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교리공부 > 윤회(輪迴)

윤회(輪迴)

「attena vā attaniyena vā」의 용례

0 391 2017.08.31 12:17

attena vā attaniyena vā의 용례

 

MN 1, 5. cūḷayamakavaggo, 3. mahāvedallasuttaṃ (MN 43.1),


“katamā cāvuso, suññatā cetovimutti”? 

 

도반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공심해탈(空心解脫)인가? 

 

“idhāvuso, bhikkhu araññagato vā rukkhamūlagato vā suññāgāragato vā iti paṭisañcikkhati suññamidaṃ attena vā attaniyena vā’ti. ayaṃ vuccatāvuso, suññatā cetovimutti”.

 

도반들이여, 여기 비구는 숲속에 가거나 나무 아래에 가거나 비어 있는 처소에 가서 이렇게 숙고한다. 자아[()]거나 자아에 속한 것은 공()하다.’라고. 도반들이여, 이것이 공심해탈(空心解脫)이라고 불린다.”

 

MN 3, 1. devadahavaggo, 6. āneñjasappāyasuttaṃ (MN 106.1),

 

“puna caparaṃ, bhikkhave, ariyasāvako araññagato vā rukkhamūlagato vā suññāgāragato vā iti paṭisañcikkhati ‘suññamidaṃ attena vā attaniyena vā’ti. tassa evaṃpaṭipannassa tabbahulavihārino āyatane cittaṃ pasīdati. sampasāde sati etarahi vā ākiñcaññāyatanaṃ samāpajjati paññāya vā adhimuccati kāyassa bhedā paraṃ maraṇā. ṭhānametaṃ vijjati yaṃ taṃsaṃvattanikaṃ viññāṇaṃ assa ākiñcaññāyatanūpagaṃ. ayaṃ, bhikkhave, dutiyā ākiñcaññāyatanasappāyā paṭipadā akkhāyati.

 

다시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는 숲속에 가거나 나무 아래에 가거나 비어 있는 처소에 가서 이렇게 숙고한다. 자아[()]거나 자아에 속한 것은 공()하다.’라고. 그의 이런 실천과 많이 머묾의 토대 위에서 심()은 청정해진다. 평정이 있을 때 그는 금생에서 무소유처를 증득하거나, 지혜에 의해 향해져서 몸이 무너져 죽은 뒤 그 도움 받은 식()이 무소유처(無所有處)에 이르는 그런 경우는 있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무소유처에 적합한 두 번째 실천이다." 

 

SN 4, 1. saḷāyatanasaṃyuttaṃ, 9. channavaggo, 2. suññatalokasuttaṃ (SN 35.68),

 

atha kho āyasmā ānando . pe . bhagavantaṃ etadavoca “‘suñño loko, suñño loko’ti, bhante, vuccati. kittāvatā nu kho, bhante, suñño lokoti vuccatī”ti? “yasmā ca kho, ānanda, suññaṃ attena vā attaniyena vā tasmā suñño lokoti vuccati. kiñca, ānanda, suññaṃ attena vā attaniyena vā? cakkhu kho, ānanda, suññaṃ attena vā attaniyena vā. rūpā suññā attena vā attaniyena vā, cakkhuviññāṇaṃ suññaṃ attena vā attaniyena vā, cakkhusamphasso suñño attena vā attaniyena vā . pe . yampidaṃ manosamphassapaccayā uppajjati vedayitaṃ sukhaṃ vā dukkhaṃ vā adukkhamasukhaṃ vā tampi suññaṃ attena vā attaniyena vā. yasmā ca kho, ānanda, suññaṃ attena vā attaniyena vā, tasmā suñño lokoti vuccatī”ti.

 

그때 아난다 존자가 세존께 이렇게 여쭈었다. 대덕이시여, ‘공한 세상, 공한 세상이라고 불립니다. 어떤 점에서 공한 세상이라고 합니까?” “아난다여, 자아[()]거나 자아에 속한 것이 공하므로 공한 세상이라고 불린다. 아난다여, 그러면 무엇이 자아거나 자아에 속한 것이 공한 것인가? 아난다여, ()은 자아거나 자아에 속한 것이 공하다. ()들은 자아거나 자아에 속한 것이 공하다. 안식(眼識)은 자아거나 자아에 속한 것이 공하다. 안촉(眼觸)은 자아거나 자아에 속한 것이 공하다. 의촉(意觸)을 조건으로 생겨나는 락()-()-불고불락(不苦不樂)의 이 경험도 자아거나 자아에 속한 것이 공하다. 아난다여, 자아[()]거나 자아에 속한 것이 공하므로 공한 세상이라고 불린다.”


 SN 4, 7. cittasaṃyuttaṃ, 7. godattasuttaṃ (SN 41.7),

 

“katamā ca, bhante, suññatā cetovimutti? idha, bhante, bhikkhu araññagato vā rukkhamūlagato vā suññāgāragato vā iti paṭisañcikkhati ‘suññamidaṃ attena vā attaniyena vā’ti. ayaṃ vuccati, bhante, suññatā cetovimutti.

 

대덕이시여, 그러면 무엇이 공심해탈(空心解脫)입니까? 대덕이시여, 여기 비구는 숲속에 가거나 나무 아래에 가거나 비어 있는 처소에 가서 이렇게 숙고한다. 자아[()]거나 자아에 속한 것은 공()하다.’라고. 대덕이시여, 이것이 공심해탈(空心解脫)이라고 불립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