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교리공부 > 가르침의 근본

가르침의 근본

비구니 거처 경(S47:10)[bhikkhunupassayasuttaṃ]

0 453 2017.09.25 21:55

비구니 거처 경(S47:10)[bhikkhunupassayasuttaṃ]

 
atha kho āyasmā ānando pubbaṇhasamayaṃ nivāsetvā pattacīvaramādāya yena aññataro bhikkhunupassayo tenupasaṅkami; upasaṅkamitvā paññatte āsane nisīdi. atha kho sambahulā bhikkhuniyo yenāyasmā ānando tenupasaṅkamiṃsu; upasaṅkamitvā āyasmantaṃ ānandaṃ abhivādetvā ekamantaṃ nisīdiṃsu. ekamantaṃ nisinnā kho tā bhikkhuniyo āyasmantaṃ ānandaṃ etadavocuṃ —

그때 아난다 존자는 오전에 옷매무새를 가다듬고 발우와 가사를 수하고 어떤 비구니 처소로 갔다. 가서는 마련된 자리에 앉았다. 그때 많은 비구니들이 아난다 존자에게 다가갔다. 가서는 아난다 존자에게 절을 올리고 한 곁에 앉았다. 한 곁에 앉은 비구니들은 아난다 존자에게 이렇게 말했다. ㅡ

“idha, bhante ānanda, sambahulā bhikkhuniyo catūsu satipaṭṭhānesu suppatiṭṭhitacittā viharantiyo uḷāraṃ pubbenāparaṃ visesaṃ sañjānantī”ti. “evametaṃ, bhaginiyo, evametaṃ, bhaginiyo! yo hi koci, bhaginiyo, bhikkhu vā bhikkhunī vā catūsu satipaṭṭhānesu suppatiṭṭhitacitto viharati, tassetaṃ pāṭikaṅkhaṃ — ‘uḷāraṃ pubbenāparaṃ visesaṃ sañjānissatī’”ti. 

"아난다 존자시여, 여기 많은 비구니들은 사념처(四念處)에 잘 확립된 마음으로 머물면서 고귀한 전후(前後)의 차이를 상(想)합니다."
 "누이들이여, 참으로 그렇습니다. 누이들이여, 어떤 비구든 비구니든 사념처에 잘 확립된 마음으로 머물면 그들에게는 고귀한 전후(前後)의 차이를 상(想)하는 것이 기대됩니다."

atha kho āyasmā ānando tā bhikkhuniyo dhammiyā kathāya sandassetvā samādapetvā samuttejetvā sampahaṃsetvā uṭṭhāyāsanā pakkāmi. atha kho āyasmā ānando sāvatthiyaṃ piṇḍāya caritvā pacchābhattaṃ piṇḍapātapaṭikkanto yena bhagavā tenupasaṅkamiṃ; upasaṅkamitvā bhagavantaṃ abhivādetvā ekamantaṃ nisīdiṃ. ekamantaṃ nisinno kho āyasmā ānando bhagavantaṃ etadavoca —

그때 아난다 존자는 비구니들에게 법다운 이야기로 가르치고 격려하고 분발하게 하고 기쁘게 한 뒤 자리에서 일어나서 나갔다. 그때 아난다 존자는 사왓티에서 걸식을 하여 공양을 마치고 걸식에서 돌아와서 세존께 다가갔다. 가서는 세존께 절을 올리고 한 곁에앉았다. 한 곁에 앉은 아난다 존자는 세존께 이렇게 말씀드렸다. ㅡ

“idhāhaṃ, bhante, pubbaṇhasamayaṃ nivāsetvā pattacīvaramādāya yena aññataro bhikkhunupassayo tenupasaṅkamiṃ; upasaṅkamitvā paññatte āsane nisīdiṃ. atha kho, bhante, sambahulā bhikkhuniyo yenāhaṃ tenupasaṅkamiṃsu; upasaṅkamitvā maṃ abhivādetvā ekamantaṃ nisīdiṃsu. ekamantaṃ nisinnā kho, bhante, tā bhikkhuniyo maṃ etadavocuṃ — ‘idha, bhante ānanda, sambahulā bhikkhuniyo catūsu satipaṭṭhānesu suppatiṭṭhitacittā viharantiyo uḷāraṃ pubbenāparaṃ visesaṃ sañjānantī’ti. evaṃ vuttāhaṃ, bhante, tā bhikkhuniyo etadavocaṃ — ‘evametaṃ, bhaginiyo, evametaṃ, bhaginiyo! yo hi koci, bhaginiyo, bhikkhu vā bhikkhunī vā catūsu satipaṭṭhānesu suppatiṭṭhitacitto viharati, tassetaṃ pāṭikaṅkhaṃ — uḷāraṃ pubbenāparaṃ visesaṃ sañjānissatī’”ti.

"세존이시여, 여기 저는 오전에 옷매무새를 가다듬고 발우와 가사를 수하고 어떤 비구니 처소로 갔습니다. … 그 비구니들은 제게 '아난다 존자시여, 여기 많은 비구니들은 사념처(四念處)에 잘 확립된 마음으로 머물면서 고귀한 전후(前後)의 차이를 상(想)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세존이시여, 그래서 저도 '누이들이여, 참으로 그렇습니다. 누이들이여, 어떤 비구든 비구니든 사념처(四念處)에 잘 확립된 마음으로 머물면 그들에게는 고귀한 전후(前後)의 차이를 상(想)하는 것이 기대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evametaṃ, ānanda, evametaṃ, ānanda! yo hi koci, ānanda, bhikkhu vā bhikkhunī vā catūsu satipaṭṭhānesu suppatiṭṭhitacitto viharati, tassetaṃ pāṭikaṅkhaṃ — ‘uḷāraṃ pubbenāparaṃ visesaṃ sañjānissati’”.

"참으로 그러하다, 아난다여. 참으로 그러하다, 아난다여. 어떤 비구든 비구니든 사념처(四念處)에 잘 확립된 마음으로 머물면 그들에게는 고귀한 전후(前後)의 차이를 상(想)하는 것이 기대된다. 

katamesu catūsu? idhānanda, bhikkhu kāye kāyānupassī viharat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vineyya loke abhijjhādomanassaṃ. tassa kāye kāyānupassino viharato kāyārammaṇo ①vā uppajjati kāyasmiṃ pariḷāho, ②cetaso vā līnattaṃ, ③bahiddhā vā cittaṃ vikkhipati. tenānanda, bhikkhunā kismiñcideva pasādanīye nimitte cittaṃ paṇidahitabbaṃ. tassa kismiñcideva pasādanīye nimitte cittaṃ paṇidahato pāmojjaṃ jāyati. pamuditassa pīti jāyati. pītimanassa kāyo passambhati. passaddhakāyo sukhaṃ vedayati. sukhino cittaṃ samādhiyati.

무엇이 넷인가? 아난다여, 여기 비구는 신(身)에서 신(身)을 이어 보면서 머문다. ātāpī sampajāno satimā하여 세상에서 간탐과 고뇌를 제어한다. 그가 신(身)에서 신(身)을 이어 보면서 머물면 신(身)을 대상으로 하여 ①신(身)에 열기가 생기거나 ②심(心)이 태만해지거나 ③밖으로 심(心)이 혼란해진다. 그러면 그는 바로 그 상(相)으로 심(心)을 향하게 해야 한다. 그가 바로 그 상(相)으로 심(心)을 향하면 환희가 생긴다. 환희하는 자에게 희열이 생긴다. 희열하는 의(意)의 몸은 경안(輕安)하다. 몸이 경안(輕安)한 자는 행복을 경험한다. 행복한 자의 심(心)은 삼매에 든다. 

※ tenānanda, bhikkhunā kismiñcideva pasādanīye nimitte cittaṃ paṇidahitabbaṃ.

[초기불전연구원] 그러면 그는 청정한 믿음을 고취하는 표상으로 마음을 향하게 해야 한다. 

[한국빠알리성전협회] 아난다여, 그 수행승은 무언가 기쁘게 하는 인상에 마음을 지향해야 하는데,

[Bhikkhu Bodhi] That bhikkhu should then direct his mind towards some inspiring sign.

[F. L. Woodward] Thereupon, Ānanda, his attention should be directed to some pleasurable object of thought.
 
[Andrew Olendzki] Then the monk should direct his mind to some satisfactory image.

[Michael Olds] Then, Ananda, that beggar should set his heart on the track of some happy state.

(*) pasādanīye nimitte - 바로 그 표상

Pasādana (nt.) [fr. pa+sad] 1. happy state, reconciliation, purity, 2. granting graces, gratification 
 
so iti paṭisañcikkhati — ‘yassa khvāhaṃ atthāya cittaṃ paṇidahiṃ, so me attho abhinipphanno. handa, dāni paṭisaṃharāmī’ti. so paṭisaṃharati ceva na ca vitakketi na ca vicāreti. ‘avitakkomhi avicāro, ajjhattaṃ satimā sukhamasmī’ti pajānāti. evaṃ kho, ānanda, paṇidhāya bhāvanā hoti.

그는 이렇게 숙고한다. - '내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 심(心)을 향하게 한 그 목적이 이제 성취되었다. 이제 나는 거두어들이리라.'라고. 그래서 그는 거두어들이고 vitakka 하지 않고 vicāra하지 않는다. '무심무사(無尋無伺)이다. 안으로 사띠하여 나는 행복하다.'라고 분명히 안다."

puna caparaṃ, ānanda, bhikkhu vedanāsu ... pe ... citte ... pe ... dhammesu dhammānupassī viharat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vineyya loke abhijjhādomanassaṃ. tassa dhammesu dhammānupassino viharato dhammārammaṇo vā uppajjati kāyasmiṃ pariḷāho, cetaso vā līnattaṃ, bahiddhā vā cittaṃ vikkhipati. tenānanda, bhikkhunā kismiñcideva pasādanīye nimitte cittaṃ paṇidahitabbaṃ. tassa kismiñcideva pasādanīye nimitte cittaṃ paṇidahato pāmojjaṃ jāyati. pamuditassa pīti jāyati. pītimanassa kāyo passambhati. passaddhakāyo sukhaṃ vedayati. sukhino cittaṃ samādhiyati. so iti paṭisañcikkhati — ‘yassa khvāhaṃ atthāya cittaṃ paṇidahiṃ, so me attho abhinipphanno. handa, dāni paṭisaṃharāmī’ti. so paṭisaṃharati ceva na ca vitakketi na ca vicāreti. ‘avitakkomhi avicāro, ajjhattaṃ satimā sukhamasmī’ti pajānāti. evaṃ kho, ānanda, paṇidhāya bhāvanā hoti. 
 
“다시 아난다여, 여기 비구는 수(受)에서 수(受)를 이어 보면서 머문다. … 심(心)에서 심(心)을 이어 보면서 머문다. … 법(法)에서 법(法)을 이어 보면서 머문다. ātāpī sampajāno satimā하여 세상에서 간탐과 고뇌를 제어한다. 그가 법(法)에서 법(法)을 이어 보면서 머물면 법(法)을 대상으로 하여 ①신(身)에 열기가 생기거나 ②심(心)이 태만해지거나 ③밖으로 심(心)이 혼란해진다. 그러면 그는 바로 그 상(相)으로 심(心)을 향하게 해야 한다. 그가 바로 그 상(相)으로 심(心)을 향하면 환희가 생긴다. 환희하는 자에게 희열이 생긴다. 희열하는 의(意)의 몸은 경안(輕安)하다. 몸이 경안(輕安)한 자는 행복을 경험한다. 행복한 자의 심(心)은 삼매에 든다. 그는 이렇게 숙고한다. - '내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 심(心)을 향하게 한 그 목적이 이제 성취되었다. 이제 나는 거두어들이리라.'라고. 그래서 그는 거두어들이고 vitakka 하지 않고 vicāra하지 않는다. '무심무사(無尋無伺)이다. 안으로 사띠하여 나는 행복하다.'라고 분명히 안다." 아난다여, 이렇게 향하게 하는 수행이 있다."

kathañcānanda, appaṇidhāya bhāvanā hoti?
 
"아난다여, 그러면 어떻게 향하지 않게 하여 수행하는가?

bahiddhā, ānanda, bhikkhu cittaṃ appaṇidhāya ‘appaṇihitaṃ me bahiddhā cittan’ti pajānāti. atha pacchāpure ‘asaṃkhittaṃ vimuttaṃ appaṇihitan’ti pajānāti. atha ca pana ‘kāye kāyānupassī viharām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sukhamasmī’ti pajānāti.
 아난다여, 비구는 심(心)을 밖으로 향하지 않게 하면서 '나의 심(心)은 밖으로 향하지 않는다.'라고 분명히 안다. 그러면 선후(先後)가 ‘축약되지 않고, 풀려났고[해탈(解脫)], 향하지 않았다.'라고 분명히 안다. 다시 그는 '나는 신(身)에서 신(身)을 놓치지 않고 관찰하며 머문다. ātāpī sampajāno satimā하여 나는 행복하다.'라고 분명히 안다.

bahiddhā, ānanda, bhikkhu cittaṃ appaṇidhāya ‘appaṇihitaṃ me bahiddhā cittan’ti pajānāti. atha pacchāpure ‘asaṃkhittaṃ vimuttaṃ appaṇihitan’ti pajānāti. atha ca pana ‘vedanāsu vedanānupassī viharām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sukhamasmī’ti pajānāti. bahiddhā, ānanda, bhikkhu cittaṃ appaṇidhāya ‘appaṇihitaṃ me bahiddhā cittan’ti pajānāti. atha pacchāpure ‘asaṃkhittaṃ vimuttaṃ appaṇihitan’ti pajānāti. atha ca pana ‘citte cittānupassī viharām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sukhamasmī’ti pajānāti. bahiddhā, ānanda, bhikkhu cittaṃ appaṇidhāya ‘appaṇihitaṃ me bahiddhā cittan’ti pajānāti. atha pacchāpure ‘asaṃkhittaṃ vimuttaṃ appaṇihitan’ti pajānāti. atha ca pana ‘dhammesu dhammānupassī viharām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sukhamasmī’ti pajānāti. evaṃ kho, ānanda, appaṇidhāya bhāvanā hoti. 

아난다여, 비구는 심(心)을 밖으로 향하지 않게 하면서 '나의 심(心)은 밖으로 향하지 않는다.'라고 분명히 안다. 그러면 선후(先後)가 ‘축약되지 않고, 풀려났고[해탈(解脫)], 향하지 않았다.'라고 분명히 안다. 다시 그는 '나는 수(受)에서 수(受)를 놓치지 않고 관찰하며 머문다. ātāpī sampajāno satimā하여 나는 행복하다.'라고 분명히 안다. 

아난다여, 비구는 심(心)을 밖으로 향하지 않게 하면서 '나의 심(心)은 밖으로 향하지 않는다.'라고 분명히 안다. 그러면 선후(先後)가 ‘축약되지 않고, 풀려났고[해탈(解脫)], 향하지 않았다.'라고 분명히 안다. 다시 그는 '나는 심(心)에서 심(心)을 놓치지 않고 관찰하며 머문다. ātāpī sampajāno satimā하여 나는 행복하다.'라고 분명히 안다. 

아난다여, 비구는 심(心)을 밖으로 향하지 않게 하면서 '나의 심(心)은 밖으로 향하지 않는다.'라고 분명히 안다. 그러면 선후(先後)가 ‘축약되지 않고, 풀려났고[해탈(解脫)], 향하지 않았다.'라고 분명히 안다. 다시 그는 '나는 법(法)에서 법(法)을 놓치지 않고 관찰하며 머문다. ātāpī sampajāno satimā하여 나는 행복하다.'라고 분명히 안다. 

아난다여, 이와 같이 향하지 않게 하는 수행이 있다."
 
iti kho, ānanda, desitā mayā paṇidhāya bhāvanā, desitā appaṇidhāya bhāvanā.

"아난다여, 이처럼 나는 향하게 하는 수행도 설하였고 향하지 않게 하는 수행도 설하였다."
 
yaṃ, ānanda, satthārā karaṇīyaṃ sāvakānaṃ hitesinā anukampakena anukampaṃ upādāya, kataṃ vo taṃ mayā. etāni, ānanda, rukkhamūlāni, etāni suññāgārāni! jhāyathānanda, mā pamādattha; mā pacchā vippaṭisārino ahuvattha! ayaṃ vo amhākaṃ anusāsanī”ti. 

"아난다여, 항상 제자들의 이익을 기원하며 제자들을 연민하는 스승이 마땅히 해야 할 바를 이제 나는 연민으로 그대들에게 하였다. 아난다여, 여기 나무 밑이 있다. 여기 빈집들이 있다. 선(禪)을 하라, 아난다여, 방일하지 마라. 나중에 후회하지 마라. 이것이 참으로 우리의 교본(敎本)이다."
 
idamavoca bhagavā. attamano āyasmā ānando bhagavato bhāsitaṃ abhinandīti.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아난다 존자는 아주 기뻐서 세존의 말씀을 즐거워하였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