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수행경전 > 구차제정

구차제정

3. sappurisasuttaṃ (MN 113)[바른 사람 경]

0 333 2017.08.08 11:27
3. sappurisasuttaṃ (MN 113)[바른 사람 경]

evaṃ me sutaṃ — ekaṃ samayaṃ bhagavā sāvatthiyaṃ viharati jetavane anāthapiṇḍikassa ārāme. tatra kho bhagavā bhikkhū āmantesi — “bhikkhavo”ti. “bhadante”ti te bhikkhū bhagavato paccassosuṃ. bhagavā etadavoca — “sappurisadhammañca vo, bhikkhave, desessāmi asappurisadhammañca. taṃ suṇātha, sādhukaṃ manasi karotha; bhāsissāmī”ti. “evaṃ, bhante”ti kho te bhikkhū bhagavato paccassosuṃ. bhagavā etadavoca —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때 세존께서는 사왓티에서 제따 숲의 아나타삔디까 원림에 머무셨다. 거기서 세존께서는 "비구들이여."라고 비구들을 부르셨다. "대덕이시여."라고 비구들은 세존께 응답했다.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ㅡ "비구들이여, 바른 사람의 법과 바르지 못한 사람의 법을 그대들에게 설하겠다. 그것을 듣고 잘 사유하라. 나는 설하겠다." "그러겠습니다, 대덕이시여."라고 비구들은 세존께 응답했다.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ㅡ

“katamo ca, bhikkhave, asappurisadhammo? idha, bhikkhave, asappuriso uccākulā pabbajito hoti. so iti paṭisañcikkhati — ‘ahaṃ khomhi uccākulā pabbajito, ime panaññe bhikkhū na uccākulā pabbajitā’ti. so tāya uccākulīnatāya attānukkaṃseti, paraṃ vambheti. ayaṃ, bhikkhave, asappurisadhammo. sappuriso ca kho, bhikkhave, iti paṭisañcikkhati — ‘na kho uccākulīnatāya lobhadhammā vā parikkhayaṃ gacchanti, dosadhammā vā parikkhayaṃ gacchanti, mohadhammā vā parikkhayaṃ gacchanti. no cepi uccākulā pabbajito hoti; so ca hoti dhammānudhammappaṭipanno sāmīcippaṭipanno anudhammacārī, so tattha pujjo, so tattha pāsaṃso’ti. so paṭipadaṃyeva antaraṃ karitvā tāya uccākulīnatāya nevattānukkaṃseti na paraṃ vambheti. ayaṃ, bhikkhave, sappurisadhammo.

"비구들이여, 어떤 것이 바르지 못한 사람의 법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바르지 못한 사람이 높은 가문에서 출가한다. 그는 이렇게 숙고한다. ㅡ '나는 참으로 높은 가문에서 출가했다. 그러나 이 다른 비구들은 높은 가문에서 출가하지 않았다.'라고. 그는 그가 높은 가문 출신이라는 이유로 자신을 칭송하고 남을 비난한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르지 못한 사람의 법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나 바른 사람은 이와 같이 숙고한다. ㅡ '높은 가문 출신이라고 해서 탐(貪)의 법들이 완전히 부서지고 진(嗔)의 법들이 완전히 부서지고 치(癡)의 법들이 완전히 부서지는 것은 아니다. 비록 높은 가문에서 출가하지 않았더라도 그가 열반으로 이끄는 법을 실천하고 여법하게 실천하고 법을 따라 행하면 그는 거기서 존경받고 칭찬받을 것이다.'라고. 그는 오직 실천만을 최우선으로 여기고 높은 가문 출신이라는 이유로 자신을 칭송하거나 남을 비난하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른 사람의 법이다."

“puna caparaṃ, bhikkhave, asappuriso mahākulā pabbajito hoti ... pe ... mahābhogakulā pabbajito hoti ... pe ... uḷārabhogakulā pabbajito hoti. so iti paṭisañcikkhati — ‘ahaṃ khomhi uḷārabhogakulā pabbajito, ime panaññe bhikkhū na uḷārabhogakulā pabbajitā’ti. so tāya uḷārabhogatāya attānukkaṃseti, paraṃ vambheti. ayampi, bhikkhave, asappurisadhammo. sappuriso ca kho, bhikkhave, iti paṭisañcikkhati — ‘na kho uḷārabhogatāya lobhadhammā vā parikkhayaṃ gacchanti, dosadhammā vā parikkhayaṃ gacchanti, mohadhammā vā parikkhayaṃ gacchanti. no cepi uḷārabhogakulā pabbajito hoti; so ca hoti dhammānudhammappaṭipanno sāmīcippaṭipanno anudhammacārī, so tattha pujjo, so tattha pāsaṃso’ti. so paṭipadaṃyeva antaraṃ karitvā tāya uḷārabhogatāya nevattānukkaṃseti, na paraṃ vambheti. ayampi, bhikkhave, sappurisadhammo.

"다시 비구들이여, 바르지 못한 사람이 큰 가문에서 출가하면 … 부유한 가문에서 출가하면 … 세력 있는 가문에서 출가하면 이와 같이 숙고한다. ㅡ '나는 참으로 세력 있는 가문에서 출가했다. 그러나 이 다른 비구들은 세력 있는 가문에서 출가하지 않았다.'라고. 그는 그가 세력 있는 가문 출신이라는 이유로 자신을 칭송하고 남을 비난한다. 비구들이여, 이것도 바르지 못한 사람의 법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나 바른 사람은 이와 같이 숙고한다. ㅡ '세력 있는 가문 출신이라고 해서 탐(貪)의 법들이 완전히 부서지고 진(嗔)의 법들이 완전히 부서지고 치(癡)의 법들이 완전히 부서지는 것은 아니다. 비록 세력 있는 가문에서 출가하지 않았더라도 그가 열반으로 이끄는 법을 실천하고 여법하게 실천하고 법을 따라 행하면 그는 거기서 존경받고 칭찬받을 것이다.'라고. 그는 오직 실천만을 최우선으로 여기고 세력 있는 가문 출신이라는 이유로 자신을 칭송하거나 남을 비난하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른 사람의 법이다."

“puna caparaṃ, bhikkhave, asappuriso ñāto hoti yasassī. so iti paṭisañcikkhati — ‘ahaṃ khomhi ñāto yasassī, ime panaññe bhikkhū appaññātā appesakkhā’ti. so tena ñattena attānukkaṃseti, paraṃ vambheti. ayampi, bhikkhave, asappurisadhammo. sappuriso ca kho, bhikkhave, iti paṭisañcikkhati — ‘na kho ñattena lobhadhammā vā parikkhayaṃ gacchanti, dosadhammā vā parikkhayaṃ gacchanti, mohadhammā vā parikkhayaṃ gacchanti. no cepi ñāto hoti yasassī; so ca hoti dhammānudhammappaṭipanno sāmīcippaṭipanno anudhammacārī, so tattha pujjo, so tattha pāsaṃso’ti. so paṭipadaṃyeva antaraṃ karitvā tena ñattena nevattānukkaṃseti, na paraṃ vambheti. ayampi, bhikkhave, sappurisadhammo.

"다시 비구들이여, 바르지 못한 사람이 유명하고 명성을 가졌다. 그는 이와 같이 숙고한다. ㅡ '나는 참으로 유명하고 명성을 가졌다. 그러나 이 다른 비구들은 잘 알려지지 않았고 힘이 없다.'라고. 그는 그가 유명하다는 이유로 자신을 칭송하고 남을 비난한다. 비구들이여, 이것도 바르지 못한 사람의 법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나 바른 사람은 이와 같이 숙고한다. ㅡ '유명하고 명성을 가졌다고 해서 탐(貪)의 법들이 완전히 부서지고 진(嗔)의 법들이 완전히 부서지고 치(癡)의 법들이 완전히 부서지는 것은 아니다. 비록 잘 알려지지 않았고 힘이 없더라도 그가 열반으로 이끄는 법을 실천하고 여법하게 실천하고 법을 따라 행하면 그는 거기서 존경받고 칭찬받을 것이다.'라고. 그는 오직 실천만을 최우선으로 여기고 유명하다는 이유로 자신을 칭송하거나 남을 비난하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른 사람의 법이다.”

“puna caparaṃ, bhikkhave, asappuriso lābhī hoti cīvarapiṇḍapātasenāsanagilānappaccayabhesajjaparikkhārānaṃ. so iti paṭisañcikkhati — ‘ahaṃ khomhi lābhī cīvarapiṇḍapātasenāsanagilānappaccayabhesajjaparikkhārānaṃ, ime panaññe bhikkhū na lābhino cīvarapiṇḍapātasenāsanagilānappaccayabhesajjaparikkhārānan’ti. so tena lābhena attānukkaṃseti, paraṃ vambheti. ayampi, bhikkhave, asappurisadhammo. sappuriso ca kho, bhikkhave, iti paṭisañcikkhati — ‘na kho lābhena lobhadhammā vā parikkhayaṃ gacchanti, dosadhammā vā parikkhayaṃ gacchanti, mohadhammā vā parikkhayaṃ gacchanti. no cepi lābhī hoti cīvarapiṇḍapātasenāsanagilānappaccayabhesajjaparikkhārānaṃ; so ca hoti dhammānudhammappaṭipanno sāmīcippaṭipanno anudhammacārī, so tattha pujjo, so tattha pāsaṃso’ti. so paṭipadaṃyeva antaraṃ karitvā tena lābhena nevattānukkaṃseti, na paraṃ vambheti. ayampi, bhikkhave, sappurisadhammo.

"다시 비구들이여, 바르지 못한 사람이 의(衣)-식(食)-주(住)와 병구완하는 약품을 얻는다. 그는 이와 같이 숙고한다. ㅡ '나는 참으로 의(衣)-식(食)-주(住)와 병구완하는 약품을 얻는다. 그러나 이 다른 비구들은 의(衣)-식(食)-주(住)와 병구완하는 약품을 얻지 못한다.'라고. 그는 그가 의(衣)-식(食)-주(住)와 병구완하는 약품을 얻음으로 인해 자신을 칭송하고 남을 비난한다. 비구들이여, 이것도 바르지 못한 사람의 법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나 바른 사람은 이와 같이 숙고한다. ㅡ '의(衣)-식(食)-주(住)와 병구완하는 약품을 얻는다고 해서 탐(貪)의 법들이 완전히 부서지고 진(嗔)의 법들이 완전히 부서지고 치(癡)의 법들이 완전히 부서지는 것은 아니다. 비록 의(衣)-식(食)-주(住)와 병구완하는 약품을 얻지 못하더라도 그가 열반으로 이끄는 법을 실천하고 여법하게 실천하고 법을 따라 행하면 그는 거기서 존경받고 칭찬받을 것이다.'라고. 그는 오직 실천만을 최우선으로 여기고 그 얻음을 이유로 자신을 칭송하거나 남을 비난하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른 사람의 법이다.”

“puna caparaṃ, bhikkhave, asappuriso bahussuto hoti. so iti paṭisañcikkhati — ‘ahaṃ khomhi bahussuto, ime panaññe bhikkhū na bahussutā’ti. so tena bāhusaccena attānukkaṃseti, paraṃ vambheti. ayampi, bhikkhave, asappurisadhammo. sappuriso ca kho, bhikkhave, iti paṭisañcikkhati — ‘na kho bāhusaccena lobhadhammā vā parikkhayaṃ gacchanti, dosadhammā vā parikkhayaṃ gacchanti, mohadhammā vā parikkhayaṃ gacchanti. no cepi bahussuto hoti; so ca hoti dhammānudhammappaṭipanno sāmīcippaṭipanno anudhammacārī, so tattha pujjo, so tattha pāsaṃso’ti. so paṭipadaṃyeva antaraṃ karitvā tena bāhusaccena nevattānukkaṃseti, na paraṃ vambheti. ayampi, bhikkhave, sappurisadhammo.

"다시 비구들이여, 바르지 못한 사람이 많이 배웠다. 그는 이와 같이 숙고한다. ㅡ '나는 많이 배웠다. 그러나 이 다른 비구들은 많이 배우지 못했다.'라고. 그는 그가 많이 배운 것으로 인해 자신을 칭송하고 남을 비난한다. 비구들이여, 이것도 바르지 못한 사람의 법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나 바른 사람은 이와 같이 숙고한다. ㅡ '많이 배웠다고 해서 탐(貪)의 법들이 완전히 부서지고 진(嗔)의 법들이 완전히 부서지고 치(癡)의 법들이 완전히 부서지는 것은 아니다. 비록 많이 배우지 못했더라도 그가 열반으로 이끄는 법을 실천하고 여법하게 실천하고 법을 따라 행하면 그는 거기서 존경받고 칭찬받을 것이다.'라고. 그는 오직 실천만을 최우선으로 여기고 많이 배웠다는 이유로 자신을 칭송하거나 남을 비난하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른 사람의 법이다.”

“puna caparaṃ, bhikkhave, asappuriso vinayadharo hoti. so iti paṭisañcikkhati — ‘ahaṃ khomhi vinayadharo, ime panaññe bhikkhū na vinayadharā’ti. so tena vinayadharattena attānukkaṃseti, paraṃ vambheti. ayampi, bhikkhave, asappurisadhammo. sappuriso ca kho, bhikkhave, iti paṭisañcikkhati — ‘na kho vinayadharattena lobhadhammā vā parikkhayaṃ gacchanti, dosadhammā vā parikkhayaṃ gacchanti, mohadhammā vā parikkhayaṃ gacchanti. no cepi vinayadharo hoti; so ca hoti dhammānudhammappaṭipanno sāmīcippaṭipanno anudhammacārī, so tattha pujjo, so tattha pāsaṃso’ti. so paṭipadaṃyeva antaraṃ karitvā tena vinayadharattena nevattānukkaṃseti, na paraṃ vambheti. ayampi, bhikkhave, sappurisadhammo.

"다시 비구들이여, 바르지 못한 사람이 율(律)에 익숙하다. 그는 이와 같이 숙고한다. ㅡ '나는 율(律)에 익숙하다. 그러나 이 다른 비구들은 율(律)에 익숙하지 못하다.'라고. 그는 그가 율(律)에 익숙한 것으로 인해 자신을 칭송하고 남을 비난한다. 비구들이여, 이것도 바르지 못한 사람의 법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나 바른 사람은 이와 같이 숙고한다. ㅡ '율(律)에 익숙하다고 해서 탐(貪)의 법들이 완전히 부서지고 진(嗔)의 법들이 완전히 부서지고 치(癡)의 법들이 완전히 부서지는 것은 아니다. 비록 율(律)에 익숙하지 못하더라도 그가 열반으로 이끄는 법을 실천하고 여법하게 실천하고 법을 따라 행하면 그는 거기서 존경받고 칭찬받을 것이다.'라고. 그는 오직 실천만을 최우선으로 여기고 율(律)에 익숙하다는 이유로 자신을 칭송하거나 남을 비난하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른 사람의 법이다.”

“puna caparaṃ, bhikkhave, asappuriso dhammakathiko hoti. so iti paṭisañcikkhati — ‘ahaṃ khomhi dhammakathiko, ime panaññe bhikkhū na dhammakathikā’ti. so tena dhammakathikattena attānukkaṃseti, paraṃ vambheti. ayampi, bhikkhave, asappurisadhammo. sappuriso ca kho, bhikkhave, iti paṭisañcikkhati — ‘na kho dhammakathikattena lobhadhammā vā parikkhayaṃ gacchanti, dosadhammā vā parikkhayaṃ gacchanti, mohadhammā vā parikkhayaṃ gacchanti. no cepi dhammakathiko hoti; so ca hoti dhammānudhammappaṭipanno sāmīcippaṭipanno anudhammacārī, so tattha pujjo, so tattha pāsaṃso’ti. so paṭipadaṃyeva antaraṃ karitvā tena dhammakathikattena nevattānukkaṃseti, na paraṃ vambheti. ayampi, bhikkhave, sappurisadhammo.

"다시 비구들이여, 바르지 못한 사람이 법을 설하는 자이다. 그는 이와 같이 숙고한다. ㅡ '나는 법을 설하는 자다. 그러나 이 다른 비구들은 법을 설하는 자가 아니다.'라고. 그는 그가 법을 설하는 자라는 것으로 인해 자신을 칭송하고 남을 비난한다. 비구들이여, 이것도 바르지 못한 사람의 법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나 바른 사람은 이와 같이 숙고한다. ㅡ '법을 설하는 자라고 해서 탐(貪)의 법들이 완전히 부서지고 진(嗔)의 법들이 완전히 부서지고 치(癡)의 법들이 완전히 부서지는 것은 아니다. 비록 법을 설하는 자가 아니더라도 그가 열반으로 이끄는 법을 실천하고 여법하게 실천하고 법을 따라 행하면 그는 거기서 존경받고 칭찬받을 것이다.'라고. 그는 오직 실천만을 최우선으로 여기고 많이 배웠다는 이유로 자신을 칭송하거나 남을 비난하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른 사람의 법이다.”

“puna caparaṃ, bhikkhave, asappuriso āraññiko hoti. so iti paṭisañcikkhati — ‘ahaṃ khomhi āraññiko ime panaññe bhikkhū na āraññikā’ti. so tena āraññikattena attānukkaṃseti, paraṃ vambheti. ayampi, bhikkhave, asappurisadhammo. sappuriso ca kho, bhikkhave, iti paṭisañcikkhati — ‘na kho āraññikattena lobhadhammā vā parikkhayaṃ gacchanti, dosadhammā vā parikkhayaṃ gacchanti, mohadhammā vā parikkhayaṃ gacchanti. no cepi āraññiko hoti; so ca hoti dhammānudhammappaṭipanno sāmīcippaṭipanno anudhammacārī, so tattha pujjo, so tattha pāsaṃso’ti. so paṭipadaṃyeva antaraṃ karitvā tena āraññikattena nevattānukkaṃseti, na paraṃ vambheti. ayampi, bhikkhave, sappurisadhammo.

"다시 비구들이여, 바르지 못한 사람이 숲에 머무는 자이다. 그는 이와 같이 숙고한다. ㅡ '나는 숲에 머무는 자다. 그러나 이 다른 비구들은 숲에 머무는 자가 아니다.'라고. 그는 그가 숲에 머무는 자라는 것으로 인해 자신을 칭송하고 남을 비난한다. 비구들이여, 이것도 바르지 못한 사람의 법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나 바른 사람은 이와 같이 숙고한다. ㅡ '숲에 머무는 자라고 해서 탐(貪)의 법들이 완전히 부서지고 진(嗔)의 법들이 완전히 부서지고 치(癡)의 법들이 완전히 부서지는 것은 아니다. 비록 숲에 머무는 자가 아니더라도 그가 열반으로 이끄는 법을 실천하고 여법하게 실천하고 법을 따라 행하면 그는 거기서 존경받고 칭찬받을 것이다.'라고. 그는 오직 실천만을 최우선으로 여기고 숲에 머무는 자라는 이유로 자신을 칭송하거나 남을 비난하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른 사람의 법이다.”

“puna caparaṃ, bhikkhave, asappuriso paṃsukūliko hoti. so iti paṭisañcikkhati — ‘ahaṃ khomhi paṃsukūliko, ime panaññe bhikkhū na paṃsukūlikā’ti. so tena paṃsukūlikattena attānukkaṃseti, paraṃ vambheti. ayampi, bhikkhave, asappurisadhammo. sappuriso ca kho, bhikkhave, iti paṭisañcikkhati — ‘na kho paṃsukūlikattena lobhadhammā vā parikkhayaṃ gacchanti, dosadhammā vā parikkhayaṃ gacchanti, mohadhammā vā parikkhayaṃ gacchanti. no cepi paṃsukūliko hoti; so ca hoti dhammānudhammappaṭipanno sāmīcippaṭipanno anudhammacārī, so tattha pujjo, so tattha pāsaṃso’ti. so paṭipadaṃyeva antaraṃ karitvā tena paṃsukūlikattena nevattānukkaṃseti, na paraṃ vambheti. ayampi, bhikkhave, sappurisadhammo.

"다시 비구들이여, 바르지 못한 사람이 분소의만 입는 자이다. 그는 이와 같이 숙고한다. ㅡ '나는 분소의만 입는 자다. 그러나 이 다른 비구들은 분소의만 입는 자가 아니다.'라고. 그는 그가 분소의만 입는 자라는 것으로 인해 자신을 칭송하고 남을 비난한다. 비구들이여, 이것도 바르지 못한 사람의 법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나 바른 사람은 이와 같이 숙고한다. ㅡ '분소의만 입는 자라고 해서 탐(貪)의 법들이 완전히 부서지고 진(嗔)의 법들이 완전히 부서지고 치(癡)의 법들이 완전히 부서지는 것은 아니다. 비록 분소의만 입는 자가 아니더라도 그가 열반으로 이끄는 법을 실천하고 여법하게 실천하고 법을 따라 행하면 그는 거기서 존경받고 칭찬받을 것이다.'라고. 그는 오직 실천만을 최우선으로 여기고 분소의만 입는 자라는 이유로 자신을 칭송하거나 남을 비난하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른 사람의 법이다.”

“puna caparaṃ, bhikkhave, asappuriso piṇḍapātiko hoti. so iti paṭisañcikkhati — ‘ahaṃ khomhi piṇḍapātiko, ime panaññe bhikkhū na piṇḍapātikā’ti. so tena piṇḍapātikattena attānukkaṃseti, paraṃ vambheti. ayampi, bhikkhave, asappurisadhammo. sappuriso ca kho, bhikkhave, iti paṭisañcikkhati — ‘na kho piṇḍapātikattena lobhadhammā vā parikkhayaṃ gacchanti, dosadhammā vā parikkhayaṃ gacchanti, mohadhammā vā parikkhayaṃ gacchanti. no cepi piṇḍapātiko hoti; so ca hoti dhammānudhammappaṭipanno sāmīcippaṭipanno anudhammacārī, so tattha pujjo, so tattha pāsaṃso’ti. so paṭipadaṃyeva antaraṃ karitvā tena piṇḍapātikattena nevattānukkaṃseti, na paraṃ vambheti. ayampi, bhikkhave, sappurisadhammo.

"다시 비구들이여, 바르지 못한 사람이 탁발음식만 먹는 자이다. 그는 이와 같이 숙고한다. ㅡ '나는 탁발음식만 먹는 자다. 그러나 이 다른 비구들은 탁발음식만 먹는 자가 아니다.'라고. 그는 그가 탁발음식만 먹는 자라는 것으로 인해 자신을 칭송하고 남을 비난한다. 비구들이여, 이것도 바르지 못한 사람의 법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나 바른 사람은 이와 같이 숙고한다. ㅡ '탁발음식만 먹는 자라고 해서 탐(貪)의 법들이 완전히 부서지고 진(嗔)의 법들이 완전히 부서지고 치(癡)의 법들이 완전히 부서지는 것은 아니다. 비록 탁발음식만 먹는 자가 아니더라도 그가 열반으로 이끄는 법을 실천하고 여법하게 실천하고 법을 따라 행하면 그는 거기서 존경받고 칭찬받을 것이다.'라고. 그는 오직 실천만을 최우선으로 여기고 탁발음식만 먹는 자라는 이유로 자신을 칭송하거나 남을 비난하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른 사람의 법이다.”

“puna caparaṃ, bhikkhave, asappuriso rukkhamūliko hoti. so iti paṭisañcikkhati — ‘ahaṃ khomhi rukkhamūliko, ime panaññe bhikkhū na rukkhamūlikā’ti. so tena rukkhamūlikattena attānukkaṃseti, paraṃ vambheti. ayampi, bhikkhave, asappurisadhammo. sappuriso ca kho, bhikkhave, iti paṭisañcikkhati — ‘na kho rukkhamūlikattena lobhadhammā vā parikkhayaṃ gacchanti, dosadhammā vā parikkhayaṃ gacchanti, mohadhammā vā parikkhayaṃ gacchanti. no cepi rukkhamūliko hoti; so ca hoti dhammānudhammappaṭipanno sāmīcippaṭipanno anudhammacārī, so tattha pujjo, so tattha pāsaṃso’ti. so paṭipadaṃyeva antaraṃ karitvā tena rukkhamūlikattena nevattānukkaṃseti, na paraṃ vambheti. ayampi, bhikkhave, sappurisadhammo.

"다시 비구들이여, 바르지 못한 사람이 나무뿌리에 머무는 자이다. 그는 이와 같이 숙고한다. ㅡ '나는 나무뿌리에 머무는 자다. 그러나 이 다른 비구들은 나무뿌리에 머무는 자가 아니다.'라고. 그는 그가 나무뿌리에 머무는 자라는 것으로 인해 자신을 칭송하고 남을 비난한다. 비구들이여, 이것도 바르지 못한 사람의 법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나 바른 사람은 이와 같이 숙고한다. ㅡ '나무뿌리에 머무는 자라고 해서 탐(貪)의 법들이 완전히 부서지고 진(嗔)의 법들이 완전히 부서지고 치(癡)의 법들이 완전히 부서지는 것은 아니다. 비록 나무뿌리에 머무는 자가 아니더라도 그가 열반으로 이끄는 법을 실천하고 여법하게 실천하고 법을 따라 행하면 그는 거기서 존경받고 칭찬받을 것이다.'라고. 그는 오직 실천만을 최우선으로 여기고 나무뿌리에 머무는 자라는 이유로 자신을 칭송하거나 남을 비난하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른 사람의 법이다.”

“puna caparaṃ, bhikkhave, asappuriso sosāniko hoti ... pe ... abbhokāsiko hoti... nesajjiko hoti... yathāsanthatiko hoti... ekāsaniko hoti. so iti paṭisañcikkhati — ‘ahaṃ khomhi ekāsaniko, ime panaññe bhikkhū na ekāsanikā’ti. so tena ekāsanikattena attānukkaṃseti, paraṃ vambheti. ayampi, bhikkhave, asappurisadhammo. sappuriso ca kho, bhikkhave, iti paṭisañcikkhati — ‘na kho ekāsanikattena lobhadhammā vā parikkhayaṃ gacchanti, dosadhammā vā parikkhayaṃ gacchanti, mohadhammā vā parikkhayaṃ gacchanti. no cepi ekāsaniko hoti; so ca hoti dhammānudhammappaṭipanno sāmīcippaṭipanno anudhammacārī, so tattha pujjo, so tattha pāsaṃso’ti. so paṭipadaṃyeva antaraṃ karitvā tena ekāsanikattena nevattānukkaṃseti, na paraṃ vambheti. ayampi, bhikkhave, sappurisadhammo.

"다시 비구들이여, 바르지 못한 사람이 묘지에 머무는 자이다. … 노지에 머무는 자이다. … 한 자리에 머무는 자이다. … 깔개 위에서 잠자는 자이다. … 하루 한 끼만 먹는 자이다. 그는 이와 같이 숙고한다. ㅡ '나는 하루 한 끼만 먹는 자다. 그러나 이 다른 비구들은 하루 한 끼만 먹는 자가 아니다.'라고. 그는 그가 하루 한 끼만 먹는 자라는 것으로 인해 자신을 칭송하고 남을 비난한다. 비구들이여, 이것도 바르지 못한 사람의 법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나 바른 사람은 이와 같이 숙고한다. ㅡ '하루 한 끼만 먹는 자라고 해서 탐(貪)의 법들이 완전히 부서지고 진(嗔)의 법들이 완전히 부서지고 치(癡)의 법들이 완전히 부서지는 것은 아니다. 비록 하루 한 끼만 먹는 자가 아니더라도 그가 열반으로 이끄는 법을 실천하고 여법하게 실천하고 법을 따라 행하면 그는 거기서 존경받고 칭찬받을 것이다.'라고. 그는 오직 실천만을 최우선으로 여기고 하루 한 끼만 먹는 자라는 이유로 자신을 칭송하거나 남을 비난하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른 사람의 법이다.”
 [답글에 계속]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