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교리공부 > 가르침의 근본

가르침의 근본

가르침의 근본 1 - 우리의 이어지는 가르침[사띠-삼빠자나](해피스님 200108)

가르침의 근본 1 - 우리의 이어지는 가르침[사띠-삼빠자나](해피스님 200108)

[동영상] https://youtu.be/GaqUF3sP6S8

 

ayaṃ vo amhākaṃ anusāsanī - 이것이 그대들을 위한 우리의 교본(敎本)이다.’라는 문장을 포함한 용례 경전의 공부를 시작하였습니다. anusāsanīanu-sāsanī 이어지는 가르침인데, amhākaṃ이 복수격이기 때문에 부처님 개인이 주는 당부 또는 가르침이기보다는 우리가 함께 지켜나가야 하는 기준으로의 지시 또는 명령입니다. → 「불교(佛敎)라는 이름의 우리에게 공통된 이어지는 가르침

 

이 용례는

 

①「ayaṃ vo amhākaṃ anusāsanī - 이것이 그대들을 위한 우리의 교본(敎本)이다.

 

②「yaṃ, bhikkhave, satthārā karaṇīyaṃ sāvakānaṃ hitesinā anukampakena anukampaṃ upādāya, kataṃ vo taṃ mayā. etāni, bhikkhave, rukkhamūlāni, etāni suññāgārāni; jhāyatha, bhikkhave, mā pamādattha; mā pacchā vippaṭisārino ahuvattha. ayaṃ vo amhākaṃ anusāsanī 비구들이여, 제자들을 위해 베푸는 자인 스승이 행해야 하는 것을, 연민하기 때문에, 나는 그대들을 위해서 했다. 비구들이여, 나무 밑이 있고, 빈집이 있다. 비구들이여, ()을 하라. 방일(放逸)하지 마라. 나중에 뉘우침이 있게 하지 마라. 이것이 그대들을 위한 우리의 교본(敎本)이다.

 

의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납니다. 이외에 ③「anusāsanīpāṭihāriya 교본(敎本)의 비범(非凡)의 용례가 있습니다.

 

이때, 의 용례는 sati[사념처(四念處)]sati-sampajāna[()-정지(正知)]의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나는데, sampajāna는 다시

 

신념처(身念處)에 속하는 행위의 판단[sampajānakārī hoti]

 

삼매수행에 속하는 법()의 위빳사나(dhammavipassanā)[viditā (vedanā-saññā-vitakka) uppajjanti, viditā upaṭṭhahanti, viditā abbhatthaṃ gacchanti]

 

의 두 가지 형태입니다.

 

이 내용은 삼매수행(三昧修行)에 대한 이해 즉 수행지도(修行地圖) 위에서 설명됩니다. sati의 강화 즉 사념처(四念處)는 바른 삼매[정정(正定)]의 성취를 위한 필수품의 과정으로부터 sati의 완성[염오(厭惡)] 즉 사띠토대(satiāyatana)의 구축까지를 영역으로 합니다. 그리고 사띠토대(satiāyatana) 위에서 사마타[이탐(離貪)]-위빳사나[소멸(消滅)]의 과정을 통해 깨달음은 성취됩니다. 이때, sampajānakārī는 바른 삼매의 성취를 위한 필수품의 과정이고, dhammavipassanā는 삼매 위에서 드러나는 법을 관찰하여 여실지견(如實知見)으로 이끄는 과정입니다. 즉 사념처(四念處)의 과정 안에 두 가지 sampajāna[정지(正知)]가 속해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사념처(四念處)는 독자적으로 anusāsanī(이어지는 가르침)이기도 하고, 이 과정의 보충 설명을 위해 두 군데를 지시하는 sampajāna와 짝을 이루는 두 가지 형태로서 anusāsanī이기도 한 것입니다. 그렇다면 가르침의 중심에 있는 것, 그 근본은 무엇입니까? 바로 사념처(四念處)이고, sampajāna와 짝을 이루어 함께하는 수행의 과정입니다. 이것 아니고는 깨달음으로 나아갈 수 없다는 것을 분명히 알아야 하겠습니다.

이어지는 가르침(sati sampajana)의 시각적 이해001.jpg

Comments

대원행 2023.08.16 23:17
http://www.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3&wr_id=362 참조 (초기불교 백일법문(독송 및 개론) - (6-7)satisuttaṃ (SN 47.44-사띠 경)[이어지는 가르침 - 1)sato(사념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