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교리공부 > 사식(四食)

사식(四食)

sammādiṭṭhisuttaṃ(MN 9)[정견(正見) 경]

7월 18일자 수업은 동영상을 제작하지 못하였습니다. 이 수업에서는 정견 경(M9)을 설명하였는데, 
조만간 팔정도 특강에서 수업한 뒤 동영상을 연결할 계획입니다.
 

sammādiṭṭhisuttaṃ(MN 9)[정견(正見) 경]

 

evaṃ me sutaṃ — ekaṃ samayaṃ bhagavā sāvatthiyaṃ viharati jetavane anāthapiṇḍikassa ārāme. tatra kho āyasmā sāriputto bhikkhū āmantesi — “āvuso bhikkhave”ti. “āvuso”ti kho te bhikkhū āyasmato sāriputtassa paccassosuṃ. āyasmā sāriputto etadavoca —
 
 이렇게 나는 들었다. ㅡ 한때 부처님은 사왓티에서 제따와나의 아나타삔디까 정사에 머무셨다. 거기서 사리뿟따 존자가 비구들을 불렀다. ㅡ “도반 비구들이여.”라고. “도반이시여.”라고 비구들은 사리뿟따 존자에게 응답했다. 사리뿟따 존자는 이렇게 말했다. ㅡ
 
 “‘sammādiṭṭhi sammādiṭṭhī’ti, āvuso, vuccati. kittāvatā nu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n”ti?
 
 "도반들이여, '바른 견해[정견(正見)], 바른 견해'라고 불립니다. 도반들이여, 어떻게 고귀한 제자가 바른 견해를 가지고 올곧은 견해를 가져서, 가르침에 대한 확실한 믿음을 갖게 되고, 이 바른 가르침을 성취하게 됩니까?" 
 
 “dūratopi kho mayaṃ, āvuso, āgaccheyyāma āyasmato sāriputtassa santike etassa bhāsitassa atthamaññātuṃ. sādhu vatāyasmantaṃyeva sāriputtaṃ paṭibhātu etassa bhāsitassa attho. āyasmato sāriputtassa sutvā bhikkhū dhāressantī”ti. “tena hi, āvuso, suṇātha, sādhukaṃ manasi karotha, bhāsissāmī”ti. “evamāvuso”ti kho te bhikkhū āyasmato sāriputtassa paccassosuṃ. āyasmā sāriputto etadavoca —
 
 “도반이시여, 우리는 이런 말씀의 뜻을 알기 위해서라면 멀리서라도 사리뿟따 존자의 곁으로 올 것입니다. 그러니 사리뿟따 존자가 직접 이 말씀의 뜻을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비구들은 사리뿟따 존자로부터 듣고 잘 호지할 것입니다.” “도반들이여, 그렇다면 듣고 잘 사유하십시오. 설할 것입니다.” “그러겠습니다, 도반이시여.”라고 그 비구들은 사리뿟따 존자에게 대답했다. 사리뿟따 존자는 이렇게 말했다. ㅡ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akusalañca pajānāti, akusalamūlañca pajānāti, kusalañca pajānāti, kusalamūlañca pajānā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ṃ. katamaṃ panāvuso, akusalaṃ, katamaṃ akusalamūlaṃ, katamaṃ kusalaṃ, katamaṃ kusalamūlaṃ? pāṇātipāto kho, āvuso, akusalaṃ, adinnādānaṃ akusalaṃ, kāmesumicchācāro akusalaṃ, musāvādo akusalaṃ, pisuṇā vācā akusalaṃ, pharusā vācā akusalaṃ, samphappalāpo akusalaṃ, abhijjhā akusalaṃ, byāpādo akusalaṃ, micchādiṭṭhi akusalaṃ — idaṃ vuccatāvuso akusalaṃ. katamañcāvuso, akusalamūlaṃ? lobho akusalamūlaṃ, doso akusalamūlaṃ, moho akusalamūlaṃ — idaṃ vuccatāvuso, akusalamūlaṃ.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무익(無益)을 분명히 알고, 무익(無益)의 뿌리를 분명히 알고, 유익(有益)을 분명히 알고 유익(有益)의 뿌리를 분명히 알면, 도반들이여, 이것을 일러 성스러운 제자가 바른 견해를 가지고 올곧은 견해를 가져서, 가르침에 대한 확실한 믿음을 갖게 되고, 이 바른 가르침을 성취하게 된다고 합니다. 도반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익(無益)이고 무엇이 무익(無益)의 뿌리이며, 무엇이 유익(有益)이고 무엇이 유익(有益)의 뿌리입니까? 도반들이여, 살생(殺生)이 무익이고, 투도(偸盜)가 무익이고, 사음(邪淫)이 무익이고, 망어(妄語)가 무익이고, 양설(兩舌)이 무익이고, 악구(惡口)가 무익이고, 기어(綺語)가 무익이고, 간탐(慳貪)이 무익이고, 진에(瞋恚)가 무익이고, 사견(邪見)이 무익입니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무익(無益)이라고 불립니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무익의 뿌리입니까? 탐(貪)이 무익의 뿌리이고, 진(嗔)이 무익의 뿌리이고, 치(癡)가 무익의 뿌리입니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무익(無益)의 뿌리라고 불립니다.
 
 “katamañcāvuso, kusalaṃ? pāṇātipātā veramaṇī kusalaṃ, adinnādānā veramaṇī kusalaṃ, kāmesumicchācārā veramaṇī kusalaṃ, musāvādā veramaṇī kusalaṃ, pisuṇāya vācāya veramaṇī kusalaṃ, pharusāya vācāya veramaṇī kusalaṃ, samphappalāpā veramaṇī kusalaṃ, anabhijjhā kusalaṃ, abyāpādo kusalaṃ, sammādiṭṭhi kusalaṃ — idaṃ vuccatāvuso, kusalaṃ. katamañcāvuso, kusalamūlaṃ? alobho kusalamūlaṃ, adoso kusalamūlaṃ, amoho kusalamūlaṃ — idaṃ vuccatāvuso, kusalamūlaṃ.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유익(有益)입니까? 살생(殺生)을 멀리함이 유익이고, 투도(偸盜)를 멀리함이 유익이고, 사음(邪淫)을 멀리함이 유익이고, 망어(妄語)를 멀리함이 유익이고, 양설(兩舌)을 멀리함이 유익이고, 악구(惡口)를 멀리함이 유익이고, 기어(綺語)를 멀리함이 유익이고, 불간탐(不慳貪)이 유익이고, 부진에(不瞋恚)가 유익이고, 정견(正見)이 유익입니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유익(有益)이라고 불립니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유익의 뿌리입니까? 무탐(無貪)이 유익의 뿌리이고, 무진(無嗔)이 유익의 뿌리이고, 무치(無癡)가 유익의 뿌리입니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유익(有益)의 뿌리라고 불립니다.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evaṃ akusalaṃ pajānāti, evaṃ akusalamūlaṃ pajānāti, evaṃ kusalaṃ pajānāti, evaṃ kusalamūlaṃ pajānāti, so sabbaso rāgānusayaṃ pahāya, paṭighānusayaṃ paṭivinodetvā, ‘asmī’ti diṭṭhimānānusayaṃ samūhanitvā, avijjaṃ pahāya vijjaṃ uppādetvā, diṭṭhevadhamme dukkhassantakaro ho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n”ti.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이렇게 무익(無益)을 분명히 알고, 이렇게 무익(無益)의 뿌리를 분명히 알고, 이렇게 유익(有益)을 분명히 알고 이렇게 유익(有益)의 뿌리를 분명히 알면, 그는 탐(貪)의 잠재성향을 완전히 버리고, 저항의 잠재성향을 제거하고, ‘나는 있다!’라는 견해와 자기화의 잠재성향을 뿌리 뽑고, 무명(無明)을 버리고 명(明)이 생겨나면서 지금여기에서 괴로움을 끝냅니다. ㅡ 도반들이여, 이것을 일러 성스러운 제자가 바른 견해를 가지고 올곧은 견해를 가져서, 가르침에 대한 확실한 믿음을 갖게 되고, 이 바른 가르침을 성취하게 된다고 합니다.”
 
 “sādhāvuso”ti kho te bhikkhū āyasmato sāriputtassa bhāsitaṃ abhinanditvā anumoditvā āyasmantaṃ sāriputtaṃ uttari pañhaṃ apucchuṃ — “siyā panāvuso, aññopi pariyāyo yathā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n”ti?
 
 “훌륭합니다, 도반이시여.”라고 그 비구들은 사라뿟따 존자의 말을 즐기고 기뻐하며 사리뿟따 존자에게 이어지는 질문을 하였다. ㅡ “그런데 도반이시여, 성스러운 제자가 바른 견해를 가지고 올곧은 견해를 가져서, 가르침에 대한 확실한 믿음을 갖게 되고, 이 바른 가르침을 성취하게 되는 다른 방법이 있습니까?”라고.
 
 “siyā, āvuso.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āhārañca pajānāti, āhārasamudayañca pajānāti, āhāranirodhañca pajānāti, āhāranirodhagāminiṃ paṭipadañca pajānā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ṃ. katamo panāvuso, āhāro, katamo āhārasamudayo, katamo āhāranirodho, katamā āhāranirodhagāminī paṭipadā? cattārome, āvuso, āhārā bhūtānaṃ vā sattānaṃ ṭhitiyā, sambhavesīnaṃ vā anuggahāya. katame cattāro? kabaḷīkāro āhāro oḷāriko vā sukhumo vā, phasso dutiyo, manosañcetanā tatiyā, viññāṇaṃ catutthaṃ. taṇhāsamudayā āhārasamudayo, taṇhānirodhā āhāranirodho,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āhāranirodhagāminī paṭipadā,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sammāsaṅkappo sammāvācā sammākammanto, sammāājīvo sammāvāyāmo sammāsati sammāsamādhi’.
 
 “있습니다, 도반들이여.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음식[식(識)-자량(資糧)]을 꿰뚫어 알고, 음식의 일어남[집(集)]을 꿰뚫어 알고, 음식의 소멸[멸(滅)]을 꿰뚫어 알고, 음식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멸도(滅道)]를 꿰뚫어 알면, 도반들이여, 이것을 일러 성스러운 제자가 바른 견해를 가지고 올곧은 견해를 가져서, 가르침에 대한 확실한 믿음을 갖게 되고, 이 바른 가르침을 성취하게 된다고 합니다. 그러면 도반들이여, 무엇이 음식이고, 무엇이 음식의 일어남이고, 무엇이 음식의 소멸이고, 무엇이 음식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입니까? 도반들이여, 존재하는 중생을 유지하고 태어나려는 중생을 도와주는 네 가지 음식[사식(四食)]이 있습니다. 무엇이 넷입니까? 거칠거나 미세한 덩어리진 음식[단식(段食)], 촉(觸)이 두 번째이고[촉식(觸食)], 의사(意思)가 세 번째이고[의사식(意思食)], 식(識)이 네 번째입니다[식식(識食)]. 갈애[애(愛)]의 집(集)이 음식의 집(集)이고, 애(愛)의 멸(滅)이 음식의 멸(滅)입니다. 이러한 성스러운 여덟 가지 구성요소를 가진 도(道)가 음식의 멸(滅)로 이끄는 실천인데, 다음과 같습니다. ㅡ 정견(正見), 정사유(正思惟), 정어(正語), 정업(正業), 정명(正命), 정정진(正精進), 정념(正念), 정정(正定).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evaṃ āhāraṃ pajānāti, evaṃ āhārasamudayaṃ pajānāti, evaṃ āhāranirodhaṃ pajānāti, evaṃ āhāranirodhagāminiṃ paṭipadaṃ pajānāti, so sabbaso rāgānusayaṃ pahāya, paṭighānusayaṃ paṭivinodetvā, ‘asmī’ti diṭṭhimānānusayaṃ samūhanitvā, avijjaṃ pahāya vijjaṃ uppādetvā, diṭṭhevadhamme dukkhassantakaro ho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n”ti.
 
 도반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이렇게 음식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음식의 집(集)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음식의 멸(滅)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음식의 멸(滅)로 이끄는 실천[실천행(實踐行)]을 꿰뚫어 알면, 그는 탐(貪)의 잠재성향을 완전히 버리고, 저항의 잠재성향을 제거하고, ‘나는 있다!’라는 견해와 자기화의 잠재성향을 뿌리 뽑고, 무명(無明)을 버리고 명(明)이 생겨나면서 지금여기에서 괴로움을 끝냅니다. ㅡ 도반들이여, 이것을 일러 성스러운 제자가 바른 견해를 가지고 올곧은 견해를 가져서, 가르침에 대한 확실한 믿음을 갖게 되고, 이 바른 가르침을 성취하게 된다고 합니다.”
 
 “sādhāvuso”ti kho te bhikkhū āyasmato sāriputtassa bhāsitaṃ abhinanditvā anumoditvā āyasmantaṃ sāriputtaṃ uttari pañhaṃ apucchuṃ — “siyā panāvuso, aññopi pariyāyo yathā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n”ti?
 
 “훌륭합니다, 도반이시여.”라고 그 비구들은 사라뿟따 존자의 말을 즐기고 기뻐하며 사리뿟따 존자에게 이어지는 질문을 하였다. ㅡ “그런데 도반이시여, 성스러운 제자가 바른 견해를 가지고 올곧은 견해를 가져서, 가르침에 대한 확실한 믿음을 갖게 되고, 이 바른 가르침을 성취하게 되는 다른 방법이 있습니까?”라고.
 
 “siyā, āvuso.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dukkhañca pajānāti, dukkhasamudayañca pajānāti, dukkhanirodhañca pajānāti, dukkhanirodhagāminiṃ paṭipadañca pajānā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ṃ. katamaṃ panāvuso, dukkhaṃ, katamo dukkhasamudayo, katamo dukkhanirodho, katamā dukkhanirodhagāminī paṭipadā? jātipi dukkhā, jarāpi dukkhā, maraṇampi dukkhaṃ, sokaparidevadukkhadomanassupāyāsāpi dukkhā, appiyehi sampayogopi dukkho, piyehi vippayogopi dukkho, yampicchaṃ na labhati tampi dukkhaṃ, saṃkhittena pañcupādānakkhandhā dukkhā — idaṃ vuccatāvuso, dukkhaṃ. katamo cāvuso, dukkhasamudayo? yāyaṃ taṇhā ponobbhavikā nandīrāgasahagatā tatratatrābhinandinī, seyyathidaṃ, kāmataṇhā bhavataṇhā vibhavataṇhā — ayaṃ vuccatāvuso, dukkhasamudayo. katamo cāvuso, dukkhanirodho? yo tassāyeva taṇhāya asesavirāganirodho cāgo paṭinissaggo mutti anālayo — ayaṃ vuccatāvuso, dukkhanirodho. katamā cāvuso, dukkhanirodhagāminī paṭipadā?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seyyathidaṃ, sammādiṭṭhi ... pe ... sammāsamādhi — ayaṃ vuccatāvuso, dukkhanirodhagāminī paṭipadā.
 
 “있습니다, 도반들이여.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괴로움[고(苦)]를 꿰뚫어 알고, 괴로움의 일어남[고집(苦集)]을 꿰뚫어 알고, 괴로움의 소멸[고멸(苦滅)]을 꿰뚫어 알고, 괴로움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고멸도(苦滅道)]를 꿰뚫어 알면, 도반들이여, 이것을 일러 성스러운 제자가 바른 견해를 가지고 올곧은 견해를 가져서, 가르침에 대한 확실한 믿음을 갖게 되고, 이 바른 가르침을 성취하게 된다고 합니다. 그러면 도반들이여, 무엇이 괴로움이고, 무엇이 괴로움의 일어남이고, 무엇이 괴로움의 소멸이고, 무엇이 괴로움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입니까? 태어남[생(生)]도 괴로움이고, 늙음[노(老)]도 괴로움이고, 죽음[사(死)]도 괴로움이고, 슬픔-비탄-고통-고뇌-절망[수비고우뇌(愁悲苦憂惱)]도 괴로움이고, 재미없는 것들과 함께 엮이는 괴로움[원증회고(怨憎會苦)]이고, 즐거운 것들과 갈라지는 괴로움[애별리고(愛別離苦)]이고, 구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것도 괴로움[구부득고(求不得苦)]입니다. 간략히 말하면, 오취온(五取蘊)이 괴로움입니다[오취온고(五取蘊苦)]. 도반들이여, 이것이 괴로움이라고 불립니다. 그러면 도반들이여, 무엇이 괴로움의 일어남입니까? 「다시 태어남을 가져오고 즐김과 탐(貪)이 함께하며 여기저기서 즐기는 자(者)」인 갈애[애(愛)]입니다. 즉 소유적 사유의 갈애[욕애(慾愛)], 존재의 갈애[유애(有愛)], 존재하지 않음의 갈애[무유애(無有愛)]입니다. 도반들이여, 이것이 고집(苦集)이라고 불립니다. 그러면 도반들이여, 무엇이 괴로움의 소멸입니까? 갈애가 남김없이 빛바래어 소멸함, 버림, 놓아버림, 벗어남, 집착 없음입니다. 도반들이여, 이것이 고멸(苦滅)이라고 불립니다. 그러면 도반들이여, 무엇이 고멸(苦滅)로 이끄는 실천입니까? 이러한 성스러운 여덟 가지 구성요소를 가진 도(道)가 고멸(苦滅)로 이끄는 실천인데, 다음과 같습니다. ㅡ 정견(正見) … 정정(正定). 도반들이여, 이것이 괴로움의 멸(滅)로 이끄는 실천이라고 불립니다.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evaṃ dukkhaṃ pajānāti, evaṃ dukkhasamudayaṃ pajānāti, evaṃ dukkhanirodhaṃ pajānāti, evaṃ dukkhanirodhagāminiṃ paṭipadaṃ pajānāti, so sabbaso rāgānusayaṃ pahāya, paṭighānusayaṃ paṭivinodetvā, ‘asmī’ti diṭṭhimānānusayaṃ samūhanitvā, avijjaṃ pahāya vijjaṃ uppādetvā, diṭṭhevadhamme dukkhassantakaro ho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n”ti.
 
 도반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이렇게 괴로움[고(苦)]를 꿰뚫어 알고, 이렇게 괴로움의 일어남[고집(苦集)]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괴로움의 소멸[고멸(苦滅)]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괴로움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고멸도(苦滅道)]를 꿰뚫어 알면, 그는 탐(貪)의 잠재성향을 완전히 버리고, 저항의 잠재성향을 제거하고, ‘나는 있다!’라는 견해와 자기화의 잠재성향을 뿌리 뽑고, 무명(無明)을 버리고 명(明)이 생겨나면서 지금여기에서 괴로움을 끝냅니다. ㅡ 도반들이여, 이것을 일러 성스러운 제자가 바른 견해를 가지고 올곧은 견해를 가져서, 가르침에 대한 확실한 믿음을 갖게 되고, 이 바른 가르침을 성취하게 된다고 합니다.”
 
 “sādhāvuso”ti kho te bhikkhū āyasmato sāriputtassa bhāsitaṃ abhinanditvā anumoditvā āyasmantaṃ sāriputtaṃ uttari pañhaṃ apucchuṃ — “siyā panāvuso, aññopi pariyāyo yathā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n”ti?
 
 “훌륭합니다, 도반이시여.”라고 그 비구들은 사라뿟따 존자의 말을 즐기고 기뻐하며 사리뿟따 존자에게 이어지는 질문을 하였다. ㅡ “그런데 도반이시여, 성스러운 제자가 바른 견해를 가지고 올곧은 견해를 가져서, 가르침에 대한 확실한 믿음을 갖게 되고, 이 바른 가르침을 성취하게 되는 다른 방법이 있습니까?”라고.
 
 “siyā, āvuso.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jarāmaraṇañca pajānāti, jarāmaraṇasamudayañca pajānāti, jarāmaraṇanirodhañca pajānāti, jarāmaraṇanirodhagāminiṃ paṭipadañca pajānā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ṃ. katamaṃ panāvuso, jarāmaraṇaṃ, katamo jarāmaraṇasamudayo, katamo jarāmaraṇanirodho, katamā jarāmaraṇanirodhagāminī paṭipadā? yā tesaṃ tesaṃ sattānaṃ tamhi tamhi sattanikāye jarā jīraṇatā khaṇḍiccaṃ pāliccaṃ valittacatā āyuno saṃhāni indriyānaṃ paripāko — ayaṃ vuccatāvuso, jarā. katamañcāvuso, maraṇaṃ? yā tesaṃ tesaṃ sattānaṃ tamhā tamhā sattanikāyā cuti cavanatā bhedo antaradhānaṃ maccu maraṇaṃ kālaṃkiriyā khandhānaṃ bhedo, kaḷevarassa nikkhepo, jīvitindriyassupacchedo — idaṃ vuccatāvuso, maraṇaṃ. iti ayañca jarā idañca maraṇaṃ — idaṃ vuccatāvuso, jarāmaraṇaṃ. jātisamudayā jarāmaraṇasamudayo, jātinirodhā jarāmaraṇanirodho,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jarāmaraṇanirodhagāminī paṭipadā,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 pe ... sammāsamādhi.
 
 “있습니다, 도반들이여.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노사(老死)를 꿰뚫어 알고, 노사(老死)의 일어남을 꿰뚫어 알고, 노사(老死)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노사(老死)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면, 도반들이여, 이것을 일러 성스러운 제자가 바른 견해를 가지고 올곧은 견해를 가져서, 가르침에 대한 확실한 믿음을 갖게 되고, 이 바른 가르침을 성취하게 된다고 합니다. 그러면 도반들이여, 무엇이 노사(老死)이고, 무엇이 노사(老死)의 일어남이고, 무엇이 노사(老死)의 소멸이고, 무엇이 노사(老死)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입니까? 이런저런 중생들의 무리로부터 이런저런 중생들의 늙음, 노쇠함, 치아가 부러짐, 머리가 흼, 주름진 피부, 수명의 감소, 기능[근(根)]의 파괴, ㅡ 도반들이여, 이것이 늙음[노(老)]라고 불립니다. 그러면 도반들이여, 무엇이 죽음[사(死)]입니까? 이런저런 중생들의 무리로부터 이런저런 중생들의 종말, 제거됨, 해체, 사라짐, 사망, 죽음, 서거, 온(蘊)의 해체, 육체를 내려놓음, 명근(命根)의 끊어짐, ㅡ 도반들이여, 이것이 죽음[사(死)]라고 불립니다. 이러한 늙음[노(老)]과 이러한 죽음[사(死)] ㅡ 도반들이여, 이것이 노사(老死)라고 불립니다. 생(生)의 집(集)이 노사(老死)의 집(集)이고, 생(生)의 멸(滅)이 노사(老死)의 멸(滅)이고, 이러한 성스러운 여덟 가지 구성요소를 가진 도(道)가 노사(老死)의 멸(滅)로 이끄는 실천인데, 다음과 같습니다. ㅡ 정견(正見) … 정정(正定).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evaṃ jarāmaraṇaṃ pajānāti, evaṃ jarāmaraṇasamudaṃ pajānāti, evaṃ jarāmaraṇanirodhaṃ pajānāti, evaṃ jarāmaraṇanirodhagāminiṃ paṭipadaṃ pajānāti, so sabbaso rāgānusayaṃ pahāya ... pe ... dukkhassantakaro ho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n”ti.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이렇게 노사(老死)를 꿰뚫어 알고, 이렇게 노사(老死)의 집(集)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노사(老死)의 멸(滅)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노사(老死)의 멸(滅)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면, 그는 탐(貪)의 잠재성향을 완전히 버리고 … 괴로움을 끝냅니다. ㅡ 도반들이여, 이것을 일러 성스러운 제자가 바른 견해를 가지고 올곧은 견해를 가져서, 가르침에 대한 확실한 믿음을 갖게 되고, 이 바른 가르침을 성취하게 된다고 합니다.”
 
 “sādhāvuso”ti kho ... pe ... apucchuṃ — siyā panāvuso ... pe ... “siyā, āvuso.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jātiñca pajānāti, jātisamudayañca pajānāti, jātinirodhañca pajānāti, jātinirodhagāminiṃ paṭipadañca pajānā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ṃ. katamā panāvuso, jāti, katamo jātisamudayo, katamo jātinirodho, katamā jātinirodhagāminī paṭipadā? yā tesaṃ tesaṃ sattānaṃ tamhi tamhi sattanikāye jāti sañjāti okkanti abhinibbatti khandhānaṃ pātubhāvo, āyatanānaṃ paṭilābho — ayaṃ vuccatāvuso, jāti. bhavasamudayā jātisamudayo, bhavanirodhā jātinirodho,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jātinirodhagāminī paṭipadā,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 pe ... sammāsamādhi.
 
 “훌륭합니다, 도반이시여.”라고 … 질문을 하였다. ㅡ “그런데 도반이시여, … 있습니까?”라고. 
“있습니다, 도반들이여.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생(生)을 꿰뚫어 알고, 생(生)의 일어남을 꿰뚫어 알고, 생(生)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생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면, 도반들이여, 이것을 일러 성스러운 제자가 바른 견해를 가지고 올곧은 견해를 가져서, 가르침에 대한 확실한 믿음을 갖게 되고, 이 바른 가르침을 성취하게 된다고 합니다. 그러면 도반들이여, 무엇이 생(生)이고, 무엇이 생(生)의 일어남이고, 무엇이 생(生)의 소멸이고, 무엇이 생(生)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입니까? 이런저런 중생들의 무리로부터 이런저런 중생들의 태어남, 출생, 도래함, 생김, 탄생, 오온(五蘊)의 나타남, 처(處)를 획득함 ㅡ 도반들이여, 이것이 생(生)이라고 불립니다. 유(有)의 집(集)이 생(生)의 집(集)이고, 유(有)의 멸(滅)이 생(生)의 멸(滅)이고, 이러한 성스러운 여덟 가지 구성요소를 가진 도(道)가 생(生)의 멸(滅)로 이끄는 실천인데, 다음과 같습니다. ㅡ 정견(正見) … 정정(正定).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evaṃ jātiṃ pajānāti, evaṃ jātisamudayaṃ pajānāti, evaṃ jātinirodhaṃ pajānāti, evaṃ jātinirodhagāminiṃ paṭipadaṃ pajānāti, so sabbaso rāgānusayaṃ pahāya ... pe ... dukkhassantakaro ho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n”ti.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이렇게 생(生)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생(生)의 집(集)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생(生)의 멸(滅)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생(生)의 멸(滅)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면, 그는 탐(貪)의 잠재성향을 완전히 버리고 … 괴로움을 끝냅니다. ㅡ 도반들이여, 이것을 일러 성스러운 제자가 바른 견해를 가지고 올곧은 견해를 가져서, 가르침에 대한 확실한 믿음을 갖게 되고, 이 바른 가르침을 성취하게 된다고 합니다.”
 
 “sādhāvuso”ti kho ... pe ... apucchuṃ — siyā panāvuso ... pe ... “siyā, āvuso.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bhavañca pajānāti, bhavasamudayañca pajānāti, bhavanirodhañca pajānāti, bhavanirodhagāminiṃ paṭipadañca pajānā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ṃ. katamo panāvuso, bhavo, katamo bhavasamudayo, katamo bhavanirodho, katamā bhavanirodhagāminī paṭipadā? tayome, āvuso, bhavā — kāmabhavo, rūpabhavo, arūpabhavo. upādānasamudayā bhavasamudayo, upādānanirodhā bhavanirodho,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bhavanirodhagāminī paṭipadā,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 pe ... sammāsamādhi.
 
 “훌륭합니다, 도반이시여.”라고 … 질문을 하였다. ㅡ “그런데 도반이시여, … 있습니까?”라고. 
“있습니다, 도반들이여.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존재[유(有)]를 꿰뚫어 알고, 존재의 일어남을 꿰뚫어 알고, 존재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존재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면, 도반들이여, 이것을 일러 성스러운 제자가 바른 견해를 가지고 올곧은 견해를 가져서, 가르침에 대한 확실한 믿음을 갖게 되고, 이 바른 가르침을 성취하게 된다고 합니다. 그러면 도반들이여, 무엇이 존재이고, 무엇이 존재의 일어남이고, 무엇이 존재의 소멸이고, 무엇이 존재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입니까? 도반들이여, 세 가지 존재가 있나니 욕계의 존재[욕유(慾有)], 색계의 존재[색유(色有)], 무색계의 존재[무색유(無色有)]입니다. 취(取)의 집(集)이 유(有)의 집(集)이고, 취(取)의 멸(滅)이 유(有)의 멸(滅)이고, 이러한 성스러운 여덟 가지 구성요소를 가진 도(道)가 유(有)의 멸(滅)로 이끄는 실천인데, 다음과 같습니다. ㅡ 정견(正見) … 정정(正定).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evaṃ bhavaṃ pajānāti, evaṃ bhavasamudayaṃ pajānāti, evaṃ bhavanirodhaṃ pajānāti, evaṃ bhavanirodhagāminiṃ paṭipadaṃ pajānāti, so sabbaso rāgānusayaṃ pahāya ... pe ... dukkhassantakaro hoti.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n”ti.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이렇게 유(有)를 꿰뚫어 알고, 이렇게 유(有)의 집(集)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유(有)의 멸(滅)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유(有)의 멸(滅)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면, 그는 탐(貪)의 잠재성향을 완전히 버리고 … 괴로움을 끝냅니다. ㅡ 도반들이여, 이것을 일러 성스러운 제자가 바른 견해를 가지고 올곧은 견해를 가져서, 가르침에 대한 확실한 믿음을 갖게 되고, 이 바른 가르침을 성취하게 된다고 합니다.”
 
 “sādhāvuso”ti kho ... pe ... apucchuṃ — siyā panāvuso ... pe ... “siyā, āvuso.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upādānañca pajānāti, upādānasamudayañca pajānāti, upādānanirodhañca pajānāti, upādānanirodhagāminiṃ paṭipadañca pajānā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ṃ. katamaṃ panāvuso, upādānaṃ, katamo upādānasamudayo, katamo upādānanirodho, katamā upādānanirodhagāminī paṭipadā? cattārimāni, āvuso, upādānāni — kāmupādānaṃ, diṭṭhupādānaṃ, sīlabbatupādānaṃ, attavādupādānaṃ. taṇhāsamudayā upādānasamudayo, taṇhānirodhā upādānanirodho,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upādānanirodhagāminī paṭipadā,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 pe ... sammāsamādhi.
 
 “훌륭합니다, 도반이시여.”라고 … 질문을 하였다. ㅡ “그런데 도반이시여, … 있습니까?”라고. 
“있습니다, 도반들이여.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집착[취(取)]를 꿰뚫어 알고, 집착의 일어남을 꿰뚫어 알고, 집착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집착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면, 도반들이여, 이것을 일러 성스러운 제자가 바른 견해를 가지고 올곧은 견해를 가져서, 가르침에 대한 확실한 믿음을 갖게 되고, 이 바른 가르침을 성취하게 된다고 합니다. 그러면 도반들이여, 무엇이 집착이고, 무엇이 집착의 일어남이고, 무엇이 집착의 소멸이고, 무엇이 집착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입니까? 도반들이여, 네 가지 집착이 있나니 소유적 사유의 집착[욕취(慾取)], 견해의 집착[견취(見取)], 계율과 의례의식의 집착[계금취(戒禁取)], 자아의 교리의 집착[아어취(我語取)]입니다. 갈애[애(愛)]의 집(集)이 취(取)의 집(集)이고, 애(愛)의 멸(滅)이 취(取)의 멸(滅)이고, 이러한 성스러운 여덟 가지 구성요소를 가진 도(道)가 취(取)의 멸(滅)로 이끄는 실천인데, 다음과 같습니다. ㅡ 정견(正見) … 정정(正定).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evaṃ upādānaṃ pajānāti, evaṃ upādānasamudayaṃ pajānāti, evaṃ upādānanirodhaṃ pajānāti, evaṃ upādānanirodhagāminiṃ paṭipadaṃ pajānāti, so sabbaso rāgānusayaṃ pahāya ... pe ... dukkhassantakaro ho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n”ti.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이렇게 취(取)를 꿰뚫어 알고, 이렇게 취(取)의 집(集)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취(取)의 멸(滅)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취(取)의 멸(滅)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면, 그는 탐(貪)의 잠재성향을 완전히 버리고 … 괴로움을 끝냅니다. ㅡ 도반들이여, 이것을 일러 성스러운 제자가 바른 견해를 가지고 올곧은 견해를 가져서, 가르침에 대한 확실한 믿음을 갖게 되고, 이 바른 가르침을 성취하게 된다고 합니다.”
 
 “sādhāvuso”ti kho ... pe ... apucchuṃ — siyā panāvuso ... pe ... “siyā, āvuso.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taṇhañca pajānāti, taṇhāsamudayañca pajānāti, taṇhānirodhañca pajānāti, taṇhānirodhagāminiṃ paṭipadañca pajānā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ṃ. katamā panāvuso, taṇhā, katamo taṇhāsamudayo, katamo taṇhānirodho, katamā taṇhānirodhagāminī paṭipadā? chayime, āvuso, taṇhākāyā — rūpataṇhā, saddataṇhā, gandhataṇhā, rasataṇhā, phoṭṭhabbataṇhā, dhammataṇhā. vedanāsamudayā taṇhāsamudayo, vedanānirodhā taṇhānirodho,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taṇhānirodhagāminī paṭipadā,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 pe ... sammāsamādhi.
 
 “훌륭합니다, 도반이시여.”라고 … 질문을 하였다. ㅡ “그런데 도반이시여, … 있습니까?”라고. 
“있습니다, 도반들이여.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갈애[애(愛)]를 꿰뚫어 알고, 갈애의 일어남을 꿰뚫어 알고, 갈애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갈애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면, 도반들이여, 이것을 일러 성스러운 제자가 바른 견해를 가지고 올곧은 견해를 가져서, 가르침에 대한 확실한 믿음을 갖게 되고, 이 바른 가르침을 성취하게 된다고 합니다. 그러면 도반들이여, 무엇이 갈애이고, 무엇이 갈애의 일어남이고, 무엇이 갈애의 소멸이고, 무엇이 갈애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입니까? 도반들이여, 여섯 가지 갈애의 무리가 있나니 형색에 대한 갈애[색애(色愛)], 소리에 대한 갈애[성애(聲愛)], 냄새에 대한 갈애[향애(香愛)], 맛에 대한 갈애[미애(味愛)], 감촉에 대한 갈애[촉애(觸愛)], 법에 대한 갈애[법애(法愛)]입니다. 느낌[수(受)]의 집(集)이 애(愛)의 집(集)이고, 수(受)의 멸(滅)이 애(愛)의 멸(滅)이고, 이러한 성스러운 여덟 가지 구성요소를 가진 도(道)가 애(愛)의 멸(滅)로 이끄는 실천인데, 다음과 같습니다. ㅡ 정견(正見) … 정정(正定).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evaṃ taṇhaṃ pajānāti, evaṃ taṇhāsamudayaṃ pajānāti, evaṃ taṇhānirodhaṃ pajānāti, evaṃ taṇhānirodhagāminiṃ paṭipadaṃ pajānāti, so sabbaso rāgānusayaṃ pahāya ... pe ... dukkhassantakaro ho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n”ti.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이렇게 애(愛)를 꿰뚫어 알고, 이렇게 애(愛)의 집(集)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애(愛)의 멸(滅)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애(愛)의 멸(滅)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면, 그는 탐(貪)의 잠재성향을 완전히 버리고 … 괴로움을 끝냅니다. ㅡ 도반들이여, 이것을 일러 성스러운 제자가 바른 견해를 가지고 올곧은 견해를 가져서, 가르침에 대한 확실한 믿음을 갖게 되고, 이 바른 가르침을 성취하게 된다고 합니다.”
 
 “sādhāvuso”ti kho ... pe ... apucchuṃ — siyā panāvuso ... pe ... “siyā, āvuso.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vedanañca pajānāti, vedanāsamudayañca pajānāti, vedanānirodhañca pajānāti, vedanānirodhagāminiṃ paṭipadañca pajānā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ṃ. katamā panāvuso, vedanā, katamo vedanāsamudayo, katamo vedanānirodho, katamā vedanānirodhagāminī paṭipadā? chayime, āvuso, vedanākāyā — cakkhusamphassajā vedanā, sotasamphassajā vedanā, ghānasamphassajā vedanā, jivhāsamphassajā vedanā, kāyasamphassajā vedanā, manosamphassajā vedanā. phassasamudayā vedanāsamudayo, phassanirodhā vedanānirodho,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vedanānirodhagāminī paṭipadā,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 pe ... sammāsamādhi.
 
 “훌륭합니다, 도반이시여.”라고 … 질문을 하였다. ㅡ “그런데 도반이시여, … 있습니까?”라고. 
“있습니다, 도반들이여.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느낌[수(受)]를 꿰뚫어 알고, 느낌의 일어남을 꿰뚫어 알고, 느낌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느낌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면, 도반들이여, 이것을 일러 성스러운 제자가 바른 견해를 가지고 올곧은 견해를 가져서, 가르침에 대한 확실한 믿음을 갖게 되고, 이 바른 가르침을 성취하게 된다고 합니다. 그러면 도반들이여, 무엇이 느낌이고, 무엇이 느낌의 일어남이고, 무엇이 느낌의 소멸이고, 무엇이 느낌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입니까? 도반들이여, 여섯 가지 느낌의 무리가 있나니 눈의 촉에서 생긴 느낌[안촉생수(眼觸生受)], 귀의 촉에서 생긴 느낌[이촉생수(耳觸生受), 코의 촉에서 생긴 느낌[비촉생수(鼻觸生受)], 혀의 촉에서 생긴 느낌[설촉생수(舌觸生受)], 몸의 촉에서 생긴 느낌[신촉생수(身觸生受)], 마노의 촉에서 생긴 느낌[의촉생수(意觸生受)]입니다. 삼사화합(三事和合)[촉(觸)]의 집(集)이 수(受)의 집(集)이고, 촉(觸)의 멸(滅)이 수(受)의 멸(滅)이고, 이러한 성스러운 여덟 가지 구성요소를 가진 도(道)가 수(受)의 멸(滅)로 이끄는 실천인데, 다음과 같습니다. ㅡ 정견(正見) … 정정(正定).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evaṃ vedanaṃ pajānāti, evaṃ vedanāsamudayaṃ pajānāti, evaṃ vedanānirodhaṃ pajānāti, evaṃ vedanānirodhagāminiṃ paṭipadaṃ pajānāti, so sabbaso rāgānusayaṃ pahāya ... pe ... dukkhassantakaro ho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n”ti.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이렇게 수(受)를 꿰뚫어 알고, 이렇게 수(受)의 집(集)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수(受)의 멸(滅)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수(受)의 멸(滅)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면, 그는 탐(貪)의 잠재성향을 완전히 버리고 … 괴로움을 끝냅니다. ㅡ 도반들이여, 이것을 일러 성스러운 제자가 바른 견해를 가지고 올곧은 견해를 가져서, 가르침에 대한 확실한 믿음을 갖게 되고, 이 바른 가르침을 성취하게 된다고 합니다.”
 
 “sādhāvuso”ti kho ... pe ... apucchuṃ — siyā panāvuso ... pe ... “siyā, āvuso.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phassañca pajānāti, phassasamudayañca pajānāti, phassanirodhañca pajānāti, phassanirodhagāminiṃ paṭipadañca pajānā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ṃ. katamo panāvuso, phasso, katamo phassasamudayo, katamo phassanirodho, katamā phassanirodhagāminī paṭipadā? chayime, āvuso, phassakāyā — cakkhusamphasso, sotasamphasso, ghānasamphasso, jivhāsamphasso, kāyasamphasso, manosamphasso. saḷāyatanasamudayā phassasamudayo, saḷāyatananirodhā phassanirodho,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phassanirodhagāminī paṭipadā,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 pe ... sammāsamādhi.
 
 “훌륭합니다, 도반이시여.”라고 … 질문을 하였다. ㅡ “그런데 도반이시여, … 있습니까?”라고. 
“있습니다, 도반들이여.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촉(觸)을 꿰뚫어 알고, 촉(觸)의 일어남을 꿰뚫어 알고, 촉(觸)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촉(觸)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면, 도반들이여, 이것을 일러 성스러운 제자가 바른 견해를 가지고 올곧은 견해를 가져서, 가르침에 대한 확실한 믿음을 갖게 되고, 이 바른 가르침을 성취하게 된다고 합니다. 그러면 도반들이여, 무엇이 촉(觸)이고, 무엇이 촉(觸)의 일어남이고, 무엇이 촉(觸)의 소멸이고, 무엇이 촉(觸)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입니까? 도반들이여, 여섯 가지 촉(觸)의 무리가 있나니 눈의 촉[안촉(眼觸)], 귀의 촉[이촉(耳觸)], 코의 촉[비촉(鼻觸)], 혀의 촉[설촉(舌觸)], 몸의 촉[신촉(身觸)], 마노의 촉[의촉(意觸)]입니다. 육입(六入)의 집(集)이 촉(觸)의 집(集)고, 육입(六入)의 멸(滅)이 촉(觸)의 멸(滅)이고, 이러한 성스러운 여덟 가지 구성요소를 가진 도(道)가 촉(觸)의 멸(滅)로 이끄는 실천인데, 다음과 같습니다. ㅡ 정견(正見) … 정정(正定).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evaṃ phassaṃ pajānāti, evaṃ phassasamudayaṃ pajānāti, evaṃ phassanirodhaṃ pajānāti, evaṃ phassanirodhagāminiṃ paṭipadaṃ pajānāti, so sabbaso rāgānusayaṃ pahāya ... pe ... dukkhassantakaro ho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n”ti.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이렇게 촉(觸)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촉(觸)의 집(集)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촉(觸)의 멸(滅)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촉(觸)의 멸(滅)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면, 그는 탐(貪)의 잠재성향을 완전히 버리고 … 괴로움을 끝냅니다. ㅡ 도반들이여, 이것을 일러 성스러운 제자가 바른 견해를 가지고 올곧은 견해를 가져서, 가르침에 대한 확실한 믿음을 갖게 되고, 이 바른 가르침을 성취하게 된다고 합니다.”
 
 “sādhāvuso”ti kho ... pe ... apucchuṃ — siyā panāvuso ... pe ... “siyā, āvuso.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saḷāyatanañca pajānāti, saḷāyatanasamudayañca pajānāti, saḷāyatananirodhañca pajānāti, saḷāyatananirodhagāminiṃ paṭipadañca pajānā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ṃ. katamaṃ panāvuso, saḷāyatanaṃ, katamo saḷāyatanasamudayo, katamo saḷāyatananirodho, katamā saḷāyatananirodhagāminī paṭipadā? chayimāni, āvuso, āyatanāni — cakkhāyatanaṃ, sotāyatanaṃ, ghānāyatanaṃ, jivhāyatanaṃ, kāyāyatanaṃ, manāyatanaṃ. nāmarūpasamudayā saḷāyatanasamudayo, nāmarūpanirodhā saḷāyatananirodho,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saḷāyatananirodhagāminī paṭipadā,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 pe ... sammāsamādhi.
 
 “훌륭합니다, 도반이시여.”라고 … 질문을 하였다. ㅡ “그런데 도반이시여, … 있습니까?”라고. 
“있습니다, 도반들이여.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육입(六入)을 꿰뚫어 알고, 육입(六入)의 일어남을 꿰뚫어 알고, 육입(六入)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육입(六入)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면, 도반들이여, 이것을 일러 성스러운 제자가 바른 견해를 가지고 올곧은 견해를 가져서, 가르침에 대한 확실한 믿음을 갖게 되고, 이 바른 가르침을 성취하게 된다고 합니다. 그러면 도반들이여, 무엇이 육입(六入)이고, 무엇이 육입(六入)의 일어남이고, 무엇이 육입(六入)의 소멸이고, 무엇이 육입(六入)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입니까? 도반들이여, 여섯 가지 감각주관의 무리가 있나니 눈의 감각주관[안입(眼入)], 귀의 감각주관[이입(耳入)], 코의 감각주관[비입(鼻入)], 혀의 감각주관[설입(舌入)], 몸의 감각주관[신입(身入)], 마노의 감각주관[의입(意入)]입니다. 명색(名色)의 집(集)이 육입(六入)의 집(集)이고, 명색(名色)의 멸(滅)이 육입(六入)의 멸(滅)이고, 이러한 성스러운 여덟 가지 구성요소를 가진 도(道)가 육입(六入)의 멸(滅)로 이끄는 실천인데, 다음과 같습니다. ㅡ 정견(正見) … 정정(正定).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evaṃ saḷāyatanaṃ pajānāti, evaṃ saḷāyatanasamudayaṃ pajānāti, evaṃ saḷāyatananirodhaṃ pajānāti, evaṃ saḷāyatananirodhagāminiṃ paṭipadaṃ pajānāti, so sabbaso rāgānusayaṃ pahāya...pe... dukkhassantakaro ho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n”ti.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이렇게 육입(六入)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육입(六入)의 집(集)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육입(六入)의 멸(滅)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육입(六入)의 멸(滅)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면, 그는 탐(貪)의 잠재성향을 완전히 버리고 … 괴로움을 끝냅니다. ㅡ 도반들이여, 이것을 일러 성스러운 제자가 바른 견해를 가지고 올곧은 견해를 가져서, 가르침에 대한 확실한 믿음을 갖게 되고, 이 바른 가르침을 성취하게 된다고 합니다.”
 
 “sādhāvuso”ti kho ... pe ... apucchuṃ — siyā panāvuso ... pe ... “siyā, āvuso.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nāmarūpañca pajānāti, nāmarūpasamudayañca pajānāti, nāmarūpanirodhañca pajānāti, nāmarūpanirodhagāminiṃ paṭipadañca pajānā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ṃ. katamaṃ panāvuso, nāmarūpaṃ, katamo nāmarūpasamudayo, katamo nāmarūpanirodho, katamā nāmarūpanirodhagāminī paṭipadā? vedanā, saññā, cetanā, phasso, manasikāro — idaṃ vuccatāvuso, nāmaṃ; cattāri ca mahābhūtāni, catunnañca mahābhūtānaṃ upādāyarūpaṃ — idaṃ vuccatāvuso, rūpaṃ. iti idañca nāmaṃ idañca rūpaṃ — idaṃ vuccatāvuso, nāmarūpaṃ. viññāṇasamudayā nāmarūpasamudayo, viññāṇanirodhā nāmarūpanirodho,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nāmarūpanirodhagāminī paṭipadā,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 pe ... sammāsamādhi.
 
 “훌륭합니다, 도반이시여.”라고 … 질문을 하였다. ㅡ “그런데 도반이시여, … 있습니까?”라고. 
“있습니다, 도반들이여.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명색(名色)을 꿰뚫어 알고, 명색(名色)의 일어남을 꿰뚫어 알고, 명색(名色)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명색(名色)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면, 도반들이여, 이것을 일러 성스러운 제자가 바른 견해를 가지고 올곧은 견해를 가져서, 가르침에 대한 확실한 믿음을 갖게 되고, 이 바른 가르침을 성취하게 된다고 합니다. 그러면 도반들이여, 무엇이 명색(名色)이고, 무엇이 명색(名色)의 일어남이고, 무엇이 명색(名色)의 소멸이고, 무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