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수행경전 > 대념처경

대념처경

khandhasuttaṃ (AN 4.90)[온(蘊) 경]

khandhasuttaṃ (AN 4.90)[() ]

 

“cattārome, bhikkhave, puggalā santo saṃvijjamānā lokasmiṃ. katame cattāro? samaṇamacalo, samaṇapuṇḍarīko, samaṇapadumo, samaṇesu samaṇasukhumālo.

 

비구들이여, 세상에는 네 부류의 존재하고 있는 사람이 있다. 무엇이 넷인가? 흔들리지 않는 사문, 백련(白蓮)과 같은 사문, 홍련(紅蓮)과 같은 사문, 사문들 가운데서 가장 세련된 사문이다.”

 

“kathañca, bhikkhave, puggalo samaṇamacalo hoti? idha, bhikkhave, bhikkhu sekho hoti appattamānaso, anuttaraṃ yogakkhemaṃ patthayamāno viharati. evaṃ kho, bhikkhave, puggalo samaṇamacalo hoti.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사람이 흔들리지 않는 사문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마음이 닿지 못한 유학이어서 위없는 유가안온(瑜伽安穩)을 원하면서 머문다. 이와 같은 사람은 흔들리지 않는 사문이다.”

 

“kathañca, bhikkhave, puggalo samaṇapuṇḍarīko hoti? idha, bhikkhave, bhikkhu pañcasu upādānakkhandhesu udayabbayānupassī viharati ‘iti rūpaṃ, iti rūpassa samudayo, iti rūpassa atthaṅgamo; iti vedanā ... pe ... iti saññā ... pe ... iti saṅkhārā ... pe ... iti viññāṇaṃ, iti viññāṇassa samudayo, iti viññāṇassa atthaṅgamo’ti; no ca kho aṭṭha vimokkhe kāyena phusitvā viharati. evaṃ kho, bhikkhave, puggalo samaṇapuṇḍarīko hoti.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사람이 백련(白蓮)과 같은 사문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오취온(五取蘊)에서 일어나고 사라짐을 이어 보면서 머문다. 이것이 색()이다. 이것이 색()의 일어남이다. 이것이 색()의 사라짐이다. 이것이 수(). 이것이 상()이다. 이것이 행()이다. 이것이 식()이다. 이것이 식()의 일어남이다. 이것이 식()의 사라짐이다라고. 그러나 여덟 가지 해탈[팔해탈(八解脫)]은 몸으로 체득하여 머물지 못한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은 사람은 백련과 같은 사문이다.

 

“kathañca, bhikkhave, puggalo samaṇapadumo hoti? idha, bhikkhave, bhikkhu pañcasu upādānakkhandhesu udayabbayānupassī viharati ‘iti rūpaṃ, iti rūpassa samudayo, iti rūpassa atthaṅgamo; iti vedanā ... pe ... iti saññā ... pe ... iti saṅkhārā ... pe ... iti viññāṇaṃ, iti viññāṇassa samudayo, iti viññāṇassa atthaṅgamo’ti; aṭṭha ca vimokkhe kāyena phusitvā viharati. evaṃ kho, bhikkhave, puggalo samaṇapadumo hoti.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사람이 홍련[紅蓮]과 같은 사문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오취온(五取蘊)에서 일어나고 사라짐을 이어 보면서 머문다. 이것이 색()이다. 이것이 색()의 일어남이다. 이것이 색()의 사라짐이다. 이것이 수(). 이것이 상()이다. 이것이 행()이다. 이것이 식()이다. 이것이 식()의 일어남이다. 이것이 식()의 사라짐이다라고. 그리고 여덟 가지 해탈을 몸으로 체득하여 머문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은 사람은 홍련과 같은 사문이다.

 

“kathañca, bhikkhave, puggalo samaṇesu samaṇasukhumālo hoti? idha, bhikkhave, bhikkhu yācitova bahulaṃ cīvaraṃ paribhuñjati, appaṃ ayācito ... pe ... mameva taṃ, bhikkhave, sammā vadamāno vadeyya samaṇesu samaṇasukhumāloti. ime kho, bhikkhave, cattāro puggalā santo saṃvijjamānā lokasmin”ti.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사람이 사문들 가운데서 가장 세련된 사문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대부분의 경우 공양을 받아 의복을 수용하고 드물게 공양을 받지 않아도 수용한다대부분의 경우 공양을 받아서 탁발음식을 수용하고 드물게 공양을 받지 않아도 수용한다. 대부분의 경우 공양을 받아서 거처를 수용하고 드물게 공양을 받지 않아도 수용한다. 대부분의 경우 공양을 받아서 병구완을 위한 약품을 수용하고 드물게 공양을 받지 않아도 수용한다그는 번뇌를 부수어 번뇌가 없는 심해탈(心解脫)과 혜해탈(慧解脫)을 지금 여기에서 스스로 수승한 지혜로 실현하고 구족하여 머문다. 비구들이여, 참으로 바르게 말하는 자들이 말하기를 사문들 가운데서 가장 세련된 사문이라고 하는 것은 바로 나를 두고 하는 말이다. 비구들이여, 세상에는 이러한 네 부류의 사람이 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