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교리공부 > 가르침의 근본

가르침의 근본

흔들림 없음에 적합한 길 경[Āneñjasappāyasutta ; M106]

0 410 2017.09.25 21:02

흔들림 없음에 적합한 길 경[Āneñjasappāyasutta ; M106]


evaṃ me sutaṃ — ekaṃ samayaṃ bhagavā kurūsu viharati kammāsadhammaṃ nāma kurūnaṃ nigamo. tatra kho bhagavā bhikkhū āmantesi — “bhikkhavo”ti. “bhadante”ti te bhikkhū bhagavato paccassosuṃ. bhagavā etadavoca —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때 세존께서는 꾸루의 까마사담마라는 꾸루들의 성읍에 머무셨다. 거기서 세존께서는 "비구들이여."라고 비구들을 부르셨다. "세존이시여."라고 비구들은 세존께 응답했다.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ㅡ

“aniccā, bhikkhave, kāmā tucchā musā mosadhammā. māyākatame taṃ, bhikkhave, bālalāpanaṃ. ye ca diṭṭhadhammikā kāmā, ye ca samparāyikā kāmā; yā ca diṭṭhadhammikā kāmasaññā, yā ca samparāyikā kāmasaññā — ubhayametaṃ māradheyyaṃ, mārassesa visayo, mārassesa nivāpo, mārassesa gocaro. etthete pāpakā akusalā mānasā abhijjhāpi byāpādāpi sārambhāpi saṃvattanti. teva ariyasāvakassa idhamanusikkhato antarāyāya sambhavanti. tatra, bhikkhave, ariyasāvako iti paṭisañcikkhati — ‘ye ca diṭṭhadhammikā kāmā, ye ca samparāyikā kāmā; yā ca diṭṭhadhammikā kāmasaññā, yā ca samparāyikā kāmasaññā — ubhayametaṃ māradheyyaṃ, mārassesa visayo, mārassesa nivāpo, mārassesa gocaro. etthete pāpakā akusalā mānasā abhijjhāpi byāpādāpi sārambhāpi saṃvattanti, teva ariyasāvakassa idhamanusikkhato antarāyāya sambhavanti. yaṃnūnāhaṃ vipulena mahaggatena cetasā vihareyyaṃ abhibhuyya lokaṃ adhiṭṭhāya manasā. vipulena hi me mahaggatena cetasā viharato abhibhuyya lokaṃ adhiṭṭhāya manasā ye pāpakā akusalā mānasā abhijjhāpi byāpādāpi sārambhāpi te na bhavissanti. tesaṃ pahānā aparittañca me cittaṃ bhavissati appamāṇaṃ subhāvitan’ti. tassa evaṃpaṭipannassa tabbahulavihārino āyatane cittaṃ pasīdati. sampasāde sati etarahi vā āneñjaṃ samāpajjati paññāya vā adhimuccati kāyassa bhedā paraṃ maraṇā. ṭhānametaṃ vijjati yaṃ taṃsaṃvattanikaṃ viññāṇaṃ assa āneñjūpagaṃ. ayaṃ, bhikkhave, paṭhamā āneñjasappāyā paṭipadā akkhāyati”.

"비구들이여, 소유적 사유란 무상(無常)하고 허망하고 거짓되고 진실 아닌 것이다. 비구들이여, 그것은 사기인 것이고 어리석은 자들의 지껄임이다. 금생의 소유적 사유와 내생의 소유적 사유, 금생의 욕상(慾想)과 내생의 욕상(慾想) ㅡ 이 둘은 마라의 영토이고 마라의 영역이고 마라의 미끼이며 마라의 소유지이다. 여기에서 이것이 악하고 해로운 마음의 간탐(慳貪)과 진에(瞋恚)와 격렬함으로 이끈다. 그것들은 성스러운 제자가 공부 지을 때 장애가 된다. 비구들이여, 거기서 성스러운 제자는 이렇게 숙고한다. ㅡ ‘금생의 소유적 사유와 내생의 소유적 사유, 금생의 욕상(慾想)과 내생의 욕상(慾想) ㅡ 이 둘은 마라의 영토이고 마라의 영역이고 마라의 미끼이며 마라의 소유지이다. 여기에서 이것이 악하고 해로운 마음의 간탐(慳貪)과 진에(瞋恚)와 격렬함으로 이끈다. 그것들은 성스러운 제자가 공부 지을 때 장애가 된다. 참으로 나는 풍부하고 고귀한 마음[심(心)]으로 세상을 극복하고 굳건한 마음[의(意)]로 머물리라. 참으로 내가 풍부하고 고귀한 마음[심(心)]으로 세상을 극복하고 굳건한 마음[의(意)]로 머물 때 악하고 해로운 마음[의(意)]의 간탐(慳貪)과 진에(瞋恚)와 격렬함이 생기지 못할 것이다. 이들을 제거할 때 나의 마음[심(心)]은 제한 없고 무량하며 잘 닦아질 것이다.'라고. 그가 이렇게 실천하고 많이 머물면 마음[심(心)]은 이 경지에 순일해질 것이다. 확실한 믿음이 있으면 그는 지금 흔들림 없음을 증득하거나 지혜로 확신을 가진다. 몸이 무너져 죽은 뒤 이런 토대가 있는 그렇게 이끌리는 식(識)은 흔들림 없음에 이를 것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첫 번째 흔들림 없음에 적합한 실천이다." 

“puna caparaṃ, bhikkhave, ariyasāvako iti paṭisañcikkhati — ‘ye ca diṭṭhadhammikā kāmā, ye ca samparāyikā kāmā; yā ca diṭṭhadhammikā kāmasaññā, yā ca samparāyikā kāmasaññā; yaṃ kiñci rūpaṃ (sabbaṃ rūpaṃ) cattāri ca mahābhūtāni, catunnañca mahābhūtānaṃ upādāyarūpan’ti. tassa evaṃpaṭipannassa tabbahulavihārino āyatane cittaṃ pasīdati. sampasāde sati etarahi vā āneñjaṃ samāpajjati paññāya vā adhimuccati kāyassa bhedā paraṃ maraṇā. ṭhānametaṃ vijjati yaṃ taṃsaṃvattanikaṃ viññāṇaṃ assa āneñjūpagaṃ. ayaṃ, bhikkhave, dutiyā āneñjasappāyā paṭipadā akkhāyati.

비구들이여, 다시 성스러운 제자는 이렇게 숙고한다. ㅡ ‘금생의 소유적 사유와 내생의 소유적 사유, 금생의 욕상(慾想)과 내생의 욕상(慾想); 물질이라면 그것이 어떤 것이든 그것은 모두 사대(四大)와 사대조색(四大造色)이다'라고. 그가 이렇게 실천하고 많이 머물면 마음[심(心)]은 이 경지에 순일해질 것이다. 확실한 믿음이 있으면 그는 지금 흔들림 없음을 증득하거나 지혜로 확신을 가진다. 몸이 무너져 죽은 뒤 이런 토대가 있는 그렇게 이끌리는 식(識)은 흔들림 없음에 이를 것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두 번째 흔들림 없음에 적합한 실천이다." 

“puna caparaṃ, bhikkhave, ariyasāvako iti paṭisañcikkhati — ‘ye ca diṭṭhadhammikā kāmā, ye ca samparāyikā kāmā; yā ca diṭṭhadhammikā kāmasaññā, yā ca samparāyikā kāmasaññā; ye ca diṭṭhadhammikā rūpā, ye ca samparāyikā rūpā; yā ca diṭṭhadhammikā rūpasaññā, yā ca samparāyikā rūpasaññā — ubhayametaṃ aniccaṃ. yadaniccaṃ taṃ nālaṃ abhinandituṃ, nālaṃ abhivadituṃ, nālaṃ ajjhositun’ti. tassa evaṃpaṭipannassa tabbahulavihārino āyatane cittaṃ pasīdati. sampasāde sati etarahi vā āneñjaṃ samāpajjati paññāya vā adhimuccati kāyassa bhedā paraṃ maraṇā. ṭhānametaṃ vijjati yaṃ taṃsaṃvattanikaṃ viññāṇaṃ assa āneñjūpagaṃ. ayaṃ, bhikkhave, tatiyā āneñjasappāyā paṭipadā akkhāyati.

비구들이여, 다시 성스러운 제자는 이렇게 숙고한다. ㅡ ‘금생의 소유적 사유와 내생의 소유적 사유, 금생의 욕상(慾想)과 내생의 욕상(慾想); 금생의 색(色)과 내생의 색(色), 금생의 색상(色想)과 내생의 색상(色想) ㅡ 이 둘은 무상(無常)하다. 무상(無常)한 것은 즐길 만하지 않고 환영할 만하지 않고 묶일 만하지 않다.'라고. 그가 이렇게 실천하고 많이 머물면 마음[심(心)]은 이 경지에 순일해질 것이다. 확실한 믿음이 있으면 그는 지금 흔들림 없음을 증득하거나 지혜로 확신을 가진다. 몸이 무너져 죽은 뒤 이런 토대가 있는 그렇게 이끌리는 식(識)은 흔들림 없음에 이를 것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세 번째 흔들림 없음에 적합한 실천이다." 

“puna caparaṃ, bhikkhave, ariyasāvako iti paṭisañcikkhati — ‘ye ca diṭṭhadhammikā kāmā, ye ca samparāyikā kāmā; yā ca diṭṭhadhammikā kāmasaññā, yā ca samparāyikā kāmasaññā; ye ca diṭṭhadhammikā rūpā, ye ca samparāyikā rūpā; yā ca diṭṭhadhammikā rūpasaññā, yā ca samparāyikā rūpasaññā; yā ca āneñjasaññā — sabbā saññā. yatthetā aparisesā nirujjhanti etaṃ santaṃ etaṃ paṇītaṃ — yadidaṃ ākiñcaññāyatanan’ti. tassa evaṃpaṭipannassa tabbahulavihārino āyatane cittaṃ pasīdati. sampasāde sati etarahi vā ākiñcaññāyatanaṃ samāpajjati paññāya vā adhimuccati kāyassa bhedā paraṃ maraṇā. ṭhānametaṃ vijjati yaṃ taṃsaṃvattanikaṃ viññāṇaṃ assa ākiñcaññāyatanūpagaṃ. ayaṃ, bhikkhave, paṭhamā ākiñcaññāyatanasappāyā paṭipadā akkhāyati.

비구들이여, 다시 성스러운 제자는 이렇게 숙고한다. ㅡ ‘금생의 소유적 사유와 내생의 소유적 사유, 금생의 욕상(慾想)과 내생의 욕상(慾想); 금생의 색(色)과 내생의 색(色), 금생의 색상(色想)과 내생의 색상(色想); 흔들림 없음의 상(想) ㅡ 이들은 모두 상(想)이다. 이들이 남김없이 멸하는 곳, 그것은 고요하고 그것은 수승하나니 즉 무소유처(無所有處)이다.'라고. 그가 이렇게 실천하고 많이 머물면 마음[심(心)]은 이 경지에 순일해질 것이다. 확실한 믿음이 있으면 그는 지금 무소유처를 증득하거나 지혜로 확신을 가진다. 몸이 무너져 죽은 뒤 이런 토대가 있는 그렇게 이끌리는 식(識)은 무소유처에 이를 것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첫 번째 무소유처에 적합한 실천이다." 
 
“puna caparaṃ, bhikkhave, ariyasāvako araññagato vā rukkhamūlagato vā suññāgāragato vā iti paṭisañcikkhati — ‘suññamidaṃ attena vā attaniyena vā’ti. tassa evaṃpaṭipannassa tabbahulavihārino āyatane cittaṃ pasīdati. sampasāde sati etarahi vā ākiñcaññāyatanaṃ samāpajjati paññāya vā adhimuccati kāyassa bhedā paraṃ maraṇā. ṭhānametaṃ vijjati yaṃ taṃsaṃvattanikaṃ viññāṇaṃ assa ākiñcaññāyatanūpagaṃ. ayaṃ, bhikkhave, dutiyā ākiñcaññāyatanasappāyā paṭipadā akkhāyati.

비구들이여, 다시 성스러운 제자는 숲속에 가거나 나무 아래에 가거나 빈집에 가서 이렇게 숙고한다. ㅡ ‘이것은 자아거나 자아에 속하는 것이 공하다'라고. 그가 이렇게 실천하고 많이 머물면 마음[심(心)]은 이 경지에 순일해질 것이다. 확실한 믿음이 있으면 그는 지금 무소유처를 증득하거나 지혜로 확신을 가진다. 몸이 무너져 죽은 뒤 이런 토대가 있는 그렇게 이끌리는 식(識)은 무소유처에 이를 것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두 번째 무소유처에 적합한 실천이다." 

“puna caparaṃ, bhikkhave, ariyasāvako iti paṭisañcikkhati — ‘nāhaṃ kvacani kassaci kiñcanatasmiṃ, na ca mama kvacani kismiñci kiñcanaṃ natthī’ti. tassa evaṃpaṭipannassa tabbahulavihārino āyatane cittaṃ pasīdati. sampasāde sati etarahi vā ākiñcaññāyatanaṃ samāpajjati paññāya vā adhimuccati kāyassa bhedā paraṃ maraṇā. ṭhānametaṃ vijjati yaṃ taṃsaṃvattanikaṃ viññāṇaṃ assa ākiñcaññāyatanūpagaṃ. ayaṃ, bhikkhave, tatiyā ākiñcaññāyatanasappāyā paṭipadā akkhāyati.

다시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는 이렇게 숙고한다. ㅡ '나는 어디에도 없고 누구에게도 속한 것도 아니고 어떤 것에도 없다. 내 것은 어디에도 없고 누구에게도 속한 것도 아니고 어떤 것에도 없다.'라고. 그가 이렇게 실천하고 많이 머물면 마음[심(心)]은 이 경지에 순일해질 것이다. 확실한 믿음이 있으면 그는 지금 무소유처를 증득하거나 지혜로 확신을 가진다. 몸이 무너져 죽은 뒤 이런 토대가 있는 그렇게 이끌리는 식(識)은 무소유처에 이를 것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세 번째 무소유처에 적합한 실천이다." 

“puna caparaṃ, bhikkhave, ariyasāvako iti paṭisañcikkhati — ‘ye ca diṭṭhadhammikā kāmā, ye ca samparāyikā kāmā; yā ca diṭṭhadhammikā kāmasaññā, yā ca samparāyikā kāmasaññā; ye ca diṭṭhadhammikā rūpā, ye ca samparāyikā rūpā; yā ca diṭṭhadhammikā rūpasaññā, yā ca samparāyikā rūpasaññā; yā ca āneñjasaññā, yā ca ākiñcaññāyatanasaññā — sabbā saññā. yatthetā aparisesā nirujjhanti etaṃ santaṃ etaṃ paṇītaṃ — yadidaṃ nevasaññānāsaññāyatanan’ti. tassa evaṃpaṭipannassa tabbahulavihārino āyatane cittaṃ pasīdati. sampasāde sati etarahi vā nevasaññānāsaññāyatanaṃ samāpajjati paññāya vā adhimuccati kāyassa bhedā paraṃ maraṇā. ṭhānametaṃ vijjati yaṃ taṃsaṃvattanikaṃ viññāṇaṃ assa nevasaññānāsaññāyatanūpagaṃ. ayaṃ, bhikkhave, nevasaññānāsaññāyatanasappāyā paṭipadā akkhāyatī”ti.

다시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는 이렇게 숙고한다. ㅡ ‘금생의 소유적 사유와 내생의 소유적 사유, 금생의 욕상(慾想)과 내생의 욕상(慾想); 금생의 색(色)과 내생의 색(色), 금생의 색상(色想)과 내생의 색상(色想); 흔들림 없음의 상(想)과 무소유처의 상(想) ㅡ 이들은 모두 상(想)이다. 이들이 남김없이 멸하는 곳, 그것은 고요하고 그것은 수승하나니 즉 비상비비상처(非想非非想處)이다.'라고. 그가 이렇게 실천하고 많이 머물면 마음[심(心)]은 이 경지에 순일해질 것이다. 확실한 믿음이 있으면 그는 지금 비상비비상처를 증득하거나 지혜로 확신을 가진다. 몸이 무너져 죽은 뒤 이런 토대가 있는 그렇게 이끌리는 식(識)은 비상비비상처에 이를 것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비상비비상처에 적합한 실천이다.

evaṃ vutte, āyasmā ānando bhagavantaṃ etadavoca — “idha, bhante, bhikkhu evaṃ paṭipanno hoti — ‘no cassa, no ca me siyā; na bhavissati, na me bhavissati; yadatthi yaṃ, bhūtaṃ — taṃ pajahāmī’ti. evaṃ upekkhaṃ paṭilabhati. parinibbāyeyya nu kho so, bhante, bhikkhu na vā parinibbāyeyyā”ti? “apetthekacco, ānanda, bhikkhu parinibbāyeyya, apetthekacco bhikkhu na parinibbāyeyyā”ti. “ko nu kho, bhante, hetu ko paccayo yenapetthekacco bhikkhu parinibbāyeyya, apetthekacco bhikkhu na parinibbāyeyyā”ti? “idhānanda, bhikkhu evaṃ paṭipanno hoti — ‘no cassa, no ca me siyā; na bhavissati, na me bhavissati; yadatthi, yaṃ bhūtaṃ — taṃ pajahāmī’ti. evaṃ upekkhaṃ paṭilabhati. so taṃ upekkhaṃ abhinandati, abhivadati, ajjhosāya tiṭṭhati. tassa taṃ upekkhaṃ abhinandato abhivadato ajjhosāya tiṭṭhato tannissitaṃ hoti viññāṇaṃ tadupādānaṃ. saupādāno, ānanda, bhikkhu na parinibbāyatī”ti. “kahaṃ pana so, bhante, bhikkhu upādiyamāno upādiyatī”ti? “nevasaññānāsaññāyatanaṃ, ānandā”ti. “upādānaseṭṭhaṃ kira so, bhante, bhikkhu upādiyamāno upādiyatī”ti? “upādānaseṭṭhañhi so, ānanda, bhikkhu upādiyamāno upādiyati. upādānaseṭṭhañhetaṃ, ānanda, yadidaṃ — nevasaññānāsaññāyatanaṃ”.

이렇게 말씀하였을 때 아난다 존자는 세존께 이렇게 말씀드렸다. ㅡ "대덕이시여, 여기 비구는 다음과 같이 실천합니다. ㅡ '이것이 없었다면 이것은 내 것이 아니었을 것이고, 있지 않았다면 내 것이 되지 않을 것이다; 있는 것, 존재하는 것, ㅡ 그것을 나는 버린다.'라고. 이와 같이 하여 평정[사(捨)]를 얻습니다. 대덕이시여, 이런 비구는 완전히 열반에 듭니까, 아니면 들지 못합니까?" "아난다여, 이런 경우 어떤 비구는 완전히 열반에 들고 어떤 비구는 완전히 열반에 들지 못한다." "대덕이시여, 무슨 원인과 무슨 조건 때문에 어떤 비구는 완전히 열반에 들고 어떤 비구는 완전히 열반에 들지 못합니까?" "아난다여, 여기 비구는 이렇게 실천한다. ㅡ '이것이 없었다면 이것은 내 것이 아니었을 것이고, 있지 않았다면 내 것이 되지 않을 것이다. 있는 것, 존재하는 것, ㅡ 그것을 나는 버린다.'라고. 이와 같이 하여 평정[사(捨)]를 얻는다. 그는 그 평정을 기뻐하고 환영하고 묶여있다. 그가 그 평정을 기뻐하고 환영하고 묶여있으면 식(識)은 그것을 의지하고 그것을 집착한다. 아난다여, 집착이 있는 비구는 완전히 열반에 들지 못한다." "대덕이시여, 그러면 그 비구는 무엇을 집착합니까?" “아난다여, 비상비비상처를 집착한다." "대덕이시여, 그러면 참으로 그 비구는 최상의 집착에 집착하는 것입니까?" "아난다여, 참으로 그 비구는 최상의 집착에 집착하는 것이다. 아난다여, 이것이 최상의 집착이니 즉 비상비비상처이다." 

“idhānanda, bhikkhu evaṃ paṭipanno hoti — ‘no cassa, no ca me siyā; na bhavissati, na me bhavissati; yadatthi, yaṃ bhūtaṃ — taṃ pajahāmī’ti. evaṃ upekkhaṃ paṭilabhati. so taṃ upekkhaṃ nābhinandati, nābhivadati, na ajjhosāya tiṭṭhati. tassa taṃ upekkhaṃ anabhinandato anabhivadato anajjhosāya tiṭṭhato na tannissitaṃ hoti viññāṇaṃ na tadupādānaṃ. anupādāno, ānanda, bhikkhu parinibbāyatī”ti.

“아난다여, 여기 비구는 이와 같이 실천한다. ㅡ '이것이 없었다면 이것은 내 것이 아니었을 것이고, 있지 않았다면 내 것이 되지 않을 것이다. 있는 것, 존재하는 것, 그것을 나는 버린다.'라고. 이와 같이 하여 평정[사(捨)]를 얻는다. 그는 그 평정을 즐기지 않고 환영하지 않고 묶여 있지 않는다. 그가 그 평정을 즐기지 않고 환영하지 않고 묶여 있지 않으면 식(識)은 그것을 의지하지 않고 그것을 집착하지 않는다. 아난다여, 집착이 없는 비구는 완전히 열반에 든다." 

“acchariyaṃ, bhante, abbhutaṃ, bhante! nissāya nissāya kira no, bhante, bhagavatā oghassa nittharaṇā akkhātā. katamo pana, bhante, ariyo vimokkho”ti? “idhānanda, bhikkhu ariyasāvako iti paṭisañcikkhati — ‘ye ca diṭṭhadhammikā kāmā, ye ca samparāyikā kāmā; yā ca diṭṭhadhammikā kāmasaññā, yā ca samparāyikā kāmasaññā; ye ca diṭṭhadhammikā rūpā, ye ca samparāyikā rūpā; yā ca diṭṭhadhammikā rūpasaññā, yā ca samparāyikā rūpasaññā; yā ca āneñjasaññā, yā ca ākiñcaññāyatanasaññā, yā ca nevasaññānāsaññāyatanasaññā — esa sakkāyo yāvatā sakkāyo. etaṃ amataṃ yadidaṃ anupādā cittassa vimokkho. iti, kho, ānanda, desitā mayā āneñjasappāyā paṭipadā, desitā ākiñcaññāyatanasappāyā paṭipadā, desitā nevasaññānāsaññāyatanasappāyā paṭipadā, desitā nissāya nissāya oghassa nittharaṇā, desito ariyo vimokkho. yaṃ kho, ānanda, satthārā karaṇīyaṃ sāvakānaṃ hitesinā anukampakena anukampaṃ upādāya, kataṃ vo taṃ mayā. etāni, ānanda, rukkhamūlāni, etāni suññāgārāni. jhāyathānanda, mā pamādattha, mā pacchā vippaṭisārino ahuvattha. ayaṃ vo amhākaṃ anusāsanī’”ti. 

"놀랍습니다, 대덕이시여. 경이롭습니다, 대덕이시여. 대덕이시여, 세존께서는 각각의 의지로써 격류를 건너는 것을 말씀하셨습니다. 대덕이시여, 그런데 어떤 것이 성스러운 해탈입니까?" "아난다여, 여기 성스러운 제자는 이처럼 숙고한다. ‘금생의 소유적 사유와 내생의 소유적 사유, 금생의 욕상(慾想)과 내생의 욕상(慾想); 금생의 색(色)과 내생의 색(色), 금생의 색상(色想)과 내생의 색상(色想); 흔들림 없음의 상(想)과 무소유처의 상(想)과 비상비비상처의 상(想) ㅡ 유신(有身) 있는 한 이 모든 것이 유신(有身)이다. 집착 없는 마음의 해탈, 그것이 불사(不死)이다.'라고. "아난다여, 이처럼 나는 흔들림 없음에 적합한 실천을 설했다. 나는 무소유처에 적합한 실천을 설했다. 나는 비상비비상처에 적합한 실천을 설했다. 나는 각각의 의지로써 격류를 건너는 것을 설했다. 나는 성스러운 해탈을 설했다. 아난다여, 항상 제자들의 이익을 기원하며 제자들을 연민하는 스승이 마땅히 해야 할 바를 이제 나는 연민으로 그대들에게 하였다. 비구들이여, 여기 나무 밑이 있다. 여기 빈집들이 있다. 선(禪)을 하라. 비구들이여, 방일하지 마라. 나중에 후회하지 마라. 이것이 참으로 우리의 교본(敎本)이다. 

idamavoca bhagavā. attamano āyasmā ānando bhagavato bhāsitaṃ abhinandīti.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아난다 존자는 아주 기뻐서 세존의 말씀을 즐거워하였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