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수행경전 > 기타 경전

기타 경전

삼매 가는 길 ㅡ 개발된 느낌(환희가 생긴다)의 용례(수행경전 180725)

▣ 삼매 가는 길 ㅡ 개발된 느낌(환희가 생긴다)의 용례(수행경전 180725)

   [동영상] https://youtu.be/6XnL_vjcVV0


여래는 말하는 대로 행하는 자이고, 행하는 대로 말하는 자[yathāvādī, cunda, tathāgato tathākārī, yathākārī tathāvādī]입니다(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4_03_06&wr_id=14). 수행에서도 그렇습니다. 부처님이 수행한 그대로를 설한 것이 경이고, 경이 설명하는 대로 수행하는 것이 바른 수행 방법입니다. 「경전대로 수행하기」입니다.


경은 수행의 과정에서 세 개의 토대를 설명합니다. ①삼매, ②여실지견(如實知見), ③사띠토대입니다.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5_08&wr_id=15참조.

 

삼매는 중요합니다. 깨달음으로 나아가기 위한 수행과정에서 성취하는 첫 번째 토대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어떤 방법으로 삼매를 성취할 것인지에 대한 부처님의 안내는 시작하는 수행자들에게는 가장 중요한 주제라고 할 것입니다.


경들은 다섯 장애를 버리고 삼매를 성취하는 것을 기본으로 설명합니다. 그런데 여러 개의 경들은 장애의 버림과 삼매의 성취 사이의 과정을 설명하는데 개발된 느낌(nirāmisaṃ vedana)입니다. 수행의 과정에서 개발되어 경험되는 개발된 느낌이 삼매를 성취하는 연결고리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이번 수업에서는 개발된 느낌(nirāmisaṃ vedana)을 통해 삼매를 성취하는 과정의 시작을 설명하는 「pāmojjaṃ jāyati[환희가 생긴다]」의 용례를 조사하였습니다.


pāmojjaṃ jāyati[환희가 생긴다]의 용례


1. tassime pañca nīvaraṇe pahīne attani samanupassato pāmojjaṃ jāyati, pamuditassa pīti jāyati, pītimanassa kāyo passambhati, passaddhakāyo sukhaṃ vedeti, sukhino cittaṃ samādhiyati. 


이 다섯 장애의 버려짐을 자신에게서 관찰하는 그에게 환희가 생긴다. 환희하는 자에게 희열이 생긴다. 의(意)의 희열이 있으면 몸은 진정된다. 진정된 몸은 행복을 느낀다. 행복한 자의 심(心)은 삼매에 들어진다.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4_01_02&wr_id=19참조.

 

• sāmaññaphalasuttaṃ, nīvaraṇappahānaṃ (DN 2.19)

• poṭṭhapādasuttaṃ, sahetukasaññuppādanirodhakathā (DN 9.3)

• subhasuttaṃ, samādhikkhandho (DN 10.3)

• tevijjasuttaṃ, brahmalokamaggadesanā (DN 13.8)


• 생략 처리되었지만 디가 니까야 1권의 사문과경(DN2)부터 삼명경(DN13)까지는 동일하게 삼매에 드는 과정을 설명함.


※ 삼매에 드는 또 하나의 표현 ㅡ so ime pañca nīvaraṇe pahāya cetaso upakkilese paññāya dubbalīkaraṇe vivicceva kāmehi vivicca akusalehi dhammehi savitakkaṃ savicāraṃ vivekajaṃ pītisukhaṃ paṭham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ati.


그는 지혜를 무력화 시키는 심(心)의 오염원인 이 다섯 장애를 버린 뒤 소유의 삶으로부터 벗어나고, 불선법(不善法)들로부터 벗어나서, 위딱까가 있고 위짜라가 있고 떨침에서 생긴 기쁨과 즐거움의 초선(初禪)을 성취하여 머문다.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06_01&wr_id=1참조.


※ 이 두 가지가 「tathāgato loke uppajjati(여래(如來)가 세상에 출현한다)」로 시작되어 깨달음의 과정을 설명하는 경들이 삼매에 드는 과정을 설명하는 두 가지 방법임. 그런데 사문과경의 수행 체계를 반복하는 디가 니까야 1권의 경들은 「이 다섯 장애의 버려짐을 자신에게서 관찰 → 환희 → 희열 → 진정 → 행복 → 삼매」의 구성을 보이는(2권과 3권은 이 주제를 포함하는 경 없음) 반면 맛지마-상윳따-앙굿따라 니까야의 경들은 「지혜를 무력화 시키는 심(心)의 오염원인 이 다섯 장애를 버림 → 초선(初禪)」의 구성을 보이고 있음.


2.  so tasmiṃ dhamme atthapaṭisaṃvedī ca hoti dhammapaṭisaṃvedī ca. tassa atthapaṭisaṃvedino dhammapaṭisaṃvedino pāmojjaṃ jāyati, pamuditassa pīti jāyati, pītimanassa kāyo passambhati, passaddhakāyo sukhaṃ vedeti, sukhino cittaṃ samādhiyati.


그 법에 대해 그는 의미를 경험하고 법을 경험한다. 의미를 경험하고 법을 경험하는 그에게 환희가 생긴다. 환희하는 자에게 희열이 생긴다. 의(意)의 희열이 있으면 몸은 진정된다. 진정된 몸은 행복을 느낀다. 행복한 자의 심(心)은 삼매에 들어진다.


• vimuttāyatanasuttaṃ (AN 5.26-해탈의 토대 경)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9_01_03&wr_id=2

• saṅgītisuttaṃ, pañcakaṃ (DN 33.8)

• dasuttarasuttaṃ, pañca dhammā (DN 34.6) → abhiññeyyā


3. yonisomanasikaroto pāmojjaṃ jāyati, pamuditassa pīti jāyati, pītimanassa kāyo passambhati, passaddhakāyo sukhaṃ vedeti, sukhino cittaṃ samādhiyati


• dasuttarasuttaṃ, nava dhammā (DN 34.10) → bahukārā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4_03_11&wr_id=1

 

4. tassa sabbehi imehi pāpakehi akusalehi dhammehi visuddhamattānaṃ samanupassato pāmojjaṃ jāyati, pamuditassa pīti jāyati, pītimanassa kāyo passambhati, passaddhakāyo sukhaṃ vedeti, sukhino cittaṃ samādhiyati. 


• cūḷāssapurasuttaṃ (MN 40.1)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04_10&wr_id=1

 

5. tassa abyāsittacittassa pāmojjaṃ jāyati


• pamādavihārīsuttaṃ (SN 35.80)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6_04_01&wr_id=1

 

6. yaṃ camhi kāyena saṃvuto vācāya saṃvuto manasā saṃvuto, yañca kāyassa bhedā paraṃ maraṇā sugatiṃ saggaṃ lokaṃ upapajjissāmī’ti. tassa pāmojjaṃ jāyati. pamuditassa pīti jāyati. pītimanassa kāyo passambhati. passaddhakāyo sukhaṃ vedayati. sukhino cittaṃ samādhiyati. ayaṃ kho, gāmaṇi, dhammasamādhi. tatra ce tvaṃ cittasamādhiṃ paṭilabheyyāsi, evaṃ tvaṃ imaṃ kaṅkhādhammaṃ pajaheyyāsi.


나는 몸으로 단속하고 말로 단속하고 마음으로 단속하였다. 그러므로 나는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선처, 천상계에 태어날 것이다.'라고. 그에게 환희가 생긴다. 환희하는 자에게 희열이 생긴다. 의(意)의 희열이 있으면 몸은 진정된다. 진정된 몸은 행복을 느낀다. 행복한 자의 심(心)은 삼매에 들어진다. 촌장이여, 이것이 법의 삼매이다. 만일 그대가 여기에 대해서 마음의 삼매를 얻는다면 그대는 이런 의심스러운 법을 제거하게 될 것이다.


• pāṭaliyasuttaṃ (SN 42.13-빠딸리야 경)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6_04_08&wr_id=2

 

7. tenānanda, bhikkhunā kismiñcideva pasādanīye nimitte cittaṃ paṇidahitabbaṃ. tassa kismiñcideva pasādanīye nimitte cittaṃ paṇidahato pāmojjaṃ jāyati. pamuditassa pīti jāyati. pītimanassa kāyo passambhati. passaddhakāyo sukhaṃ vedayati . sukhino cittaṃ samādhiyati.


그는 무언가 믿음을 고무하는 대상에 대해 심(心)을 향하게 해야 한다. 무언가 믿음을 고무하는 대상에 대해 심(心)을 향하게 하면 그에게 환희가 생긴다. 환희하는 자에게 희열이 생긴다. 의(意)의 희열이 있으면 몸은 진정된다. 진정된 몸은 행복을 느낀다. 행복한 자의 심(心)은 삼매에 들어진다.


• bhikkhunupassayasuttaṃ (SN 47.10-비구니 거처 경)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7_04_01&wr_id=12

 

8. tassa evaṃ appamattassa viharato pāmojjaṃ jāyati. pamuditassa pīti jāyati. pītimanassa kāyo passambhati. passaddhakāyo sukhaṃ vediyati. sukhino cittaṃ samādhiyati. samāhite citte dhammā pātubhavanti. dhammānaṃ pātubhāvā appamādavihārī tveva saṅkhyaṃ gacchati. evaṃ kho, nandiya, ariyasāvako appamādavihārī hotī”ti.


이와 같이 불방일에 머무는 자에게 환희가 생긴다. 환희하는 자에게 희열이 생긴다. 의(意)의 희열이 있으면 몸은 진정된다. 진정된 몸은 행복을 느낀다. 행복한 자의 심(心)은 삼매에 들어진다. 심(心)이 삼매를 닦을 때 법(法)들은 드러난다. 그러면 법들이 드러남 때문에 불방일에 머무는 자라는 이름을 얻는다.


• nandiyasakkasuttaṃ (SN 55.40-난디야 경)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7_12_04&wr_id=1

 

9. 유익한 계들[kusalāni sīlā] → 후회 없음[avippaṭisāra] → 환희[pāmojja] → 희열[pīti] → 경안[passaddhi] → 행복[sukha] → 삼매[samādhi] → 여실지견[yathābhūtañāṇadassana] → 염오[nibbidā] → 이탐[virāga] → 해탈지견[vimuttiñāṇadassana]


• 무슨 목적 경(A10:1 & A11:1)[kimatthiyasuttaṃ]

• 의도 경(A10:2 & A11:2)[cetanākaraṇīyasuttaṃ]

• 의지처 경1~3(A10:1~3 & A11:1~3)[upanisasuttaṃ]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9_08_01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