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수행경전 > 대념처경

대념처경

대념처경 - 신념처7[일어남 사라짐의 용례2)chanda - 괴로움의 뿌리]

0 512 2017.08.18 21:41
▣ 대념처경 - 신념처7[일어남 사라짐의 용례2)chanda - 괴로움의 뿌리](부산 수행 170711)
   [동영상] https://youtu.be/UyQFqN67RUU

대념처경 후렴의 '일어남의 법-사라짐의 법-일어남사라짐의 법'의 의미를 명확히 하기 위해 일어남-사라짐에 관계된 4가지 용어[samudaya(일어남)-niridha(소멸)-atthaṅgama(사라짐)-vaya(사라짐)]를 용례를 통해서 알아보는 중인데, 이번 수업에서는 samudayañca atthaṅgamañca(일어남과 사라짐)의 정형구가 나타나는 경전 용례중 바드라까 경을 공부하였습니다. ☞ http://cafe.naver.com/happybupdang/13445

경은 chanda를 중심으로 설해집니다. 같은 공간 안에서도 누구의 문제에는 반응하고 누구의 문제에는 반응하지 않게 되는데 그 원인으로 chanda가 제시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부처님은 chanda가 바로 괴로움의 뿌리라고 알려줍니다.

“imināpi kho etaṃ, gāmaṇi, pariyāyena veditabbaṃ — ‘yaṃ kiñci dukkhaṃ uppajjamānaṃ uppajjati, sabbaṃ taṃ chandamūlakaṃ chandanidānaṃ. chando hi mūlaṃ dukkhassā’”ti.

"촌장이여이러한 방법으로 그대는 '일어나지는 괴로움은 무엇이든지 모두 찬다를 뿌리로 하고 찬다를 원인으로 일어난다참으로 찬다는 괴로움의 뿌리이다."

이 공부의 연장선상에서 뿌리[mūla]를 말하는 경전의 용례를 함께 살펴보았습니다. 이때, 고(苦)[dukkha]의 뿌리로는 jālinī[갈망]-upadhi[재생의 근거 - 몸과 생명에 대한 집착]-chanda-nandi의 네 가지가 제시되고, 고통[agha]의 뿌리로 갈애가 제시됩니다. 또한, 무지(無知)[aññāṇa]를 뿌리로 갈망[pajappita]이 있다고 하여 무지(無知)→갈망(渴望)→고(苦)의 연결관계를 보여주는데, 무명(無明)→애(愛)→고(苦)의 십이연기적 조건관계에 부합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mūla[뿌리]의 중요 용례


결과

mūla

뿌리인 것

예문

dukkha

jālinī

buddho ahu maṅgalo vītarāgo, usabhacchidā jāliniṃ dukkhamūlaṃ. isigilisuttaṃ (MN 116)

 

jālinī: lust; desire; craving. (f.)

upadhi

passi jahi upadhidukkhamūlaṃ, aparājito mārabalaṃ ajesi. isigilisuttaṃ (MN 116)


 upadhi: substratum of re-birth; attachment. (m.)

 

‘upadhi dukkhassa mūlan’’ti laṭukikopamasuttaṃ (MN 66.1), sunakkhattasuttaṃ (MN 105.1)

chanda

‘yaṃ kiñci dukkhaṃ uppajjamānaṃ uppajjati, sabbaṃ taṃ chandamūlakaṃ chandanidānaṃ. chando hi mūlaṃ dukkhassā’”ti bhadrakasuttaṃ (SN 42.11)

nandi

‘nandī dukkhassa mūlan’ti iti viditvā ‘bhavā jāti bhūtassa jarāmaraṇan’ti. tasmātiha, bhikkhave, ‘tathāgato sabbaso taṇhānaṃ khayā virāgā nirodhā cāgā paṭinissaggā anuttaraṃ sammāsambodhiṃ abhisambuddho’ti vadāmī”ti. mūlapariyāyasuttaṃ (MN 1.1)

agha

taṇhā

“aghañca, bhikkhave, desessāmi aghamūlañca. taṃ suṇātha. katamañca bhikkhave aghaṃ? rūpaṃ, bhikkhave, aghaṃ, vedanā aghaṃ, saññā aghaṃ, saṅkhārā aghaṃ, viññāṇaṃ aghaṃ. idaṃ vuccati, bhikkhave, aghaṃ. katamañca, bhikkhave, aghamūlaṃ? yāyaṃ taṇhā ponobhavikā nandīrāgasahagatā tatratatrābhinandinī; seyyathidaṃ kāmataṇhā, bhavataṇhā, vibhavataṇhā. idaṃ vuccati, bhikkhave, aghamūlan””ti.

aghamūlasuttaṃ (SN 22.31) 오온(五蘊) = agha, () = aghamūla

 

agha: 1. the sky; 2. grief; pain; 3. sin; misfortune. (nt.)

pajappita

ñāṇa

aññāṇamūlappabhavā pajappitā kaṭṭhahārasuttaṃ (SN 7.18)

 

aññāṇa: ignorance. (nt.), pabhava: origin, source; (adj.) (in cpds.) having as the origin. (m.)

pajappita [pp. of pajappeti] desired, longed for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