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교리공부 > 가르침의 근본

가르침의 근본

▣ 교본24 - 무위상윳따(S43)[무위 - 무위로 이끄는 길] 1)(서울 저녁 161117)

0 888 2017.09.25 21:45

▣ 교본24 - 무위상윳따(S43)[무위 - 무위로 이끄는 길] 1)(서울 저녁 161117)

   [동영상] https://youtu.be/Z0Ps0rBdcRQ


무위 상윳따의 44개 경전은 모두 무위(無爲)를 정의하고 이것이 가르침의 근본을 설한다고 반복하는 가운데 무위로 이끄는 길과 무위의 동의어를 제시합니다. ☞ http://cafe.naver.com/happybupdang/3416 참조.


한편, 무위(無爲)는 asaṅkhata의 번역어인데 노자의 도덕경(道德經)에 나옵니다. 삶의 완성을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적절한 번역이라고 해야하지만 노자가 선언하는 삶의 완성[불완전한 내면이 간섭하지 않는 삶]과 부처가 선언하는 삶의 완성[불완전한 내면이 직접 치유된 삶]의 차이를 주목해야 합니다. 원어의 의미를 접하지 못한 가운데 부처가 선언하는 삶의 완성을 노자가 선언한 삶의 완성으로 잘못 이해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 http://cafe.naver.com/happybupdang/7072 참조.


1. 무위(無爲)[asaṅkhata]의 정의

    - 탐(貪)의 부서짐, 진(嗔)의 부서짐, 치(癡)의 부서짐[rāgakkhayo dosakkhayo mohakkhayo]

    = 무탐(無貪)-무진(無嗔)-무치(無癡)


2. 무위로 이끄는 길

1) 몸에 대한 사띠[kāyagatāsati]

2) 사마타-위빳사나[samathocavipassanāca]

3) 유심유사(有尋有伺)의 삼매-무심유사(無尋有伺)의 삼매-무심무사(無尋無伺)의 삼매

   [savitakkasavicāro samādhi, avitakkavicāramatto samādhi, avitakkāvicāro samādhi]

4) 공삼매(空三昧)-무상삼매(無相三昧)-무원삼매(無願三昧)

   [suññato samādhi, animittosamādhi, appaṇihitosamādhi]

5~11) 일곱 가지 보리분법 : 사념처-사정근-사여의족-오근-오력-칠각지-팔정도


※ 이번 수업에서는 몸에 대한 사띠[kāyagatāsati]에 대해서 설명하였습니다. 불교수행은

대념처경(D22)[신(身)-수(受)-심(心)-법(法)] → 신념처경(M119)[신(身)] → 입출식념경(M118)[호흡]

의 순서로 집중되는데, 호흡수행은 수행의 왕도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신념처[몸에 대한 사띠]를 강조하는 경으로

여섯 동물 비유 경(S35:247) ☞ http://cafe.naver.com/happybupdang/3032

앙굿따라 니까야 하나의 모음 제21장 몸에 대한 사띠 품

을 소개하였습니다. 또한, http://cafe.naver.com/happybupdang/11711 와 답글들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 무위의 동의어 32개 ☞ http://cafe.naver.com/happybupdang/3815 참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