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번역의 도구 > 용례분석

용례분석

anuvitakketi anuvicāreti의 용례[계속해서 떠오르(게 하)고 계속해서 지켜보다]

0 459 2018.07.20 10:53

anuvitakketi anuvicāreti의 용례

[계속해서 떠오르(게 하)고 계속해서 지켜보다]


1. 심(心)의 성향이 됨 ㅡ dvedhāvitakkasuttaṃ (MN 19.1-두 부분의 떠오름 경)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02_09&wr_id=1

 

yaññadeva, bhikkhave, bhikkhu bahulamanuvitakketi anuvicāreti, tathā tathā nati hoti cetaso.


비구들이여, 비구가 자주 계속해서 떠오르게 하고 계속해서 지켜보는 그런 방법들에 의해 심(心)의 성향이 있다.


2. 찬다가 생김 ㅡ dutiyanidānasuttaṃ (AN 3.113)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8_06_01&wr_id=2

 

“tīṇimāni, bhikkhave, nidānāni kammānaṃ samudayāya. katamāni tīṇi? atīte, bhikkhave, chandarāgaṭṭhāniye dhamme ārabbha chando jāyati; anāgate, bhikkhave, chandarāgaṭṭhāniye dhamme ārabbha chando jāyati; paccuppanne, bhikkhave, chandarāgaṭṭhāniye dhamme ārabbha chando jāyati. kathañca, bhikkhave, atīte chandarāgaṭṭhāniye dhamme ārabbha chando jāyati? atīte, bhikkhave, chandarāgaṭṭhāniye dhamme ārabbha cetasā anuvitakketi anuvicāreti. tassa atīte chandarāgaṭṭhāniye dhamme ārabbha cetasā anuvitakkayato anuvicārayato chando jāyati. chandajāto tehi dhammehi saṃyutto hoti. etamahaṃ, bhikkhave, saṃyojanaṃ vadāmi yo cetaso sārāgo. evaṃ kho, bhikkhave, atīte chandarāgaṭṭhāniye dhamme ārabbha chando jāyati.


비구들이여, 업(業)들이 일어나기 위한 세 가지 이런 원인이 있다. 어떤 세 가지인가? 비구들이여, 과거의 욕탐(欲貪)이 함께해질 법들과 관련하여 찬다가 생긴다. 비구들이여, 미래의 욕탐(欲貪)이 함께해질 법들과 관련하여 찬다가 생긴다. 비구들이여, 현재의 욕탐(欲貪)이 함께해질 법들과 관련하여 찬다가 생긴다. 그러면, 비구들이여, 어떻게 과거의 욕탐(欲貪)이 함께해질 법들과 관련하여 찬다가 생기는가? 비구들이여, 과거의 욕탐(欲貪)이 함께해질 법들과 관련하여 심(心)으로부터 계속해서 떠오르고 계속해서 지켜본다. 그에게 과거의 욕탐(欲貪)이 함께해질 법들과 관련하여 심(心)으로부터 계속해서 떠오르고 계속해서 지켜보는 것 때문에 찬다가 생긴다. 찬다가 생긴 자는 그 법들에 의해 묶인다. 비구들이여, 심(心)의 탐닉을 나는 족쇄라고 부른다. 비구들이여, 이렇게 과거의 욕탐(欲貪)이 함께해질 법들과 관련하여 찬다가 생긴다.


; 미래와 현재에 반복.


3. cetasā anuvitakketi anuvicāreti manasānupekkhati[심(心)으로부터 계속해서 떠오르게 하고 계속해서 지켜보고 의(意)로 주의 깊게 본다] 

ㅡ vimuttāyatanasuttaṃ (AN 5.26)(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9_01_03&wr_id=2),

paṭhamadhammavihārīsuttaṃ (AN 5.73)(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9_01_08&wr_id=3),

dutiyadhammavihārīsuttaṃ (AN 5.74)(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9_01_08&wr_id=4),

ānandasuttaṃ (AN 6.51), phaggunasuttaṃ (AN 6.56)  


「yathāsutaṃ yathāpariyattaṃ dhammaṃ cetasā anuvitakketi anuvicāreti manasānupekkhati 들은 대로 배운 대로 법을 심(心)으로부터 계속해서 떠오르게 하고 계속해서 지켜보고 의(意)로 주의 깊게 본다.」


4. 기타의 용례 ㅡ 1) vammikasuttaṃ (MN 23.1-개미집 경)


“yaṃ kho, bhikkhu, divā kammante ārabbha rattiṃ anuvitakketi anuvicāreti — ayaṃ rattiṃ dhūmāyanā. yaṃ kho, bhikkhu, rattiṃ anuvitakketvā anuvicāretvā divā kammante payojeti kāyena vācāya ‘manasā’ — ayaṃ divā pajjalanā.


비구여, 낮에 시작한 행위에 대해 밤에 계속해서 떠오르게 하고 계속해서 지켜본다. ㅡ 이것이 밤에 연기를 뿜는 것이다. 비구여, 밤에 계속해서 떠오르게 하고 계속해서 지켜본 뒤 낮에 신(身)과 구와 의(意)에 의해서 행위에 적용한다. ㅡ 이것이 낮에 불꽃을 내며 타는 것이다.


5. 기타의 용례 ㅡ 2) sunakkhattasuttaṃ (MN 105.1-수낙캇따 경) → 「[물질적 세상에 대한 경향 - 정적인 것에 대한 경향 - 무소유처에 대한 경향 - 비상비비상처에 대한 경향 – 열반에 대한 경향]을 가진 사람에게 그것에 어울리는 이야기를 하면 그것에 적합한 법을 계속해서 떠오르게 하고 계속해서 지켜봅니다. 그 사람을 교제하고, 그로 인해서 행복해 합니다.」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11_05&wr_id=2 


“ṭhānaṃ kho panetaṃ, sunakkhatta, vijjati yaṃ idhekacco purisapuggalo lokāmisādhimutto assa. lokāmisādhimuttassa kho, sunakkhatta, purisapuggalassa tappatirūpī ceva kathā saṇṭhāti, tadanudhammañca anuvitakketi, anuvicāreti, tañca purisaṃ bhajati, tena ca vittiṃ āpajjati; āneñjapaṭisaṃyuttāya ca pana kathāya kacchamānāya na sussūsati, na sotaṃ odahati, na aññā cittaṃ upaṭṭhāpeti, na ca taṃ purisaṃ bhajati, na ca tena vittiṃ āpajjati. 


“수낙캇따여, 여기 물질적 세상에 대한 경향을 가진 어떤 사람이 있을 것이라는 이런 경우가 있습니다. 수낙캇따여, 물질적 세상에 대한 경향을 가진 사람에게 그것에 어울리는 이야기를 하면 그것에 적합한 법을 계속해서 떠오르게 하고 계속해서 지켜봅니다. 그 사람을 교제하고, 그로 인해서 행복해 합니다. 정적(靜的)인 것에 연결된 이야기를 말하는 것에 대해서는 듣지 않고, 귀를 기울이지 않고, 무위(無爲)의 앎을 향해 심(心)을 돌보지 않고, 그 사람을 교제하지 않고, 그로 인해 행복해 하지 않습니다. 


“ṭhānaṃ kho panetaṃ, sunakkhatta, vijjati yaṃ idhekacco purisapuggalo āneñjādhimutto assa. āneñjādhimuttassa kho, sunakkhatta, purisapuggalassa tappatirūpī ceva kathā saṇṭhāti, tadanudhammañca anuvitakketi, anuvicāreti, ~


“수낙캇따여, 여기 정적(靜的)인 것에 대한 경향을 가진 어떤 사람이 있을 것이라는 이런 경우가 있습니다. 수낙캇따여, 정적(靜的)인 것에 대한 경향을 가진 사람에게 그것에 어울리는 이야기를 하면 그것에 적합한 법을 계속해서 떠오르게 하고 계속해서 지켜봅니다. ~


“ṭhānaṃ kho panetaṃ, sunakkhatta, vijjati yaṃ idhekacco purisapuggalo ākiñcaññāyatanādhimutto assa. ākiñcaññāyatanādhimuttassa kho, sunakkhatta, purisapuggalassa tappatirūpī ceva kathā saṇṭhāti, tadanudhammañca anuvitakketi, anuvicāreti, ~


“수낙캇따여, 여기 무소유처(無所有處)에 대한 경향을 가진 어떤 사람이 있을 것이라는 이런 경우가 있습니다. 수낙캇따여, 무소유처에 대한 경향을 가진 사람에게 그것에 어울리는 이야기를 하면 그것에 적합한 법을 계속해서 떠오르게 하고 계속해서 지켜봅니다. ~


“ṭhānaṃ kho panetaṃ, sunakkhatta, vijjati yaṃ idhekacco purisapuggalo nevasaññānāsaññāyatanādhimutto assa. nevasaññānāsaññāyatanādhimuttassa kho, sunakkhatta, purisapuggalassa tappatirūpī ceva kathā saṇṭhāti, tadanudhammañca anuvitakketi, anuvicāreti, ~


“수낙캇따여, 여기 비상비비상처(非想非非想處)에 대한 경향을 가진 어떤 사람이 있을 것이라는 이런 경우가 있습니다. 수낙캇따여, 비상비비상처에 대한 경향을 가진 사람에게 그것에 어울리는 이야기를 하면 그것에 적합한 법을 계속해서 떠오르게 하고 계속해서 지켜봅니다. ~


“ṭhānaṃ kho panetaṃ, sunakkhatta, vijjati yaṃ idhekacco purisapuggalo sammā nibbānādhimutto assa. sammā nibbānādhimuttassa kho, sunakkhatta, purisapuggalassa tappatirūpī ceva kathā saṇṭhāti, tadanudhammañca anuvitakketi, anuvicāreti, ~


“수낙캇따여, 여기 바르게 열반(涅槃)에 대한 경향을 가진 어떤 사람이 있을 것이라는 이런 경우가 있습니다. 수낙캇따여, 바르게 열반에 대한 경향을 가진 사람에게 그것에 어울리는 이야기를 하면 그것에 적합한 법을 계속해서 떠오르게 하고 계속해서 지켜봅니다. ~


※ 유사한 용례 : anussarati anuvitakketi ㅡ 계속해서 기억하고 계속해서 떠오르게 한다.  <sīlasuttaṃ (SN 46.3-계(戒) 경)> ☞ 


taṃ kissa hetu? tathārūpānaṃ, bhikkhave, bhikkhūnaṃ dhammaṃ sutvā dvayena vūpakāsena vūpakaṭṭho viharati — kāyavūpakāsena ca cittavūpakāsena ca. so tathā vūpakaṭṭho viharanto taṃ dhammaṃ anussarati anuvitakketi.


그것은 무슨 이유 때문인가? 비구들이여, 그러한 비구들의 법을 배운 뒤 그는 몸의 떠남과 마음의 떠남이라는 두 가지 떠남에 의해 떠나 머문다. 이렇게 떠나 머무는 그는 그 법을 계속해서 기억하고 계속해서 떠오르게 한다.


“yasmiṃ samaye, bhikkhave, bhikkhu tathā vūpakaṭṭho viharanto taṃ dhammaṃ anussarati anuvitakketi, satisambojjhaṅgo tasmiṃ samaye bhikkhuno āraddho hoti; satisambojjhaṅgaṃ tasmiṃ samaye bhikkhu bhāveti; satisambojjhaṅgo tasmiṃ samaye bhikkhuno bhāvanāpāripūriṃ gacchati. so tathā sato viharanto taṃ dhammaṃ paññāya pavicinati pavicarati parivīmaṃsamāpajjati. 


비구들이여, 이렇게 떠나 머무는 비구가 그 법을 계속해서 기억하고 계속해서 떠오르게 하는 그때에 비구에게 염각지(念覺支)가 시작된다. 그때 비구는 염각지를 닦는다. 그때 비구에게 염각지는 닦아져 완성으로 나아간다. 이처럼 사띠 하여 머무는 그는 그 법을 지혜로 조사하고 고찰하고 완전하게 검증한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