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수행경전 > 대념처경

대념처경

jānato passato āsavānaṃ khayaṃ vadāmi[알고 보는 자에게 번뇌들의 부서짐을 나는 말한다]의 용례

jānato passato āsavānaṃ khayaṃ vadāmi의 용례

[알고 보는 자에게 번뇌들의 부서짐을 나는 말한다]

 

1. sabbāsavasuttaṃ (MN 2.1) 

 

“jānato ahaṃ, bhikkhave, passato āsavānaṃ khayaṃ vadāmi, no ajānato no apassato. kiñca, bhikkhave, jānato kiñca passato āsavānaṃ khayaṃ vadāmi? yoniso ca manasikāraṃ ayoniso ca manasikāraṃ. ayoniso, bhikkhave, manasikaroto anuppannā ceva āsavā uppajjanti, uppannā ca āsavā pavaḍḍhanti; yoniso ca kho, bhikkhave, manasikaroto anuppannā ceva āsavā na uppajjanti, uppannā ca āsavā pahīyanti. 

 

비구들이여, 아는 자 보는 자에게 번뇌들의 부숨을 나는 말한다. 알지 못하는 자 보지 못하는 자에게가 아니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을 아는 자 무엇을 보는 자에게 번뇌들의 부서짐을 나는 말하는가? 여리작의(如理作意)와 비여리작의(非如理作意)이다. 비구들이여, 비여리작의 할 때 일어나지 않은 번뇌들은 일어나고 일어난 번뇌들은 증가한다. 비구들이여, 여리작의 할 때 일어나지 않은 번뇌들은 일어나지 않고 일어난 번뇌들은 버려진다. 

 

2. upanisasuttaṃ (SN 12.23) 

 

“jānato ahaṃ, bhikkhave, passato āsavānaṃ khayaṃ vadāmi, no ajānato no apassato. kiñca, bhikkhave, jānato kiṃ passato āsavānaṃ khayo hoti? iti rūpaṃ iti rūpassa samudayo iti rūpassa atthaṅgamo, iti vedanā ... pe ... iti saññā... iti saṅkhārā... iti viññāṇaṃ iti viññāṇassa samudayo iti viññāṇassa atthaṅgamoti. evaṃ kho, bhikkhave, jānato evaṃ passato āsavānaṃ khayo hoti”. 

 

비구들이여, 아는 자 보는 자에게 번뇌들의 부숨을 나는 말한다. 알지 못하는 자 보지 못하는 자에게가 아니다.무엇을 알고 무엇을 보는 자에게 번뇌들의 부서짐이 있는가? ‘이것이 색()이다. 이것이 색()의 일어남이다. 이것이 색()의 사라짐이다. 이것이 수()이다. 이것이 수()의 일어남이다. 이것이 수()의 사라짐이다. 이것이 상()이다. 이것이 상()의 일어남이다. 이것이 상()의 사라짐이다. 이것이 행()이다. 이것이 행()의 일어남이다. 이것이 행()의 사라짐이다. 이것이 식()이다. 이것이 식()의 일어남이다. 이것이 식()의 사라짐이다.’라고.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알고 이와 같이 보는 자에게 번뇌들의 부서짐이 있다. 

 

3. vāsijaṭasuttaṃ (SN 22.101) 

 

“jānato ahaṃ, bhikkhave, passato āsavānaṃ khayaṃ vadāmi, no ajānato no apassato. kiñca, bhikkhave, jānato kiṃ passato āsavānaṃ khayo hoti? ‘iti rūpaṃ, iti rūpassa samudayo, iti rūpassa atthaṅgamo; iti vedanā... iti saññā... iti saṅkhārā... iti viññāṇaṃ, iti viññāṇassa samudayo, iti viññāṇassa atthaṅgamo’ti evaṃ kho, bhikkhave, jānato evaṃ passato āsavānaṃ khayo hoti”. 

 

비구들이여, 아는 자 보는 자에게 번뇌들의 부숨을 나는 말한다. 알지 못하는 자 보지 못하는 자에게가 아니다.무엇을 알고 무엇을 보는 자에게 번뇌들의 부서짐이 있는가? ‘이것이 색()이다. 이것이 색()의 일어남이다. 이것이 색()의 사라짐이다. 이것이 수()이다. 이것이 수()의 일어남이다. 이것이 수()의 사라짐이다. 이것이 상()이다. 이것이 상()의 일어남이다. 이것이 상()의 사라짐이다. 이것이 행()이다. 이것이 행()의 일어남이다. 이것이 행()의 사라짐이다. 이것이 식()이다. 이것이 식()의 일어남이다. 이것이 식()의 사라짐이다.’라고.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알고 이와 같이 보는 자에게 번뇌들의 부서짐이 있다. 

 

4. āsavakkhayasuttaṃ (SN 56.25) 

 

“jānatohaṃ, bhikkhave, passato āsavānaṃ khayaṃ vadāmi, no ajānato apassato. kiñca, bhikkhave, jānato passato āsavānaṃ khayo hoti? ‘idaṃ dukkhan’ti, bhikkhave, jānato passato āsavānaṃ khayo hoti, ‘ayaṃ dukkhasamudayo’ti jānato passato āsavānaṃ khayo hoti, ‘ayaṃ dukkhanirodho’ti jānato passato āsavānaṃ khayo hoti, ‘ayaṃ dukkhanirodhagāminī paṭipadā’ti jānato passato āsavānaṃ khayo hoti. evaṃ kho, bhikkhave, jānato evaṃ passato āsavānaṃ khayo hoti. 

 

비구들이여, 아는 자 보는 자에게 번뇌들의 부숨을 나는 말한다. 알지 못하는 자 보지 못하는 자에게가 아니다.무엇을 알고 무엇을 보는 자에게 번뇌들의 부서짐이 있는가? 비구들이여, ‘이것이 고().’라고 알고 보는 자에게 번뇌들의 부서짐이 있다. ‘이것이 고집(苦集)이다.’라고 알고 보는 자에게 번뇌들의 부서짐이 있다. ‘이것이 고멸(苦滅)이다.’라고 알고 보는 자에게 번뇌들의 부서짐이 있다. ‘이것이 고멸(苦滅)로 이끄는 실천이다.’라고 알고 보는 자에게 번뇌들의 부서짐이 있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알고 이와 같이 보는 자에게 번뇌들의 부서짐이 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