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교리공부 > 오온(五蘊)

오온(五蘊)

합송경 5-6[오온-오취온 6)意의 정의 - 운나바바라문경 - 조건지어진 식(M38) - 인식의 영역](부산 합송경 법회 18…

1 1,113 2018.01.11 12:02

합송경 5-6[오온-오취온 6)의 정의 - 운나바바라문경 - 조건지어진 식(M38) - 인식의 영역](부산 합송경 법회 180110)

[동영상] https://youtu.be/UkQCnf-rE7Y

 

의(意)[mana(s)]에 대해서 설명하였습니다. 의(意)는 심(心) 또는 식(識)이 몸과 함께하여 행위 하거나 인식하는 현상적인 마음입니다. 그래서 오근(五根)[안근(眼根)-이근(耳根)-비근(鼻根)-설근(舌根)-신근(身根)]이 의(意)를 의지한다는 용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때, 의(意)는 육식(六識)[안식(眼識)-이식(耳識)-비식(鼻識)-설식(舌識)-신식(身識)-의식(意識)]과 의식(意識)의 기능으로의 의근(意根)을 포함한 것인데, 육식(六識)과 육근(六根)으로 구성되는 육내입처(六內入處)에서 몸에 해당하는 오근(五根)을 배제한 전부입니다.


uṇṇābhabrāhmaṇasuttaṃ (SN 48.42) 경 및 도식적 이해

 http://xnhl0b18fp4t.org/bbs/board.php?bo_table=nikaya07_05_05&wr_id=2 

 

mahāvedallasuttaṃ (MN 43) ()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이 내용은 이 경에서도 반복됩니다.

 

그런데 의(意)는 육내입처(六內入處)를 구성하는 한 가지로도 나타납니다. 입처(入處)는 āyatana의 번역인데, 입(入) 또는 처(處)로도 번역되었습니다. 이 용어는 인식의 자리에서는 안의 것과 밖의 것으로 쌍을 이루어 나타나는데, 육내입처(六內入處)와 육외입처(六外入處)입니다. 그리고 식(識)과 명색(名色)인 내가 지금 삶에서 세상[육외입처(六外入處)]를 만나기 위해 배분된 것이기 때문에 육내입처(六內入處)는 육식(六識)과 육근(六根)이 함께한 상태입니다. 그래서 「안식(眼識)-안근(眼根) → 안처(眼處), 이식(耳識)-이근(耳根) → 이처(耳處), 비식(鼻識)-비근(鼻根) → 비처(鼻處), 설식(舌識)-설근(舌根) → 설처(舌處), 신식(身識)-신근(身根) → 신처(身處), 의식(意識)-의근(意根) → 의처(意處)」의 구성을 알 수 있습니다.


이때, 안(眼)-이(耳)-비(鼻)-설(舌)-신(身)-의(意)는 식(識)과 근(根) 그리고 처(處)에 동일한 형태로 연결됩니다. 그래서 경은 대부분의 경우 식(識)과 근(根)과 처(處) 가운데 인식의 주관이 되는 처(處)는 생략하고 안(眼)-이(耳)-비(鼻)-설(舌)-신(身)-의(意)로 나타냅니다.


그래서 육내입처(六內入處)에 속한 의(意)는 「의식(意識)-의근(意根) → 의처(意處)」에서 처(處)를 생략한 형태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의(意)는 육내입처(六內入處)에서 오근(五根)을 배제한 전부를 나타내는 것이면서도 생략의 형태에 의해 「의식(意識)-의근(意根) → 의처(意處)」를 지칭하기도 하는 두 가지 측면에서 이해되어야 합니다.


[참고] 합송경(D33) 여섯으로 구성된 법에서는 안(眼)-이(耳)-비(鼻)-설(舌)-신(身)-의(意)로 배분되어 색(色)-성(聲)-향(香)-미(味)-촉(觸)-법(法)의 세상을 만나는 삶의 전개를 여덟 과정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cha ajjhattikāni āyatanāni — cakkhāyatanaṃ, sotāyatanaṃ, ghānāyatanaṃ, jivhāyatanaṃ, kāyāyatanaṃ, manāyatanaṃ.


육내입처(六內入處) ㅡ 안처(眼處), 이처(耳處), 비처(鼻處), 설처(舌處), 신처(身處), 의처(意處)


“cha bāhirāni āyatanāni — rūpāyatanaṃ, saddāyatanaṃ, gandhāyatanaṃ, rasāyatanaṃ, phoṭṭhabbāyatanaṃ, dhammāyatanaṃ.


육외입처(六外入處) ㅡ 색처(色處), 성처(聲處), 향처(處), 미처(處), 촉처(觸處), 법처(法處)


“cha viññāṇakāyā — cakkhuviññāṇaṃ, sotaviññāṇaṃ, ghānaviññāṇaṃ, jivhāviññāṇaṃ, kāyaviññāṇaṃ, manoviññāṇaṃ.


여섯 식(識)의 무리 ㅡ 안식(眼識), 이식(耳識), 비식(鼻識), 설식(舌識), 신식(身識), 의식(意識)


“cha phassakāyā — cakkhusamphasso, sotasamphasso, ghānasamphasso, jivhāsamphasso, kāyasamphasso, manosamphasso.


여섯 촉(觸)의 무리 ㅡ 안촉(眼觸), 이촉(耳觸), 비촉(鼻觸), 설촉(舌觸), 신촉(身觸), 의촉(意觸)


“cha vedanākāyā — cakkhusamphassajā vedanā, sotasamphassajā vedanā, ghānasamphassajā vedanā, jivhāsamphassajā vedanā, kāyasamphassajā vedanā, manosamphassajā vedanā.


여섯 수(受)의 무리 ㅡ 안촉생수(眼觸生受), 이촉생수(耳觸生受), 비촉생수(鼻觸生受), 설촉생수(舌觸生受), 신촉생수(身觸生受), 의촉생수(意觸生受)


“cha saññākāyā — rūpasaññā, saddasaññā, gandhasaññā, rasasaññā, phoṭṭhabbasaññā, dhammasaññā.


어샷 상(想)의 무리 ㅡ 색상(色想), 성상(聲想), 향상(香想), 미상(味相), 촉상(觸相), 법상(法想)


“cha sañcetanākāyā — rūpasañcetanā, saddasañcetanā, gandhasañcetanā, rasasañcetanā, phoṭṭhabbasañcetanā, dhammasañcetanā.


여섯 사(思)의 무리 ㅡ 색사(色思), 성사(聲思), 향사(香思), 미사(味思), 촉사(觸思), 법사(法思)


“cha taṇhākāyā — rūpataṇhā, saddataṇhā, gandhataṇhā, rasataṇhā, phoṭṭhabbataṇhā, dhammataṇhā. 


여섯 애(愛)의 무리 ㅡ 색애(色愛), 성애(聲愛), 향애(香愛), 미애(味愛), 촉애(觸愛), 법애(法愛)

Comments

2018.01.26 20:10
http://xn—hl0b18fp4t.org/bbs/board.php?bo_table=nikaya07_05_05&wr_id=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