바라문들을 공경하고 칭찬하는 것이 된다. 그가 바른 삼매를 비난하면, 그는 삿된 삼매를 갖고 있는 사문이나 바라문들을 공경하고 칭찬하는 것이 된다. 그가 바른 앎을 비난하면, 그는 삿된 앎을 갖고 있는 사문이나 바라문들을 공경하고 칭찬하는 것이 된다. 그가 바른 해탈을 비난하면, 그는 삿된 해탈을 갖고 있는 사문이나 바라문들을 공경하고 칭찬하는 것이 된다. 비구들이여, 어떠한 사문이나 바라문이 이 커다란 마흔 가지 법문이 비난받아야 하고 거부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면, 그의 주장에 대하여 지금여기에서 그를 비난할 수 있는 열 가지 합리적인 추론을 제시할 수 있다. 비구들이여, 무인(無因)의 이론, 지음 없음의 이론, 허무주의의 이론을 주장하는 욱깔라의 왓사반냐도 이 커다란 마흔 가지 법문이 비난받아야 하고 거부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것은 무슨 까닭인가? 비난과 반격과 반증에 대한 두려움 때문이다.”

idamavoca bhagavā. attamanā te bhikkhū bhagavato bhāsitaṃ abhinandunti.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그 비구들은 아주 기뻐서 세존의 말씀을 즐거워하였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