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교리공부 > 삼법인(三法印)

삼법인(三法印)

[Ⅱ] 열반(涅槃) - 락(樂) ㅡ 열반 경(A9:34)[nibbānasukhasuttaṃ (AN 9.34)]

0 617 2017.08.14 22:51
[Ⅱ] 열반(涅槃) - 락(樂)

열반 경(A9:34)[nibbānasukhasuttaṃ (AN 9.34)]

  
ekaṃ samayaṃ āyasmā sāriputto rājagahe viharati veḷuvane kalandakanivāpe. tatra kho āyasmā sāriputto bhikkhū āmantesi — “sukhamidaṃ, āvuso, nibbānaṃ. sukhamidaṃ, āvuso, nibbānan”ti. evaṃ vutte āyasmā udāyī āyasmantaṃ sāriputtaṃ etadavoca — “kiṃ panettha, āvuso sāriputta, sukhaṃ yadettha natthi vedayitan”ti? “etadeva khvettha, āvuso, sukhaṃ yadettha natthi vedayitaṃ. pañcime, āvuso, kāmaguṇā. katame pañca? cakkhuviññeyyā rūpā iṭṭhā kantā manāpā piyarūpā kāmūpasaṃhitā rajanīyā, sotaviññeyyā saddā ... pe ... ghānaviññeyyā gandhā... jivhāviññeyyā rasā... kāyaviññeyyā phoṭṭhabbā iṭṭhā kantā manāpā piyarūpā kāmūpasaṃhitā rajanīyā — ime kho, āvuso, pañca kāmaguṇā. yaṃ kho, āvuso, ime pañca kāmaguṇe paṭicca uppajjati sukhaṃ somanassaṃ, idaṃ vuccatāvuso, kāmasukhaṃ.
  
한때 사리뿟따 존자는 라자가하에서 대나무 숲의 다람쥐 보호구역에 머물렀다. 거기서 사리뿟따 존자는 비구들을 불러서 말했다. “도반들이여, 열반은 행복[락(樂)]입니다. 도반들이여, 열반은 행복[락(樂)]입니다.”
  
이렇게 말하자 우다이 존자가 사리뿟따 존자에게 이렇게 말했다. “도반 사리뿟따여, 여기서 경험되는 것이 없는데 어떻게 행복이라 합니까?”

“도반이여, 여기서 경험되는 것이 없는 그것이 바로 행복입니다. 도반이여, 다섯 가지 소유적 사유의 대상이 있습니다. 무엇이 그 다섯입니까? 안(眼)으로 인식되는, 원하는 것이고 사랑스럽고 마음에 들고 아름답고 소유적 사유를 동반하며 유혹적인 색(色)이 있습니다. 이(耳)로 인식되는 성(聲)이 … 비(鼻)로 인식되는 향(香)이 … 설(舌)로 인식되는 미(味)가 …신(身)에 의해서 인식되는, 원하는 것이고 사랑스럽고 마음에 들고 아름답고 소유적 사유를 동반하며 유혹적인 촉(觸)이 있습니다. 도반이여, 이것이 다섯 가지 소유적 사유의 대상입니다. 도반이여, 이러한 다섯 가지 소유적 사유의 대상을 조건으로 일어나는 행복[락(樂)]과 만족[희(喜)]를 소유적 사유의 행복[욕락(慾樂) → 오욕락(五慾樂)]이라고 합니다.
  
“idhāvuso, bhikkhu vivicceva kāmehi ... pe ... paṭham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ati. tassa ce, āvuso, bhikkhuno iminā vihārena viharato kāmasahagatā saññāmanasikārā samudācaranti, svassa hoti ābādho. seyyathāpi, āvuso, sukhino dukkhaṃ uppajjeyya yāvadeva ābādhāya; evamevassa te kāmasahagatā saññāmanasikārā samudācaranti. svassa hoti ābādho. yo kho panāvuso, ābādho dukkhametaṃ vuttaṃ bhagavatā. imināpi kho etaṃ, āvuso, pariyāyena veditabbaṃ yathā sukhaṃ nibbānaṃ.
  
도반이여, 여기 비구는 소유적 사유[욕(慾)]들로부터 벗어나고, 불선법(不善法)들로부터 벗어나서, vitakka가 있고 vicāra가 있고 떨쳐버림에서 생긴 기쁨[희(喜)]와 즐거움[락(樂)]으로 초선(初禪)을 성취하여 머뭅니다. 도반이여, 만약 그 비구가 이와 같이 머물 때 소유적 사유가 함께하는 상(想)과 작의(作意)가 발생하면 이것은 그에게 병입니다. 도반이여, 예를 들면 행복한 자에게 병날 만큼의 괴로움이 일어날 수도 있듯이, 그에게 소유적 사유가 함께하는 상(想)과 작의(作意)가 발생하면 이것은 그에게 병입니다. 도반이여, 세존께서는 병이 바로 괴로움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도반이여, 이런 방법으로 열반은 행복과 같다고 알아야 합니다.
  
“puna caparaṃ, āvuso, bhikkhu vitakkavicārānaṃ vūpasamā ... pe ... dutiy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ati. tassa ce, āvuso, bhikkhuno iminā vihārena viharato vitakkasahagatā saññāmanasikārā samudācaranti, svassa hoti ābādho. seyyathāpi, āvuso, sukhino dukkhaṃ uppajjeyya yāvadeva ābādhāya; evamevassa te vitakkasahagatā saññāmanasikārā samudācaranti. svassa hoti ābādho. yo kho panāvuso, ābādho dukkhametaṃ vuttaṃ bhagavatā. imināpi kho etaṃ, āvuso, pariyāyena veditabbaṃ yathā sukhaṃ nibbānaṃ.
  
다시 도반이여, 비구는 vitakka와 vicāra의 가라앉음으로 인해, 안으로 평온함과 마음의 집중된 상태가 되어, vitakka도 없고 vicāra도 없이, 삼매에서 생긴 기쁨[희(喜)]와 즐거움[락(樂)]으로 제이선(第二禪)을 성취하여 머뭅니다. 도반이여, 만약 그 비구가 이와 같이 머물 때 vitakka가 함께하는 상(想)과 작의(作意)가 발생하면 이것은 그에게 병입니다. 도반이여, 예를 들면 행복한 자에게 병날 만큼의 괴로움이 일어날 수도 있듯이, 그에게 vitakka가 함께하는 상(想)과 작의(作意)가 발생하면 이것은 그에게 병입니다. 도반이여, 세존께서는 병이 바로 괴로움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도반이여, 이런 방법으로 열반은 행복과 같다고 알아야 합니다.

“puna caparaṃ, āvuso, bhikkhu pītiyā ca virāgā ... pe ... tatiy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ati. tassa ce, āvuso, bhikkhuno iminā vihārena viharato pītisahagatā saññāmanasikārā samudācaranti, svassa hoti ābādho. seyyathāpi, āvuso, sukhino dukkhaṃ uppajjeyya yāvadeva ābādhāya; evamevassa te pītisahagatā saññāmanasikārā samudācaranti. svassa hoti ābādho. yo kho panāvuso, ābādho dukkhametaṃ vuttaṃ bhagavatā. imināpi kho etaṃ, āvuso, pariyāyena veditabbaṃ yathā sukhaṃ nibbānaṃ.
  
다시 도반이여, 비구는 기쁨[희(喜)]도 사라진 후, 평정[사(捨)]하게 머물며, 알아차림[념(念)]과 분명한 앎[정지(正知)]를 지니고서, 몸으로 즐거움[락(樂)]을 경험하니, 성인들이 말하는 “평정에서 알아차림을 갖추어 즐거움에 머문다[사념락주(捨念樂住)].”는 제삼선(第三禪)을 성취하여 머뭅니다. 도반이여, 만약 그 비구가 이와 같이 머물 때 기쁨[희(喜)]가 함께하는 상(想)과 작의(作意)가 발생하면 이것은 그에게 병입니다. 도반이여, 예를 들면 행복한 자에게 병날 만큼의 괴로움이 일어날 수도 있듯이, 그에게 기쁨[희(喜)]가 함께하는 상(想)과 작의(作意)가 발생하면 이것은 그에게 병입니다. 도반이여, 세존께서는 병이 바로 괴로움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도반이여, 이런 방법으로 열반은 행복과 같다고 알아야 합니다.
  
“puna caparaṃ, āvuso, bhikkhu sukhassa ca pahānā ... pe ... catutth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ati. tassa ce, āvuso, bhikkhuno iminā vihārena viharato upekkhāsahagatā saññāmanasikārā samudācaranti, svassa hoti ābādho. seyyathāpi, āvuso, sukhino dukkhaṃ uppajjeyya yāvadeva ābādhāya; evamevassa te upekkhāsahagatā saññāmanasikārā samudācaranti. svassa hoti ābādho. yo kho panāvuso, ābādho dukkhametaṃ vuttaṃ bhagavatā. imināpi kho etaṃ, āvuso, pariyāyena veditabbaṃ yathā sukhaṃ nibbānaṃ.
  
다시 도반이여, 비구는 즐거움[락(樂)]도 끊어졌고 괴로움[고(苦)]도 끊어졌고, 또한 이미 만족[희(喜)]과 불만[우(憂)]들도 완전히 끊어졌기에, 괴로움도 없고 즐거움도 없는[불고불락(不苦不樂)] 평정과 알아차림과 청정[사념청정(捨念淸淨)]의 제사선(第四禪)을 성취하여 머뭅니다. 도반이여, 만약 그 비구가 이와 같이 머물 때 평정[사(捨)]가 함께하는 상(想)과 작의(作意)가 발생하면 이것은 그에게 병입니다. 도반이여, 예를 들면 행복한 자에게 병날 만큼의 괴로움이 일어날 수도 있듯이, 그에게 평정[사(捨)]가 함께하는 상(想)과 작의(作意)가 발생하면 이것은 그에게 병입니다. 도반이여, 세존께서는 병이 바로 괴로움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도반이여, 이런 방법으로 열반은 행복과 같다고 알아야 합니다.

“puna caparaṃ, āvuso, bhikkhu sabbaso rūpasaññānaṃ samatikkamā paṭighasaññānaṃ atthaṅgamā nānattasaññānaṃ amanasikārā ananto ākāsoti ākāsānañcāyatanaṃ upasampajja viharati. tassa ce, āvuso, bhikkhuno iminā vihārena viharato rūpasahagatā saññāmanasikārā samudācaranti, svassa hoti ābādho. seyyathāpi, āvuso, sukhino dukkhaṃ uppajjeyya yāvadeva ābādhāya; evamevassa te rūpasahagatā saññāmanasikārā samudācaranti. svassa hoti ābādho. yo kho panāvuso, ābādho dukkhametaṃ vuttaṃ bhagavatā. imināpi kho etaṃ, āvuso, pariyāyena veditabbaṃ yathā sukhaṃ nibbānaṃ.
  
다시 도반이여, 비구는 색상(色想)을 완전히 초월하고 저항의 상(想)을 내려놓고 다양함의 상(想)을 위해 작의하지 않고 ‘무한한 공간’이라는 공무변처(空無邊處)를 성취하여 머뭅니다. 도반이여, 만약 그 비구가 이와 같이 머물 때 물질[색(色)]이 함께하는 상(想)과 작의(作意)가 발생하면 이것은 그에게 병입니다. 도반이여, 예를 들면 행복한 자에게 병날 만큼의 괴로움이 일어날 수도 있듯이, 그에게 물질[색(色)]이 함께하는 상(想)과 작의(作意)가 발생하면 이것은 그에게 병입니다. 도반이여, 세존께서는 병이 바로 괴로움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도반이여, 이런 방법으로 열반은 행복과 같다고 알아야 합니다.

“puna caparaṃ, āvuso, bhikkhu sabbaso ākāsānañcāyatanaṃ samatikkamma anantaṃ viññāṇanti viññāṇañcāyatanaṃ upasampajja viharati. tassa ce, āvuso, bhikkhuno iminā vihārena viharato ākāsānañcāyatanasahagatā saññāmanasikārā samudācaranti, svassa hoti ābādho. seyyathāpi, āvuso, sukhino dukkhaṃ uppajjeyya yāvadeva ābādhāya; evamevassa te ākāsānañcāyatanasahagatā saññāmanasikārā samudācaranti. svassa hoti ābādho. yo kho panāvuso, ābādho dukkhametaṃ vuttaṃ bhagavatā. imināpi kho etaṃ, āvuso, pariyāyena veditabbaṃ yathā sukhaṃ nibbānaṃ.

다시 도반이여, 비구는 공무변처를 완전히 초월하고 ‘무한한 식(識)’이라는 식무변처(識無邊處)를 성취하여 머뭅니다. 도반이여, 만약 그 비구가 이와 같이 머물 때 공무변처가 함께하는 상(想)과 작의(作意)가 발생하면 이것은 그에게 병입니다. 도반이여, 예를 들면 행복한 자에게 병날 만큼의 괴로움이 일어날 수도 있듯이, 그에게 공무변처가 함께하는 상(想)과 작의(作意)가 발생하면 이것은 그에게 병입니다. 도반이여, 세존께서는 병이 바로 괴로움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도반이여, 이런 방법으로 열반은 행복과 같다고 알아야 합니다.
  
“puna caparaṃ, āvuso, bhikkhu sabbaso viññāṇañcāyatanaṃ samatikkamma, natthi kiñcīti ākiñcaññāyatanaṃ upasampajja viharati. tassa ce, āvuso, bhikkhuno iminā vihārena viharato viññāṇañcāyatanasahagatā saññāmanasikārā samudācaranti, svassa hoti ābādho. seyyathāpi, āvuso, sukhino dukkhaṃ uppajjeyya yāvadeva ābādhāya; evamevassa te viññāṇañcāyatanasahagatā saññāmanasikārā samudācaranti. svassa hoti ābādho. yo kho panāvuso, ābādho dukkhametaṃ vuttaṃ bhagavatā. imināpi kho etaṃ, āvuso, pariyāyena veditabbaṃ yathā sukhaṃ nibbānaṃ.

다시 도반이여, 비구는 식무변처를 완전히 초월하고 ‘아무 것도 없다.’라는 무소유처(無所有處)를 성취하여 머뭅니다. 도반이여, 만약 그 비구가 이와 같이 머물 때 식무변처가 함께하는 상(想)과 작의(作意)가 발생하면 이것은 그에게 병입니다. 도반이여, 예를 들면 행복한 자에게 병날 만큼의 괴로움이 일어날 수도 있듯이, 그에게 식무변처가 함께하는 상(想)과 작의(作意)가 발생하면 이것은 그에게 병입니다. 도반이여, 세존께서는 병이 바로 괴로움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도반이여, 이런 방법으로 열반은 행복과 같다고 알아야 합니다.

“puna caparaṃ, āvuso, bhikkhu sabbaso ākiñcaññāyatanaṃ samatikkamma nevasaññānāsaññāyatanaṃ upasampajja viharati. tassa ce, āvuso, bhikkhuno iminā vihārena viharato ākiñcaññāyatanasahagatā saññāmanasikārā samudācaranti, svassa hoti ābādho. seyyathāpi, āvuso, sukhino dukkhaṃ uppajjeyya yāvadeva ābādhāya; evamevassa te ākiñcaññāyatanasahagatā saññāmanasikārā samudācaranti. svassa hoti ābādho. yo kho panāvuso, ābādho dukkhametaṃ vuttaṃ bhagavatā. imināpi kho etaṃ, āvuso, pariyāyena veditabbaṃ yathā sukhaṃ nibbānaṃ.

다시 도반이여, 비구는 무소유처를 완전히 초월하고 비상비비상처(非想非非想處)를 성취하여 머뭅니다. 도반이여, 만약 그 비구가 이와 같이 머물 때 무소유처가 함께하는 상(想)과 작의(作意)가 발생하면 이것은 그에게 병입니다. 도반이여, 예를 들면 행복한 자에게 병날 만큼의 괴로움이 일어날 수도 있듯이, 그에게 무소유처가 함께하는 상(想)과 작의(作意)가 발생하면 이것은 그에게 병입니다. 도반이여, 세존께서는 병이 바로 괴로움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도반이여, 이런 방법으로 열반은 행복과 같다고 알아야 합니다.

“puna caparaṃ, āvuso, bhikkhu sabbaso nevasaññānāsaññāyatanaṃ samatikkamma saññāvedayitanirodhaṃ upasampajja viharati, paññāya cassa disvā āsavā parikkhīṇā honti. imināpi kho etaṃ, āvuso, pariyāyena veditabbaṃ yathā sukhaṃ nibbānan”ti.
  
다시 도반이여, 비구는 비상비비상처를 완전히 초월하고 상수멸(想受滅)을 성취하여 머물면서 지혜로써 보아 번뇌를 멸진합니다. 도반이여, 이런 방법으로 열반은 행복과 같다고 알아야 합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