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수행경전 > 대념처경

대념처경

pariyāyasuttaṃ (SN 46.52)[방법 경]

pariyāyasuttaṃ (SN 46.52)[방법 경]
 
atha kho sambahulā bhikkhū pubbaṇhasamayaṃ nivāsetvā pattacīvaramādāya sāvatthiṃ piṇḍāya pavisiṃsu. atha kho tesaṃ bhikkhūnaṃ etadahosi — “atippago kho tāva sāvatthiyaṃ piṇḍāya carituṃ. yaṃnūna mayaṃ yena aññatitthiyānaṃ paribbājakānaṃ ārāmo tenupasaṅkameyyāmā”ti.

그때 많은 비구들이 오전에 옷차림을 바르게 하고 발우와 가사를 지니고 탁발을 위해서 사왓티에 갔다. 그때 그 비구들에게 이런 생각이 들었다. ㅡ '지금 사왓티로 탁발을 가는 것은 너무 이르다. 우리는 지금 외도 유행승들의 원림으로 가는 것이 좋겠다.'

atha kho te bhikkhū yena aññatitthiyānaṃ paribbājakānaṃ ārāmo tenupasaṅkamiṃsu; upasaṅkamitvā tehi aññatitthiyehi paribbājakehi saddhiṃ sammodiṃsu. sammodanīyaṃ kathaṃ sāraṇīyaṃ vītisāretvā ekamantaṃ nisīdiṃsu. ekamantaṃ nisinne kho te bhikkhū aññatitthiyā paribbājakā etadavocuṃ —

그래서 그 비구들은 외도 유행승들의 원림으로 갔다. 가서는 외도 유행승들과 함께 인사를 나누었다. 유쾌하고 기억할 만한 이야기로 서로 대화를 하고서 한 곁에 앉았다. 한 곁에 앉은 비구들에게 외도 유행승들은 이렇게 말했다. ㅡ

“samaṇo, āvuso, gotamo sāvakānaṃ evaṃ dhammaṃ deseti — ‘etha tumhe, bhikkhave, pañca nīvaraṇe pahāya cetaso upakkilese paññāya dubbalīkaraṇe satta bojjhaṅge yathābhūtaṃ bhāvethā’ti. mayampi kho, āvuso, sāvakānaṃ evaṃ dhammaṃ desema — ‘etha tumhe, āvuso, pañca nīvaraṇe pahāya cetaso upakkilese paññāya dubbalīkaraṇe satta bojjhaṅge yathābhūtaṃ bhāvethā’ti. idha no, āvuso, ko viseso, ko adhippayāso, kiṃ nānākaraṇaṃ samaṇassa vā gotamassa amhākaṃ vā, yadidaṃ — dhammadesanāya vā dhammadesanaṃ, anusāsaniyā vā anusāsanin”ti?

“도반들이여, 사문 고따마는 제자들에게 이렇게 법을 설합니다. ㅡ ‘오라, 비구들이여, 그대들은 지혜를 무력하게 만드는 마음의 오염원인 다섯 가지 장애를 버리고 칠각지를 있는 그대로 닦아야 한다.’라고. 도반들이여, 참으로 우리들도 제자들에게 이렇게 법을 설합니다. ㅡ ‘오라, 도반들이여, 그대들은 지혜를 무력하게 만드는 마음의 오염원인 다섯 가지 장애를 버리고 칠각지를 있는 그대로 닦아야 한다.’라고. 도반들이여, 그러면 법을 설하는 것과 교훈을 주는 것에 관한 한 사문 고따마와 우리 사이에 차이점은 무엇이고, 특별한 점은 무엇이고, 다른 점은 무엇입니까?"

atha kho te bhikkhū tesaṃ aññatitthiyānaṃ paribbājakānaṃ bhāsitaṃ neva abhinandiṃsu nappaṭikkosiṃsu; anabhinanditvā appaṭikkositvā uṭṭhāyāsanā pakkamiṃsu — “bhagavato santike etassa bhāsitassa atthaṃ ājānissāmā”ti. atha kho te bhikkhū sāvatthiṃ piṇḍāya caritvā pacchābhattaṃ piṇḍapātapaṭikkantā yena bhagavā tenupasaṅkamiṃsu; upasaṅkamitvā bhagavantaṃ abhivādetvā ekamantaṃ nisīdiṃsu. ekamantaṃ nisinnā kho te bhikkhū bhagavantaṃ etadavocuṃ —

그때 비구들은 외도 유행승들의 말을 인정하지도 못하고 부정하지도 못했다. 인정하지도 부정하지도 못한 채로 '우리는 세존의 곁에 가서 이 말의 뜻을 알아보리라.'라며 자리에서 일어나서 나왔다. 그리고 비구들은 사왓티에서 탁발을 하여 공양을 마치고 탁발에서 돌아와서 세존께 다가갔다. 가서는 세존께 절을 올리고 한 곁에 앉았다. 한 곁에 앉은 비구들은 세존께 이렇게 말씀드렸다. ㅡ

“idha mayaṃ, bhante, pubbaṇhasamayaṃ nivāsetvā pattacīvaramādāya sāvatthiṃ piṇḍāya pavisimha. tesaṃ no, bhante, amhākaṃ etadahosi — ‘atippago kho tāva sāvatthiyaṃ piṇḍāya carituṃ, yaṃnūna mayaṃ yena aññatitthiyānaṃ paribbājakānaṃ ārāmo tenupasaṅkameyyāmā’ti. atha kho mayaṃ, bhante, yena aññatitthiyānaṃ paribbājakānaṃ ārāmo tenupasaṅkamimha; upasaṅkamitvā tehi aññatitthiyehi paribbājakehi saddhiṃ sammodimha. sammodanīyaṃ kathaṃ sāraṇīyaṃ vītisāretvā ekamantaṃ nisīdimha. ekamantaṃ nisinne kho amhe, bhante, aññatitthiyā paribbājakā etadavocuṃ —

대덕이시여, 여기 저희는 오전에 옷차림을 바르게 하고 발우와 가사를 지니고 탁발을 위해서 사왓티에 갔다. 그때 저희들에게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ㅡ '지금 사왓티로 탁발을 가는 것은 너무 이르다. 우리는 지금 외도 유행승들의 원림으로 가는 것이 좋겠다.' 대덕이시여, 그래서 저희들은 외도 유행승들의 원림으로 갔습니다. 가서는 외도 유행승들과 함께 인사를 나누고, 유쾌하고 기억할 만한 이야기로 서로 대화를 하고서 한 곁에 앉았습니다. 대덕이시여, 한 곁에 앉은 저희들에게 외도 유행승들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ㅡ

“samaṇo, āvuso, gotamo sāvakānaṃ evaṃ dhammaṃ deseti ‘etha tumhe, bhikkhave, pañca nīvaraṇe pahāya cetaso upakkilese paññāya dubbalīkaraṇe satta bojjhaṅge yathābhūtaṃ bhāvethā’ti. mayampi kho, āvuso, sāvakānaṃ evaṃ dhammaṃ desema — ‘etha tumhe, āvuso, pañca nīvaraṇe pahāya cetaso upakkilese paññāya dubbalīkaraṇe satta bojjhaṅge yathābhūtaṃ bhāvethā’ti. idha no, āvuso, ko viseso, ko adhippayāso, kiṃ nānākaraṇaṃ samaṇassa vā gotamassa amhākaṃ vā, yadidaṃ — dhammadesanāya vā dhammadesanaṃ, anusāsaniyā vā anusāsanin”ti?

“도반들이여, 사문 고따마는 제자들에게 이렇게 법을 설합니다. ㅡ ‘오라, 비구들이여, 그대들은 지혜를 무력하게 만드는 마음의 오염원인 다섯 가지 장애를 버리고 칠각지를 있는 그대로 닦아야 한다.’라고. 도반들이여, 참으로 우리들도 제자들에게 이렇게 법을 설합니다. ㅡ ‘오라, 도반들이여, 그대들은 지혜를 무력하게 만드는 마음의 오염원인 다섯 가지 장애를 버리고 칠각지를 있는 그대로 닦아야 한다.’라고. 도반들이여, 그러면 법을 설하는 것과 교훈을 주는 것에 관한 한 사문 고따마와 우리 사이에 차이점은 무엇이고, 특별한 점은 무엇이고, 다른 점은 무엇입니까?"

“atha kho mayaṃ, bhante, tesaṃ aññatitthiyānaṃ paribbājakānaṃ bhāsitaṃ neva abhinandimha nappaṭikkosimha, anabhinanditvā appaṭikkositvā uṭṭhāyāsanā pakkamimha — ‘bhagavato santike etassa bhāsitassa atthaṃ ājānissāmā’”ti.

그때 저희들은 외도 유행승들의 말을 인정하지도 못하고 부정하지도 못했습니다. 인정하지도 부정하지도 못한 채로 '우리는 세존의 곁에 가서 이 말의 뜻을 알아보리라.'라며 자리에서 일어나서 나왔습니다.” 

“evaṃvādino, bhikkhave, aññatitthiyā paribbājakā evamassu vacanīyā — ‘atthi panāvuso, pariyāyo, yaṃ pariyāyaṃ āgamma pañca nīvaraṇā dasa honti, satta bojjhaṅgā catuddasā’ti. evaṃ puṭṭhā, bhikkhave, aññatitthiyā paribbājakā na ceva sampāyissanti, uttariñca vighātaṃ āpajjissanti. taṃ kissa hetu? yathā taṃ, bhikkhave, avisayasmiṃ. “nāhaṃ taṃ, bhikkhave, passāmi sadevake loke samārake sabrahmake sassamaṇabrāhmaṇiyā pajāya sadevamanussāya, yo imesaṃ pañhānaṃ veyyākaraṇena cittaṃ ārādheyya, aññatra tathāgatena vā tathāgatasāvakena vā ito vā pana sutvā”.

"비구들이여, 그렇게 말하는 외도 유행승들에게는 이렇게 말해야 한다. ㅡ '도반들이여, 그런데 다섯 가지 장애가 열 가지가 되고 일곱 가지 각지(覺支)가 열네 가지가 되는 그런 방법이 있습니까?'라고. 비구들이여, 이렇게 되물으면 외도 유행승들은 설명을 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곤경에 처하게 될 것이다. 그것은 무슨 이유 때문인가? 그것은 그들의 영역이 아니기 때문이다. 비구들이여, 나는 신과 마라와 범천과 함께하는 세상에서, 사문과 바라문과 신과 사람을 포함한 무리에서 여래나 여래의 제자나 혹은 여래나 여래의 제자로부터 들은 자들 외에는 이 질문들에 대한 설명으로 마음을 흡족하게 할 자를 아무도 보지 못한다."

“katamo ca, bhikkhave, pariyāyo, yaṃ pariyāyaṃ āgamma pañca nīvaraṇā dasa honti? yadapi, bhikkhave, ajjhattaṃ kāmacchando tadapi nīvaraṇaṃ, yadapi bahiddhā kāmacchando tadapi nīvaraṇaṃ. ‘kāmacchandanīvaraṇan’ti iti hidaṃ uddesaṃ gacchati. tadamināpetaṃ pariyāyena dvayaṃ hoti. yadapi, bhikkhave, ajjhattaṃ byāpādo tadapi nīvaraṇaṃ, yadapi bahiddhā byāpādo tadapi nīvaraṇaṃ. ‘byāpādanīvaraṇan’ti iti hidaṃ uddesaṃ gacchati. tadamināpetaṃ pariyāyena dvayaṃ hoti. yadapi, bhikkhave, thinaṃ tadapi nīvaraṇaṃ, yadapi middhaṃ tadapi nīvaraṇaṃ. ‘thinamiddhanīvaraṇan’ti iti hidaṃ uddesaṃ gacchati. tadamināpetaṃ pariyāyena dvayaṃ hoti. yadapi, bhikkhave, uddhaccaṃ tadapi nīvaraṇaṃ, yadapi kukkuccaṃ tadapi nīvaraṇaṃ. ‘uddhaccakukkuccanīvaraṇan’ti iti hidaṃ uddesaṃ gacchati. tadamināpetaṃ pariyāyena dvayaṃ hoti. yadapi, bhikkhave, ajjhattaṃ dhammesu vicikicchā tadapi nīvaraṇaṃ, yadapi bahiddhā dhammesu vicikicchā tadapi nīvaraṇaṃ. ‘vicikicchānīvaraṇan’ti iti hidaṃ uddesaṃ gacchati. tadamināpetaṃ pariyāyena dvayaṃ hoti. ayaṃ kho, bhikkhave, pariyāyo, yaṃ pariyāyaṃ āgamma pañca nīvaraṇā dasa honti.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다섯 가지 장애가 열 가지가 되는 방법인가? 

비구들이여, 내적인 소유의 찬다도 장애이고 외적인 소유의 찬다도 장애이다. 그러므로 소유의 찬다라는 이러한 개요로 나타낸 것은 이런 방법에 의해서 두 가지가 된다.

[참고 – Bhikkhu Bodhi] "And what, bhikkhus, is the method of exposition by means of which the five hindrances become ten?
 
"Whatever sensual desire there is for the internal is a hindrance; whatever sensual desire there is for the external is also a hindrance.
 
Thus what is spoken of concisely as the hindrance of sensual desire becomes, by this method of exposition, twofold.

비구들이여, 내적인 진에(瞋恚)도 장애이고 외적인 진에(瞋恚)도 장애이다. 그러므로 진에(瞋恚)의 장애라는 이러한 개요로 나타낸 것은 이런 방법에 의해서 두 가지가 된다.

비구들이여, 해태(懈怠)도 장애이고 혼침(昏沈)도 장애이다. 그러므로 해태-혼침의 장애라는 이러한 개요로 나타낸 것은 이런 방법에 의해서 두 가지가 된다.

비구들이여, 들뜸[도거(掉擧)]도 장애이고 후회[악작(惡作)]도 장애이다. 그러므로 들뜸-후회의 장애라는 이러한 개요로 나타낸 것은 이런 방법에 의해서 두 가지가 된다.

비구들이여, 내적인 법들에 대한 의심도 장애이고 외적인 법들에 대한 의심도 장애이다. 그러므로 의심의 장애라는 이러한 개요로 나타낸 것은 이런 방법에 의해서 두 가지가 된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다섯 가지 장애가 열 가지가 되는 방법이다."

“katamo ca, bhikkhave, pariyāyo, yaṃ pariyāyaṃ āgamma satta bojjhaṅgā catuddasa honti? yadapi, bhikkhave, ajjhattaṃ dhammesu sati tadapi satisambojjhaṅgo, yadapi bahiddhā dhammesu sati tadapi satisambojjhaṅgo. ‘satisambojjhaṅgo’ti iti hidaṃ uddesaṃ gacchati. tadamināpetaṃ pariyāyena dvayaṃ hoti.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일곱 가지 각지(覺支)가 열네 가지가 되는 방법인가?
비구들이여, 내적인 법들에 대한 사띠도 염각지(念覺支)이고 외적인 법들에 대한 사띠도 염각지(念覺支)이다. 그러므로 염각지(念覺支)라는 이런 개요로 나타낸 것은 이런 방법에 의해서 두 가지가 된다.

[참고 – Bhikkhu Bodhi] "And what, bhikkhus, is the method of exposition by means of which the seven factors of enlightenment become fourteen?
 
"Whatever mindfulness there is of things internal is the enlightenment factor of mindfulness; whatever mindfulness there is of things external is also the enlightenment factor of mindfulness.
 
Thus what is spoken of concisely as the enlightenment factor of mindfulness becomes, by this method of exposition, twofold.
 
“yadapi, bhikkhave, ajjhattaṃ dhammesu paññāya pavicinati pavicarati parivīmaṃsamāpajjati tadapi dhammavicayasambojjhaṅgo, yadapi bahiddhā dhammesu paññāya pavicinati pavicarati parivīmaṃsamāpajjati tadapi dhammavicayasambojjhaṅgo. ‘dhammavicayasambojjhaṅgo’ti iti hidaṃ uddesaṃ gacchati. tadamināpetaṃ pariyāyena dvayaṃ hoti.

비구들이여, 내적인 법들에 대해 지혜로써 조사하고 고찰하고 철저하게 검증하는 것도 택법각지(擇法覺支)이고 외적인 법들에 대해 지혜로써 조사하고 고찰하고 철저하게 검증하는 것도 택법각지(擇法覺支)이다. 그러므로 택법각지(擇法覺支)라는 이런 개요로 나타낸 것은 이런 방법에 의해서 두 가지가 된다.

“yadapi, bhikkhave, kāyikaṃ vīriyaṃ tadapi vīriyasambojjhaṅgo, yadapi cetasikaṃ vīriyaṃ tadapi vīriyasambojjhaṅgo. ‘vīriyasambojjhaṅgo’ti iti hidaṃ uddesaṃ gacchati. tadamināpetaṃ pariyāyena dvayaṃ hoti.

비구들이여, 신(身)에 속한 정진도 정진각지(精進覺支)이고 심(心)에 속한 정진도 정진각지(精進覺支)이다. 그러므로 정진각지(精進覺支)라는 이런 개요로 나타낸 것은 이런 방법에 의해서 두 가지가 된다.

“yadapi, bhikkhave, savitakkasavicārā pīti tadapi pītisambojjhaṅgo, yadapi avitakkāvicārā pīti tadapi pītisambojjhaṅgo. ‘pītisambojjhaṅgo’ti iti hidaṃ uddesaṃ gacchati. tadamināpetaṃ pariyāyena dvayaṃ hoti.

비구들이여, 유심유사(有尋有伺)의 희열도 희각지(喜覺支)이고 무심무사(無尋無伺)의 희열도 희각지(喜覺支)이다. 그러므로 희각지(喜覺支)라는 이런 개요로 나타낸 것은 이런 방법에 의해서 두 가지가 된다.

“yadapi, bhikkhave, kāyappassaddhi tadapi passaddhisambojjhaṅgo, yadapi cittappassaddhi tadapi passaddhisambojjhaṅgo. ‘passaddhisambojjhaṅgo’ti  iti hidaṃ uddesaṃ gacchati. tadamināpetaṃ pariyāyena dvayaṃ hoti.

비구들이여, 신(身)의 편안함도 경안각지(輕安覺支)이고 심(心)의 편안함도 경안각지(輕安覺支)이다. 그러므로 경안각지(輕安覺支)라는 이런 개요로 나타낸 것은 이런 방법에 의해서 두 가지가 된다.

“yadapi, bhikkhave, savitakko savicāro samādhi tadapi samādhisambojjhaṅgo, yadapi avitakkāvicāro samādhi tadapi samādhisambojjhaṅgo. ‘samādhisambojjhaṅgo’ti iti hidaṃ uddesaṃ gacchati. tadamināpetaṃ pariyāyena dvayaṃ hoti.

비구들이여, 유심유사(有尋有伺)의 삼매도 정각지(定覺支)이고 무심무사(無尋無伺)의 삼매도 정각지(定覺支)이다. 그러므로 정각지(定覺支)라는 이런 개요로 나타낸 것은 이런 방법에 의해서 두 가지가 된다.

“yadapi, bhikkhave, ajjhattaṃ dhammesu upekkhā tadapi upekkhāsambojjhaṅgo, yadapi bahiddhā dhammesu upekkhā tadapi upekkhāsambojjhaṅgo. ‘upekkhāsambojjhaṅgo’ti iti hidaṃ uddesaṃ gacchati. tadamināpetaṃ pariyāyena dvayaṃ hoti. ayaṃ kho, bhikkhave, pariyāyo, yaṃ pariyāyaṃ āgamma satta bojjhaṅgā catuddasā”ti.

비구들이여, 내적인 법들에 대한 평정도 사각지(捨覺支)이고 외적인 법들에 대한 평정도 사각지(捨覺支)이다. 그러므로 사각지(捨覺支)라는 이런 개요로 나타낸 것은 이런 방법에 의해서 두 가지가 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이것이 일곱 가지 각지(覺支)가 열네 가지가 되는 방법이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