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교리공부 > 윤회(輪迴)

윤회(輪迴)

「attā vā attaniyaṃ vā」의 용례

0 332 2017.08.31 12:16

「attā vā attaniyaṃ vā」의 용례


● MN 1, 3. opammavaggo, 2. alagaddūpamasuttaṃ (MN 22.1),

“tasmātiha, bhikkhave, yaṃ na tumhākaṃ taṃ pajahatha; taṃ vo pahīnaṃ dīgharattaṃ hitāya sukhāya bhavissati. kiñca, bhikkhave, na tumhākaṃ? rūpaṃ, bhikkhave, na tumhākaṃ, taṃ pajahatha; taṃ vo pahīnaṃ dīgharattaṃ hitāya sukhāya bhavissati. vedanā, bhikkhave, na tumhākaṃ, taṃ pajahatha; sā vo pahīnā dīgharattaṃ hitāya sukhāya bhavissati. saññā, bhikkhave, na tumhākaṃ, taṃ pajahatha; sā vo pahīnā dīgharattaṃ hitāya sukhāya bhavissati. saṅkhārā, bhikkhave, na tumhākaṃ, te pajahatha; te vo pahīnā dīgharattaṃ hitāya sukhāya bhavissanti. viññāṇaṃ, bhikkhave, na tumhākaṃ, taṃ pajahatha; taṃ vo pahīnaṃ dīgharattaṃ hitāya sukhāya bhavissati. 

“그러므로 비구들이여, 그대들의 것이 아닌 것을 버려라. 그것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오랫동안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그대들의 것이 아닌 것인가? 비구들이여, 색(色)은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그것을 버려라. 그것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오랫동안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비구들이여, 수(受)는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그것을 버려라. 그것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오랫동안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비구들이여, 상(想)은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그것을 버려라. 그것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오랫동안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비구들이여, 행(行)은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그것을 버려라. 그것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오랫동안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비구들이여, 식(識)은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그것을 버려라. 그것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오랫동안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taṃ kiṃ maññatha, bhikkhave, yaṃ imasmiṃ jetavane tiṇakaṭṭhasākhāpalāsaṃ, taṃ jano hareyya vā daheyya vā yathāpaccayaṃ vā kareyya. api nu tumhākaṃ evamassa — ‘amhe jano harati vā dahati vā yathāpaccayaṃ vā karotī’ti? “no hetaṃ, bhante”. “taṃ kissa hetu”? “na hi no etaṃ, bhante, attā vā attaniyaṃ vā”ti. “evameva kho, bhikkhave, yaṃ na tumhākaṃ taṃ pajahatha; taṃ vo pahīnaṃ dīgharattaṃ hitāya sukhāya bhavissati. kiñca, bhikkhave, na tumhākaṃ? rūpaṃ, bhikkhave, na tumhākaṃ, taṃ pajahatha; taṃ vo pahīnaṃ dīgharattaṃ hitāya sukhāya bhavissati. vedanā, bhikkhave . pe . saññā, bhikkhave. saṅkhārā, bhikkhave . pe . viññāṇaṃ, bhikkhave, na tumhākaṃ, taṃ pajahatha; taṃ vo pahīnaṃ dīgharattaṃ hitāya sukhāya bhavissati. 

비구들이여, 사람이 여기 제따 숲에서 풀과 나무 조각과 가지와 잎사귀들을 가져가거나 불태우거나 어떻게든 할 것이다. 그러면 그대들은 ‘사람이 우리를 붙잡아가거나 불태우거나 우리를 어떻게든 한다.’라고 그렇게 생각하겠는가?” “아닙니다, 대덕이시여.” “그것은 무슨 까닭인가?” “대덕이시여, 그것은 나도 아니고, 나에게 속한 것도 아니기 때문입니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그대들의 것이 아닌 것을 버려라. 그것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오랫동안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그대들의 것이 아닌 것인가? 비구들이여, 색(色)은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그것을 버려라. 그것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오랫동안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비구들이여, 수(受)는 … 상(想)은 … 행(行)은 … 비구들이여, 식(識)은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그것을 버려라. 그것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오랫동안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 SN 3, 1. khandhasaṃyuttaṃ, 4. natumhākaṃvaggo, 1. natumhākaṃsuttaṃ (SN 22.33),
 
“seyyathāpi, bhikkhave, yaṃ imasmiṃ jetavane tiṇakaṭṭhasākhāpalāsaṃ taṃ jano hareyya vā ḍaheyya vā yathāpaccayaṃ vā kareyya. api nu tumhākaṃ evamassa — ‘amhe jano harati vā ḍahati vā yathāpaccayaṃ vā karotī’”ti? “no hetaṃ, bhante”. “taṃ kissa hetu”? “na hi no etaṃ, bhante, attā vā attaniyaṃ vā”ti. “evameva kho, bhikkhave, rūpaṃ na tumhākaṃ, taṃ pajahatha. taṃ vo pahīnaṃ hitāya sukhāya bhavissati. vedanā na tumhākaṃ, taṃ pajahatha. sā vo pahīnā hitāya sukhāya bhavissati. saññā na tumhākaṃ. saṅkhārā na tumhākaṃ. viññāṇaṃ na tumhākaṃ, taṃ pajahatha. taṃ vo pahīnaṃ hitāya sukhāya bhavissatī”ti. 

비구들이여, 말하자면 사람이 여기 제따 숲에서 풀과 나무 조각과 가지와 잎사귀들을 가져가거나 불태우거나 어떻게든 할 것이다. 그러면 그대들은 ‘사람이 우리를 붙잡아가거나 불태우거나 우리를 어떻게든 한다.’라고 하겠는가?” “아닙니다, 대덕이시여.” “그것은 무슨 까닭인가?” “대덕이시여, 그것은 나도 아니고, 나에게 속한 것도 아니기 때문입니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색(色)은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그것을 버려라. 그것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비구들이여, 수(受)는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그것을 버려라. 그것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상(想)은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 행(行)은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 비구들이여, 식(識)은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그것을 버려라. 그것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 SN 4, 1. saḷāyatanasaṃyuttaṃ, 10. saḷavaggo, 8. paṭhamanatumhākaṃsuttaṃ (SN 35.84), 
 
“yaṃ, bhikkhave, na tumhākaṃ, taṃ pajahatha. taṃ vo pahīnaṃ hitāya sukhāya bhavissati. kiñca, bhikkhave, na tumhākaṃ? cakkhu, bhikkhave, na tumhākaṃ. taṃ pajahatha. taṃ vo pahīnaṃ hitāya sukhāya bhavissati. rūpā na tumhākaṃ. te pajahatha. te vo pahīnā hitāya sukhāya bhavissanti. cakkhuviññāṇaṃ na tumhākaṃ. taṃ pajahatha. taṃ vo pahīnaṃ hitāya sukhāya bhavissati. cakkhusamphasso na tumhākaṃ. taṃ pajahatha. so vo pahīno hitāya sukhāya bhavissati. yampidaṃ cakkhusamphassapaccayā uppajjati vedayitaṃ sukhaṃ vā dukkhaṃ vā adukkhamasukhaṃ vā tampi na tumhākaṃ. taṃ pajahatha. taṃ vo pahīnaṃ hitāya sukhāya bhavissati. 

“비구들이여, 그대들의 것이 아닌 것을 버려라. 그것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그대들의 것이 아닌 것인가? 비구들이여, 안(眼)은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그것을 버려라. 그것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색(色)들은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그것들을 버려라. 그것들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안식(眼識)은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그것을 버려라. 그것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안촉(眼觸)은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그것을 버려라. 그것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안촉(眼觸)을 조건으로 생겨나는 락(樂)-고(苦)-불고불락(不苦不樂)의 이 경험도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그것을 버려라. 그것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sotaṃ na tumhākaṃ. taṃ pajahatha. taṃ vo pahīnaṃ hitāya sukhāya bhavissati. saddā na tumhākaṃ. te pajahatha. te vo pahīnā hitāya sukhāya bhavissanti. sotaviññāṇaṃ na tumhākaṃ. taṃ pajahatha. taṃ vo pahīnaṃ hitāya sukhāya bhavissati. sotasamphasso na tumhākaṃ. taṃ pajahatha. so vo pahīnā hitāya sukhāya bhavissati. yampidaṃ sotasamphassapaccayā uppajjati vedayitaṃ sukhaṃ vā dukkhaṃ vā adukkhamasukhaṃ vā tampi na tumhākaṃ. taṃ pajahatha. taṃ vo pahīnaṃ hitāya sukhāya bhavissati. 

이(耳)는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그것을 버려라. 그것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성(聲)들은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그것들을 버려라. 그것들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이식(耳識)은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그것을 버려라. 그것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이촉(耳觸)은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그것을 버려라. 그것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이촉(耳觸)을 조건으로 생겨나는 락(樂)-고(苦)-불고불락(不苦不樂)의 이 경험도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그것을 버려라. 그것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ghānaṃ na tumhākaṃ. taṃ pajahatha. taṃ vo pahīnaṃ hitāya sukhāya bhavissati. gandhā na tumhākaṃ. te pajahatha. te vo pahīnā hitāya sukhāya bhavissanti. ghānaviññāṇaṃ na tumhākaṃ. taṃ pajahatha. taṃ vo pahīnaṃ hitāya sukhāya bhavissati. ghānasamphasso na tumhākaṃ. taṃ pajahatha. so vo pahīnā hitāya sukhāya bhavissati. yampidaṃ ghānasamphassapaccayā uppajjati vedayitaṃ sukhaṃ vā dukkhaṃ vā adukkhamasukhaṃ vā tampi na tumhākaṃ. taṃ pajahatha. taṃ vo pahīnaṃ hitāya sukhāya bhavissati.

비(鼻)는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그것을 버려라. 그것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향(香)들은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그것들을 버려라. 그것들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비식(鼻識)은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그것을 버려라. 그것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비촉(鼻觸)은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그것을 버려라. 그것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비촉(鼻觸)을 조건으로 생겨나는 락(樂)-고(苦)-불고불락(不苦不樂)의 이 경험도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그것을 버려라. 그것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jivhā na tumhākaṃ. taṃ pajahatha. sā vo pahīnā hitāya sukhāya bhavissati. rasā na tumhākaṃ. te pajahatha. te vo pahīnā hitāya sukhāya bhavissanti. jivhāviññāṇaṃ na tumhākaṃ. taṃ pajahatha. taṃ vo pahīnaṃ hitāya sukhāya bhavissati. jivhāsamphasso na tumhākaṃ. taṃ pajahatha. so vo pahīnā hitāya sukhāya bhavissati. yampidaṃ jivhāsamphassapaccayā uppajjati vedayitaṃ sukhaṃ vā dukkhaṃ vā adukkhamasukhaṃ vā tampi na tumhākaṃ. taṃ pajahatha. taṃ vo pahīnaṃ hitāya sukhāya bhavissati ... pe ....

설(舌)은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그것을 버려라. 그것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미(味)들은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그것들을 버려라. 그것들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설식(舌識)은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그것을 버려라. 그것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설촉(舌觸)은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그것을 버려라. 그것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설촉(舌觸)을 조건으로 생겨나는 락(樂)-고(苦)-불고불락(不苦不樂)의 이 경험도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그것을 버려라. 그것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

mano na tumhākaṃ. taṃ pajahatha. so vo pahīno hitāya sukhāya bhavissati. dhammā na tumhākaṃ. te pajahatha. te vo pahīnā hitāya sukhāya bhavissanti. manoviññāṇaṃ na tumhākaṃ. taṃ pajahatha. taṃ vo pahīnaṃ hitāya sukhāya bhavissati. manosamphasso na tumhākaṃ. taṃ pajahatha. so vo pahīno hitāya sukhāya bhavissati. yampidaṃ manosamphassapaccayā uppajjati vedayitaṃ sukhaṃ vā dukkhaṃ vā adukkhamasukhaṃ vā tampi na tumhākaṃ. taṃ pajahatha. taṃ vo pahīnaṃ hitāya sukhāya bhavissati.

의(意)는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그것을 버려라. 그것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법(法)들은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그것들을 버려라. 그것들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의식(意識)은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그것을 버려라. 그것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의촉(意觸)은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그것을 버려라. 그것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의촉(意觸)을 조건으로 생겨나는 락(樂)-고(苦)-불고불락(不苦不樂)의 이 경험도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그것을 버려라. 그것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seyyathāpi, bhikkhave, yaṃ imasmiṃ jetavane tiṇakaṭṭhasākhāpalāsaṃ taṃ jano hareyya vā ḍaheyya vā yathāpaccayaṃ vā kareyya, api nu tumhākaṃ evamassa — ‘amhe jano harati vā ḍahati vā yathāpaccayaṃ vā karotī’”ti? “no hetaṃ, bhante”. “taṃ kissa hetu”? “na hi no etaṃ, bhante, attā vā attaniyaṃ vā”ti. “evameva kho, bhikkhave, cakkhu na tumhākaṃ. taṃ pajahatha. taṃ vo pahīnaṃ hitāya sukhāya bhavissati. rūpā na tumhākaṃ... cakkhuviññāṇaṃ... cakkhusamphasso ... pe ... yampidaṃ manosamphassapaccayā uppajjati vedayitaṃ sukhaṃ vā dukkhaṃ vā adukkhamasukhaṃ vā tampi na tumhākaṃ. taṃ pajahatha. taṃ vo pahīnaṃ hitāya sukhāya bhavissatī”ti.

비구들이여, 말하자면 사람이 여기 제따 숲에서 풀과 나무 조각과 가지와 잎사귀들을 가져가거나 불태우거나 어떻게든 할 것이다. 그러면 그대들은 ‘사람이 우리를 붙잡아가거나 불태우거나 우리를 어떻게든 한다.’라고 하겠는가?” “아닙니다, 대덕이시여.” “그것은 무슨 까닭인가?” “대덕이시여, 그것은 나도 아니고, 나에게 속한 것도 아니기 때문입니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안(眼)은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그것을 버려라. 그것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색(色)들은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 안식(眼識)은 … 안촉(眼觸)은 … 의촉(意觸)을 조건으로 생겨나는 락(樂)-고(苦)-불고불락(不苦不樂)의 이 경험도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그것을 버려라. 그것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 SN 4, 1. saḷāyatanasaṃyuttaṃ, 14. devadahavaggo, 5. paṭhamanatumhākaṃsuttaṃ (SN 35.121), 

“yaṃ, bhikkhave, na tumhākaṃ taṃ pajahatha. taṃ vo pahīnaṃ hitāya sukhāya bhavissati. kiñca, bhikkhave, na tumhākaṃ? cakkhu, bhikkhave, na tumhākaṃ; taṃ pajahatha. taṃ vo pahīnaṃ hitāya sukhāya bhavissati . pe . jivhā na tumhākaṃ; taṃ pajahatha. sā vo pahīnā hitāya sukhāya bhavissati . pe . mano na tumhākaṃ; taṃ pajahatha. so vo pahīno hitāya sukhāya bhavissati. seyyathāpi, bhikkhave, yaṃ imasmiṃ jetavane tiṇakaṭṭhasākhāpalāsaṃ taṃ jano hareyya vā ḍaheyya vā yathāpaccayaṃ vā kareyya, api nu tumhākaṃ evamassa — ‘amhe jano harati vā ḍahati vā yathāpaccayaṃ vā karotī’”ti? “no hetaṃ, bhante”. “taṃ kissa hetu”? “na hi no etaṃ, bhante, attā vā attaniyaṃ vā”ti. “evameva kho, bhikkhave, cakkhu na tumhākaṃ; taṃ pajahatha. taṃ vo pahīnaṃ hitāya sukhāya bhavissati . pe . jivhā na tumhākaṃ; taṃ pajahatha. sā vo pahīnā hitāya sukhāya bhavissati . pe . mano na tumhākaṃ; taṃ pajahatha. so vo pahīno hitāya sukhāya bhavissatī”ti.

“비구들이여, 그대들의 것이 아닌 것을 버려라. 그것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그대들의 것이 아닌 것인가? 비구들이여, 안(眼)은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그것을 버려라. 그것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 설(舌)은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그것을 버려라. 그것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 의(意)는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그것을 버려라. 그것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비구들이여, 말하자면 사람이 여기 제따 숲에서 풀과 나무 조각과 가지와 잎사귀들을 가져가거나 불태우거나 어떻게든 할 것이다. 그러면 그대들은 ‘사람이 우리를 붙잡아가거나 불태우거나 우리를 어떻게든 한다.’라고 하겠는가?” “아닙니다, 대덕이시여.” “그것은 무슨 까닭인가?” “대덕이시여, 그것은 나도 아니고, 나에게 속한 것도 아니기 때문입니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안(眼)은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그것을 버려라. 그것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 설(舌)은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그것을 버려라. 그것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 의(意)는 그대들의 것이 아니니 그것을 버려라. 그것을 버리면 그대들에게 이익과 행복이 될 것이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