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사회참여/외부특강 > 학술세미나 > 깨달음

학술세미나

[교재] 차례

0 486 2018.02.26 06:58


ㅡ   차              례   ㅡ



▣ 인사 말씀 / 1


[그림 교재]


• 근본경전연구회 학술세미나 주제 구성[①~④년차] / 1

• 삶의 메커니즘 / 3

• 마음 이해의 단초 / 4

• 심(心)-의(意)-식(識)에 의한 삶의 구분 / 5



▣ 깨달음 요약 / 6


[그림 교재] 


• 인식과 행위 그리고 전달 / 8



PART Ⅰ - 개념적 접근


주제 1. 누구의 깨달음인가? / 21


Ⅰ. 누구의 깨달음인가? / 21


1. 개척된 깨달음 ㅡ 여래(如來)의 깨달음 / 21

2. 재현(再現)되는 깨달음 ㅡ 제자들의 깨달음 / 23

 

Ⅱ. 여래(如來)의 깨달음과 제자들의 깨달음의 차이 / 26


1. 여래의 깨달음의 유추 ㅡ 여래십력(如來十力) & 사무소외(四無所畏) 등 / 26

2. 제자들의 깨달음 / 35


【첨부1-1】 A. 「tasmā ‘tathāgato’ti vuccati[그래서 여래(如來)라고 불린다]」 / 37

          B. 「tasmā tathāgato[그래서 여래는~]의 용례」 / 39

【첨부1-2】 아홉 가지 덕성(德性)의 포괄적 이해 / 43

【첨부1-2-1】 arahaṃ khīṇāsavo[번뇌 다한 아라한]의 용례 / 52

【첨부1-2-2】 A. 바라문[brāhmaṇa]의 정의 / 61

            B. 「tamahaṃ brūmi brāhmaṇaṃ ㅡ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고 부른다.」

              의 용례 / 63

【첨부1-2-3】 명행족(明行足)[vijjācaraṇasampanna]의 이해 / 68

【첨부1-3】 무명과 번뇌의 서로 조건 됨[sammādiṭṭhisuttaṃ (MN 9)] / 74

【첨부1-4】 sammāsambuddhasuttaṃ (SN 22.58)[정등각(正等覺) 경] / 76


[그림 교재]


• 깨달음의 재현 ㅡ 도관(導管) / 24

• 사자후(師子吼) 또는 범륜(梵輪) - 십력 경(S12:21) / 34

• 자자(自恣) 경(S8:7) [보편적 깨달음은 혜해탈자(慧解脫者)] / 36

• 사문과경(沙門果經)의 수행체계도(修行體系圖) ㅡ 명(明)과 행(行)에 적용 / 71

• 무명(無明)과 번뇌[루(漏)]의 서로 조건 됨 / 75



주제2. 무엇을 위한 깨달음인가? / 78


【첨부2-1】 다시 존재로 이끄는 것들 / 87


[그림 교재]


• 존재[유(有)-bhava]를 중심에 둔 십이연기(十二緣起) / 84

• 불교 본연의 공부 영역 / 85

• 아산(我山)과 무아산(無我山)으로 이해하는 세상 

  [소유의 삶 → 존재의 삶 ⇒ 해탈된 삶] / 86



주제3. 깨달음의 중심 개념 ㅡ 「atakka[takka를 넘어섬]」 / 100


1. takka[갈애의 형성 또는 자기화(自己化) 과정] ㅡ 「인식을 가공하여 행위로

                                                연결하는 매개 과정」 / 110

2. atakka ㅡ takka[갈애의 형성 또는 자기화(自己化) 과정]을 넘어섬 / 115


• 족쇄 경(A10:13) / 101

• samanupassanāsuttaṃ(SN 22.47)[관찰 경] / 118

• 갈애와 자기화의 이해에 도움 되는 경전들 / 119


[그림 교재]


• 연기(緣起)적 삶의 이해의 접근 / 103

• 연기(緣起)적 삶의 이해 ㅡ 십지연기(十支緣起) / 104

• 연기(緣起)적 삶의 이해 ㅡ 십이연기(十二緣起) / 105

• vitakka의 의미 - 외적 영역[nimitta]과 내적 영역[cittassa nimitta]으로 이해하는 

  삶의 메커니즘 / 106

• 대상[상(相)-nimitta]을 기준한 삶의 이해 ①상(相)-nimitta / 107

• 대상[상(相)-nimitta]을 기준한 삶의 이해 ②심상(心相)-cittassa nimitta / 108

• 열 가지 족쇄의 위치 / 109

• 중생과 갈애의 분류 / 112

• takka[애(愛)의 형성 또는 자기화 과정] / 113

• 가르침의 중심 ㅡ [①인식-②행위③인식의 가공] / 114

• asmi에 의한 māna[자기화(自己化)-자만(自慢)]의 이해 / 122



주제4. 깨달음의 산물 ㅡ 열반(涅槃) / 123


Ⅰ. 열반(涅槃)으로 온전하게 이끄는 가르침 / 123


Ⅱ. 열반(涅槃) / 125


① 무상(無常)의 게송 / 127

② 오장(五章)과 칠각지(七覺支)의 자량(資糧) ㅡ āhārasuttaṃ(SN 46.51)[자량 경] / 128


• 들뜸 경(A6:116)[Uddhaccasutta] / 130

• 명(明)과 연결됨 경(A2:3:10)[Vijjābhāgiya-sutta] / 131


[참고] 유여열반(有餘涅槃)[saupādisesanibbāna]과 무여열반(無餘涅槃)

      [anupādisesa nibbāna] / 132


[참고] 행(行)의 이해 ㅡ 하나의 체계를 구성하는 세 가지 행(行) / 135


Ⅲ. 누구를 위한 깨달음인가? / 139


1. 법의 정형구 / 139


2. 자주(自洲)-법주(法洲) / 143


Ⅳ. 불교의 중생 구제 / 147


1. <상가라와 경(A3:60)>을 인용하면 이렇게 답할 수 있습니다. / 147


  ※ 「진정한 대승(大乘) ㅡ 아라한(阿羅漢)!」  / 148


2. 중생구제(衆生救濟) ㅡ 정등각(正等覺)이 설한 구원(救援)으로 이끄는 법(法) / 149


3. kāmabhogī[「소유적 사유에 매여 소유의 삶을 사는 자」를 위한 구원(救援) / 156


【첨부4-1】 열반(涅槃)을 정의하는 경전들 / 158

【첨부4-2】 taṇhākkhayo virāgo nirodho nibbānaṃ의 용례 / 161

【첨부4-3】 구차제정(九次第定)에 나타나는 열반의 용례 / 170


[그림 교재]


• 「taṇhākkhayo virāgo nirodho nibbānaṃ」 / 126

• 열반(涅槃) ㅡ 모든 행(行)의 사마타[sabbasaṅkhārasamatha] / 134

• 세 가지 행(行)[saṅkhārā]의 연결된 의미 (Ⅰ) / 137

• 세 가지 행(行)[saṅkhārā]의 연결된 의미 (Ⅱ) / 138




PART Ⅱ - 용례적 접근



주제5. 깨달음의 정의 / 179


Ⅰ. tasmā buddhosmi[그래서 나는 부처이다]의 용례 / 179


[그림 교재]


• 사성제(四聖諦) - ①포괄적인 사성제(四聖諦) / 181

• 사성제(四聖諦) - ②심층적인 사성제(四聖諦) / 182


Ⅱ. 깨달음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경전 용례

    ㅡ 「taṃ tathāgato abhisambujjhati abhisameti 여래는 이것을 깨닫고 실현하였다」 / 183


1. 여래(如來)의 출현과 무관하게 존재하는 조건성 ㅡ ①삼법인(三法印) / 183

2. 여래(如來)의 출현과 무관하게 존재하는 조건성 ㅡ ②연기(緣起)와 연기(緣起)된 법(法) / 184

3. 오온(五蘊)의 특성 ㅡ pupphasuttaṃ (SN 22.94)[꽃 경] / 186


Ⅲ. 여래가 스스로 실답게 알았기 때문에 실현한 뒤 선언한 법들[ye tathāgato sayaṃ abhiññā sacchikatvā pavedeti] ㅡ brahmajālasuttaṃ(DN1)[범망경(梵網經)] / 189


Ⅳ. 여래에 의해 스스로 실답게 알았기 때문에 실현한 뒤 선언된 법들[mayā sayaṃ abhiññā sacchikatvā paveditāni] / 194


1. 세 가지 비상(非常)함 → 가르침의 비상(非常)함 / 194

2. 네 가지 업 / 197

3. 바라문의 진실 네 가지 / 201

4. 일곱 가지 칭찬의 토대 / 204


Ⅴ. 여래(如來)에 의해서 실답게 안 뒤에 설해진 법들[mayā dhammā abhiññā desitā] ㅡ 일곱 가지 보리분법(菩提分法) / 206


Ⅵ. 여래(如來)에 의한 법[mayā dhammo] / 210


1. mahāparinibbānasuttaṃ (DN 16)[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 / 210

2. pāthikasuttaṃ, sunakkhattavatthu (DN 24.1)[빠티까 경] / 211

3. alagaddūpamasuttaṃ (MN 22)[뱀의 비유 경] / 212

4. bahuvedanīyasuttaṃ (MN 59)[많은 경험 경] / 214

5. kalyāṇamittasuttaṃ (SN 3.18)[선우(善友) 경] / 215

6. dutiyadasabalasuttaṃ (SN 12.22)[십력(十力) 경2] / 215

7. pālileyyasuttaṃ (SN 22.81)[빨리레이야 경] / 215

8. paṭhamagilānasuttaṃ (SN 35.57)[병 경1] / 216

9. dutiyagilānasuttaṃ (SN 35.58)[병 경2] / 216

10. titthāyatanādisuttaṃ (AN 3.62)[외도의 주장 경(A3:61)] / 217



주제6. 전승(傳乘)의 중심 네 가지 / 218


[그림 교재]


• 전승(傳承)의 중심 네 가지 / 221

• 사성제(四聖諦)의 개념[전승된 가르침과의 연결] / 222

• 칠불통계(七佛通戒) / 223



주제7. 두 단계의 깨달음 ㅡ 예류자(預流者)와 아라한(阿羅漢) / 224


Ⅰ. 두 단계의 깨달음 ㅡ 예류자(預流者)와 아라한(阿羅漢) / 224


Ⅱ. 비유를 통해 깨달음을 두 단계로 설명하는 경전들 / 232


Ⅲ. 여실지견(如實知見) → 염오(厭惡)-이탐(離貪)-소멸(消滅)[해탈(解脫)] / 239


[참고] dhammacakkhu[법안(法眼)]의 두 가지 용례 / 240


Ⅳ. 세 단계로의 구분 / 241


[그림 교재]


• 인식-지혜-앎의 단계적 향상 / 242



주제8. 깨달음의 선언 / 243


Ⅰ. 깨달음의 선언 / 243


● 깨달음의 선언의 근거가 되는 교리 / 243


● 경전 용례 / 244


1. 매력(魅力)-위험(危險)-해방(解放)[assāda-ādīnava-nissaraṇa]을 말하는 경전들     / 244

2. 일어남과 사라짐과 매력(魅力)과 위험(危險)과 해방(解放) / 246

3. 오취온(五取蘊)의 네 가지 양상 / 247

4. 사성제(四聖諦)의 삼전십이행(三轉十二行) / 247

5. 구차제정(九次第定)의 증득 / 250

6. 음행의 족쇄 / 253

7. 신(神)들에 대한 지견(知見) / 254


Ⅱ. ‘anuttaraṃ sammāsambodhiṃ abhisambuddho[위없는 바른 깨달음을 깨달았다]’의 일반적 용례 / 259


[그림 교재]


• assāda-ādīnava-nissaraṇa의 번역들 / 244



주제8-1. 완전한 지혜 & 완전한 열반의 선언 / 265


• paṭhamakosalasuttaṃ (AN 10.29)[꼬살라 경1] / 266


[그림 교재]


• 욕(慾)-색(色)-수(受)의 매력(魅力)-위험(危險)-해방(解放) ㅡ 괴로움 덩어리 큰 경(M13) / 265



【부록】 수행지도(修行地圖)


• 다섯 가지 기능[오근(五根)]의 개념도 - Ⅰ / 276

• 다섯 가지 기능[오근(五根)]의 개념도 - Ⅱ / 277

• 수행의 중심 개념 / 278

• 사념처(四念處)의 개념[보는 자와 염처(念處)의 관계] / 279


• takka를 중심에 둔 수행지도(修行地圖) / 280

• 내면의 영역과 높은 수행의 이해 / 281

• takka의 분석[심(心)의 형성과정 ↔ 활동성] → 깨달음의 수행법 / 282


• 수행지도(修行地圖) (Ⅰ)[바른 삼매를 토대로 번뇌를 부숨] / 283

• 수행지도(修行地圖) (Ⅱ)[여실지견(如實知見)을 토대로 번뇌를 부숨] / 284

• 수행지도(修行地圖) (Ⅲ)[사띠토대를 토대로 번뇌를 부숨] / 285

• 수행지도(修行地圖) (Ⅳ)[단계지어지지 않은 번뇌를 부숨] / 286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