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교리공부 > 가르침의 근본

가르침의 근본

교본2) - 수행지도 - 삼매수행 - 일어남사라짐(서울 저녁 160324)

0 487 2017.09.25 15:55
▣ 교본2) - 수행지도 - 삼매수행 - 일어남사라짐(서울 저녁 160324)
   [동영상] https://youtu.be/_m0I8jAn300

[ayaṃ vo amhākaṃ anusāsanī - 이것이 참으로 우리의 교본(敎本)이다]라고 설해진 경전들을 수행지도(修行地圖)와 연결하면
교본① 사념처 - 1차 토대인 바른 삼매에 이르는 길
교본② sampajānakārī - 일상의 삶의 제어
교본③ viditā - 2차적 토대인 여실지견으로 이끄는 길
이어서 왜 이 세 가지를 부처님께서 우리가 함께 근본으로 삼아야 하는 가르침이라고 하셨는지 그 의미를 분명히 드러내줍니다.

한편, 삼매수행 즉 삼매 위에서 깨달음의 방향으로 이어지는 수행의 과정은
1) 지금여기에서의 행복한 머묾[diṭṭhadhammasukhavihāra]
2) ()와 견()의 획득[ñāṇadassanappaṭilābha]
3) satisampajañña
4) 번뇌의 부숨[āsavānaṃ khaya]
인데, 역시 수행지도(修行地圖)와 연결하면
1) 1차 토대인 바른 삼매[사선(四禪) 또는 구차제정(九次第定)]는 행복임,
2) 제사선(第四禪)의 다양함의 평정[사(捨)-upekkha]에서 단일함의 평정[무색계]으로 연결되는 삼매의 심화 과정,[170110 보완 - 더 검토해야 하는 주제입니다]
3) 2차 토대인 여실지견으로 나아가는 과정,
4) 여실지견을 토대로 사마타-위빳사나하여 번뇌를 부수고 삶을 완성함[아라한]
의 구조를 보여줍니다. 우리가 그려낸 수행지도가 이렇게 부처님이 알려주는 삼매수행의 과정과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 공부의 타당성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진 것이라고 하겠습니다.

그런데 번뇌의 부숨에서는 한 쌍의 용어에 주목해야 합니다. 번뇌의 부숨은 오취온(五取蘊)에서 일어남-사라짐을 이어 보면서 머묾[pañcasu upādānakkhandhesu udayabbayānupassī viharati]에 의해 성취되는데, 여기서 일어남-사라짐의 의미입니다.

<삼매 경(S22:5)[답글 참조]>은 삼매를 닦는 비구는 오온(五蘊) 각각에 대해 일어남[samudaya]-사라짐[atthaṅgama]을 있는 그대로 꿰뚫어안다[yathābhūtaṃpajānāti]고 하면서 일어남-사라짐의 의미를 정의해 줍니다. 이때, 색(色)-수(受)-상(想)-행(行)-식(識)을 대상으로 하는 삶의 전개[메커니즘]에서 괴로움이 생겨나는 것이 일어남이고, 괴로움이 소멸하는 것이 사라짐입니다.
※ 오온의 일어남-사라짐은 무상(無常)이어서 여실지견(如實知見)과 연결됩니다. 그런데 <계 경(S22:122)>와 <잘 배움 경(S22:123)>은 계를 지키는 비구 또는 잘 배운 비구가 예류자에 이르는 과정으로부터 일래자-불환자를 거쳐 아라한을 실현하는 과정 모두가 오취온에 대한 여리한 사유 또는 여리작의로 나타납니다. 소유의 삶을 넘어 존재의 삶에 이르고, 존재를 넘어서 해탈된 삶으로 나아가는 수행의 구도에서 해탈된 삶의 영역에 속하는 존재를 넘어서는 과정은 이렇게 여실지견-여리작의-여리한 사유여서 모두 오온의 일어남-사라짐을 이어 보고,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아는 과정의 심화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이것이 불교 수행의 본질입니다.
 ⇒ 기본기 교재 309쪽 참조.

[170110 보완] [오취온의 일어나고 사라짐을 보면서 머문다]의 용례 첨부
 

[170925 보완] 대념처경 - 법념처3[오온의 일어남-사라짐](부산 수행 170920)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5_01&wr_id=45

 

대념처경 - 법념처4[오온의 일어남 사라짐의 용례1)](부산 수행 170920)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5_01&wr_id=46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