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수행경전 > 대념처경

대념처경

대념처경 - 법념처7[삼매수행-백련홍련-지혜경-여리한 사고]오온의 일어남-사라짐의 용례4)(부산 수행 171011)

0 834 2017.10.12 10:58

대념처경 - 법념처7[삼매수행-백련홍련-지혜경-여리한 사고]오온의 일어남-사라짐의 용례4)(부산 수행 171011)

[동영상] https://youtu.be/ziOxFWtHPMg

 

오온(五蘊)의 일어남-사라짐의 용례분석을 마무리한 수업입니다.


1. 지난 수업에서 공부한 ‘무엇을 알고 보는 자에게 번뇌가 부서지는가?’를 보완 설명하였습니다. 인식과 행위로의 삶의 이해 위에서 4개의 경은 인식에서는 여리작의(如理作意)하고, 행위에서는 오온의 일어남-사라짐을 관찰하고, 인식을 행위로 연결하는 과정에서는 사성제를 알고 보는 자에게 번뇌가 부서진다고 합니다. 삶에 대한 이해 그리고 수행의 중심자리를 알려주는 것입니다.


2. 삼매수행(三昧修行)경이 알려주는 4가지 삼매수행의 의미를 간략히 설명하였습니다. 특히, 광명상(光明想)의 작의(作意)에 의한 지(知)와 견(見)의 획득의 의미를 개념적으로 설명하였습니다.


3. 온(蘊) 경은 흔들리지 않는 사문, 백련(白蓮)과 같은 사문, 홍련(紅蓮)과 같은 사문, 사문들 가운데서 가장 세련된 사문의 네 부류의 사문을 말합니다. 같은 분류를 말하는 경전 용례를 표로 정리하였습니다.

 

흔들리지 않는 사문

백련 같은 사문

홍련 같은 사문

사문들 가운데서 가장 세련된 사문

saṃyojanasuttaṃ (AN 4.88)[족쇄 경]

sotāpanna

예류자(預流者)

sakadāgāmī

일래자(一來者)

불환자(不還者)

arahanta

아라한(阿羅漢)

; 심해탈(心解脫)-혜해탈(慧解脫)

sammādiṭṭhisuttaṃ (AN 4.89)[정견(正見)]

팔정도(八正道)

;유학(有學)의 길

십정도(十正道)

;아라한의 길

십정도(十正道)

& 팔해탈(八解脫)

대부분의 경우 공양을 받아서 심해탈(心解脫)-혜해탈(慧解脫)

; 부처님

khandhasuttaṃ

(AN 4.90)[() ]

유학(有學)

오취온(五取蘊)의 일어남-사라짐 관찰 & 팔해탈 체득 못함

; 혜해탈자(慧解脫者)

오취온(五取蘊)의 일어남-사라짐 관찰 & 팔해탈 체득

; 양면해탈자(兩面解脫者)

대부분의 경우 공양을 받아서 심해탈(心解脫)-혜해탈(慧解脫)

; 부처님

puttasuttaṃ (AN 4.87)[아들 경]

유학(有學)

심해탈(心解脫)-혜해탈(慧解脫) & 팔해탈 체득 못함

; 혜해탈자(慧解脫者)

심해탈(心解脫)-혜해탈(慧解脫) & 팔해탈 체득

; 양면해탈자(兩面解脫者)

대부분의 경우 공양을 받아서 심해탈(心解脫)-혜해탈(慧解脫)

; 부처님

 

4. 지혜 경은 범행(梵行)의 시작인 지혜를 ①아직 얻지 못한 것은 얻게 하고, ②이미 얻은 것은 더욱 더 증가하게 하고 ③풍부하게 하고 ④개발하게 하고 ⑤완성하게 하는 여덟 가지 원인과 조건을 말합니다. 여덟 가지의 마지막 원인-조건으로 오온의 일어남-사라짐의 관찰이 제시됩니다. 경은 이렇게 마무리됩니다. 


ㅡ [이런 그를 동료수행자들은 이와 같이 존경한다.] 이 존자는 오취온(五取蘊)에서 일어나고 사라짐을 이어 보면서 머문다. ㅡ ‘이것이 색(色)이다. 이것이 색(色)의 일어남이다. 이것이 색(色)의 사라짐이다. 이것이 수(受)다. … 이것이 상(想)이다. … 이것이 행(行)이다. … 이것이 식(識)이다. 이것이 식(識)의 일어남이다. 이것이 식(識)의 사라짐이다.’라고, ‘이 존자는 이제 알아야 할 것을 알고 보아야 할 것을 본다.'라고. 이런 조건은 그를 사랑받게 하고 존중받게 하고 계발되게 하고 참다운 사문이 되게 하고 전일한 상태로 인도한다.


5. 계 경(S22:122) 등은 오온(五蘊)에 대한 여리(如理)한 사고(思考)를 알려주는데 무상(無常)-고(苦)-무아(無我)라는 사고(思考)입니다. 그리고 이런 여리(如理)한 사고(思考)는 삼매를 닦는 비구에게 예류자가 되는 과정부터 아라한의 성취 과정까지 그리고 아라한의 삶의 과정에까지 반복 설해집니다. 각각의 단계에 따라 공부의 주제가 달라지는 것이 아니라 공부의 근본은 존재의 실상(實相)인 무상(無常)-고(苦)-무아(無我)-부정(不淨)의 관찰이라는 점입니다. 공부의 향상에 따라 여실지견(如實知見)에 이르고[예류자], 차츰 향상하여 100% 여실지견하는 아라한의 경지를 실현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아라한은 삶의 과정에서 어떤 상황에 마주치더라도 사실에 부합한 삶에 어긋남이 없게 됨으로써 괴로움을 일으키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향상과정

방법

성취

계를 지키는 비구

또는 잘 배운 비구

오취온에 여리(如理)하게 사고(思考)

예류자 여실지견 시작

예류자

오취온에 여리(如理)하게 사고(思考)

일래자 여실지견 향상

일래자

오취온에 여리(如理)하게 사고(思考)

불환자 여실지견 향상

불환자

오취온에 여리(如理)하게 사고(思考)

아라한 여실지견 10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