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수행경전 > 대념처경

대념처경

āvaraṇanīvaraṇasuttaṃ (SN 46.38)[덮개와 장애 경]

āvaraṇanīvaraṇasuttaṃ (SN 46.38)[덮개와 장애 경]
 
“pañcime, bhikkhave, āvaraṇā nīvaraṇā cetaso upakkilesā paññāya dubbalīkaraṇā. katame pañca? kāmacchando, bhikkhave, āvaraṇo nīvaraṇo cetaso upakkileso paññāya dubbalīkaraṇo. byāpādo, bhikkhave, āvaraṇo nīvaraṇo cetaso upakkileso paññāya dubbalīkaraṇo. thinamiddhaṃ, bhikkhave, āvaraṇaṃ nīvaraṇaṃ cetaso upakkilesaṃ paññāya dubbalīkaraṇaṃ. uddhaccakukkuccaṃ, bhikkhave, āvaraṇaṃ nīvaraṇaṃ cetaso upakkilesaṃ paññāya dubbalīkaraṇaṃ. vicikicchā, bhikkhave, āvaraṇā nīvaraṇā cetaso upakkilesā paññāya dubbalīkaraṇā. ime kho, bhikkhave, pañca āvaraṇā nīvaraṇā cetaso upakkilesā paññāya dubbalīkaraṇā.
 
비구들이여, 마음의 오염원이고 지혜를 무력하게 만드는 다섯 가지 덮개와 장애가 있다. 무엇이 다섯인가? 비구들이여, 소유의 찬다는 마음의 오염원이고 지혜를 무력하게 만드는 덮개이고 장애이다. 비구들이여, 진에(瞋恚)는 마음의 오염원이고 지혜를 무력하게 만드는 덮개이고 장애이다. 비구들이여, 해태-혼침은 마음의 오염원이고 지혜를 무력하게 만드는 덮개이고 장애이다. 비구들이여, 들뜸-후회는 마음의 오염원이고 지혜를 무력하게 만드는 덮개이고 장애이다. 비구들이여, 의심은 마음의 오염원이고 지혜를 무력하게 만드는 덮개이고 장애이다. 비구들이여, 마음의 오염원이고 지혜를 무력하게 만드는 이런 다섯 가지 덮개와 장애가 있다.
 
“sattime, bhikkhave, bojjhaṅgā anāvaraṇā anīvaraṇā cetaso anupakkilesā bhāvitā bahulīkatā vijjāvimuttiphalasacchikiriyāya saṃvattanti. katame satta? satisambojjhaṅgo, bhikkhave, anāvaraṇo anīvaraṇo cetaso anupakkileso bhāvito bahulīkato vijjāvimuttiphalasacchikiriyāya saṃvattati ... pe ... upekkhāsambojjhaṅgo, bhikkhave, anāvaraṇo anīvaraṇo cetaso anupakkileso bhāvito bahulīkato vijjāvimuttiphalasacchikiriyāya saṃvattati. ime kho, bhikkhave, satta bojjhaṅgā anāvaraṇā anīvaraṇā cetaso anupakkilesā bhāvitā bahulīkatā vijjāvimuttiphalasacchikiriyāya saṃvattantīti.
 
비구들이여, 일곱 가지 각지(覺支)는 덮개가 아니고 장애가 아니고 마음의 오염원이 아니어서 닦고 많이 행하면 명()과 해탈(解脫)의 과()의 실현으로 이끈다. 무엇이 일곱인가? 비구들이여, 염각지(念覺支)는 덮개가 아니고 장애가 아니고 마음의 오염원이 아니어서 닦고 많이 행하면 명()과 해탈(解脫)의 과()의 실현으로 이끈다. 비구들이여, 사각지(捨覺支)는 덮개가 아니고 장애가 아니고 마음의 오염원이 아니어서 닦고 많이 행하면 명()과 해탈(解脫)의 과()의 실현으로 이끈다.
 
“yasmiṃ, bhikkhave, samaye ariyasāvako aṭṭhiṃ katvā manasi katvā sabbaṃ cetaso samannāharitvā ohitasoto dhammaṃ suṇāti, imassa pañca nīvaraṇā tasmiṃ samaye na honti. satta bojjhaṅgā tasmiṃ samaye bhāvanāpāripūriṃ gacchanti.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근본을 행하고 사유하고 온 마음을 집중하여 귀 기울여 법을 들으면 이 다섯 가지 장애는 없어진다. 그때 일곱 가지 각지(覺支)는 닦아져 완성으로 나아간다.
 
“katame pañca nīvaraṇā tasmiṃ samaye na honti? kāmacchandanīvaraṇaṃ tasmiṃ samaye na hoti, byāpādanīvaraṇaṃ tasmiṃ samaye na hoti, thinamiddhanīvaraṇaṃ tasmiṃ samaye na hoti, uddhaccakukkuccanīvaraṇaṃ tasmiṃ samaye na hoti, vicikicchānīvaraṇaṃ tasmiṃ samaye na hoti. imassa pañca nīvaraṇā tasmiṃ samaye na honti.
 
그때 어떤 다섯 가지 장애가 없어지는가? 소유의 찬다의 장애가 그때 없어진다. 진에(瞋恚)의 장애가 그때 없어진다. 해태-혼침의 장애가 그때 없어진다. 들뜸-후회의 장애가 그때 없어진다. 의심의 장애가 그때 없어진다. 이런 다섯 가지 장애가 그때 없어진다.
 
“katame satta bojjhaṅgā tasmiṃ samaye bhāvanāpāripūriṃ gacchanti? satisambojjhaṅgo tasmiṃ samaye bhāvanāpāripūriṃ gacchati ... pe ... upekkhāsambojjhaṅgo tasmiṃ samaye bhāvanāpāripūriṃ gacchati. ime satta bojjhaṅgā tasmiṃ samaye bhāvanāpāripūriṃ gacchanti. yasmiṃ, bhikkhave, samaye ariyasāvako aṭṭhiṃ katvā manasi katvā sabbaṃ cetaso samannāharitvā ohitasoto dhammaṃ suṇāti, imassa pañca nīvaraṇā tasmiṃ samaye na honti. ime satta bojjhaṅgā tasmiṃ samaye bhāvanāpāripūriṃ gacchantī”ti.
 
어떤 일곱 가지 각지(覺支)가 닦아져 완성으로 나아가는가? 염각지(念覺支)가 닦아져 완성으로 나아간다. 사각지(捨覺支)가 닦아져 완성으로 나아간다. 이런 일곱 가지 각지(覺支)가 그때 닦아져 완성으로 나아간다.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근본을 행하고 사유하고 온 마음을 집중하여 귀 기울여 법을 들으면 이런 다섯 가지 장애는 없어진다. 그때 이런 일곱 가지 각지(覺支)는 닦아져 완성으로 나아간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