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수행경전 > 구차제정

구차제정

Re: 3. sappurisasuttaṃ (MN 113)[바른 사람 경] (*)atammayata[그것에서 생겨남이 아닌 것]…

0 353 2017.08.08 11:29
“puna caparaṃ, bhikkhave, asappuriso vivicceva kāmehi vivicca akusalehi dhammehi savitakkaṃ savicāraṃ vivekajaṃ pītisukhaṃ paṭham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ati. so iti paṭisañcikkhati — ‘ahaṃ khomhi paṭhamajjhānasamāpattiyā lābhī, ime panaññe bhikkhū paṭhamajjhānasamāpattiyā na lābhino’ti. so tāya paṭhamajjhānasamāpattiyā attānukkaṃseti, paraṃ vambheti. ayampi, bhikkhave, asappurisadhammo. sappuriso ca kho, bhikkhave, iti paṭisañcikkhati — ‘paṭhamajjhānasamāpattiyāpi kho atammayatā vuttā bhagavatā. yena yena hi maññanti tato taṃ hoti aññathā’ti. so atammayataññeva antaraṃ karitvā tāya paṭhamajjhānasamāpattiyā nevattānukkaṃseti, na paraṃ vambheti. ayampi, bhikkhave, sappurisadhammo.

"다시 비구들이여, 바르지 못한 사람이 소유적 사유들로부터 벗어나고, 불선법(不善法)들로부터 벗어나서, vitakka가 있고 vicāra가 있고 떨쳐버림에서 생긴 기쁨과 즐거움으로 초선(初禪)을 성취하여 머문다. 그는 이와 같이 숙고한다. ㅡ '나는 참으로 초선(初禪)의 증득을 얻었다. 그러나 이 다른 비구들은 초선(初禪)의 증득을 얻지 못했다.'라고. 그는 그가 초선(初禪)의 증득을 얻은 것으로 인해 자신을 칭송하고 남을 비난한다. 비구들이여, 이것도 바르지 못한 사람의 법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나 바른 사람은 이와 같이 숙고한다. ㅡ '세존께서는 초선의 증득에 대해서도 그것에서 생겨남이 아닌 것[열반]이라고 말씀하셨다. 어디에서 어떻게 생각하든 거기에서 그것은 그 이외의 것이다. 그는 오직 그것에서 생겨남이 아닌 것[열반]만을 최우선으로 여기고 초선(初禪)의 증득을 얻은 것을 이유로 자신을 칭송하거나 남을 비난하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른 사람의 법이다.”

“puna caparaṃ, bhikkhave, asappuriso vitakkavicārānaṃ vūpasamā ajjhattaṃ sampasādanaṃ cetaso ekodibhāvaṃ avitakkaṃ avicāraṃ samādhijaṃ pītisukhaṃ dutiyaṃ jhānaṃ ... pe ... tatiyaṃ jhānaṃ... catutth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ati. so iti paṭisañcikkhati — ‘ahaṃ khomhi catutthajjhānasamāpattiyā lābhī, ime panaññe bhikkhū catutthajjhānasamāpattiyā na lābhino’ti. so tāya catutthajjhānasamāpattiyā attānukkaṃseti, paraṃ vambheti. ayampi, bhikkhave, asappurisadhammo. sappuriso ca kho, bhikkhave, iti paṭisañcikkhati — ‘catutthajjhānasamāpattiyāpi kho atammayatā vuttā bhagavatā. yena yena hi maññanti tato taṃ hoti aññathā’ti. so atammayataññeva antaraṃ karitvā tāya catutthajjhānasamāpattiyā nevattānukkaṃseti, na paraṃ vambheti. ayampi, bhikkhave, sappurisadhammo.

"다시 비구들이여, 바르지 못한 사람이 vitakka와 vicāra의 가라앉음으로 인해, 안으로 평온함과 마음의 집중된 상태가 되어, vitakka도 없고 vicāra도 없이, 삼매에서 생긴 기쁨과 즐거움으로 제이선(第二禪)을 성취하여 머문다. … 제삼선(第三禪)을 … 제사선(第四禪)을 성취하여 머문다. 그는 이와 같이 숙고한다. ㅡ '나는 참으로 제사선(第四禪)의 증득을 얻었다. 그러나 이 다른 비구들은 제사선(第四禪)의 증득을 얻지 못했다.'라고. 그는 그가 제사선(第四禪)의 증득을 얻은 것으로 인해 자신을 칭송하고 남을 비난한다. 비구들이여, 이것도 바르지 못한 사람의 법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나 바른 사람은 이와 같이 숙고한다. ㅡ '세존께서는 제사선의 증득에 대해서도 그것에서 생겨남이 아닌 것[열반]이라고 말씀하셨다. 어디에서 어떻게 생각하든 거기에서 그것은 그 이외의 것이다. 그는 오직 그것에서 생겨남이 아닌 것[열반]만을 최우선으로 여기고 제사선의 증득을 얻은 것을 이유로 자신을 칭송하거나 남을 비난하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른 사람의 법이다.”

“puna caparaṃ, bhikkhave, asappuriso sabbaso rūpasaññānaṃ samatikkamā paṭighasaññānaṃ atthaṅgamā nānattasaññānaṃ amanasikārā ‘ananto ākāso’ti ākāsānañcāyatanaṃ upasampajja viharati. so iti paṭisañcikkhati — ‘ahaṃ khomhi ākāsānañcāyatanasamāpattiyā lābhī, ime panaññe bhikkhū ākāsānañcāyatanasamāpattiyā na lābhino’ti. so tāya ākāsānañcāyatanasamāpattiyā attānukkaṃseti, paraṃ vambheti. ayampi, bhikkhave, asappurisadhammo. sappuriso ca kho, bhikkhave, iti paṭisañcikkhati — ‘ākāsānañcāyatanasamāpattiyāpi kho atammayatā vuttā bhagavatā. yena yena hi maññanti tato taṃ hoti aññathā’ti. so atammayataññeva antaraṃ karitvā tāya ākāsānañcāyatanasamāpattiyā nevattānukkaṃseti, na paraṃ vambheti. ayampi, bhikkhave, sappurisadhammo.

"다시 비구들이여, 바르지 못한 사람이 색상(色想)을 완전히 초월하고 저항의 상(想)을 내려놓고 다양함의 상(想)을 위해 작의하지 않고 ‘무한한 공간’이라는 공무변처(空無邊處)를 성취하여 머문다. 그는 이와 같이 숙고한다. ㅡ '나는 참으로 공무변처의 증득을 얻었다. 그러나 이 다른 비구들은 공무변처의 증득을 얻지 못했다.'라고. 그는 그가 공무변처의 증득을 얻은 것으로 인해 자신을 칭송하고 남을 비난한다. 비구들이여, 이것도 바르지 못한 사람의 법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나 바른 사람은 이와 같이 숙고한다. ㅡ '세존께서는 공무변처의 증득에 대해서도 그것에서 생겨남이 아닌 것[열반]이라고 말씀하셨다. 어디에서 어떻게 생각하든 거기에서 그것은 그 이외의 것이다. 그는 오직 그것에서 생겨남이 아닌 것[열반]만을 최우선으로 여기고 공무변처의 증득을 얻은 것을 이유로 자신을 칭송하거나 남을 비난하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른 사람의 법이다.”

“puna caparaṃ, bhikkhave, asappuriso sabbaso ākāsānañcāyatanaṃ samatikkamma ‘anantaṃ viññāṇan’ti viññāṇañcāyatanaṃ upasampajja viharati. so iti paṭisañcikkhati — ‘ahaṃ khomhi viññāṇañcāyatanasamāpattiyā lābhī, ime panaññe bhikkhū viññāṇañcāyatanasamāpattiyā na lābhino’ti. so tāya viññāṇañcāyatanasamāpattiyā attānukkaṃseti, paraṃ vambheti. ayampi, bhikkhave, asappurisadhammo. sappuriso ca kho, bhikkhave, iti paṭisañcikkhati — ‘viññāṇañcāyatanasamāpattiyāpi kho atammayatā vuttā bhagavatā. yena yena hi maññanti tato taṃ hoti aññathā’ti. so atammayataññeva antaraṃ karitvā tāya viññāṇañcāyatanasamāpattiyā nevattānukkaṃseti, na paraṃ vambheti. ayampi, bhikkhave, sappurisadhammo.

"다시 비구들이여, 바르지 못한 사람이 공무변처를 완전히 초월하고 ‘무한한 식(識)’이라는 식무변처(識無邊處)를 성취하여 머문다. 그는 이와 같이 숙고한다. ㅡ '나는 참으로 식무변처의 증득을 얻었다. 그러나 이 다른 비구들은 식무변처의 증득을 얻지 못했다.'라고. 그는 그가 식무변처의 증득을 얻은 것으로 인해 자신을 칭송하고 남을 비난한다. 비구들이여, 이것도 바르지 못한 사람의 법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나 바른 사람은 이와 같이 숙고한다. ㅡ '세존께서는 식무변처의 증득에 대해서도 그것에서 생겨남이 아닌 것[열반]이라고 말씀하셨다. 어디에서 어떻게 생각하든 거기에서 그것은 그 이외의 것이다. 그는 오직 그것에서 생겨남이 아닌 것[열반]만을 최우선으로 여기고 식무변처의 증득을 얻은 것을 이유로 자신을 칭송하거나 남을 비난하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른 사람의 법이다.”

“puna caparaṃ, bhikkhave, asappuriso sabbaso viññāṇañcāyatanaṃ samatikkamma ‘natthi kiñcī’ti ākiñcaññāyatanaṃ upasampajja viharati. so iti paṭisañcikkhati — ‘ahaṃ khomhi ākiñcaññāyatanasamāpattiyā lābhī, ime panaññe bhikkhū ākiñcaññāyatanasamāpattiyā na lābhino’ti. so tāya ākiñcaññāyatanasamāpattiyā attānukkaṃseti, paraṃ vambheti. ayampi, bhikkhave, asappurisadhammo. sappuriso ca kho, bhikkhave, iti paṭisañcikkhati — ‘ākiñcaññāyatanasamāpattiyāpi kho atammayatā vuttā bhagavatā. yena yena hi maññanti tato taṃ hoti aññathā’ti. so atammayataññeva antaraṃ karitvā tāya ākiñcaññāyatanasamāpattiyā nevattānukkaṃseti, na paraṃ vambheti. ayampi, bhikkhave, sappurisadhammo.

"다시 비구들이여, 바르지 못한 사람이 식무변처를 완전히 초월하고 ‘아무 것도 없다.’라는 무소유처(無所有處)를 성취하여 머문다. 그는 이와 같이 숙고한다. ㅡ '나는 참으로 무소유처의 증득을 얻었다. 그러나 이 다른 비구들은 무소유처의 증득을 얻지 못했다.'라고. 그는 그가 무소유처의 증득을 얻은 것으로 인해 자신을 칭송하고 남을 비난한다. 비구들이여, 이것도 바르지 못한 사람의 법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나 바른 사람은 이와 같이 숙고한다. ㅡ '세존께서는 무소유처의 증득에 대해서도 그것에서 생겨남이 아닌 것[열반]이라고 말씀하셨다. 어디에서 어떻게 생각하든 거기에서 그것은 그 이외의 것이다. 그는 오직 그것에서 생겨남이 아닌 것[열반]만을 최우선으로 여기고 무소유처의 증득을 얻은 것을 이유로 자신을 칭송하거나 남을 비난하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른 사람의 법이다.”

“puna caparaṃ, bhikkhave, asappuriso sabbaso ākiñcaññāyatanaṃ samatikkamma nevasaññānāsaññāyatanaṃ upasampajja viharati. so iti paṭisañcikkhati — ‘ahaṃ khomhi nevasaññānāsaññāyatanasamāpattiyā lābhī, ime panaññe bhikkhū nevasaññānāsaññāyatanasamāpattiyā na lābhino’ti. so tāya nevasaññānāsaññāyatanasamāpattiyā attānukkaṃseti, paraṃ vambheti. ayampi, bhikkhave, asappurisadhammo. sappuriso ca kho, bhikkhave, iti paṭisañcikkhati — ‘nevasaññānāsaññāyatanasamāpattiyāpi kho atammayatā vuttā bhagavatā. yena yena hi maññanti tato taṃ hoti aññathā’ti. so atammayataññeva antaraṃ karitvā tāya nevasaññānāsaññāyatanasamāpattiyā nevattānukkaṃseti, na paraṃ vambheti. ayampi, bhikkhave, sappurisadhammo.

"다시 비구들이여, 바르지 못한 사람이 무소유처를 완전히 초월하고 비상비비상처(非想非非想處)를 성취하여 머문다. 그는 이와 같이 숙고한다. ㅡ '나는 참으로 비상비비상처의 증득을 얻었다. 그러나 이 다른 비구들은 비상비비상처의 증득을 얻지 못했다.'라고. 그는 그가 비상비비상처의 증득을 얻은 것으로 인해 자신을 칭송하고 남을 비난한다. 비구들이여, 이것도 바르지 못한 사람의 법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나 바른 사람은 이와 같이 숙고한다. ㅡ '세존께서는 비상비비상처의 증득에 대해서도 그것에서 생겨남이 아닌 것[열반]이라고 말씀하셨다. 어디에서 어떻게 생각하든 거기에서 그것은 그 이외의 것이다. 그는 오직 그것에서 생겨남이 아닌 것[열반]만을 최우선으로 여기고 비상비비상처의 증득을 얻은 것을 이유로 자신을 칭송하거나 남을 비난하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른 사람의 법이다.”

“puna caparaṃ, bhikkhave, sappuriso sabbaso nevasaññānāsaññāyatanaṃ samatikkamma saññāvedayitanirodhaṃ upasampajja viharati. paññāya cassa disvā āsavā parikkhīṇā honti. ayaṃ, bhikkhave, bhikkhu na kiñci maññati, na kuhiñci maññati, na kenaci maññatī”ti.

"다시 비구들이여, 바른 사람은 비상비비상처를 완전히 초월하고 상수멸(想受滅)을 성취하여 머물면서 지혜로써 보아서 번뇌들을 완전히 파괴한다. 비구들이여, 이 비구는 그 어떤 것도 생각하지 않고 어떤 곳에 관해서도 생각하지 않고 어느 것을 통해서도 생각하지 않는다." 

idamavoca bhagavā. attamanā te bhikkhū bhagavato bhāsitaṃ abhinandunti.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그 비구들은 아주 기뻐서 세존의 말씀을 즐거워하였다. 

(*) 육처분석 경(M137)의 해석 중에서

• atammayata : a-tammayata → ta-(m)-maya-ta ⇒ 그것에서 생겨남

예) manomayakāya - 의성신(意成身) → mano에서 생긴 몸

; tammayata를 조건적인 존재를 의미하는 용어인 것으로 해석하였습니다. 색성향미촉들이라는 다양함으로 물질의 영역[색계(色界)]를 나타내고, 공무변처-식무변처-무소유처-비상비비상처의 단일함으로 물질을 초월한 영역[무색계(無色界)]를 나타내면서 단일함에 의지해 다양함을 버리고 극복한다고 합니다. 

이어서 tammayata의 부정형 즉 atammayata[그것에서 생겨남이 아닌 것]에 의지해서 단일함을 버리고 극복한다고 합니다. 색계를 넘어선 무색계, 그리고 무색계를 넘어서 존재의 소멸인 열반[무위]로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atammayata[그것에서 생겨남이 아닌 것]은 어려운 용어이지만 이러한 이해에 의해 열반을 의미하는 다른 표현인 것으로 해석하였습니다. 이 용어에 대한 이런 이해는 <sappurisa sutta(M113)[바른 사람 경]>의 해석에도 적용되는데, 의미 있는 작업입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