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수행경전 > 기타 경전

기타 경전

3. asubhasuttaṃ (AN 4.163)[부정(不淨) 경]

0 431 2017.12.28 21:06

3. asubhasuttaṃ (AN 4.163)[부정(不淨) 경]


“catasso imā, bhikkhave, paṭipadā. katamā catasso? dukkhā paṭipadā dandhābhiññā, dukkhā paṭipadā khippābhiññā, sukhā paṭipadā dandhābhiññā, sukhā paṭipadā khippābhiññā.


비구들이여, 이와 같은 네 가지 실천이 있다. 무엇이 넷인가? ①괴롭고 실다운 지혜가 느린 실천, ②괴롭고 실다운 지혜가 빠른 실천, ③즐겁고 실다운 지혜가 느린 실천, ④즐겁고 실다운 지혜가 빠른 실천이다.


“katamā ca, bhikkhave, dukkhā paṭipadā dandhābhiññā? idha, bhikkhave, bhikkhu asubhānupassī kāye viharati, āhāre paṭikūlasaññī, sabbaloke anabhiratisaññī, sabbasaṅkhāresu aniccānupassī; maraṇasaññā kho panassa ajjhattaṃ sūpaṭṭhitā hoti. so imāni pañca sekhabalāni upanissāya viharati — saddhābalaṃ, hiribalaṃ, ottappabalaṃ, vīriyabalaṃ, paññābalaṃ. tassimāni pañcindriyāni mudūni pātubhavanti — saddhindriyaṃ, vīriyindriyaṃ, satindriyaṃ, samādhindriyaṃ, paññindriyaṃ. so imesaṃ pañcannaṃ indriyānaṃ muduttā dandhaṃ ānantariyaṃ pāpuṇāti āsavānaṃ khayāya. ayaṃ vuccati, bhikkhave, dukkhā paṭipadā dandhābhiññā.


비구들이여, 괴롭고 실다운 지혜가 느린 실천이란 어떤 것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부정(不淨)을 이어 보는 자로서[부정을 이어 보면서] 몸에 머문다. 음식들을 혐오하는 상(想)을 가진 자이고, 모든 세상들을 기뻐하지 않는 상(想)을 가진 자이고, 모든 행(行)들에서 무상(無常)을 이어 보는 자이고, 또한 죽음의 상(想)이 안으로 잘 확립되어 있다.


그는 이와 같은 다섯 가지 유학(有學)의 힘을 의지하여 머문다. ㅡ 믿음의 힘, hiri의 힘, ottappa의 힘, 정진의 힘, 지혜의 힘. 


그에게 이와 같은 다섯 가지 기능이 약하게 나타난다. ㅡ 믿음의 기능, 정진의 기능, 사띠의 기능, 삼매의 기능, 지혜의 기능. 


그는 이렇게 다섯 가지 기능이 약하기 때문에 번뇌들의 부숨이 느리게 뒤따라 성취된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괴롭고 실다운 지혜가 느린 실천이라고 불린다.


“katamā ca, bhikkhave, dukkhā paṭipadā khippābhiññā? idha, bhikkhave, bhikkhu asubhānupassī kāye viharati, āhāre paṭikūlasaññī, sabbaloke anabhiratisaññī, sabbasaṅkhāresu aniccānupassī; maraṇasaññā kho panassa ajjhattaṃ sūpaṭṭhitā hoti. so imāni pañca sekhabalāni upanissāya viharati — saddhābalaṃ ... pe ... paññābalaṃ. tassimāni pañcindriyāni adhimattāni pātubhavanti — saddhindriyaṃ ... pe ... paññindriyaṃ. so imesaṃ pañcannaṃ indriyānaṃ adhimattattā khippaṃ ānantariyaṃ pāpuṇāti āsavānaṃ khayāya. ayaṃ vuccati, bhikkhave, dukkhā paṭipadā khippābhiññā.


비구들이여, 괴롭고 실다운 지혜가 빠른 실천이란 어떤 것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부정(不淨)을 이어 보는 자로서[부정을 이어 보면서] 몸에 머문다. 음식들을 혐오하는 상(想)을 가진 자이고, 모든 세상들을 기뻐하지 않는 상(想)을 가진 자이고, 모든 행(行)들에서 무상(無常)을 이어 보는 자이고, 또한 죽음의 상(想)이 안으로 잘 확립되어 있다.


그는 이와 같은 다섯 가지 유학(有學)의 힘을 의지하여 머문다. ㅡ 믿음의 힘, hiri의 힘, ottappa의 힘, 정진의 힘, 지혜의 힘. 


그에게 이와 같은 다섯 가지 기능이 강하게 나타난다. ㅡ 믿음의 기능, 정진의 기능, 사띠의 기능, 삼매의 기능, 지혜의 기능. 


그는 이렇게 다섯 가지 기능이 강하기 때문에 번뇌들의 부숨이 빠르게 뒤따라 성취된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괴롭고 실다운 지혜가 빠른 실천이라고 불린다.


“katamā ca, bhikkhave, sukhā paṭipadā dandhābhiññā? idha bhikkhave, bhikkhu vivicceva kāmehi vivicca akusalehi dhammehi savitakkaṃ savicāraṃ vivekajaṃ pītisukhaṃ paṭham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ati; vitakkavicārānaṃ vūpasamā ajjhattaṃ sampasādanaṃ cetaso ekodibhāvaṃ avitakkaṃ avicāraṃ samādhijaṃ pītisukhaṃ dutiy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ati; pītiyā ca virāgā upekkhako ca viharati sato ca sampajāno sukhañca kāyena paṭisaṃvedeti yaṃ taṃ ariyā ācikkhanti — ‘upekkhako satimā sukhavihārī’ti tatiy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ati; sukhassa ca pahānā dukkhassa ca pahānā pubbeva somanassadomanassānaṃ atthaṅgamā adukkhamasukhaṃ upekkhāsatipārisuddhiṃ catutth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ati. so imāni pañca sekhabalāni upanissāya viharati — saddhābalaṃ ... pe ... paññābalaṃ. tassimāni pañcindriyāni mudūni pātubhavanti — saddhindriyaṃ ... pe ... paññindriyaṃ. so imesaṃ pañcannaṃ indriyānaṃ muduttā dandhaṃ ānantariyaṃ pāpuṇāti āsavānaṃ khayāya. ayaṃ vuccati, bhikkhave, sukhā paṭipadā dandhābhiññā.


비구들이여, 즐겁고 실다운 지혜가 느린 실천이란 어떤 것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소유적 사유들로부터 벗어나고, 불선법(不善法)들로부터 벗어나서, 위딱까가 있고 위짜라가 있고 떨침에서 생긴 기쁨과 즐거움의 초선(初禪)을 성취하여 머문다. 위딱까와 위짜라의 가라앉음으로 인해, 안으로 평온함과 마음의 집중된 상태가 되어, 위딱까도 없고 위짜라도 없이, 삼매에서 생긴 기쁨과 즐거움의 제이선(第二禪)을 성취하여 머문다. 기쁨의 빛바램으로부터 평정하게 머물고, 사띠-삼빠자나 하면서 몸으로 즐거움을 경험하니, 성인들이 말하는 “평정에서 사띠 하면서 즐거움에 머문다[사념락주(捨念樂住)].”는 제삼선(第三禪)을 성취하여 머문다. 즐거움의 버림과 괴로움의 버림으로부터, 이미 만족과 불만들의 사라짐으로부터 괴로움도 없고 즐거움도 없는 평정과 청정한 사띠[사념청정(捨念淸淨)]의 제사선(第四禪)을 성취하여 머문다.


그는 이와 같은 다섯 가지 유학(有學)의 힘을 의지하여 머문다. ㅡ 믿음의 힘, hiri의 힘, ottappa의 힘, 정진의 힘, 지혜의 힘. 


그에게 이와 같은 다섯 가지 기능이 약하게 나타난다. ㅡ 믿음의 기능, 정진의 기능, 사띠의 기능, 삼매의 기능, 지혜의 기능. 


그는 이렇게 다섯 가지 기능이 약하기 때문에 번뇌들의 부숨이 느리게 뒤따라 성취된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즐겁고 실다운 지혜가 느린 실천이라고 불린다.


“katamā ca, bhikkhave, sukhā paṭipadā khippābhiññā? idha, bhikkhave, bhikkhu vivicceva kāmehi vivicca akusalehi dhammehi savitakkaṃ savicāraṃ vivekajaṃ pītisukhaṃ paṭham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ati ... pe ... dutiyaṃ jhānaṃ ... pe ... tatiyaṃ jhānaṃ ... pe ... catutth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ati. so imāni pañca sekhabalāni upanissāya viharati — saddhābalaṃ, hiribalaṃ, ottappabalaṃ, vīriyabalaṃ, paññābalaṃ. tassimāni pañcindriyāni adhimattāni pātubhavanti — saddhindriyaṃ, vīriyindriyaṃ, satindriyaṃ, samādhindriyaṃ, paññindriyaṃ. so imesaṃ pañcannaṃ indriyānaṃ adhimattattā khippaṃ ānantariyaṃ pāpuṇāti āsavānaṃ khayāya. ayaṃ vuccati, bhikkhave, sukhā paṭipadā khippābhiññā. imā kho, bhikkhave, catasso paṭipadā”ti.


비구들이여, 즐겁고 실다운 지혜가 빠른 실천이란 어떤 것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소유적 사유들로부터 벗어나고, 불선법(不善法)들로부터 벗어나서, 위딱까가 있고 위짜라가 있고 떨침에서 생긴 기쁨과 즐거움의 초선(初禪)을 성취하여 머문다. … 제이선(第二禪)을 … 제삼선(第三禪)을 … 제사선(第四禪)을 성취하여 머문다.


그는 이와 같은 다섯 가지 유학(有學)의 힘을 의지하여 머문다. ㅡ 믿음의 힘, hiri의 힘, ottappa의 힘, 정진의 힘, 지혜의 힘. 


그에게 이와 같은 다섯 가지 기능이 강하게 나타난다. ㅡ 믿음의 기능, 정진의 기능, 사띠의 기능, 삼매의 기능, 지혜의 기능. 


그는 이렇게 다섯 가지 기능이 강하기 때문에 번뇌들의 부숨이 빠르게 뒤따라 성취된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즐겁고 실다운 지혜가 빠른 실천이라고 불린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