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교리공부 > 가르침의 근본

가르침의 근본

법에 머무는 자 경1(A5:73)[paṭhamadhammavihārīsuttaṃ]

0 444 2017.09.25 22:08

법에 머무는 자 경1(A5:73)[paṭhamadhammavihārīsuttaṃ]


atha kho aññataro bhikkhu yena bhagavā tenupasaṅkami; upasaṅkamitvā bhagavantaṃ abhivādetvā ekamantaṃ nisīdi. ekamantaṃ nisinno kho so bhikkhu bhagavantaṃ etadavoca “‘dhammavihārī, dhammavihārī’ti, bhante, vuccati. kittāvatā nu kho, bhante, bhikkhu dhammavihārī hotī”ti?

그때 어떤 비구가 세존께 다가갔다. 가서는 세존께 절을 올리고 한 곁에 앉았다. 한 곁에 앉은 그 비구는 세존께 이렇게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법에 머무는 자, 법에 머무는 자'라고들 합니다. 세존이시여, 어떤 자가 법에 머무는 자입니까?"

“idha, bhikkhu, bhikkhu dhammaṃ pariyāpuṇāti suttaṃ, geyyaṃ, veyyākaraṇaṃ, gāthaṃ, udānaṃ, itivuttakaṃ, jātakaṃ, abbhutadhammaṃ, vedallaṃ. so tāya dhammapariyattiyā divasaṃ atināmeti, riñcati paṭisallānaṃ, nānuyuñjati ajjhattaṃ cetosamathaṃ(*). ayaṃ vuccati, bhikkhu ‘bhikkhu pariyattibahulo, no dhammavihārī’”.

(*) cetosamatha는 게송에 쓰인 한 번의 경우를 제외하면 모든 용례에서 ajjhattaṃ cetosamatha로 나타납니다. ‘내적인 마음의 사마타라는 하나의 개념으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할 것입니다.

"비구여, 여기 비구는 경(), 응송(應頌), 상세한 설명[記別, 授記], 게송(偈頌), 감흥어(感興語), 여시어(如是語), 본생담(本生譚), 미증유법(未曾有法), 문답[方等]이라는 [아홉 가지] 가르침을 완전히 배운다. 그는 이런 가르침을 완전히 배우는 것으로 하루 종일을 보내고, 홀로 앉음을 소홀히 하여 내적인 마음의 사마타를 매진하지 않는다. 비구여, 이 비구는 배움은 많지만 법에 머무는 자라고 하지 않는다."

“puna caparaṃ, bhikkhu, bhikkhu yathāsutaṃ yathāpariyattaṃ dhammaṃ vitthārena paresaṃ deseti. so tāya dhammapaññattiyā divasaṃ atināmeti, riñcati paṭisallānaṃ, nānuyuñjati ajjhattaṃ cetosamathaṃ. ayaṃ vuccati, bhikkhu ‘bhikkhu paññattibahulo, no dhammavihārī’”.

"비구여, 다시 비구는 들은 대로 완전히 배운 대로 남들에게 자세하게 법을 설한다. 그는 이런 법을 이해시키는 것으로 하루 종일을 보내고, 홀로 앉음을 소홀히 하여 내적인 마음의 사마타를 매진하지 않는다. 비구여, 이 비구는 이해시킴은 많지만 법에 머무는 자라고는 하지 않는다."

“puna caparaṃ, bhikkhu, bhikkhu yathāsutaṃ yathāpariyattaṃ dhammaṃ vitthārena sajjhāyaṃ karoti. so tena sajjhāyena divasaṃ atināmeti, riñcati paṭisallānaṃ, nānuyuñjati ajjhattaṃ cetosamathaṃ. ayaṃ vuccati, bhikkhu ‘bhikkhu sajjhāyabahulo, no dhammavihārī’”.

"비구여, 다시 비구는 비구가 들은 대로 완전히 배운 대로 상세하게 공부한다. 그는 이런 공부로 하루 종일을 보내고, 홀로 앉음을 소홀히 하여 내적인 마음의 사마타를 매진하지 않는다. 비구여, 이 비구는 공부는 많지만 법에 머무는 자라고는 하지 않는다."

“puna caparaṃ, bhikkhu, bhikkhu yathāsutaṃ yathāpariyattaṃ dhammaṃ cetasā anuvitakketi anuvicāreti manasānupekkhati. so tehi dhammavitakkehi divasaṃ atināmeti, riñcati paṭisallānaṃ, nānuyuñjati ajjhattaṃ cetosamathaṃ. ayaṃ vuccati, bhikkhu ‘bhikkhu vitakkabahulo, no dhammavihārī’”.

"비구여, 다시 비구는 비구가 들은 대로 완전히 배운 대로 법을 심()으로 계속해서 vitakka하고 계속해서 vicāra한다. 그는 이런 법의 vitakka로 하루 종일을 보내고, 홀로 앉음을 소홀히 하여 내적인 마음의 사마타를 매진하지 않는다. 비구여, 이 비구는 vitakka는 많지만 법에 머무는 자라고는 하지 않는다."

“idha, bhikkhu, bhikkhu dhammaṃ pariyāpuṇāti suttaṃ, geyyaṃ, veyyākaraṇaṃ, gāthaṃ, udānaṃ, itivuttakaṃ, jātakaṃ, abbhutadhammaṃ, vedallaṃ. so tāya dhammapariyattiyā na divasaṃ atināmeti, nāpi riñcati paṭisallānaṃ, anuyuñjati ajjhattaṃ cetosamathaṃ. evaṃ kho, bhikkhu, bhikkhu dhammavihārī hoti.

"비구여, 여기 비구는 경(), 응송(應頌), 상세한 설명[記別, 授記], 게송(偈頌), 감흥어(感興語), 여시어(如是語), 본생담(本生譚), 미증유법(未曾有法), 문답[方等]이라는 [아홉 가지] 가르침을 배운다. 그는 이런 가르침을 완전히 배우는 것으로 하루 종일을 보내지 않고 홀로 앉음을 소홀히 하지 않으며 내적인 마음의 사마타에 매진한다. 비구여, 이와 같은 자가 법에 머무는 자다."

“iti kho, bhikkhu, desito mayā pariyattibahulo, desito paññattibahulo, desito sajjhāyabahulo, desito vitakkabahulo, desito dhammavihārī.

"비구여, 이와 같이 나는 배움이 많은 비구에 대해서 설했고, 이해시킴이 많은 비구에 대해서 설했고, 상세한 공부가 많은 비구에 대해서 설했고, vitakka가 많은 비구에 대해서 설했고, 법에 머무는 비구에 대해서 설했다.

yaṃ kho, bhikkhu, satthārā karaṇīyaṃ sāvakānaṃ hitesinā anukampakena anukampaṃ upādāya, kataṃ vo taṃ mayā. etāni, bhikkhu, rukkhamūlāni, etāni suññāgārāni. jhāyatha, bhikkhu, mā pamādattha, mā pacchā vippaṭisārino ahuvattha. ayaṃ vo amhākaṃ anusāsanī”ti.

"아난다, 항상 제자들의 이익을 기원하며 제자들을 연민하는 스승이 마땅히 해야 할 바를 이제 나는 연민으로 그대들에게 하였다. 아난다여, 여기 나무 밑이 있다. 여기 빈집들이 있다. ()을 하라, 아난다여, 방일하지 마라. 나중에 후회하지 마라. 이것이 참으로 우리의 교본(敎本)이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