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사회참여/외부특강 > 학술세미나 > 윤회의 진실

학술세미나

[교재] 3. 도기공의 가마로부터 뜨거운 도기를 끄집어내서

0 498 2018.02.24 16:55

3. puriso kumbhakārapākā uṇhaṃ kumbhaṃ uddharitvā same bhūmibhāge paṭisisseyya. tatra yāyaṃ usmā sā tattheva vūpasameyya, kapallāni avasisseyyuṃ[어떤 사람이 도기공의 가마로부터 뜨거운 도기를 끄집어내서 평평한 땅 위에 내려놓으면 거기서 뜨거운 열기는 식을 것이고 도기들만 남게 될 것이다]

parivīmaṃsanasuttaṃ (SN 12.51)[완전한 검증 경]

 

; 무명(無明) 유위(有爲)적 행위[오온(五蘊)의 행()]

()의 머묾[십지연기(十支緣起) : ()~노사(老死)]

 
“avijjāgato yaṃ, bhikkhave, purisapuggalo puññaṃ ce saṅkhāraṃ abhisaṅkharoti, puññūpagaṃ hoti viññāṇaṃ. apuññaṃ ce saṅkhāraṃ abhisaṅkharoti, apuññūpagaṃ hoti viññāṇaṃ. āneñjaṃ ce saṅkhāraṃ abhisaṅkharoti āneñjūpagaṃ hoti viññāṇaṃ. yato kho, bhikkhave, bhikkhuno avijjā pahīnā hoti vijjā uppannā, so avijjāvirāgā vijjuppādā neva puññābhisaṅkhāraṃ abhisaṅkharoti na apuññābhisaṅkhāraṃ abhisaṅkharoti na āneñjābhisaṅkhāraṃ abhisaṅkharoti. anabhisaṅkharonto anabhisañcetayanto na kiñci loke upādiyati; anupādiyaṃ na paritassati, aparitassaṃ paccattaññeva parinibbāyati. ‘khīṇā jāti, vusitaṃ brahmacariyaṃ, kataṃ karaṇīyaṃ, nāparaṃ itthattāyā’ti pajānāti.

 

비구들이여, 무명(無明)에 빠진 사람이 만일 공덕이 되는 유위(有爲)적 행위를 하면 공덕을 경험할 식()이 있게 되고, 만일 공덕이 되지 않는 유위(有爲)적 행위를 하면 공덕을 경험하지 않을 식()이 있게 되고, 만일 흔들림 없는 유위(有爲)적 행위를 하면 흔들림 없음을 경험할 식()이 있게 된다. 비구들이여, 그러나 비구에게 무명(無明)이 버려지고 명()이 일어나면 그에게 무명이 버려지고 명이 일어났기 때문에 그는 공덕이 되는 유위(有爲)적 행위도 하지 않고 공덕이 되지 않는 유위(有爲)적 행위도 하지 않고 흔들림 없는 유위(有爲)적 행위도 하지 않는다. 유위(有爲)적으로 행위 하지 않고 유위(有爲)적으로 의도하지 않을 때 세상에서 아무 것도 집착하지 않는다. 집착하지 않으면 갈망하지 않는다. 갈망하지 않으면 개별적으로 완전히 꺼진다. ‘태어남은 다했다. 범행은 완성되었다. 해야 할 일을 했다. 다음에는 현재 상태[()]가 되지 않는다.’라고 분명히 안다.

 

“so sukhaṃ ce vedanaṃ vedayati, sā aniccāti pajānāti, anajjhositāti pajānāti, anabhinanditāti pajānāti. dukkhaṃ ce vedanaṃ vedayati, sā aniccāti pajānāti, anajjhositāti pajānāti, anabhinanditāti pajānāti. adukkhamasukhaṃ ce vedanaṃ vedayati, sā aniccāti pajānāti, anajjhositāti pajānāti, anabhinanditāti pajānāti. so sukhaṃ ce vedanaṃ vedayati, visaṃyutto naṃ vedayati. dukkhaṃ ce vedanaṃ vedayati, visaṃyutto naṃ vedayati. adukkhamasukhaṃ ce vedanaṃ vedayati, visaṃyutto naṃ vedayati.

 

만일 그가 즐거움을 경험하면 그것이 무상(無常)한 줄 꿰뚫어 안다. 그것이 묶일만한 것이 아니라고 꿰뚫어 안다. 그것이 즐길만한 것이 아니라고 꿰뚫어 안다. 만일 그가 괴로움을 경험하면 그는 그것이 무상한 줄 꿰뚫어 안다. 그것이 묶일만한 것이 아니라고 꿰뚫어 안다. 그것이 즐길만한 것이 아니라고 꿰뚫어 안다. 만일 그가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음을 경험하면 그는 그것이 무상한 줄 꿰뚫어 안다. 그것이 묶일만한 것이 아니라고 꿰뚫어 안다. 그것이 즐길만한 것이 아니라고 꿰뚫어 안다. 만일 그가 즐거움을 경험하면 그는 매이지 않고 경험한다. 만일 괴로움을 경험하면 매이지 않고 경험한다. 만일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음을 경험하면 매이지 않고 경험한다.

 

“so kāyapariyantikaṃ vedanaṃ vedayamāno kāyapariyantikaṃ vedanaṃ vedayāmīti pajānāti, jīvitapariyantikaṃ vedanaṃ vedayamāno jīvitapariyantikaṃ vedanaṃ vedayāmīti pajānāti. kāyassa bhedā uddhaṃ jīvitapariyādānā idheva sabbavedayitāni anabhinanditāni sītībhavissanti, sarīrāni avasissantīti pajānāti.

 

그는 몸의 무너짐의 경험을 경험하면서는 나는 몸의 무너짐의 경험을 경험한다.’라고 꿰뚫어 안다. 목숨의 끊어짐의 경험을 경험하면서는 나는 목숨의 끊어짐의 경험을 경험한다.’라고 꿰뚫어 안다. 그리고 그는 몸이 무너지고 목숨이 끊어지면, 즐길만한 것이 아닌 이 모든 경험들은 사그라지고 육체만이 남게 될 것이다.’라고 꿰뚫어 안다.

 

“seyyathāpi, bhikkhave, puriso kumbhakārapākā uṇhaṃ kumbhaṃ uddharitvā same bhūmibhāge paṭisisseyya. tatra yāyaṃ usmā sā tattheva vūpasameyya, kapallāni avasisseyyuṃ. evameva kho, bhikkhave, bhikkhu kāyapariyantikaṃ vedanaṃ vedayamāno kāyapariyantikaṃ vedanaṃ vedayāmīti pajānāti, jīvitapariyantikaṃ vedanaṃ vedayamāno jīvitapariyantikaṃ vedanaṃ vedayāmīti pajānāti. kāyassa bhedā uddhaṃ jīvitapariyādānā idheva sabbavedayitāni anabhinanditāni sītībhavissanti, sarīrāni avasissantīti pajānāti.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어떤 사람이 도기공의 가마로부터 뜨거운 도기를 끄집어내서 평평한 땅 위에 내려놓으면 거기서 뜨거운 열기는 식을 것이고 도기들만 남게 될 것이다. 비구들이여, 그와 같이 비구는 몸의 무너짐의 경험을 경험하면서는 나는 몸의 무너짐의 경험을 경험한다.’라고 꿰뚫어 안다. 목숨의 끊어짐의 경험을 경험하면서는 나는 목숨의 끊어짐의 경험을 경험한다.’라고 꿰뚫어 안다. 그리고 그는 몸이 무너지고 목숨이 끊어지면, 즐길만한 것이 아닌 이 모든 경험들은 사그라지고 육체만이 남게 될 것이다.’라고 꿰뚫어 안다.

 

“taṃ kiṃ maññatha, bhikkhave, api nu kho khīṇāsavo bhikkhu puññābhisaṅkhāraṃ vā abhisaṅkhareyya apuññābhisaṅkhāraṃ vā abhisaṅkhareyya āneñjābhisaṅkhāraṃ vā abhisaṅkhareyyā”ti? “no hetaṃ, bhante”. “sabbaso vā pana saṅkhāresu asati, saṅkhāranirodhā api nu kho viññāṇaṃ paññāyethā”ti? “no hetaṃ, bhante”. “sabbaso vā pana viññāṇe asati, viññāṇanirodhā api nu kho nāmarūpaṃ paññāyethā”ti? “no hetaṃ, bhante”. “sabbaso vā pana nāmarūpe asati, nāmarūpanirodhā api nu kho saḷāyatanaṃ paññāyethā”ti? “no hetaṃ, bhante”. “sabbaso vā pana saḷāyatane asati, saḷāyatananirodhā api nu kho phasso paññāyethā”ti? “no hetaṃ, bhante”. “sabbaso vā pana phasse asati, phassanirodhā api nu kho vedanā paññāyethā”ti? “no hetaṃ, bhante”. “sabbaso vā pana vedanāya asati, vedanānirodhā api nu kho taṇhā paññāyethā”ti? “no hetaṃ, bhante”. “sabbaso vā pana taṇhāya asati, taṇhānirodhā api nu kho upādānaṃ paññāyethā”ti? “no hetaṃ, bhante”. “sabbaso vā pana upādāne asati, upādānanirodhā api nu kho bhavo paññāyethā”ti. “no hetaṃ, bhante”. “sabbaso vā pana bhave asati, bhavanirodhā api nu kho jāti paññāyethā”ti? “no hetaṃ, bhante”. “sabbaso vā pana jātiyā asati, jātinirodhā api nu kho jarāmaraṇaṃ paññāyethā”ti? “no hetaṃ, bhante”.

 

“비구들이여, 이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번뇌 다한 비구가 공덕이 되는 유위(有爲)적 행위를 하거나 공덕이 되지 않는 유위(有爲)적 행위를 하거나 흔들림 없는 유위(有爲)적 행위를 하겠는가?” “아닙니다. 대덕이시여.”


“그러면 모든 면에서 유위(有爲)적 행위가 없고 유위(有爲)적 행위가 소멸했는데도 식(識)이 알려질 수 있겠는가?” “아닙니다. 대덕이시여.”


“그러면 모든 면에서 식(識)이 없고 식(識)이 소멸했는데도 명색(名色)이 알려질 수 있겠는가?” “아닙니다. 대덕이시여.”


“그러면 모든 면에서 명색(名色)이 없고 명색(名色)이 소멸했는데도 육입(六入)이이 알려질 수 있겠는가?” “아닙니다. 대덕이시여.”


“그러면 모든 면에서 육입(六入)이 없고 육입(六入)이 소멸했는데도 촉(觸)이 알려질 수 있겠는가?” “아닙니다. 대덕이시여.”


“그러면 모든 면에서 촉(觸)이 없고 촉(觸)이 소멸했는데도 수(受)가 알려질 수 있겠는가?” “아닙니다. 대덕이시여.”


“그러면 모든 면에서 수(受)가 없고 수(受)가 소멸했는데도 애(愛)가 알려질 수 있겠는가?” “아닙니다. 대덕이시여.”


“그러면 모든 면에서 애(愛)가 없고 애(愛)가 소멸했는데도 취(取)가 알려질 수 있겠는가?” “아닙니다. 대덕이시여.”


“그러면 모든 면에서 취(取)가 없고 취(取)가 소멸했는데도 유(有)가 알려질 수 있겠는가?” “아닙니다. 대덕이시여.”


“그러면 모든 면에서 유(有)가 없고 유(有)가 소멸했는데도 생(生) 알려질 수 있겠는가?” “아닙니다. 대덕이시여.”


“그러면 모든 면에서 생(生) 없고 생(生)이 소멸했는데도 노사(老死)가 알려질 수 있겠는가?” “아닙니다. 대덕이시여.”


“sādhu sādhu, bhikkhave, evametaṃ, bhikkhave, netaṃ aññathā. saddahatha me taṃ, bhikkhave, adhimuccatha, nikkaṅkhā ettha hotha nibbicikicchā. esevanto dukkhassā”ti.


“훌륭하다, 비구들이여. 훌륭하다. 참으로 이와 같고 이와 다르지 않다. 비구들이여, 여기에 대해 나를 믿고 확신을 갖고 의문을 제거하고 의심을 없애라. 이것이 바로 괴로움의 끝이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