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수행경전 > 대념처경

대념처경

대념처경 - 신념처3[호흡수행 4단계]

0 770 2017.08.18 21:19
▣ 대념처경 - 신념처3[호흡수행 4단계](부산 수행 170613)
   [동영상] https://youtu.be/8vKaJBLPAik

호흡수행의 준비과정[콧구멍 주위를 지향→사띠를 준비→오직 사띠하면서 들이쉬고 내쉼]은 욕탐(欲貪)의 활용에 의한 붙잡음의 과정입니다. 특히, 사띠를 생겨나게 하는 과정과 호흡을 붙잡는 과정은 먼저 사유를 실고 오는 욕탐을 강력히 작용시켜 붙잡고, 그 후에 욕탐은 가라앉히고 붙잡은 대상을 오직 주목하기만 함으로써 붙잡음의 상태를 이후의 과정으로 연결시킵니다.

호흡수행의 본 과정은 네 단계로 진행됩니다.

so satova assasati, satova passasati. dīghaṃ vā assasanto ‘dīghaṃ assasāmī’ti pajānāti, dīghaṃ vā passasanto ‘dīghaṃ passasāmī’ti pajānāti. rassaṃ vā assasanto ‘rassaṃ assasāmī’ti pajānāti, rassaṃ vā passasanto ‘rassaṃ passasāmī’ti pajānāti. ‘sabbakāyapaṭisaṃvedī assasissāmī’ti sikkhati, ‘sabbakāyapaṭisaṃvedī passasissāmī’ti sikkhati. ‘passambhayaṃ kāyasaṅkhāraṃ assasissāmī’ti sikkhati, ‘passambhayaṃ kāyasaṅkhāraṃ passasissāmī’ti sikkhati.


①길게 들이쉬면서 길게 들이쉰다.’고 분명히 알고, 길게 내쉬면서 길게 내쉰다.’고 분명히 안다. ②짧게 들이쉬면서 짧게 들이쉰다.’고 분명히 알고, 짧게 내쉬면서 짧게 내쉰다.’고 분명히 안다. ③‘온몸을 경험하면서 들이쉬자.’라고 시도하고, ‘온몸을 경험하면서 내쉬자.’라고 시도한다. ④‘신행(身行)을 고요히 하면서 들이쉬자.’라고 시도하고, ‘신행(身行)을 고요히 하면서 내쉬자.’라고 시도한다.

이때, ①과 ②는 준비과정에서 붙잡아 주목하는 대상[호흡의 느낌]을 분명히 아는 과정입니다[pajānāti]. 잘 붙잡았기 때문에 붙잡은 상태를 분명히 알 수 있는 것입니다. 또한, 붙잡은 상태를 온도[따뜻하다-시원하다] 등 다른 방법으로 분별해서 알지 않고 호흡이 콧구멍 주위 지향된 한 점에 닿는 느낌의 길이를 기준으로 긴지 짧은지 분별하여 분명히 알아야 한다고 지시된 과정입니다. 특히, 욕탐의 활용의 측면에서는 욕탐을 가라앉히고 단지 주목하기만 하는 상태의 연장입니다.

③은 호흡의 느낌을 더욱 분명히 알기 위한 과정입니다. 준비과정에서의 붙잡음이 놓치지 않음[대상을 떠나지 않음]을 위한 붙잡음이기 때문에 사띠의 단련 정도에 따라 호흡의 일부를 붙잡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①과 ②의 과정에서 분명히 아는 것은 적극적 의미를 가지지는 못합니다. 그래서 호흡을 분명히 안다는 것의 적극적 의미는 호흡의 전체를 보는 것입니다[온 몸의 경험]. 들고 나는 호흡을 시작부터 끝까지 모두 보아낼 수 있을 때 비로소 호흡을 분명히 아는 것이라고 말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준비과정의 마무리를 통해 가라앉힌 욕탐을 다시 활용하여 호흡을 분명히 알기 위한 적극적 대응 즉 시도를 하는 것입니다[slkkhati].

④는 이어지는 심화 과정입니다. 여기서 신행(身行)은 몸의 형성작용인데 들숨-날숨으로 정의됩니다. 그래서 신행을 고요히 한다는 것은 호흡을 가라앉히는 과정입니다. 특히, 제사선(第四禪)에서는 들숨-날숨이 소멸하기 때문에 이것은 제사선 이후의 높은 삼매로 수행의 경지를 심화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http://cafe.naver.com/happydhamma/369 ).

이렇게 경은 두 단계의 [pajānāti]와 두 단계의 [slkkhati]에 의한 네 단계의 과정을 설하지만 의미상으로는 호흡의 분명한 인식[pajānāti]를 위한 세 단계와 심화된 영역으로 나아감을 위한 한 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경은 이어지는 비유를 통해 호흡수행의 중심을 [pajānāti]에 두고 설명하는데, 이런 이해에 의하면 그 의도를 알 수 있다고 하겠습니다.

수업의 마무리에는 후렴구가 모두 16번 나타남으로 대념처경은 신수심법 네 가지의 대분류 안에 16가지의 소분류 형태를 보여준다는 것을 설명하였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