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수행경전 > 구차제정

구차제정

cūḷagosiṅgasuttaṃ (MN 31)[고싱가 작은 경]

0 1,612 2017.08.08 16:18
cūḷagosiṅgasuttaṃ (MN 31)[고싱가 작은 경]

evaṃ me sutaṃ — ekaṃ samayaṃ bhagavā nātike viharati giñjakāvasathe. tena kho pana samayena āyasmā ca anuruddho āyasmā ca nandiyo āyasmā ca kimilo gosiṅgasālavanadāye viharanti. atha kho bhagavā sāyanhasamayaṃ paṭisallānā vuṭṭhito yena gosiṅgasālavanadāyo tenupasaṅkami. addasā kho dāyapālo bhagavantaṃ dūratova āgacchantaṃ. disvāna bhagavantaṃ etadavoca — “mā, samaṇa, etaṃ dāyaṃ pāvisi. santettha tayo kulaputtā attakāmarūpā viharanti. mā tesaṃ aphāsumakāsī”ti.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때 세존께서는 냐띠까의 벽돌집에 머무셨다. 그때 아누룻다 존자와 난디야 존자와 끼밀라 존자는 고싱가살라 숲의 동산에 머물렀다. 그때 세존께서는 해거름에 [낮 동안의] 홀로 앉음에서 일어나셔서 고싱가살라 숲의 동산으로 가셨다. 그때 동산지기가 세존께서 멀리서 오시는 것을 보고 세존께 말씀드렸다. ㅡ "사문이여, 이 동산에 들어오지 마십시오. 여기는 자신들의 이익을 추구하는 세 분의 선남자들이 머물고 계십니다. 그분들을 불편하게 만들지 마십시오."

assosi kho āyasmā anuruddho dāyapālassa bhagavatā saddhiṃ mantayamānassa. sutvāna dāyapālaṃ etadavoca — “mā, āvuso dāyapāla, bhagavantaṃ vāresi. satthā no bhagavā anuppatto”ti. atha kho āyasmā anuruddho yenāyasmā ca nandiyo āyasmā ca kimilo tenupasaṅkami; upasaṅkamitvā āyasmantañca nandiyaṃ āyasmantañca kimilaṃ etadavoca — “abhikkamathāyasmanto, abhikkamathāyasmanto, satthā no bhagavā anuppatto”ti. atha kho āyasmā ca anuruddho āyasmā ca nandiyo āyasmā ca kimilo bhagavantaṃ paccuggantvā — eko bhagavato pattacīvaraṃ paṭiggahesi, eko āsanaṃ paññapesi, eko pādodakaṃ upaṭṭhāpesi. nisīdi bhagavā paññatte āsane. nisajja kho bhagavā pāde pakkhālesi. tepi kho āyasmanto bhagavantaṃ abhivādetvā ekamantaṃ nisīdiṃsu. ekamantaṃ nisinnaṃ kho āyasmantaṃ anuruddhaṃ bhagavā etadavoca —

마침 아누룻다 존자는 동산지기가 세존과 더불어 대화하는 것을 들었다. 듣고서는 동산지기에게 이렇게 말했다. ㅡ "벗 동산지기여, 세존을 막지 말게. 우리의 스승이신 세존께서 오신 것이네." 그리고 나서 아누룻다 존자는 난디야 존자와 끼밀라 존자에게 말했다. ㅡ "존자들이여, 나오십시오. 존자들이여, 나오십시오. 우리들의 스승이신 세존께서 오셨습니다." 아누룻다 존자와 난디야 존자와 끼밀라 존자는 세존을 영접하고는 한 사람은 세존의 발우와 가사를 받아들고 한 사람은 자리를 준비하고 한 사람은 발 씻을 물을 가져왔다. 세존께서는 마련된 자리에 앉으시고 발을 씻으셨다. 세 존자들은 세존께 절을 올리고 한 곁에 앉았다. 세존께서는 한 곁에 앉은 아누룻다 존자에게 이렇게 말씀하셨다. ㅡ

“kacci vo, anuruddhā, khamanīyaṃ, kacci yāpanīyaṃ, kacci piṇḍakena na kilamathā”ti? “khamanīyaṃ, bhagavā, yāpanīyaṃ, bhagavā; na ca mayaṃ, bhante, piṇḍakena kilamāmā”ti. “kacci pana vo, anuruddhā, samaggā sammodamānā avivadamānā khīrodakībhūtā aññamaññaṃ piyacakkhūhi sampassantā viharathā”ti? “taggha mayaṃ, bhante, samaggā sammodamānā avivadamānā khīrodakībhūtā aññamaññaṃ piyacakkhūhi sampassantā viharāmā”ti. “yathā kathaṃ pana tumhe, anuruddhā, samaggā sammodamānā avivadamānā khīrodakībhūtā aññamaññaṃ piyacakkhūhi sampassantā viharathā”ti? “idha mayhaṃ, bhante, evaṃ hoti — ‘lābhā vata me, suladdhaṃ vata me, yohaṃ evarūpehi sabrahmacārīhi saddhiṃ viharāmī’ti. tassa mayhaṃ, bhante, imesu āyasmantesu mettaṃ kāyakammaṃ paccupaṭṭhitaṃ āvi ceva raho ca; mettaṃ vacīkammaṃ paccupaṭṭhitaṃ āvi ceva raho ca; mettaṃ manokammaṃ paccupaṭṭhitaṃ āvi ceva raho ca. tassa mayhaṃ, bhante, evaṃ hoti — ‘yaṃnūnāhaṃ sakaṃ cittaṃ nikkhipitvā imesaṃyeva āyasmantānaṃ cittassa vasena vatteyyan’ti. so kho ahaṃ, bhante, sakaṃ cittaṃ nikkhipitvā imesaṃyeva āyasmantānaṃ cittassa vasena vattāmi. nānā hi kho no, bhante, kāyā ekañca pana maññe cittan”ti.

"아누룻다들이여, 그대들은 견딜만한가? 잘 지내는가? 탁발하는 데 어려움은 없는가?" "저희들은 견딜만합니다, 세존이시여. 잘 지냅니다, 세존이시여. 탁발하는 데 어려움은 없습니다, 대덕이시여." 

"아누룻다들이여, 그런데 그대들은 사이좋게 화합하고 정중하고 다투지 않고 물과 우유가 잘 섞이듯이 서로를 우정어린 눈으로 보면서 머무는가?" "참으로 그러합니다. 세존이시여, 저희들은 사이좋게 화합하여 다투지 않고 물과 우유가 잘 섞이듯이 서로를 우정 어린 눈으로 보면서 머뭅니다." "아누룻다들이여, 그러면 그대들은 어떻게 사이좋게 화합하여 다투지 않고 물과 우유가 잘 섞이듯이 서로를 우정 어린 눈으로 보면서 머무는가?"

"대덕이시여, 여기서 저희들에게 이런 생각이 듭니다. ㅡ '내가 이러한 동료 수행자들과 함께 머문다는 것은 참으로 나에게 이익이고, 참으로 나에게 축복이다.'라고. 그래서 제게는 이 도반들이 눈앞에 있건 없건 항상 그들에 대해 자애로운 몸의 업을 유지하고, 제게는 이 도반들이 눈앞에 있건 없건 항상 그들에 대해 자애로운 말의 업을 유지하고, 제게는 이 도반들이 눈앞에 있건 없건 항상 그들에 대해 자애로운 마음의 업을 유지합니다. 그러면 제게 이런 생각이 듭니다. ㅡ '이제 나는 나 자신의 마음을 제쳐두고 이 도반들의 마음을 따라야겠다.'라고. 대덕이시여, 그러면 저는 제 자신의 마음을 제쳐두고 이 도반들의 마음을 따릅니다. 대덕이시여, 참으로 저희는 몸은 다르지만 마음은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āyasmāpi kho nandiyo ... pe ... āyasmāpi kho kimilo bhagavantaṃ etadavoca — “mayhampi, bhante, evaṃ hoti — ‘lābhā vata me, suladdhaṃ vata me, yohaṃ evarūpehi sabrahmacārīhi saddhiṃ viharāmī’ti. tassa mayhaṃ, bhante, imesu āyasmantesu mettaṃ kāyakammaṃ paccupaṭṭhitaṃ āvi ceva raho ca, mettaṃ vacīkammaṃ paccupaṭṭhitaṃ āvi ceva raho ca, mettaṃ manokammaṃ paccupaṭṭhitaṃ āvi ceva raho ca. tassa mayhaṃ, bhante, evaṃ hoti — ‘yaṃnūnāhaṃ sakaṃ cittaṃ nikkhipitvā imesaṃyeva āyasmantānaṃ cittassa vasena vatteyyan’ti. so kho ahaṃ, bhante, sakaṃ cittaṃ nikkhipitvā imesaṃyeva āyasmantānaṃ cittassa vasena vattāmi. nānā hi kho no, bhante, kāyā ekañca pana maññe cittanti.

난디야 존자도 … 끼밀라 존자도 세존께 이렇게 말하였다. "대덕이시여, 여기서 저희들에게 이런 생각이 듭니다. ㅡ '내가 이러한 동료 수행자들과 함께 머문다는 것은 참으로 나에게 이익이고, 참으로 나에게 축복이다.'라고. 그래서 제게는 이 도반들이 눈앞에 있건 없건 항상 그들에 대해 자애로운 몸의 업을 유지하고, 제게는 이 도반들이 눈앞에 있건 없건 항상 그들에 대해 자애로운 말의 업을 유지하고, 제게는 이 도반들이 눈앞에 있건 없건 항상 그들에 대해 자애로운 마음의 업을 유지합니다. 그러면 제게 이런 생각이 듭니다. ㅡ '이제 나는 나 자신의 마음을 제쳐두고 이 도반들의 마음을 따라야겠다.'라고. 대덕이시여, 그러면 저는 제 자신의 마음을 제쳐두고 이 도반들의 마음을 따릅니다. 대덕이시여, 참으로 저희는 몸은 다르지만 마음은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evaṃ kho mayaṃ, bhante, samaggā sammodamānā avivadamānā khīrodakībhūtā aññamaññaṃ piyacakkhūhi sampassantā viharāmā”ti.

대덕이시여, 이와 같이 저희들은 사이좋게 화합하고 정중하고 다투지 않고 물과 우유가 잘 섞이듯이 서로를 우정 어린 눈으로 보면서 머뭅니다."

“sādhu sādhu, anuruddhā! kacci pana vo, anuruddhā, appamattā ātāpino pahitattā viharathā”ti? “taggha mayaṃ, bhante, appamattā ātāpino pahitattā viharāmā”ti. “yathā kathaṃ pana tumhe, anuruddhā, appamattā ātāpino pahitattā viharathā”ti? “idha, bhante, amhākaṃ yo paṭhamaṃ gāmato piṇḍāya paṭikkamati so āsanāni paññapeti, pānīyaṃ paribhojanīyaṃ upaṭṭhāpeti, avakkārapātiṃ upaṭṭhāpeti. yo pacchā gāmato piṇḍāya paṭikkamati, sace hoti bhuttāvaseso sace ākaṅkhati bhuñjati, no ce ākaṅkhati appaharite vā chaḍḍeti, appāṇake vā udake opilāpeti. so āsanāni paṭisāmeti, pānīyaṃ paribhojanīyaṃ paṭisāmeti, avakkārapātiṃ paṭisāmeti, bhattaggaṃ sammajjati. yo passati pānīyaghaṭaṃ vā paribhojanīyaghaṭaṃ vā vaccaghaṭaṃ vā rittaṃ tucchaṃ so upaṭṭhāpeti. sacassa hoti avisayhaṃ, hatthavikārena dutiyaṃ āmantetvā hatthavilaṅghakena upaṭṭhāpema, na tveva mayaṃ, bhante, tappaccayā vācaṃ bhindāma. pañcāhikaṃ kho pana mayaṃ, bhante, sabbarattikaṃ dhammiyā kathāya sannisīdāma. evaṃ kho mayaṃ, bhante, appamattā ātāpino pahitattā viharāmā”ti.

"아누룻다들이여, 장하고 장하구나. 아누룻다들이여, 그런데 그대들은 방일하지 않고 열심히, 스스로를 독려하면서 머무는가?" "참으로 그러합니다, 대덕이시여. 저희들은 방일하지 않고 열심히, 스스로를 독려하면서 머뭅니다." "아누룻다들이여, 그러면 어떻게 그대들은 방일하지 않고 열심히, 스스로 독려하며 머무는가?"

"대덕이시여, 여기서 저희들 중에서 먼저 탁발을 마치고 마을에서 돌아온 자는 자리를 마련하고 마실 물과 발 씻을 물을 준비하고 여분의 음식을 담을 통을 준비합니다. 나중에 탁발을 마치고 마을에서 돌아온 자는 남은 음식이 있으면 그가 원하면 먹고, 원하지 않으면 풀이 없는 곳에 버리거나 생물이 없는 물에 던져 넣습니다. 그는 자리를 치우고 마실 물과 발 씻을 물을 치우고 여분의 음식을 담은 통을 치우고 밥 먹은 곳을 닦아냅니다. 누구든 마시는 물 항아리나 씻는 물 항아리나 뒷물 항아리가 바닥이 나거나 비어있는 것을 보면 그는 그것을 준비합니다. 만일 [너무 무거워] 혼자 감당할 수 없으면 손짓으로 다른 사람을 불러서 손을 맞잡고 가져옵니다. 세존이시여, 그러나 저희는 그 때문에 묵언을 깨뜨리지 않습니다. 대덕이시여, 대신에 닷새마다 법담으로 온 밤을 지새웁니다. 대덕이시여, 이와 같이 저희들은 방일하지 않고 열심히, 스스로 독려하며 머뭅니다."

“sādhu sādhu, anuruddhā! atthi pana vo, anuruddhā, evaṃ appamattānaṃ ātāpīnaṃ pahitattānaṃ viharantānaṃ uttarimanussadhammā alamariyañāṇadassanaviseso adhigato phāsuvihāro”ti? “kiñhi no siyā, bhante! idha mayaṃ, bhante, yāvadeva ākaṅkhāma vivicceva kāmehi vivicca akusalehi dhammehi savitakkaṃ savicāraṃ vivekajaṃ pītisukhaṃ paṭham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āma. ayaṃ kho no, bhante, amhākaṃ appamattānaṃ ātāpīnaṃ pahitattānaṃ viharantānaṃ uttarimanussadhammā alamariyañāṇadassanaviseso adhigato phāsuvihāro”ti.

"아누룻다들이여, 장하고 장하구나. 아누룻다들이여, 그런데 그대들은 이와 같이 방일하지 않고 열심히, 스스로 독려하며 머물 때 인간의 법을 넘어선 충분하고 성스러운 앎과 봄의 성취를 증득하여 편히 머무는가?" "어찌 아니겠습니까, 대덕이시여. 대덕이시여, 저희들은 원하기만 하면 소유적 사유들로부터 벗어나고, 불선법(不善法)들로부터 벗어나서, vitakka가 있고 vicāra가 있고 떨쳐버림에서 생긴 기쁨과 즐거움으로 초선(初禪)을 성취하여 머뭅니다. 대덕이시여, 이것이 저희들이 방일하지 않고 열심히, 스스로를 독려하면서 머물 때 인간의 법을 넘어선 충분하고 성스러운 앎과 봄의 성취를 증득하여 편히 머무는 것입니다."

“sādhu sādhu, anuruddhā! etassa pana vo, anuruddhā, vihārassa samatikkamāya etassa vihārassa paṭippassaddhiyā atthañño uttarimanussadhammā alamariyañāṇadassanaviseso adhigato phāsuvihāro”ti? “kiñhi no siyā, bhante! idha mayaṃ, bhante, yāvadeva ākaṅkhāma vitakkavicārānaṃ vūpasamā ajjhattaṃ sampasādanaṃ cetaso ekodibhāvaṃ avitakkaṃ avicāraṃ samādhijaṃ pītisukhaṃ dutiy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āma. etassa, bhante, vihārassa samatikkamāya etassa vihārassa paṭippassaddhiyā ayamañño uttarimanussadhammā alamariyañāṇadassanaviseso adhigato phāsuvihāro”ti.

"아누룻다들이여, 장하고 장하구나. 아누룻다들이여, 그런데 그대들은 이렇게 머무는 것을 뛰어넘고 이렇게 머무는 것을 가라앉히기 위해 다른 인간의 법을 넘어선 충분하고 성스러운 앎과 봄의 성취를 증득하여 편히 머무는가?” "어찌 아니겠습니까, 대덕이시여. 대덕이시여, 저희들은 원하기만 하면 vitakka와 vicāra의 가라앉음으로 인해, 안으로 평온함과 마음의 집중된 상태가 되어, vitakka도 없고 vicāra도 없이, 삼매에서 생긴 기쁨과 즐거움으로 제이선(第二禪)을 성취하여 머뭅니다. 대덕이시여, 이것이 그렇게 머무는 것을 뛰어넘고 그렇게 머무는 것을 가라앉히기 위해 다른 인간의 법을 넘어선 충분하고 성스러운 앎과 봄의 성취를 증득하여 편히 머무는 것입니다."

“sādhu sādhu, anuruddhā! etassa pana vo, anuruddhā, vihārassa samatikkamāya etassa vihārassa paṭippassaddhiyā atthañño uttarimanussadhammā alamariyañāṇadassanaviseso adhigato phāsuvihāro”ti? “kiñhi no siyā, bhante! idha mayaṃ, bhante, yāvadeva ākaṅkhāma pītiyā ca virāgā upekkhakā ca viharāma, satā ca sampajānā, sukhañca kāyena paṭisaṃvedema, yaṃ taṃ ariyā ācikkhanti — ‘upekkhako satimā sukhavihārī’ti tatiy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āma. etassa, bhante, vihārassa samatikkamāya etassa vihārassa paṭippassaddhiyā ayamañño uttarimanussadhammā alamariyañāṇadassanaviseso adhigato phāsuvihāro”ti.

"아누룻다들이여, 장하고 장하구나. 아누룻다들이여, 그런데 그대들은 이렇게 머무는 것을 뛰어넘고 이렇게 머무는 것을 가라앉히기 위해 또 다른 인간의 법을 넘어선 충분하고 성스러운 앎과 봄의 성취를 증득하여 편히 머무는가?” "어찌 아니겠습니까, 대덕이시여. 대덕이시여, 저희들은 원하기만 하면 기쁨도 사라진 후, 평정하게 머물며, 알아차림과 분명한 앎을 지니고서, 몸으로 즐거움을 경험하니, 성인들이 말하는 “평정에서 알아차림을 갖추어 즐거움에 머문다[사념락주(捨念樂住)].”는 제삼선(第三禪)을 성취하여 머뭅니다. 대덕이시여, 이것이 그렇게 머무는 것을 뛰어넘고 그렇게 머무는 것을 가라앉히기 위해 또 다른 인간의 법을 넘어선 충분하고 성스러운 앎과 봄의 성취를 증득하여 편히 머무는 것입니다."

“sādhu sādhu, anuruddhā! etassa pana vo, anuruddhā, vihārassa samatikkamāya etassa vihārassa paṭippassaddhiyā atthañño uttarimanussadhammā alamariyañāṇadassanaviseso adhigato phāsuvihāro”ti? “kiñhi no siyā, bhante! idha mayaṃ, bhante, yāvadeva ākaṅkhāma sukhassa ca pahānā dukkhassa ca pahānā, pubbeva somanassadomanassānaṃ atthaṅgamā, adukkhamasukhaṃ upekkhāsatipārisuddhiṃ catutth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āma. etassa, bhante, vihārassa samatikkamāya etassa vihārassa paṭippassaddhiyā ayamañño uttari manussadhammā alamariyañāṇadassanaviseso adhigato phāsuvihāro”ti.

"아누룻다들이여, 장하고 장하구나. 아누룻다들이여, 그런데 그대들은 이렇게 머무는 것을 뛰어넘고 이렇게 머무는 것을 가라앉히기 위해 또 다른 인간의 법을 넘어선 충분하고 성스러운 앎과 봄의 성취를 증득하여 편히 머무는가?” "어찌 아니겠습니까, 대덕이시여. 대덕이시여, 저희들은 원하기만 하면 즐거움도 끊어졌고 괴로움도 끊어졌고, 또한 이미 만족과 불만들도 완전히 끊어졌기에, 괴로움도 없고 즐거움도 없는 평정과 알아차림과 청정[사념청정(捨念淸淨)]의 제사선(第四禪)을 성취하여 머뭅니다. 대덕이시여, 이것이 그렇게 머무는 것을 뛰어넘고 그렇게 머무는 것을 가라앉히기 위해 또 다른 인간의 법을 넘어선 충분하고 성스러운 앎과 봄의 성취를 증득하여 편히 머무는 것입니다."

“sādhu sādhu, anuruddhā! etassa pana vo, anuruddhā, vihārassa samatikkamāya etassa vihārassa paṭippassaddhiyā atthañño uttarimanussadhammā alamariyañāṇadassanaviseso adhigato phāsuvihāro”ti? “kiñhi no siyā, bhante! idha mayaṃ, bhante, yāvadeva ākaṅkhāma sabbaso rūpasaññānaṃ samatikkamā paṭighasaññānaṃ atthaṅgamā nānattasaññānaṃ amanasikārā ‘ananto ākāso’ti ākāsānañcāyatanaṃ upasampajja viharāma. etassa, bhante, vihārassa samatikkamāya etassa vihārassa paṭippassaddhiyā ayamañño uttarimanussadhammā alamariyañāṇadassanaviseso adhigato phāsuvihāro”ti.

아누룻다들이여, 장하고 장하구나. 아누룻다들이여, 그런데 그대들은 이렇게 머무는 것을 뛰어넘고 이렇게 머무는 것을 가라앉히기 위해 또 다른 인간의 법을 넘어선 충분하고 성스러운 앎과 봄의 성취를 증득하여 편히 머무는가?” "어찌 아니겠습니까, 대덕이시여. 대덕이시여, 저희들은 원하기만 하면 색상(色想)을 완전히 초월하고 저항의 상(想)을 내려놓고 다양함의 상(想)을 위해 작의하지 않고 ‘무한한 공간’이라는 공무변처(空無邊處)를 성취하여 머뭅니다. 대덕이시여, 이것이 그렇게 머무는 것을 뛰어넘고 그렇게 머무는 것을 가라앉히기 위해 또 다른 인간의 법을 넘어선 충분하고 성스러운 앎과 봄의 성취를 증득하여 편히 머무는 것입니다."

“sādhu sādhu, anuruddhā! etassa pana vo, anuruddhā, vihārassa samatikkamāya etassa vihārassa paṭippassaddhiyā atthañño uttarimanussadhammā alamariyañāṇadassanaviseso adhigato phāsuvihāro”ti? “kiñhi no siyā, bhante! idha mayaṃ, bhante, yāvadeva ākaṅkhāma sabbaso ākāsānañcāyatanaṃ samatikkamma ‘anantaṃ viññāṇan’ti viññāṇañcāyatanaṃ upasampajja viharāma ... pe ... sabbaso viññāṇañcāyatanaṃ samatikkamma ‘natthi kiñcī’ti ākiñcaññāyatanaṃ upasampajja viharāma ... pe ... sabbaso ākiñcaññāyatanaṃ samatikkamma nevasaññānāsaññāyatanaṃ upasampajja viharāma. etassa, bhante, vihārassa samatikkamāya etassa vihārassa paṭippassaddhiyā ayamañño uttarimanussadhammā alamariyañāṇadassanaviseso adhigato phāsuvihāro”ti.

아누룻다들이여, 장하고 장하구나. 아누룻다들이여, 그런데 그대들은 이렇게 머무는 것을 뛰어넘고 이렇게 머무는 것을 가라앉히기 위해 또 다른 인간의 법을 넘어선 충분하고 성스러운 앎과 봄의 성취를 증득하여 편히 머무는가?” "어찌 아니겠습니까, 대덕이시여. 대덕이시여, 저희들은 원하기만 하면 공무변처를 완전히 초월하고 ‘무한한 식(識)’이라는 식무변처(識無邊處)를 성취하여 머뭅니다. … 식무변처를 완전히 초월하고 ‘아무 것도 없다.’라는 무소유처(無所有處)를 성취하여 머뭅니다. … 무소유처를 완전히 초월하고 비상비비상처(非想非非想處)를 성취하여 머뭅니다. 대덕이시여, 이것이 그렇게 머무는 것을 뛰어넘고 그렇게 머무는 것을 가라앉히기 위해 또 다른 인간의 법을 넘어선 충분하고 성스러운 앎과 봄의 성취를 증득하여 편히 머무는 것입니다."

“sādhu sādhu, anuruddhā! etassa pana vo, anuruddhā, vihārassa samatikkamāya etassa vihārassa paṭippassaddhiyā atthañño uttarimanussadhammā alamariyañāṇadassanaviseso adhigato phāsuvihāro”ti? “kiñhi no siyā, bhante! idha mayaṃ, bhante, yāvadeva ākaṅkhāma sabbaso nevasaññānāsaññāyatanaṃ samatikkamma saññāvedayitanirodhaṃ upasampajja viharāma, paññāya ca no disvā āsavā parikkhīṇā. etassa, bhante, vihārassa samatikkamāya etassa vihārassa paṭippassaddhiyā ayamañño uttarimanussadhammā alamariyañāṇadassanaviseso adhigato phāsuvihāro. imamhā ca mayaṃ, bhante, phāsuvihārā aññaṃ phāsuvihāraṃ uttaritaraṃ vā paṇītataraṃ vā na samanupassāmā”ti. “sādhu sādhu, anuruddhā! imamhā phāsuvihārā uttaritaro vā paṇītataro vā phāsuvihāro natthī”ti.

"아누룻다들이여, 장하고 장하구나. 아누룻다들이여, 그런데 그대들은 이렇게 머무는 것을 뛰어넘고 이렇게 머무는 것을 가라앉히기 위해 또 다른 인간의 법을 넘어선 충분하고 성스러운 앎과 봄의 성취를 증득하여 편히 머무는가?” "어찌 아니겠습니까, 대덕이시여. 대덕이시여, 저희들은 원하기만 하면 비상비비상처를 완전히 초월하고 상수멸(想受滅)을 성취하여 머물면서 지혜로써 보아 번뇌들을 부숩니다. 대덕이시여, 이것이 그렇게 머무는 것을 뛰어넘고 그렇게 머무는 것을 가라앉히기 위해 또 다른 인간의 법을 넘어선 충분하고 성스러운 앎과 봄의 성취를 증득하여 편히 머무는 것입니다. 대덕이시여, 저희들은 이렇게 편히 머무는 것을 뛰어넘고 그것을 가라앉히는 또 다른 것을 보지 못합니다." "아누룻다들이여, 장하고 장하구나. 이런 편한 머묾보다 더 높고 뛰어난 편한 머묾은 없다."

atha kho bhagavā āyasmantañca anuruddhaṃ āyasmantañca nandiyaṃ āyasmantañca kimilaṃ dhammiyā kathāya sandassetvā samādapetvā samuttejetvā sampahaṃsetvā uṭṭhāyāsanā pakkāmi. atha kho āyasmā ca anuruddho āyasmā ca nandiyo āyasmā ca kimilo bhagavantaṃ anusaṃyāyitvā tato paṭinivattitvā āyasmā ca nandiyo āyasmā ca kimilo āyasmantaṃ anuruddhaṃ etadavocuṃ — “kiṃ nu kho mayaṃ āyasmato anuruddhassa evamārocimha — ‘imāsañca imāsañca vihārasamāpattīnaṃ mayaṃ lābhino’ti, yaṃ no āyasmā anuruddho bhagavato sammukhā yāva āsavānaṃ khayā pakāsetī”ti? “na kho me āyasmanto evamārocesuṃ — ‘imāsañca imāsañca vihārasamāpattīnaṃ mayaṃ lābhino’ti, api ca me āyasmantānaṃ cetasā ceto paricca vidito — ‘imāsañca imāsañca vihārasamāpattīnaṃ ime āyasmanto lābhino’ti. devatāpi me etamatthaṃ ārocesuṃ — ‘imāsañca imāsañca vihārasamāpattīnaṃ ime āyasmanto lābhino’ti. tamenaṃ bhagavatā pañhābhipuṭṭhena byākatan”ti.

그러지 세존께서는 아누룻다 존자와 난디야 존자와 끼밀라 존자에게 법을 설하여 가르치시고 격려하시고 분발하게 하시고 기쁘게 하시고 자리에서 일어나 떠나셨다. 그러자 아누룻다 존자와 난디야 존자와 끼밀라 존자는 세존을 배웅하고 돌아와서 난디야 존자와 낌빌라 존자는 아누룻다 존자에게 이렇게 말했다. ㅡ "우리가 아누룻다 존자께 '우리는 이러이러한 머묾의 증득을 얻었다.'라고 알려 드린 적이 있습니까? 그런데도 아누룻다 존자께서는 세존의 바로 앞에서 마치 번뇌들의 부숨에 이른 것으로 알려드렸습니까?”

"존자들이 제게 '우리는 이러이러한 머묾의 증득을 얻었다.'라고 알려주지는 않았지만 존자들의 마음을 마음으로 이해해 알았습니다. ㅡ '이 존자들은 이러이러한 머묾의 증득을 얻었다.'라고. 그리고 천신들도 제게 '이 존자들은 이러이러한 머묾의 증득을 얻었다.'라고 이 뜻을 알려주었습니다. 그래서 제가 세존의 질문에 대답하면서 그렇게 설명 드린 것입니다."

atha kho dīgho parajano yakkho yena bhagavā tenupasaṅkami; upasaṅkamitvā bhagavantaṃ abhivādetvā ekamantaṃ aṭṭhāsi. ekamantaṃ ṭhito kho dīgho parajano yakkho bhagavantaṃ etadavoca — “lābhā vata, bhante, vajjīnaṃ, suladdhalābhā vajjipajāya, yattha tathāgato viharati arahaṃ sammāsambuddho, ime ca tayo kulaputtā — āyasmā ca anuruddho, āyasmā ca nandiyo, āyasmā ca kimilo”ti. dīghassa parajanassa yakkhassa saddaṃ sutvā bhummā devā saddamanussāvesuṃ — ‘lābhā vata, bho, vajjīnaṃ, suladdhalābhā vajjipajāya, yattha tathāgato viharati arahaṃ sammāsambuddho, ime ca tayo kulaputtā — āyasmā ca anuruddho, āyasmā ca nandiyo, āyasmā ca kimilo’ti. bhummānaṃ devānaṃ saddaṃ sutvā cātumahārājikā devā ... pe ... tāvatiṃsā devā ... pe ... yāmā devā ... pe ... tusitā devā ... pe ... nimmānaratī devā ... pe ... paranimmitavasavattī devā ... pe ... brahmakāyikā devā saddamanussāvesuṃ — “lābhā vata, bho, vajjīnaṃ, suladdhalābhā vajjipajāya, yattha tathāgato viharati arahaṃ sammāsambuddho, ime ca tayo kulaputtā — āyasmā ca anuruddho, āyasmā ca nandiyo, āyasmā ca kimilo”ti. itiha te āyasmanto tena khaṇena (tena layena) tena muhuttena yāvabrahmalokā viditā ahesuṃ.

그때 디가 빠라자나 약카가 세존을 뵈러 갔다. 세존을 뵙고 세존께 절을 올리고 한 곁에 섰다. 한 곁에 서서 디가 빠라자나 약카는 세존께 이와 같이 말씀 드렸다. ㅡ "대덕이시여, 여래·아라한·정등각과 이들 세 분 선남자들인 아누룻다 존자와 난디야 존자와 끼밀라 존자께서 왓지에 머무시니, 그것은 왓지족들의 이득이고 왓지 백성들의 축복입니다.”

디가 빠라자나 약카의 말들 듣고 땅의 신들도 소리를 질렀다.

"여래·아라한·정등각과 이들 세 분 선남자들인 아누룻다 존자와 난디야 존자와 끼밀라 존자께서 왓지에 머무시니, 그것은 왓지족들의 이득이고 왓지 백성들의 축복이다."라고. 땅의 신들의 소리를 듣고 사대왕천의 신들도 … 삼십삼천의 신들도 … 야마천의 신들도 … 도솔천의 신들도 … 화락천의 신들도 … 타화자재천의 신들도 … 범중천의 신들도 소리를 질렀다. ㅡ "여래·아라한·정등각과 이들 세 분 선남자들인 아누룻다 존자와 난디야 존자와 끼밀라 존자께서 왓지에 머무시니, 그것은 왓지족들의 이득이고 왓지 백성들의 축복이다.”라고.

이렇게 그 존자들은 그 순간 그 찰나에 범천들에게까지도 알려지게 되었다.

“evametaṃ, dīgha, evametaṃ, dīgha! yasmāpi, dīgha, kulā ete tayo kulaputtā agārasmā anagāriyaṃ pabbajitā, tañcepi kulaṃ ete tayo kulaputte pasannacittaṃ anussareyya, tassapāssa kulassa dīgharattaṃ hitāya sukhāya. yasmāpi, dīgha, kulaparivaṭṭā ete tayo kulaputtā agārasmā anagāriyaṃ pabbajitā, so cepi kulaparivaṭṭo ete tayo kulaputte pasannacitto anussareyya, tassapāssa kulaparivaṭṭassa dīgharattaṃ hitāya sukhāya. yasmāpi, dīgha, gāmā ete tayo kulaputtā agārasmā anagāriyaṃ pabbajitā, so cepi gāmo ete tayo kulaputte pasannacitto anussareyya, tassapāssa gāmassa dīgharattaṃ hitāya sukhāya. yasmāpi, dīgha, nigamā ete tayo kulaputtā agārasmā anagāriyaṃ pabbajitā, so cepi nigamo ete tayo kulaputte pasannacitto anussareyya, tassapāssa nigamassa dīgharattaṃ hitāya sukhāya. yasmāpi, dīgha, nagarā ete tayo kulaputtā agārasmā anagāriyaṃ pabbajitā, tañcepi nagaraṃ ete tayo kulaputte pasannacittaṃ anussareyya, tassapāssa nagarassa dīgharattaṃ hitāya sukhāya. yasmāpi, dīgha, janapadā ete tayo kulaputtā agārasmā anagāriyaṃ pabbajitā, so cepi janapado ete tayo kulaputte pasannacitto anussareyya, tassapāssa janapadassa dīgharattaṃ hitāya sukhāya. sabbe cepi, dīgha, khattiyā ete tayo kulaputte pasannacittā anussareyyuṃ, sabbesānaṃpāssa khattiyānaṃ dīgharattaṃ hitāya sukhāya. sabbe cepi, dīgha, brāhmaṇā ... pe ... sabbe cepi, dīgha, vessā ... pe ... sabbe cepi, dīgha, suddā ete tayo kulaputte pasannacittā anussareyyuṃ, sabbesānaṃpāssa suddānaṃ dīgharattaṃ hitāya sukhāya. sadevako cepi, dīgha, loko samārako sabrahmako sassamaṇabrāhmaṇī pajā sadevamanussā ete tayo kulaputte pasannacittā anussareyya, sadevakassapāssa lokassa samārakassa sabrahmakassa sassamaṇabrāhmaṇiyā pajāya sadevamanussāya dīgharattaṃ hitāya sukhāya. passa, dīgha, yāva ete tayo kulaputtā bahujanahitāya paṭipannā bahujanasukhāya lokānukampāya, atthāya hitāya sukhāya devamanussānan”ti.

세존께서는 말씀하셨다. ㅡ "그것은 그러하다, 디가여. 그것은 그러하다, 디가여. 어떤 가문에서 세 명의 선남자들이 집을 나와 출가할 때, 만약 그 가문이 이 세 명의 선남자들을 청정한 마음으로 기억한다면, 그 가문에게는 오랜 세월 이익과 행복이 있을 것이다. 디가여, 어떤 가문에서 세 명의 선남자들이 집을 나와 출가할 때, 만약 그 세대가 이 세 명의 선남자들을 청정한 마음으로 기억한다면, 그 가문의 후손들에게는 오랜 세월 이익과 행복이 있을 것이다. 디가여, 어떤 마을에서 세 명의 선남자들이 집을 나와 출가할 때, 만약 그 마을이 이 세 명의 선남자들을 청정한 마음으로 기억한다면, 그 마을은 오랜 세월 이익과 행복이 있을 것이다. 디가여, 어떤 성읍에서 세 명의 선남자들이 집을 나와 출가할 때, 만약 그 성읍이 이 세 명의 선남자들을 청정한 마음으로 기억한다면, 그 성읍은 오랜 세월 이익과 행복이 있을 것이다. 디가여, 어떤 도시에서 세 명의 선남자들이 집을 나와 출가할 때, 만약 그 도시가 이 세 명의 선남자들을 청정한 마음으로 기억한다면, 그 도시는 오랜 세월 이이과 행복이 있을 것이다. 디가여, 어떤 나라에서 세 명의 선남자들이 집을 나와 출가할 때, 만약 그 나라가 이 세 명의 선남자들을 청정한 마음으로 기억한다면, 그 나라는 오랜 세월 이익과 행복이 있을 것이다. 디가여, 모든 끄샤뜨리야들이 이 세 명의 선남자들을 청정한 마음으로 기억한다면, 그 끄샤뜨리야들에게는 오랜 세월 이익과 행복이 있을 것이다. 디가여, 모든 바라문들이 … 디가여, 모든 와이샤들이 … 디가여, 모든 수드라들이 이 세 명의 선남자들을 청정한 마음으로 기억한다면, 그 수드라들에게는 오랜 세월 이익과 행복이 있을 것이다. 디가여, 신과 마라와 범천과 함께하는 세상에서, 사문-바라문과 신과 사람을 포함한 무리를 위해 이 세 명의 선남자들을 청정한 마음으로 기억한다면, 신과 마라와 범천과 함께하는 세상에서, 사문-바라문과 신과 사람을 포함한 무리를 위해 오랜 세월 이익과 행복이 있을 것이다.

디가여, 많은 사람들의 이익과 행복을 위해, 이 세상에 대한 연민으로, 신들과 인간들의 이익과 행복을 위해 실천하는 저 세 명의 선남자들을 보라."

idamavoca bhagavā. attamano dīgho parajano yakkho bhagavato bhāsitaṃ abhinandīti.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디가 빠라자나 약카는 아주 기뻐서 세존의 말씀을 즐거워하였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