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교리공부 > 윤회(輪迴)

윤회(輪迴)

전적으로 완전하게 어리석은 법 - [자아와 자아에 속하는 것은 서로 조건됨](M22)

0 392 2017.08.31 12:10
● MN 1, 3. opammavaggo, 2. alagaddūpamasuttaṃ (MN 22.1)[뱀의 비유 경]

“taṃ, bhikkhave, pariggahaṃ pariggaṇheyyātha, yvāssa pariggaho nicco dhuvo sassato avipariṇāmadhammo, sassatisamaṃ tatheva tiṭṭheyya. passatha no tumhe, bhikkhave, taṃ pariggahaṃ yvāssa pariggaho nicco dhuvo sassato avipariṇāmadhammo, sassatisamaṃ tatheva tiṭṭheyyā”ti? “no hetaṃ, bhante”. “sādhu, bhikkhave. ahampi kho taṃ, bhikkhave, pariggahaṃ na samanupassāmi yvāssa pariggaho nicco dhuvo sassato avipariṇāmadhammo sassatisamaṃ tatheva tiṭṭheyya.

'비구들이여, 상(常)하고 안정되고 영원하고 변하지 아니하여 영원토록 진실하게 머무는 소유물이 있다면 그대들은 그 소유물을 붙잡아야 할 것이다. 비구들이여, 그대들은 상(常)하고 안정되고 영원하고 변하지 아니하여 영원토록 진실하게 머무는 그런 소유물을 보는가?" "아닙니다, 대덕이시여." "장하구나, 비구들이여, 나도 역시 상(常)하고 안정되고 영원하고 변하지 아니하여 영원토록 진실하게 머무는 그런 소유물을 보지 못한다.

“taṃ, bhikkhave, attavādupādānaṃ upādiyetha, yaṃsa attavādupādānaṃ upādiyato na uppajjeyyuṃ sokaparidevadukkhadomanassupāyāsā. passatha no tumhe, bhikkhave, taṃ attavādupādānaṃ yaṃsa attavādupādānaṃ upādiyato na uppajjeyyuṃ sokaparidevadukkhadomanassupāyāsā”ti? “no hetaṃ, bhante”. “sādhu, bhikkhave. ahampi kho taṃ, bhikkhave, attavādupādānaṃ na samanupassāmi yaṃsa attavādupādānaṃ upādiyato na uppajjeyyuṃ sokaparidevadukkhadomanassupāyāsā.

비구들이여, 집착할 때 슬픔-비탄-고통-고뇌-절망을 일으키지 않는 자아의 교리에 대한 집착이 있다면 그대들은 그런 자아의 교리를 집착해야 할 것이다. 비구들이여, 그대들은 집착할 때 슬픔-비탄-고통-고뇌-절망을 일으키지 않는 그런 자아의 교리에 대한 집착을 보는가?" "아닙니다, 대덕이시여." "장하구나, 비구들이여. 나도 집착할 때 슬픔-비탄-고통-고뇌-절망을 일으키지 않는 자아의 교리에 대한 집착을 보지 못한다.

“taṃ, bhikkhave, diṭṭhinissayaṃ nissayetha yaṃsa diṭṭhinissayaṃ nissayato na uppajjeyyuṃ sokaparidevadukkhadomanassupāyāsā. passatha no tumhe, bhikkhave, taṃ diṭṭhinissayaṃ yaṃsa diṭṭhinissayaṃ nissayato na uppajjeyyuṃ sokaparidevadukkhadomanassupāyāsā”ti? “no hetaṃ, bhante”. “sādhu, bhikkhave. ahampi kho taṃ, bhikkhave, diṭṭhinissayaṃ na samanupassāmi yaṃsa diṭṭhinissayaṃ nissayato na uppajjeyyuṃ sokaparidevadukkhadomanassupāyāsā”.

비구들이여, 부대(附帶)할 때 슬픔-비탄-고통-고뇌-절망을 일으키지 않는 견해의 부대(附帶)가 있다면 그대들은 그런 견해를 부대(附帶)해야 할 것이다. 비구들이여, 그대들은 부대(附帶)할 때 슬픔-비탄-고통-고뇌-절망을 일으키지 않는 견해의 부대(附帶)를 보는가?" "아닙니다, 대덕이시여." "장하구나, 비구들이여. 나도 부대(附帶)할 때 슬픔-비탄-고통-고뇌-절망을 일으키지 않는 견해의 부대(附帶)을 보지 못한다.

(*) 부대하다(附帶--) [동사] 기본이 되는 것에 곁달아 덧붙이다.

“attani vā, bhikkhave, sati attaniyaṃ me ti assā”ti? “evaṃ, bhante”. “attaniye vā, bhikkhave, sati attā me ti assā”ti? “evaṃ, bhante”. “attani ca, bhikkhave, attaniye ca saccato thetato anupalabbhamāne, yampi taṃ diṭṭhiṭṭhānaṃ — ‘so loko so attā, so pecca bhavissāmi nicco dhuvo sassato avipariṇāmadhammo, sassatisamaṃ tatheva ṭhassāmī’ti — nanāyaṃ, bhikkhave, kevalo paripūro bāladhammo’”ti? “kiñhi no siyā, bhante, kevalo hi, bhante, paripūro bāladhammo”ti. 

"비구들이여, 자아가 있을 때 나의 자아에 속하는 것이 있는가?" "그렇습니다, 대덕이시여." "비구들이여, 자아에 속하는 것이 있을 때 나의 자아가 있는가?" "그렇습니다, 대덕이시여." "비구들이여, 그러나 자아도 자아에 속하는 것도 진실하고 확고하게 존재하지 않을 때에, '이것이 세계다, 이것이 자아다. 그는 죽은 뒤에 상(常)하고 안정되고 영원하고 변하지 아니하여 영원토록 진실하게 머물 것이다.’라는 견해의 토대는, 비구들이여, 전적으로 완전하게 어리석은 법이 아니겠는가?" "어찌 그렇지 않겠습니까? 세존이시여, 그것은 전적으로 완전하게 어리석은 법입니다."

“taṃ kiṃ maññatha, bhikkhave, rūpaṃ niccaṃ vā aniccaṃ vā”ti? “aniccaṃ, bhante”. “yaṃ panāniccaṃ, dukkhaṃ vā taṃ sukhaṃ vā”ti? “dukkhaṃ, bhante”. “yaṃ panāniccaṃ dukkhaṃ vipariṇāmadhammaṃ, kallaṃ nu taṃ samanupassituṃ — etaṃ mama, esohamasmi, eso me attā”ti? “no hetaṃ, bhante”.

“비구들이여, 어떻게 생각하는가, 색(色)은 상(常)한가 무상(無常)한가?” “무상(無常)합니다, 대덕이시여.” “그러면 무상(無常)한 것은 고(苦)인가 락(樂)인가?” “고(苦)입니다, 대덕이시여.” “그러면 무상(無常)하고 고(苦)이고 변하는 것을 ‘이것은 나의 것이다. 이것이 나다. 이것이 나의 자아다.’라고 보는 것이 타당한가?” “아닙니다, 대덕이시여.”

“taṃ kiṃ maññatha, bhikkhave, vedanā ... pe ... saññā... saṅkhārā... viññāṇaṃ niccaṃ vā aniccaṃ vā”ti? “aniccaṃ, bhante”. “yaṃ panāniccaṃ, dukkhaṃ vā taṃ sukhaṃ vā”ti? “dukkhaṃ, bhante”. “yaṃ panāniccaṃ dukkhaṃ vipariṇāmadhammaṃ, kallaṃ nu taṃ samanupassituṃ — etaṃ mama, esohamasmi, eso me attā”ti? “no hetaṃ, bhante”.

“비구들이여, 어떻게 생각하는가, 수(受)는 … 상(想)은 … 행(行)은 … 식(識)은 상(常)한가 무상(無常)한가?” “무상(無常)합니다, 대덕이시여.” “그러면 무상(無常)한 것은 고(苦)인가 락(樂)인가?” “고(苦)입니다, 대덕이시여.” “그러면 무상(無常)하고 고(苦)이고 변하는 것을 ‘이것은 나의 것이다. 이것이 나다. 이것이 나의 자아다.’라고 보는 것이 타당한가?” “아닙니다, 대덕이시여.”

“tasmātiha, bhikkhave, yaṃ kiñci rūpaṃ atītānāgatapaccuppannaṃ, ajjhattaṃ vā bahiddhā vā, oḷārikaṃ vā sukhumaṃ vā, hīnaṃ vā paṇītaṃ vā, yaṃ dūre santike vā, sabbaṃ rūpaṃ ‘netaṃ mama, nesohamasmi, na meso attā’ti — evametaṃ yathābhūtaṃ sammappaññāya daṭṭhabbaṃ. yā kāci vedanā ... pe ... yā kāci saññā... ye keci saṅkhārā... yaṃ kiñci viññāṇaṃ atītānāgatapaccuppannaṃ, ajjhattaṃ vā bahiddhā vā, oḷārikaṃ vā sukhumaṃ vā, hīnaṃ vā paṇītaṃ vā, yaṃ dūre santike vā, sabbaṃ viññāṇaṃ ‘netaṃ mama, nesohamasmi, na meso attā’ti — evametaṃ yathābhūtaṃ sammappaññāya daṭṭhabbaṃ”.

“그러므로 비구들이여, 과거의 것이든 미래의 것이든 현재의 것이든 안의 것이든 밖의 것이든 거칠든 미세하든 저열하든 수승하든 멀리 있든 가까이 있든 어떤 색(色)이든 모든 색(色)을 '이것은 내 것이 아니다. 이것은 내가 아니다. 이것은 나의 자아가 아니다.'라고 이렇게 이것을 있는 그대로 바른 지혜로써 보아야 한다. 어떤 수(受)든 … 어떤 상(想)이든 … 어떤 행(行)이든 … 과거의 것이든 미래의 것이든 현재의 것이든 안의 것이든 밖의 것이든 거칠든 미세하든 저열하든 수승하든 멀리 있든 가까이 있든 어떤 식(識)이든 모든 식(識)을 '이것은 내 것이 아니다. 이것은 내가 아니다. 이것은 나의 자아가 아니다.'라고 이렇게 이것을 있는 그대로 바른 지혜로써 보아야 한다. 

“evaṃ passaṃ, bhikkhave, sutavā ariyasāvako rūpasmiṃ nibbindati, vedanāya nibbindati, saññāya nibbindati, saṅkhāresu nibbindati, viññāṇasmiṃ nibbindati, nibbidā virajjati, virāgā vimuccati, vimuttasmiṃ vimuttamiti ñāṇaṃ hoti. ‘khīṇā jāti, vusitaṃ brahmacariyaṃ, kataṃ karaṇīyaṃ, nāparaṃ itthattāyā’ti pajānāti.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보면서 잘 배운 성스러운 제자는 색(色)에 대해 염오(厭惡)하고 수(受)에 대해 염오하고 상(想)에 대해 염오하고 행(行)에 대해 염오하고 식(識)에 대해 염오한다. 염오하기 때문에 이탐(離貪)하고, 이탐 하기 때문에 해탈(解脫)한다. 해탈했을 때 해탈했다는 앎이 있다. ‘태어남은 다했다. 범행은 완성되었다. 해야 할 일을 했다. 다음에는 현재 상태[유(有)]가 되지 않는다.’라고 분명히 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