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수행경전 > 수행지도(地圖)

수행지도(地圖)

삼매 가는 길

삼매 가는 길


● pāmojjaṃ jāyati, pamuditassa pīti jāyati, pītimanassa kāyo passambhati, passaddhakāyo sukhaṃ vediyati, sukhino cittaṃ samādhiyati.


환희가 생긴다. 환희하는 자에게 희열이 생긴다. 의(意)가 희열하면 몸이 진정되고, 몸이 진정된 자는 행복을 경험한다. 행복한 자의 심(心)은 삼매에 들어진다.


● (AN 11.1-어떤 목적 경)/(AN 11.2-의도적으로 행해져야 함 경)/(AN 11.3~5-조건 경1~3)은 11가지 법들의 전개에 대해 목적-법다움-조건을 갖춤이라고 설명합니다. ― 「“sīla(계) → avippaṭisāra(뉘우침 없음) → pāmojja(환희) → pīti(희열) → passaddhi(진정) → sukha(행복) → sammāsamādhi(바른 삼매) → yathābhūtañāṇadassana(여실지견) → nibbidā(염오) → virāga(이탐) → vimuttiñāṇadassana(해탈지견)


; (AN 10.1-어떤 목적 경)/(AN 10.2-의도적으로 행해져야 함 경)/(AN 10.3~5-조건 경1~3)은 nibbidāvirāga(염오-이탐)을 묶어서 하나의 법으로 간주하고 나머지는 동일함. 



● 용례 1 ― pañca nīvaraṇe pahīne attani samanupassato pāmojjaṃ jāyati

   ― (DN 2-사문과경) ~ (DN 13-삼명 경)/(MN 27.1)/(MN 38.1)/(MN 51.1)/(MN 60.1)/(MN 76.1)/(MN 79.1)/(MN 94.1)/(MN 101.1)/(MN 125.1)/(AN 4.198)/(AN 10.99)


● 용례 2 ― tassa sabbehi imehi pāpakehi akusalehi dhammehi visuddhamattānaṃ samanupassato pāmojjaṃ jāyati

   ― (MN 40.1)


● 용례 3 ― tassa atthapaṭisaṃvedino dhammapaṭisaṃvedino pāmojjaṃ jāyati

   ― (DN 33.8)/(DN 34.6)/(AN 5.26-해탈의 토대 경)


● 용례 4 ― yonisomanasikaroto pāmojjaṃ jāyati

   ― (DN 34.10)


● 용례 5 ― tassa abyāsittacittassa pāmojjaṃ jāyati

   ― (SN 35.80-방일한 머묾 경)


● 용례 6 ― tassa evaṃ appamattassa viharato pāmojjaṃ jāyati

   ― (SN 55.40-난디야 경)


● 용례 7 ― tassa pāmojjaṃ jāyati

   ― (SN 42.13-빠딸리야 경)


● 용례 8 ― tassa kismiñcideva pasādanīye nimitte cittaṃ paṇidahato pāmojjaṃ jāyati

   ― (SN 47.10-비구니 거처 경)


● 용례 9[다른 형태] ― labhati atthavedaṃ, labhati dhammavedaṃ, labhati dhammūpasaṃhitaṃ pāmojjaṃ

   ― (MN 7.1)/(AN 6.10)/(AN 11.11)/(AN 11.12)



※ 예외적 용례 1 : pāmojjaṃ 이후만 나타나는 용례 ― yadidaṃ muditāya cetovimuttiyā. pamuditassa pīti jāyati

   ― (AN 3.96)


예외적 용례 2 : pāmojjaṃ까지만 나타나는 용례 ― labhati atthavedaṃ, labhati dhammavedaṃ, labhati dhammūpasaṃhitaṃ pāmojjaṃ. evaṃ kho, bhikkhave, bhikkhu pītaṃ jānāti.

   ― (MN 33.1)/(MN 48.1)/(MN 99.1)/(AN 11.17)


용례 경전 소개


● 용례 2 ― (MN 40-앗사뿌라 작은 경)


kathañca, bhikkhave, bhikkhu samaṇasāmīcippaṭipadaṃ paṭipanno hoti? yassa kassaci, bhikkhave, bhikkhuno abhijjhālussa abhijjhā pahīnā hoti, byāpannacittassa byāpādo pahīno hoti, kodhanassa kodho pahīno hoti, upanāhissa upanāho pahīno hoti, makkhissa makkho pahīno hoti, paḷāsissa paḷāso pahīno hoti, issukissa issā pahīnā hoti, maccharissa macchariyaṃ pahīnaṃ hoti, saṭhassa sāṭheyyaṃ pahīnaṃ hoti, māyāvissa māyā pahīnā hoti, pāpicchassa pāpikā icchā pahīnā hoti, micchādiṭṭhikassa micchādiṭṭhi pahīnā hoti — imesaṃ kho ahaṃ, bhikkhave, samaṇamalānaṃ samaṇadosānaṃ samaṇakasaṭānaṃ āpāyikānaṃ ṭhānānaṃ duggativedaniyānaṃ pahānā ‘samaṇasāmīcippaṭipadaṃ paṭipanno’ti vadāmi. so sabbehi imehi pāpakehi akusalehi dhammehi visuddhamattānaṃ samanupassati. tassa sabbehi imehi pāpakehi akusalehi dhammehi visuddhamattānaṃ samanupassato pāmojjaṃ jāyati, pamuditassa pīti jāyati, pītimanassa kāyo passambhati, passaddhakāyo sukhaṃ vedeti, sukhino cittaṃ samādhiyati.


비구들이여, 어떻게 비구는 사문에게 적합한 실천을 실천하는 자인가? 간탐(慳貪)하는 자에게 간탐이 버려지고, 거슬린 심(心)을 가진 자에게 진에(瞋恚)가 버려지고, 성냄이 있는 자에게 성냄이 버려지고, 원한을 품는 자에게 원한이 버려지고, 저주하는 자에게 저주가 버려지고, 횡포 하는 자에게 횡포가 버려지고, 질투하는 자에게 질투가 버려지고, 인색한 자에게 인색이 버려지고, 교활한 자에게 교활이 버려지고, 사기 치는 자에게 사기가 버려지고, 나쁜 원(願)을 가진 자에게 나쁜 원(願)이 버려지고, 삿된 견해를 가진 자에게 삿된 견해가 버려지는 비구라면 누구에게든지, 비구들이여, 사문의 때이고, 사문의 오점이고, 사문을 상실과 비탄의 상태에 떨어지게 하고, 비참한 존재를 경험하게 하는 토대가 되는 이런 것들을 버렸기 때문에 나는 ‘사문에게 적합한 실천을 실천하는 자’라고 말한다. 그는 이 모든 악한 불선법(不善法)들로부터 청정한 자신을 관찰한다. 이 모든 악한 불선법(不善法)들로부터 청정한 자신을 관찰하고 있는 그에게 환희가 생긴다. 환희하는 자에게 희열이 생긴다. 의(意)가 희열하면 몸이 진정되고, 몸이 진정된 자는 행복을 경험한다. 행복한 자의 심(心)은 삼매에 들어진다


● 용례 3 ― (AN 5.26-해탈의 토대 경)


“puna caparaṃ, bhikkhave, bhikkhuno na heva kho satthā dhammaṃ deseti aññataro vā garuṭṭhāniyo sabrahmacārī, nāpi yathāsutaṃ yathāpariyattaṃ dhammaṃ vitthārena paresaṃ deseti, nāpi yathāsutaṃ yathāpariyattaṃ dhammaṃ vitthārena sajjhāyaṃ karoti, nāpi yathāsutaṃ yathāpariyattaṃ dhammaṃ cetasā anuvitakketi anuvicāreti manasānupekkhati; api ca khvassa aññataraṃ samādhinimittaṃ suggahitaṃ hoti sumanasikataṃ sūpadhāritaṃ suppaṭividdhaṃ paññāya. yathā yathā, bhikkhave, bhikkhuno aññataraṃ samādhinimittaṃ suggahitaṃ hoti sumanasikataṃ sūpadhāritaṃ suppaṭividdhaṃ paññāya tathā tathā so tasmiṃ dhamme atthapaṭisaṃvedī ca hoti dhammapaṭisaṃvedī ca. tassa atthapaṭisaṃvedino dhammapaṭisaṃvedino pāmojjaṃ jāyati. pamuditassa pīti jāyati. pītimanassa kāyo passambhati. passaddhakāyo sukhaṃ vedeti. sukhino cittaṃ samādhiyati. idaṃ, bhikkhave, pañcamaṃ vimuttāyatanaṃ yattha bhikkhuno appamattassa ātāpino pahitattassa viharato avimuttaṃ vā cittaṃ vimuccati, aparikkhīṇā vā āsavā parikkhayaṃ gacchanti, ananuppattaṃ vā anuttaraṃ yogakkhemaṃ anupāpuṇāti.


다시,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에게 스승이나 어떤 존경받을 동료수행자가 법을 설하지 않는다. 들은 대로 배운 대로 남들을 위해 상세하게 법을 설하지도 않는다. 들은 대로 배운 대로 법을 상세하게 되풀이하지도 않는다. 또한, 들은 대로 배운 대로 법을 심(心)으로부터 계속해서 떠오르게 하고 계속해서 지켜보고 의(意)로 주의 깊게 보지도 않는다. 그러나 그는 어떤 삼매의 상(相)을 잘 취하고, 잘 작의(作意)하고, 잘 찾고, 지혜로써 잘 꿰뚫는다. 비구들이여, 비구가 어떤 삼매의 상(相)을 잘 취하고, 잘 작의(作意)하고, 잘 찾고, 지혜로써 잘 꿰뚫는 만큼 각각의 그 법에 대해 그는 의미를 경험하고 법을 경험한다. 의미를 경험하고 법을 경험하는 그에게 환희가 생긴다. 환희하는 자에게 희열이 생긴다. 의(意)가 희열하면 몸이 진정되고, 몸이 진정된 자는 행복을 경험한다. 행복한 자의 심(心)은 삼매에 들어진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방일하지 않고 노력하고 굳세게 머무는 비구에게 해탈하지 못한 심(心)은 해탈하거나, 완전히 부수어지지 않은 번뇌들이 완전히 부수어지거나, 얻지 못한 위없는 유가안온(瑜伽安穩)을 얻는 다섯 번째 토대이다.


“imāni kho, bhikkhave, pañca vimuttāyatanāni yattha bhikkhuno appamattassa ātāpino pahitattassa viharato avimuttaṃ vā cittaṃ vimuccati, aparikkhīṇā vā āsavā parikkhayaṃ gacchanti, ananuppattaṃ vā anuttaraṃ yogakkhemaṃ anupāpuṇātī”ti. chaṭṭhaṃ. 


비구들이여, 방일하지 않고 노력하고 굳세게 머무는 비구에게 해탈하지 못한 심(心)은 해탈하거나, 완전히 부수어지지 않은 번뇌들이 완전히 부수어지거나, 얻지 못한 위없는 유가안온(瑜伽安穩)을 얻는 이러한 다섯 가지 해탈의 토대가 있다. 


● 용례 4 ― (DN 34.10-십상경, 아홉 가지 법들)


“katame nava dhammā bahukārā? nava yonisomanasikāramūlakā dhammā, yonisomanasikaroto pāmojjaṃ jāyati, pamuditassa pīti jāyati, pītimanassa kāyo passambhati, passaddhakāyo sukhaṃ vedeti, sukhino cittaṃ samādhiyati, samāhite citte yathābhūtaṃ jānāti passati, yathābhūtaṃ jānaṃ passaṃ nibbindati, nibbindaṃ virajjati, virāgā vimuccati. ime nava dhammā bahukārā.


어떤 아홉 가지 법이 많은 것을 만듭니까? 아홉 가지 여리작의(如理作意)를 뿌리로 하는 법들 ― 「여리작의하는 자에게 환희가 생긴다. 환희하는 자에게 희열이 생긴다. 의(意)가 희열하면 몸이 진정되고, 몸이 진정된 자는 행복을 경험한다. 행복한 자의 심(心)은 삼매에 들어진다. 심(心)이 삼매를 닦을 때 있는 그대로 알고 본다. 있는 그대로 알고 보는 자는 염오(厭惡)한다. 염오하는 자는 이탐(離貪)한다. 이탐으로부터 해탈한다.」 이 아홉 가지 법이 많은 것을 만듭니다.


● 용례 5 ― (SN 35.80-방일한 머묾 경)


kathañca, bhikkhave, appamādavihārī hoti? cakkhundriyaṃ saṃvutassa, bhikkhave, viharato cittaṃ na byāsiñcati cakkhuviññeyyesu rūpesu, tassa abyāsittacittassa pāmojjaṃ jāyati. pamuditassa pīti jāyati. pītimanassa kāyo passambhati. passaddhakāyo sukhaṃ viharati. sukhino cittaṃ samādhiyati. samāhite citte dhammā pātubhavanti. dhammānaṃ pātubhāvā appamādavihārī tveva saṅkhaṃ gacchati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떻게 불방일(不放逸)에 머무는 자가 되는가? 비구들이여, 안근(眼根)을 단속하며 머무는 자의 심(心)은 [탐(貪)을] 뿌리지 않는다. 안(眼)으로 알려져야 하는 색(色)들에 대해 [탐(貪)을] 뿌리지 않은 심(心)에게 환희가 생긴다. 환희하는 자에게 희열이 생긴다. 의(意)가 희열하면 몸이 진정되고, 몸이 진정된 자는 행복을 경험한다. 행복한 자의 심(心)은 삼매에 들어진다. 심(心)이 삼매를 닦을 때 법(法)들은 드러난다. 그러면 법들의 드러남 때문에 불방일(不放逸)에 머무는 자라는 이름을 얻는다.


● 용례 6 ― (SN 55.40-난디야 경)


kathañca, nandiya, ariyasāvako appamādavihārī hoti? idha, nandiya, ariyasāvako buddh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hoti — itipi so bhagavā ... pe ... satthā devamanussānaṃ buddho bhagavāti. so tena buddhe aveccappasādena asantuṭṭho uttari vāyamati divā pavivekāya rattiṃ paṭisallānāya. tassa evaṃ appamattassa viharato pāmojjaṃ jāyati. pamuditassa pīti jāyati. pītimanassa kāyo passambhati. passaddhakāyo sukhaṃ vediyati. sukhino cittaṃ samādhiyati. samāhite citte dhammā pātubhavanti. dhammānaṃ pātubhāvā appamādavihārī tveva saṅkhyaṃ gacchati.


"난디야여, 어떻게 성스러운 제자가 불방일(不放逸)에 머무는 자가 되는가? 난디야여, 여기 성스러운 제자는 불(佛)에 대해 '그러므로 그분 세존께서는 … 천인사(天人師)-불(佛)-세존이시다.'라고 확실한 믿음을 지닌다. 그는 이러한 불(佛)에 대한 확실한 믿음으로 만족하지 않고 낮에는 여읨과 밤에는 홀로 머묾에 의한 정진을 한다. 이렇게 불방일에 머무는 자에게 환희가 생긴다. 환희하는 자에게 희열이 생긴다. 의(意)가 희열하면 몸이 진정되고, 몸이 진정된 자는 행복을 경험한다. 행복한 자의 심(心)은 삼매에 들어진다. 심(心)이 삼매를 닦을 때 법(法)들은 드러난다. 그러면 법들이 드러남 때문에 불방일에 머무는 자라는 이름을 얻는다.


“puna caparaṃ, nandiya, ariyasāvako dhamme ... pe ... saṅghe ... pe ... ariyakantehi sīlehi samannāgato hoti akhaṇḍehi ... pe ... samādhisaṃvattanikehi. so tehi ariyakantehi sīlehi asantuṭṭho uttari vāyamati divā pavivekāya rattiṃ paṭisallānāya. tassa evaṃ appamattassa viharato pāmojjaṃ jāyati. pamuditassa pīti jāyati. pītimanassa kāyo passambhati. passaddhakāyo sukhaṃ vediyati. sukhino cittaṃ samādhiyati. samāhite citte dhammā pātubhavanti. dhammānaṃ pātubhāvā appamādavihārī tveva saṅkhyaṃ gacchati. evaṃ kho, nandiya, ariyasāvako appamādavihārī hotī”ti.

 

다시 난디야여, 성스러운 제자는 법에 … 승가에 … 성자들이 좋아하며 … 삼매로 이끄는 계(戒)들을 구족한다. 그는 이러한 성자들이 좋아하는 계(戒)들로 만족하지 않고 낮에는 여읨과 밤에는 홀로 머묾에 의한 정진을 한다. 이렇게 불방일에 머무는 자에게 환희가 생긴다. 환희하는 자에게 희열이 생긴다. 의(意)가 희열하면 몸이 진정되고, 몸이 진정된 자는 행복을 경험한다. 행복한 자의 심(心)은 삼매에 들어진다. 심(心)이 삼매를 닦을 때 법(法)들은 드러난다. 그러면 법들이 드러남 때문에 불방일에 머무는 자라는 이름을 얻는다."


● 용례 7 ― (SN 42.13-빠딸리야 경)


sa kho so, gāmaṇi, ariyasāvako evaṃ vigatābhijjho vigatabyāpādo asammūḷho sampajāno paṭissato upekkhāsahagate cetasā ekaṃ disaṃ pharitvā viharati, tathā dutiyaṃ, tathā tatiyaṃ, tathā catutthaṃ, iti uddhamadho tiriyaṃ sabbadhi sabbattatāya sabbāvantaṃ lokaṃ upekkhāsahagatena cetasā vipulena mahaggatena appamāṇena averena abyāpajjena pharitvā viharati. so iti paṭisañcikkhati — ‘yvāyaṃ satthā evaṃvādī evaṃdiṭṭhi — … sace tassa bhoto satthuno saccaṃ vacanaṃ, apaṇṇakatāya mayhaṃ, yvāhaṃ na kiñci byābādhemi tasaṃ vā thāvaraṃ vā? ubhayamettha kaṭaggāho, yaṃ camhi kāyena saṃvuto vācāya saṃvuto manasā saṃvuto, yañca kāyassa bhedā paraṃ maraṇā sugatiṃ saggaṃ lokaṃ upapajjissāmī’ti. tassa pāmojjaṃ jāyati. pamuditassa pīti jāyati. pītimanassa kāyo passambhati. passaddhakāyo sukhaṃ vedayati. sukhino cittaṃ samādhiyati. ayaṃ kho, gāmaṇi, dhammasamādhi. tatra ce tvaṃ cittasamādhiṃ paṭilabheyyāsi, evaṃ tvaṃ imaṃ kaṅkhādhammaṃ pajaheyyāsi.


촌장이여, 이렇게 알아차리고[염(念)], 옳고 그름을 판단하여[정지(正知)] 이렇게 간탐(慳貪) 않고, 진에(瞋恚) 않고, 당황하지 않는 그 성스러운 제자는 사(捨)가 함께한 심(心)으로 한 방향을 채우면서 머뭅니다. 그렇게 두 방향을, 그렇게 세 방향을, 그렇게 네 방향을. 이렇게 위로 아래로 중간방위로, 모든 곳에서 모두에게 펼쳐서 모든 세상을 방대하고 거대하고 제한 없고 원망 없고 거슬림 없는 사(捨)가 함께한 심(心)으로 채우면서 머뭅니다. 


그는 이렇게 숙고합니다. ― ‘ … '라고. 만약 그 스승의 주장이 사실이라 해도 나에게는 그것 때문에 나무랄 것이 없다. 나는 두려워하는 자이든 강한 자이든 어느 누구도 거슬리게 하지 않는다. 신(身)으로 단속하고 구(口)로 단속하고 의(意)로 단속하는 나의 경우와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좋은 곳, 하늘 세상에 태어날 것인 나의 경우의 양면으로 좋은 것을 잡은 자이다.'라고. 



그에게 환희가 생깁니다. 환희하는 자에게 희열이 생깁니다. 의(意)가 희열하면 몸이 진정되고, 몸이 진정된 자는 행복을 경험합니다. 행복한 자의 심(心)은 삼매에 들어집니다. 촌장이여, 이것이 법(法)의 삼매입니다. 거기서 만약 그대가 심(心)의 삼매를 얻을 수 있으면 이렇게 그대는 이 불확실한 법을 버릴 수 있을 것입니다.


● 용례 8 ― (SN 47.10-비구니 거처 경)


“evametaṃ, ānanda, evametaṃ, ānanda! yo hi koci, ānanda, bhikkhu vā bhikkhunī vā catūsu satipaṭṭhānesu suppatiṭṭhitacitto viharati, tassetaṃ pāṭikaṅkhaṃ — ‘uḷāraṃ pubbenāparaṃ visesaṃ sañjānissati’”.


"그렇다, 아난다여. 그렇다, 아난다여. 아난다여, 사념처에 잘 확립된 심(心)으로 머무는 비구거나 비구니라면 누구에게나 뛰어나게 전후(前後)를 다르게 상(想)할 것이 기대된다. 


katamesu catūsu? idhānanda, bhikkhu kāye kāyānupassī viharat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vineyya loke abhijjhādomanassaṃ. tassa kāye kāyānupassino viharato kāyārammaṇo ①vā uppajjati kāyasmiṃ pariḷāho, ②cetaso vā līnattaṃ, ③bahiddhā vā cittaṃ vikkhipati. tenānanda, bhikkhunā kismiñcideva pasādanīye nimitte cittaṃ paṇidahitabbaṃ. tassa kismiñcideva pasādanīye nimitte cittaṃ paṇidahato pāmojjaṃ jāyati. pamuditassa pīti jāyati. pītimanassa kāyo passambhati. passaddhakāyo sukhaṃ vedayati. sukhino cittaṃ samādhiyati.


무엇이 넷인가? 아난다여, 여기 비구는 신(身)에서 신(身)을 이어 보면서 머문다. 알아차리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옳음의 유지-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자는 세상에서 간탐(慳貪)과 고뇌(苦惱)를 제거할 것이다. 신(身)에서 신(身)을 이어 보면서 머무는 그에게 신(身)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생기는데, ①신(身)의 열기거나 ②심(心)의 태만이거나 ③밖으로 심(心)이 흩어지는 것이다. 그러면 그는 무언가 믿음을 고무하는 대상에 대해 심(心)을 지향해야 한다. 무언가 믿음을 고무하는 대상에 대해 심(心)을 지향하면 그에게 환희가 생긴다. 환희하는 자에게 희열이 생긴다. 의(意)가 희열하면 몸이 진정되고, 몸이 진정된 자는 행복을 경험한다. 행복한 자의 심(心)은 삼매에 들어진다. 


so iti paṭisañcikkhati — ‘yassa khvāhaṃ atthāya cittaṃ paṇidahiṃ, so me attho abhinipphanno. handa, dāni paṭisaṃharāmī’ti. so paṭisaṃharati ceva na ca vitakketi na ca vicāreti. ‘avitakkomhi avicāro, ajjhattaṃ satimā sukhamasmī’ti pajānāti. evaṃ kho, ānanda, paṇidhāya bhāvanā hoti.


그는 이렇게 숙고한다. - '내가 심(心)을 지향한 목적이 나에게 성취되었다. 이제 나는 거두어들인다.'라고. 그는 거두어들이고, 생각을 떠오르게 하지 않고 접근하지 않는다. '나는 무심무사(無尋無伺)이다. 안으로 사띠하는 나는 행복하다.'라고 분명히 안다.


● 용례 9[다른 형태] ― (AN 6.10-마하나마 경)


“yo so, mahānāma, ariyasāvako āgataphalo viññātasāsano, so iminā vihārena bahulaṃ viharati. idha, mahānāma, ariyasāvako tathāgataṃ anussarati — ‘itipi so bhagavā arahaṃ sammāsambuddho vijjācaraṇasampanno sugato lokavidū anuttaro purisadammasārathi satthā devamanussānaṃ buddho bhagavā’ti. yasmiṃ, mahānāma, samaye ariyasāvako tathāgataṃ anussarati nevassa tasmiṃ samaye rāgapariyuṭṭhitaṃ cittaṃ hoti, na dosapariyuṭṭhitaṃ cittaṃ hoti, na mohapariyuṭṭhitaṃ cittaṃ hoti; ujugatamevassa tasmiṃ samaye cittaṃ hoti tathāgataṃ ārabbha. ujugatacitto kho pana, mahānāma, ariyasāvako labhati atthavedaṃ, labhati dhammavedaṃ, labhati dhammūpasaṃhitaṃ pāmojjaṃ. pamuditassa pīti jāyati, pītimanassa kāyo passambhati, passaddhakāyo sukhaṃ vediyati, sukhino cittaṃ samādhiyati. ayaṃ vuccati, mahānāma — ‘ariyasāvako visamagatāya pajāya samappatto viharati, sabyāpajjāya pajāya abyāpajjo viharati, dhammasotaṃ samāpanno buddhānussatiṃ bhāveti’”.


“마하나마여, 과(果)에 도달하고 가르침을 아는 그 성스러운 제자는 이런 머묾으로 주로 머문다. 여기, 마하나마여, 성스러운 제자는 여래(如來)를 계속해서 기억한다. ― ‘이렇게 그분 세존(世尊)께서는 모든 번뇌 떠나신 분, 스스로 완전한 깨달음을 이루신 분, 밝음과 실천을 갖추신 분, 진리의 길 보이신 분, 세상일을 모두 훤히 아시는 분, 어리석은 이도 잘 이끄시는 위없는 분, 모든 천상과 인간의 스승, 깨달으신 분, 존귀하신 분이시다.’라고. 마하나마여, 성스러운 제자가 여래(如來)를 계속해서 기억하는 그때 심(心)은 탐(貪)이 스며들지 않고, 진(嗔)이 스며들지 않고 치(癡)가 스며들지 않는다. 그때 심(心)은 여래(如來)에 대해 올곧아진다. 그러면, 마하나마여, 올곧아진 심(心)을 가진 성스러운 제자는 의미에 대한 앎을 얻고, 법에 대한 앎을 얻고, 법으로 이끄는 환희를 얻는다. 환희하는 자에게 희열이 생긴다. 의(意)가 희열하면 몸이 진정되고, 몸이 진정된 자는 행복을 경험한다. 행복한 자의 심(心)은 삼매에 들어진다. 이것이, 마하나마여, ‘성스러운 제자는 고르지 못한 사람들 가운데 고름에 닿은 자로 머문다. 진에(瞋恚)와 함께하는 사람들 가운데 진에(瞋恚) 않는 자로 머문다. 법의 흐름을 증득한 자로서 불(佛)에 대해 계속해서 기억함을 닦는다.’라고 불린다. … 불(佛)-법(法)-승(僧)-계(戒)-보시(布施)-천신(天神) …



※ 예외적 용례 1 ― (AN 3.96)


“yasmiṃ, bhikkhave, samaye bhikkhū samaggā sammodamānā avivadamānā khīrodakībhūtā aññamaññaṃ piyacakkhūhi sampassantā viharanti, bahuṃ, bhikkhave, bhikkhū tasmiṃ samaye puññaṃ pasavanti. brahmaṃ, bhikkhave, vihāraṃ tasmiṃ samaye bhikkhū viharanti, yadidaṃ muditāya cetovimuttiyā. pamuditassa pīti jāyati, pītimanassa kāyo passambhati, passaddhakāyo sukhaṃ vediyati, sukhino cittaṃ samādhiyati.


비구들이여, 비구들이 단합하고, 뜻이 맞고, 논쟁에 빠지지 않고, 우유와 물 같은 존재이고, 서로 간에 사랑스러운 눈으로 보면서 머물 때, 비구들이여, 비구들에게 많은 공덕이 쌓인다. 그때, 비구들이여, 비구들은 범천의 머묾으로 머무는데[범주(梵住)], 희심해탈(喜心解脫)이다. 환희하는 자에게 희열이 생긴다. 의(意)가 희열하면 몸이 진정되고, 몸이 진정된 자는 행복을 경험한다. 행복한 자의 심(心)은 삼매에 들어진다



※ 예외적 용례 2 ― (MN 99-수바 경)


“ye te, māṇava, brāhmaṇā pañca dhamme paññapenti puññassa kiriyāya kusalassa ārādhanāya, ime tvaṃ pañca dhamme kattha bahulaṃ samanupassasi — gahaṭṭhesu vā pabbajitesu vā”ti? “yeme, bho gotama, brāhmaṇā pañca dhamme paññapenti puññassa kiriyāya kusalassa ārādhanāya, imāhaṃ pañca dhamme pabbajitesu bahulaṃ samanupassāmi appaṃ gahaṭṭhesu. gahaṭṭho hi, bho gotama, mahaṭṭho mahākicco mahādhikaraṇo mahāsamārambho, na satataṃ samitaṃ saccavādī hoti; pabbajito kho pana, bho gotama, appaṭṭho appakicco appādhikaraṇo appasamārambho, satataṃ samitaṃ saccavādī hoti. gahaṭṭho hi, bho gotama, mahaṭṭho mahākicco mahādhikaraṇo mahāsamārambho na satataṃ samitaṃ tapassī hoti... brahmacārī hoti... sajjhāyabahulo hoti... cāgabahulo hoti; pabbajito kho pana, bho gotama, appaṭṭho appakicco appādhikaraṇo appasamārambho satataṃ samitaṃ tapassī hoti... brahmacārī hoti... sajjhāyabahulo hoti... cāgabahulo hoti. yeme, bho gotama, brāhmaṇā pañca dhamme paññapenti puññassa kiriyāya kusalassa ārādhanāya, imāhaṃ pañca dhamme pabbajitesu bahulaṃ samanupassāmi appaṃ gahaṭṭhesū”ti. 


“젊은 바라문이여, 바라문들은 공덕의 결실과 유익의 성취를 위하여 그 다섯 가지 법을 선언한다. 그대는 이 법들을 재가자와 출가자 가운데 어디에서 많이 보는가?” “고따마 존자여, 바라문들이 공덕의 결실과 유익의 성취를 위하여 선언한 이 다섯 가지 법들을 저는 출가자에게서 많이 보고, 재가자에게서는 적게 봅니다. 고따마 존자여, 참으로 재가자는 원하는 것이 많고, 할 일이 많고, 돌볼 것이 많고, 떠맡은 일이 많아서 항상 계속해서 진실을 말하지 못합니다. 그러나 고따마 존자여, 출가자는 원하는 것이 적고, 할 일이 적고, 돌볼 것이 적고, 떠맡은 일이 적어서 항상 계속해서 진실을 말합니다. 고따마 존자여, 참으로 재가자는 원하는 것이 많고, 할 일이 많고, 돌볼 것이 많고, 떠맡은 일이 많아서 항상 계속해서 금욕적 삶을 살지 못합니다. … 범행을 실천하지 못합니다. … 많이 공부하지 못합니다. … 많이 보시하지 못합니다. 그러나 고따마 존자여, 출가자는 원하는 것이 적고, 할 일이 적고, 돌볼 것이 적고, 떠맡은 일이 적어서 항상 계속해서 금욕적 삶을 삽니다. … 범행을 실천합니다. … 많이 공부합니다. … 많이 보시합니다. 고따마 존자여, 바라문들이 공덕의 결실과 유익의 성취를 위하여 선언한 이 다섯 가지 법들을 저는 출가자에게서 많이 보고, 재가자에게서는 적게 봅니다.


“ye te, māṇava, brāhmaṇā pañca dhamme paññapenti puññassa kiriyāya kusalassa ārādhanāya cittassāhaṃ ete parikkhāre vadāmi — yadidaṃ cittaṃ averaṃ abyābajjhaṃ tassa bhāvanāya. idha, māṇava, bhikkhu saccavādī hoti. so ‘saccavādīmhī’ti labhati atthavedaṃ, labhati dhammavedaṃ, labhati dhammūpasaṃhitaṃ pāmojjaṃ. yaṃ taṃ kusalūpasaṃhitaṃ pāmojjaṃ, cittassāhaṃ etaṃ parikkhāraṃ vadāmi — yadidaṃ cittaṃ averaṃ abyābajjhaṃ tassa bhāvanāya. idha, māṇava, bhikkhu tapassī hoti ... pe ... brahmacārī hoti ... pe ... sajjhāyabahulo hoti ... pe ... cāgabahulo hoti. so ‘cāgabahulomhī’ti labhati atthavedaṃ, labhati dhammavedaṃ, labhati dhammūpasaṃhitaṃ pāmojjaṃ. yaṃ taṃ kusalūpasaṃhitaṃ pāmojjaṃ, cittassāhaṃ etaṃ parikkhāraṃ vadāmi — yadidaṃ cittaṃ averaṃ abyābajjhaṃ tassa bhāvanāya. ye te māṇava, brāhmaṇā, pañca dhamme paññapenti puññassa kiriyāya kusalassa ārādhanāya, cittassāhaṃ ete parikkhāre vadāmi — yadidaṃ cittaṃ averaṃ abyābajjhaṃ tassa bhāvanāyā”ti.


젊은 바라문이여, 바라문들이 공덕의 결실과 유익의 성취를 위하여 선언하는 그 다섯 가지 법이라는 심(心)의 필수품들에 대해 ‘원망 없고 거슬림 없는 심(心)을 닦기 위한 것’이라고 나는 말한다. 여기, 젊은이여, 비구는 진실을 말한다. 그는 ‘나는 진실을 말한다.’라면서 의미에 대한 앎을 얻고, 법에 대한 앎을 얻고, 법에 수반되는 환희를 얻는다. 그 유익에 수반되는 환희라는 심(心)의 필수품에 대해 ‘원망 없고 거슬림 없는 심(心)을 닦기 위한 것’이라고 나는 말한다. 여기, 젊은이여, 비구는 금욕적 삶을 산다. … 범행을 실천한다. … 많이 공부한다. … 많이 보시한다. 그는 ‘나는 많이 보시한다.’라면서 의미에 대한 앎을 얻고, 법에 대한 앎을 얻고, 법에 수반되는 환희를 얻는다. 그 유익에 수반되는 환희라는 심(心)의 필수품에 대해 ‘원망 없고 거슬림 없는 심(心)을 닦기 위한 것’이라고 나는 말한다. 젊은이여, 바라문들이 공덕의 결실과 유익의 성취를 위하여 선언하는 그 다섯 가지 법이라는 심(心)의 필수품들에 대해 ‘원망 없고 거슬림 없는 심(心)을 닦기 위한 것’이라고 나는 말한다. 

Comments

아빈뇨 2020.12.06 11:46
감사합니다.
대원행 2022.04.29 20:45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01_07&wr_id=3 참조 [삼매 가는 길-힌두교와 불교의 목욕]
대원행 2022.04.30 21:24
http://www.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9_03&wr_id=37&page=2 참조 (SN 34-선 상윳따) & 수행지도 4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