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교리공부 > 가르침의 근본

가르침의 근본

난디야 경(S55:40)[nandiyasakkasuttaṃ]

0 372 2017.09.25 19:25

난디야 경(S55:40)[nandiyasakkasuttaṃ]

 

ekaṃ samayaṃ bhagavā sakkesu viharati kapilavatthusmiṃ nigrodhārāme. atha kho nandiyo sakko yena bhagavā tenupasaṅkami; upasaṅkamitvā bhagavantaṃ abhivādetvā ekamantaṃ nisīdi. ekamantaṃ nisinno kho nandiyo sakko bhagavantaṃ etadavoca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때 세존께서는 삭까에서 까삘라왓투의 니그로다 원림에 머무셨다. 그때 삭까 사람 난디야가 세존에게 다가 갔다. 가서는 세존께 절을 올리고 한 곁에 앉았다. 한 곁에 앉은 삭까 사람 난디야는 세존께 이렇게 여쭈었다.

 

“yasseva nu kho, bhante, ariyasāvakassa cattāri sotāpattiyaṅgāni sabbena sabbaṃ sabbathā sabbaṃ natthi sveva nu kho, bhante, ariyasāvako pamādavihārī”ti.

 

"대덕이시여, 성스러운 제자에게 네 가지 예류(預流)의 구성요소가 어떤 경우에도 모든 점에서 전혀 없다면 그 성스러운 제자는 방일(放逸)에 머무는 자입니까?"

 

“‘yassa kho, nandiya, cattāri sotāpattiyaṅgāni sabbena sabbaṃ sabbathā sabbaṃ natthi tamahaṃ bāhiro puthujjanapakkhe ṭhito’ti vadāmi.

 

"난디야여, 네 가지 예류(預流)의 구성요소가 어떤 경우에도 모든 점에서 전혀 없다면 그는 범부(凡夫)의 편에 서 있는 국외자(局外者)라고 나는 말한다."

 

api ca, nandiya, yathā ariyasāvako pamādavihārī ceva hoti, appamādavihārī ca taṃ suṇāhi, sādhukaṃ manasi karohi; bhāsissāmī”ti. “evaṃ, bhante”ti kho nandiyo sakko bhagavato paccassosi. bhagavā etadavoca

 

"난디야여, 그리고 성스러운 제자가 방일(放逸)에 머무는 자인 것과 불방일(不放逸)에 머무는 자인 것에 대해서 듣고 잘 사유하라. 나는 설할 것이다." "그렇게 하겠습니다, 대덕이시여."라고 삭까 사람 난디야는 세존께 대답했다.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kathañca, nandiya, ariyasāvako pamādavihārī hoti? idha nandiya, ariyasāvako buddh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hoti itipi so bhagavā ... pe ... satthā devamanussānaṃ buddho bhagavāti. so tena buddhe aveccappasādena santuṭṭho na uttari vāyamati divā pavivekāya, rattiṃ paṭisallānāya. tassa evaṃ pamattassa viharato pāmojjaṃ na hoti. pāmojje asati, pīti na hoti. pītiyā asati, passaddhi na hoti. passaddhiyā asati, dukkhaṃ viharati. dukkhino cittaṃ na samādhiyati. asamāhite citte dhammā na pātubhavanti. dhammānaṃ apātubhāvā pamādavihārī tveva saṅkhyaṃ gacchati.

 

"난디야여, 어떻게 성스러운 제자가 방일(放逸)에 머무는 자인가? 난디야여, 여기 성스러운 제자는 불()에 대해 '그러므로 그분 세존께서는 천인사(天人師)-()-세존이시다.'라고 아주 정확함을 지닌다. 그는 이러한 불()에 대한 아주 정확함으로 만족해버리고 더 이상 낮에는 멀리 여의고 밤에는 홀로 앉는 정진을 하지 않는다. 그가 이와 같이 방일하여 머물면 환희가 없다. 환희가 없으면 희열이 없고, 희열이 없으면 경안(輕安)이 없고, 경안하지 못하면 괴로움이 있다. 괴로운 자의 심()은 삼매에 들지 않는다. 삼매를 닦지 않는 심()에서 법()들은 드러나지 않는다. 그러면 법들이 드러나지 않을 때 방일한 머묾이라는 이름을 얻는다.

 

“puna caparaṃ, nandiya, ariyasāvako dhamme ... pe ... saṅghe ... pe ... ariyakantehi sīlehi samannāgato hoti akhaṇḍehi ... pe ... samādhisaṃvattanikehi. so tehi ariyakantehi sīlehi santuṭṭho na uttari vāyamati divā pavivekāya rattiṃ paṭisallānāya. tassa evaṃ pamattassa viharato pāmojjaṃ na hoti. pāmojje asati, pīti na hoti. pītiyā asati, passaddhi na hoti. passaddhiyā asati, dukkhaṃ viharati. dukkhino cittaṃ na samādhiyati. asamāhite citte dhammā na pātubhavanti. dhammānaṃ apātubhāvā pamādavihārī tveva saṅkhyaṃ gacchati. evaṃ kho, nandiya, ariyasāvako pamādavihārī hoti.

 

다시 난디야여, 성스러운 제자는 법에 승가에 성자들이 좋아하며 삼매로 이끄는 계()들을 구족한다. 그는 이러한 성자들이 좋아하는 계()들로 만족해버리고 더 이상 낮에는 멀리 여의고 밤에는 홀로 앉는 정진을 하지 않는다. 그가 이와 같이 방일하여 머물면 환희가 없다. 환희가 없으면 희열이 없고, 희열이 없으면 경안(輕安)이 없고, 경안하지 못하면 괴로움이 있다. 괴로운 자의 심()은 삼매에 들지 않는다. 삼매를 닦지 않는 심()에서 법()들은 드러나지 않는다. 그러면 법들이 드러나지 않을 때 방일한 머묾이라는 이름을 얻는다. 난디야여, 이렇게 성스러운 제자가 방일(放逸)에 머무는 자이다."

 

“kathañca, nandiya, ariyasāvako appamādavihārī hoti? idha, nandiya, ariyasāvako buddh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hoti itipi so bhagavā ... pe ... satthā devamanussānaṃ buddho bhagavāti. so tena buddhe aveccappasādena asantuṭṭho uttari vāyamati divā pavivekāya rattiṃ paṭisallānāya. tassa evaṃ appamattassa viharato pāmojjaṃ jāyati. pamuditassa pīti jāyati. pītimanassa kāyo passambhati. passaddhakāyo sukhaṃ vediyati. sukhino cittaṃ samādhiyati. samāhite citte dhammā pātubhavanti. dhammānaṃ pātubhāvā appamādavihārī tveva saṅkhyaṃ gacchati.

 

"난디야여, 어떻게 성스러운 제자가 불방일(不放逸)에 머무는 자인가? 난디야여, 여기 성스러운 제자는 불()에 대해 '그러므로 그분 세존께서는 천인사(天人師)-()-세존이시다.'라고 아주 정확함을 지닌다. 그는 이러한 불()에 대한 아주 정확함으로 만족하지 않고 더욱 낮에는 멀리 여의고 밤에는 홀로 앉는 정진을 한다. 그가 이와 같이 불방일하여 머물면 환희가 생긴다. 환희하는 자에게 희열이 생기고, 희열하는 의()의 몸은 경안(輕安)하다. 경안한 몸은 행복을 경험한다. 행복한 자의 심()은 삼매에 든다. 삼매를 닦는 심()에서 법()들은 드러난다. 그러면 법들의 드러남으로부터 불방일한 머묾이라는 이름을 얻는다.

 

“puna caparaṃ, nandiya, ariyasāvako dhamme ... pe ... saṅghe ... pe ... ariyakantehi sīlehi samannāgato hoti akhaṇḍehi ... pe ... samādhisaṃvattanikehi. so tehi ariyakantehi sīlehi asantuṭṭho uttari vāyamati divā pavivekāya rattiṃ paṭisallānāya. tassa evaṃ appamattassa viharato pāmojjaṃ jāyati. pamuditassa pīti jāyati. pītimanassa kāyo passambhati. passaddhakāyo sukhaṃ vediyati. sukhino cittaṃ samādhiyati. samāhite citte dhammā pātubhavanti. dhammānaṃ pātubhāvā appamādavihārī tveva saṅkhyaṃ gacchati. evaṃ kho, nandiya, ariyasāvako appamādavihārī hotī”ti.

 

다시 난디야여, 성스러운 제자는 법에 승가에 성자들이 좋아하며 삼매로 이끄는 계()들을 구족한다. 그는 이러한 성자들이 좋아하는 계()들로 만족하지 않고 더욱 낮에는 멀리 여의고 밤에는 홀로 앉는 정진을 한다. 그가 이와 같이 불방일하여 머물면 환희가 생긴다. 환희하는 자에게 희열이 생기고, 희열하는 의()의 몸은 경안(輕安)하다. 경안한 몸은 행복을 경험한다. 행복한 자의 심()은 삼매에 든다. 삼매를 닦는 심()에서 법()들은 드러난다. 그러면 법들의 드러남으로부터 불방일한 머묾이라는 이름을 얻는다. 난디야여, 이렇게 성스러운 제자가 불방일(不放逸)에 머무는 자이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