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교리공부 > 삼법인(三法印)

삼법인(三法印)

[Ⅳ] 올바른 관찰 – 2)무상(無常) 경(A6:98)[aniccasuttaṃ] 등

0 647 2017.08.14 22:55
[Ⅳ] 올바른 관찰 – 2)

무상(無常) 경(A6:98)[aniccasuttaṃ]

   
“‘so vata, bhikkhave, bhikkhu kañci saṅkhāraṃ niccato samanupassanto anulomikāya khantiyā samannāgato bhavissatī’ti netaṃ ṭhānaṃ vijjati. ‘anulomikāya khantiyā asamannāgato sammattaniyāmaṃ okkamissatī’ti netaṃ ṭhānaṃ vijjati. ‘sammattaniyāmaṃ anokkamamāno sotāpattiphalaṃ vā sakadāgāmiphalaṃ vā anāgāmiphalaṃ vā arahattaṃ vā sacchikarissatī’ti netaṃ ṭhānaṃ vijjati.
 
비구들이여, ‘비구가 어떤 것이건 조건적인 것[행(行)]을 상(常)이라고 관찰하면서 적절한 인내를 구족할 것이다.’라는 것은 불가능하다. ‘적절한 인내를 구족 못하고서 올바름과 확실함에 들어갈 것이다.’라는 것은 불가능하다. ‘올바름과 확실함에 들어가지 못하고서 예류과(預流果)나 일래과(一來果)나 불환과(不還果)나 아라한(阿羅漢)을 실현할 것이다.’라는 것은 불가능하다.

“‘so vata, bhikkhave, bhikkhu sabbasaṅkhāre aniccato samanupassanto anulomikāya khantiyā samannāgato bhavissatī’ti ṭhānametaṃ vijjati. ‘anulomikāya khantiyā samannāgato sammattaniyāmaṃ okkamissatī’ti ṭhānametaṃ vijjati. ‘sammattaniyāmaṃ okkamamāno sotāpattiphalaṃ vā sakadāgāmiphalaṃ vā anāgāmiphalaṃ vā arahattaṃ vā sacchikarissatī’ti ṭhānametaṃ vijjatī”ti.
 
비구들이여, ‘비구가 모든 조건적인 것들을 무상(無常)[제행무상(諸行無常)]이라고 관찰하면서 적절한 인내를 구족할 것이다.’라는 것은 가능하다. ‘적절한 인내를 구족하면 올바름과 확실함에 들어갈 것이다.’라는 것은 가능하다. ‘올바름과 확실함에 들어가면 예류과(預流果)나 일래과(一來果)나 불환과(不還果)나 아라한(阿羅漢)을 실현할 것이다.’라는 것은 가능하다.
   

고(苦) 경(A6:99)[dukkhasuttaṃ]

 
“so vata, bhikkhave, bhikkhu kañci saṅkhāraṃ sukhato samanupassanto ... pe ... sabbasaṅkhāre dukkhato samanupassanto ... pe ... ṭhānametaṃ vijjati”.
   
비구들이여, ‘비구가 어떤 것이건 조건적인 것[행(行)]을 락(樂)이라고 관찰하면서 … ‘비구가 모든 조건적인 것들을 고(苦)[제행개고(諸行皆苦)]라고 관찰하면서 … 가능하다.
   

무아(無我) 경(A6:100)[anattasuttaṃ]

   
“so vata, bhikkhave, bhikkhu kañci dhammaṃ attato samanupassanto ... pe ... sabbadhamme anattato samanupassanto ... pe ... ṭhānametaṃ vijjati”.
   
비구들이여, ‘비구가 어떤 것이건 존재하는 것[법(法)]을 아(我)라고 관찰하면서 … ‘비구가 모든 있는 것들을 무아(無我)[제법무아(諸法無我)]라고 관찰하면서 … 가능하다.
   

열반 경1(A6:101)[nibbānasuttaṃ]

 
“‘so vata, bhikkhave, bhikkhu nibbānaṃ dukkhato samanupassanto anulomikāya khantiyā samannāgato bhavissatī’ti netaṃ ṭhānaṃ vijjati. ‘anulomikāya khantiyā asamannāgato sammattaniyāmaṃ okkamissatī’ti netaṃ ṭhānaṃ vijjati. ‘sammattaniyāmaṃ anokkamamāno sotāpattiphalaṃ vā sakadāgāmiphalaṃ vā anāgāmiphalaṃ vā arahattaṃ vā sacchikarissatī’ti netaṃ ṭhānaṃ vijjati.
   
비구들이여, ‘비구가 열반(涅槃)을 고(苦)라고 관찰하면서 적절한 인내를 구족할 것이다.’라는 경우는 없다. ‘적절한 인내를 구족 못하고서 올바름과 확실함에 들어갈 것이다.’라는 경우는 없다. ‘올바름과 확실함에 들어가지 못하고서 예류과(預流果)나 일래과(一來果)나 불환과(不還果)나 아라한(阿羅漢)을 실현할 것이다.’라는 경우는 없다.
   
“‘so vata, bhikkhave, bhikkhu nibbānaṃ sukhato samanupassanto anulomikāya khantiyā samannāgato bhavissatī’ti ṭhānametaṃ vijjati. ‘anulomikāya khantiyā samannāgato sammattaniyāmaṃ okkamissatī’ti ṭhānametaṃ vijjati. ‘sammattaniyāmaṃ okkamamāno sotāpattiphalaṃ vā sakadāgāmiphalaṃ vā anāgāmiphalaṃ vā arahattaṃ vā sacchikarissatī’ti ṭhānametaṃ vijjatī”ti.
   
비구들이여, ‘비구가 열반(涅槃)을 락(樂)이라고 관찰하면서 적절한 인내를 구족할 것이다.’라는 경우는 있다. ‘적절한 인내를 구족하면 올바름과 확실함에 들어갈 것이다.’라는 경우는 있다. ‘올바름과 확실함에 들어가면 예류과(預流果)나 일래과(一來果)나 불환과(不還果)나 아라한(阿羅漢)을 실현할 것이다.’라는 경우는 있다.
   

열반 경2(A6:102)[anavatthitasuttaṃ]


“cha, bhikkhave, ānisaṃse sampassamānena alameva bhikkhunā sabbasaṅkhāresu anodhiṃ karitvā aniccasaññaṃ upaṭṭhāpetuṃ. katame cha? ‘sabbasaṅkhārā ca me anavatthitā khāyissanti, sabbaloke ca me mano nābhiramissati, sabbalokā ca me mano vuṭṭhahissati, nibbānapoṇañca me mānasaṃ bhavissati, saṃyojanā ca me pahānaṃ gacchissanti, paramena ca sāmaññena samannāgato bhavissāmī’ti. ime kho, bhikkhave, cha ānisaṃse sampassamānena alameva bhikkhunā sabbasaṅkhāresu anodhiṃ karitvā aniccasaññaṃ upaṭṭhāpetun”ti.
   
비구들이여, 비구가 여섯 가지 이익을 봄으로써 모든 조건적인 것들에 대해서 제한 없이 행할 때 무상(無常)의 상(想)을 확립하게 된다. 무엇이 여섯인가?

‘①모든 조건적인 것들은 나에게 확고함이 없는 것으로 드러날 것이다. ②모든 세상에서 나의 의(意)는 즐기지 않을 것이다. ③모든 세상으로부터 나의 의(意)는 일어날 것이다. ④나의 의(意)는 열반으로 기울 것이다. ⑤족쇄들은 나에게서 버려질 것이고, ⑥최상의 사문다움을 구족할 것이다.’

비구들이여, 비구가 이런 여섯 가지 이익을 봄으로써 모든 조건적인 것들에 대해서 제한 없이 행할 때 무상(無常)의 상(想)을 확립하게 된다. 
 

열반 경3(A6:103)[ukkhittāsikasuttaṃ]

   
“cha, bhikkhave, ānisaṃse sampassamānena alameva bhikkhunā sabbasaṅkhāresu anodhiṃ karitvā dukkhasaññaṃ upaṭṭhāpetuṃ. katame cha? ‘sabbasaṅkhāresu ca me nibbidasaññā paccupaṭṭhitā bhavissati, seyyathāpi ukkhittāsike vadhake. sabbalokā ca me mano vuṭṭhahissati, nibbāne ca santadassāvī bhavissāmi, anusayā ca me samugghātaṃ gacchissanti, kiccakārī ca bhavissāmi, satthā ca me pariciṇṇo bhavissati mettāvatāyā’ti. ime kho, bhikkhave, cha ānisaṃse sampassamānena alameva bhikkhunā sabbasaṅkhāresu anodhiṃ karitvā dukkhasaññaṃ upaṭṭhāpetun”ti.
 
비구들이여, 비구가 여섯 가지 이익을 봄으로써 모든 조건적인 것들에 대해서 제한 없이 행할 때 고(苦)의 상(想)을 확립하게 된다. 무엇이 여섯인가?

‘①모든 조건적인 것들에서 나의 염오(厭惡)의 상(想)은 확고해질 것이다. 마치 칼을 빼든 살인자에 대해서처럼. ②모든 세상으로부터 나의 의(意)는 일어날 것이다. ③나는 열반에서 평화로움을 보는 자가 될 것이다. ④잠재성향은 나에게서 뿌리 뽑힐 것이다. ⑤나는 할 바를 하는 자가 될 것이다. ⑥나는 자애로운 마음으로 스승을 받들어 모실 것이다.’

비구들이여, 비구가 이런 여섯 가지 이익을 봄으로써 모든 조건적인 것들에 대해서 제한 없이 행할 때 고(苦)의 상(想)을 확립하게 된다. 
   

제한 없음 경(A6:104)[atammayasuttaṃ]

   
“cha, bhikkhave, ānisaṃse sampassamānena alameva bhikkhunā sabbadhammesu anodhiṃ karitvā anattasaññaṃ upaṭṭhāpetuṃ. katame cha? sabbaloke ca atammayo bhavissāmi, ahaṅkārā ca me uparujjhissanti, mamaṅkārā ca me uparujjhissanti, asādhāraṇena ca ñāṇena samannāgato bhavissāmi, hetu ca me sudiṭṭho bhavissati, hetusamuppannā ca dhammā. ime kho, bhikkhave, cha ānisaṃse sampassamānena alameva bhikkhunā sabbadhammesu anodhiṃ karitvā anattasaññaṃ upaṭṭhāpetun”ti.
   
비구들이여, 비구가 여섯 가지 이익을 봄으로써 모든 있는 것들에 대해서 제한 없이 행할 때 무아(無我)의 상(想)을 확립하게 된다. 무엇이 여섯인가?
   
‘①나는 모든 세상에서 [180506] 그것에서 생겨나지 않은 것이 될 것이다. ②‘나’라는 작위(作爲)들은 나에게서 사라질 것이다. ③‘나의 것’라는 작위(作爲)들은 나에게서 사라질 것이다. ④나에게 특별한 앎이 구족될 것이다. ⑤원인이 나에게 바르게 보일 것이다. ⑥원인에서 생긴 법들이 나에게 바르게 보일 것이다.’
   
비구들이여, 비구가 이런 여섯 가지 이익을 봄으로써 모든 있는 것들에 대해서 제한 없이 행할 때 무아(無我)의 상(想)을 확립하게 된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