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사회참여/외부특강 > 학술세미나 > 깨달음

학술세미나

[교재] 【첨부2-1】 ponobbhavika 또는 ponobhavika의 용례

1 549 2018.03.02 20:34

【첨부2-1】 ponobbhavika 또는 ponobhavika의 용례


• ponobbhavika: leading to rebirth. (adj.)


‘다시 존재로 이끄는 것’이라는 의미를 가지는 이 용어는 두 가지 용례를 중심으로 사용되는데, 중생의 윤회하는 삶의 근본 원인을 설명해 줍니다.


• saṃkilesikā ponobbhavikā sadarā dukkhavipākā āyatiṃ jātijarāmaraṇiyā

  「오염원이고 다시 존재로 이끌고 두렵고 괴로운 보(報)를 가져오고 미래의 태어남과 늙음과 죽음을 초래하는」


• taṇhā ponobbhavikā nandīrāgasahagatā tatratatrābhinandinī, seyyathidaṃ — kāmataṇhā bhavataṇhā vibhavataṇhā

 「다시 존재로 이끌고, nandī와 rāga가 함께하며, 여기저기서 즐기는 자인 갈애 즉 욕애(慾愛)-유애(有愛)-무유애(無有愛)」


[Ⅰ] saṃkilesikā ponobbhavikā sadarā dukkhavipākā āyatiṃ jātijarāmaraṇiyā

  「오염원이고 다시 존재로 이끌고 두렵고 괴로운 보(報)를 가져오고 미래의 태어남과 늙음과 죽음을 초래하는」


이 용례는 akusalā dhammā[악한 불선법(不善法)]을 중심 개념으로 나타납니다. 그 위에서 akusalā dhammā가 무엇인지 알려주는 용례와 어떤 경우에 akusalā dhammā이 작용하는지의 용례입니다.


1. akusalā dhammā[악한 불선법(不善法)]을 직접 설하는 경전들


1) udumbarikasuttaṃ(D25)[우둠바리까 사자후 경]


santi ca kho, nigrodha, akusalā dhammā appahīnā saṃkilesikā ponobbhavikā sadarā dukkhavipākā āyatiṃ jātijarāmaraṇiyā, yesāhaṃ pahānāya dhammaṃ desemi. yathāpaṭipannānaṃ vo saṃkilesikā dhammā pahīyissanti, vodānīyā dhammā abhivaḍḍhissanti, paññāpāripūriṃ vepullattañca diṭṭheva dhamme sayaṃ abhiññā sacchikatvā upasampajja viharissathā”ti.


니그로다여, 오염원이고 다시 존재로 이끌고 두렵고 괴로운 보(報)를 가져오고 미래의 태어남과 늙음과 죽음을 초래하는 악한 불선법(不善法)들이 버려지지 않은 채로 있다면, 그런 것을 버리기 위해 나는 법을 설한다. 그대들이 그대로 실천하면 오염원인 법들이 버려질 것이고 깨끗한 법들은 증장할 것이며 지혜의 완성을 충족하여 지금 여기에서 스스로 실답게 알았기 때문에 실현한 뒤 구족하여 머물 것이다.”


2) mahāassapurasuttaṃ (MN 39.1)[앗사뿌라 긴 경]


“ayaṃ vuccati, bhikkhave, bhikkhu ‘samaṇo’ itipi ‘brāhmaṇo’itipi ‘nhātako’itipi ‘vedagū’itipi ‘sottiyo’itipi ‘ariyo’itipi ‘arahaṃ’itipi. 


"비구들이여, 이런 비구를 두고 사문이라고도 하고, 바라문이라고도 하고, 목욕을 마친 자라고도 하고, 앎의 달인이라고도 하고, 깨끗한 자라고도 하고, 성스러운 자라고도 하고, 아라한이라고도 한다. 


kathañca, bhikkhave, bhikkhu samaṇo hoti? samitāssa honti pāpakā akusalā dhammā, saṃkilesikā, ponobbhavikā, sadarā, dukkhavipākā, āyatiṃ, jātijarāmaraṇiyā. evaṃ kho, bhikkhave, bhikkhu samaṇo hoti.


비구들이여, 어떻게 비구가 사문인가? 그는 오염원이고 다시 존재로 이끌고 두렵고 괴로운 보(報)를 가져오고 미래의 태어남과 늙음과 죽음을 초래하는 악한 불선법(不善法)들을 가라앉혔다. 비구들이여, 그러므로 비구는 사문이다."


“kathañca, bhikkhave, bhikkhu brāhmaṇo hoti? bāhitāssa honti pāpakā akusalā dhammā, saṃkilesikā, ponobbhavikā, sadarā, dukkhavipākā, āyatiṃ, jātijarāmaraṇiyā. evaṃ kho, bhikkhave, bhikkhu brāhmaṇo hoti.


"비구들이여, 어떻게 비구가 바라문인가? 그는 오염원이고 다시 존재로 이끌고 두렵고 괴로운 보(報)를 가져오고 미래의 태어남과 늙음과 죽음을 초래하는 악한 불선법(不善法)들을 내쫓았다. 비구들이여, 그러므로 비구는 바라문이다.“


“kathañca, bhikkhave, bhikkhu nhātako hoti? nhātāssa honti pāpakā akusalā dhammā, saṃkilesikā, ponobbhavikā, sadarā, dukkhavipākā, āyatiṃ, jātijarāmaraṇiyā. evaṃ kho, bhikkhave, bhikkhu nhātako hoti.


"비구들이여, 어떻게 비구가 목욕을 마친 자인가? 그는 오염원이고 다시 존재로 이끌고 두렵고 괴로운 보(報)를 가져오고 미래의 태어남과 늙음과 죽음을 초래하는 악한 불선법(不善法)들을 씻었다. 비구들이여, 그러므로 비구는 목욕을 마친 자이다."


“kathañca, bhikkhave, bhikkhu vedagū hoti? viditāssa honti pāpakā akusalā dhammā, saṃkilesikā, ponobbhavikā, sadarā, dukkhavipākā, āyatiṃ, jātijarāmaraṇiyā. evaṃ kho, bhikkhave, bhikkhu vedagū hoti.


"비구들이여, 어떻게 비구가 앎의 달인인가? 그는 오염원이고 다시 존재로 이끌고 두렵고 괴로운 보(報)를 가져오고 미래의 태어남과 늙음과 죽음을 초래하는 악한 불선법(不善法)들을 알았다. 비구들이여, 그러므로 비구는 앎의 달인이다."


“kathañca, bhikkhave, bhikkhu sottiyo hoti? nissutāssa honti pāpakā akusalā dhammā, saṃkilesikā, ponobbhavikā, sadarā, dukkhavipākā, āyatiṃ, jātijarāmaraṇiyā. evaṃ kho, bhikkhave, bhikkhu sottiyo hoti.


"비구들이여, 어떻게 비구가 깨끗한 자인가? 그는 오염원이고 다시 존재로 이끌고 두렵고 괴로운 보(報)를 가져오고 미래의 태어남과 늙음과 죽음을 초래하는 악한 불선법(不善法)들을 흘려보냈다. 비구들이여, 그러므로 비구는 깨끗한 자이다."


“kathañca, bhikkhave, bhikkhu ariyo hoti? ārakāssa honti pāpakā akusalā dhammā, saṃkilesikā, ponobbhavikā, sadarā, dukkhavipākā, āyatiṃ, jātijarāmaraṇiyā. evaṃ kho, bhikkhave, bhikkhu ariyo hoti.


"비구들이여, 어떻게 비구가 성스러운 자인가? 그는 오염원이고 다시 존재로 이끌고 두렵고 괴로운 보(報)를 가져오고 미래의 태어남과 늙음과 죽음을 초래하는 악한 불선법(不善法)들을 멀리 여의었다. 비구들이여, 그러므로 비구는 성스러운 자이다."


“kathañca, bhikkhave, bhikkhu arahaṃ hoti? ārakāssa honti pāpakā akusalā dhammā, saṃkilesikā, ponobbhavikā, sadarā, dukkhavipākā, āyatiṃ, jātijarāmaraṇiyā. evaṃ kho, bhikkhave, bhikkhu arahaṃ hotī”ti. 


"비구들이여, 어떻게 비구가 아라한인가? 그는 오염원이고 다시 존재로 이끌고 두렵고 괴로운 보(報)를 가져오고 미래의 태어남과 늙음과 죽음을 초래하는 악한 불선법(不善法)들을 멀리 여의었다. 비구들이여, 그러므로 비구는 아라한이다.”


2. akusalā dhammā[악한 불선법(不善法)]이 무엇인지 알려주는 경전들


가. akusalā dhammā = āsavā[번뇌 – 루(漏)]


; āsavā saṃkilesikā ponobbhavikā sadarā dukkhavipākā āyatiṃ jātijarāmaraṇiyā


1) mahāsaccakasuttaṃ (MN 36)[삿짜까 큰 경]


bhagavā etadavoca — “yassa kassaci, aggivessana, ye āsavā saṃkilesikā ponobbhavikā sadarā dukkhavipākā āyatiṃ jātijarāmaraṇiyā appahīnā, tamahaṃ ‘sammūḷho’ti vadāmi. āsavānañhi, aggivessana, appahānā sammūḷho hoti. yassa kassaci, aggivessana, ye āsavā saṃkilesikā ponobbhavikā sadarā dukkhavipākā āyatiṃ jātijarāmaraṇiyā pahīnā, tamahaṃ ‘asammūḷho’ti vadāmi. āsavānañhi, aggivessana, pahānā asammūḷho hoti.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ㅡ "악기웻사나여, 오염원이고 다시 존재로 이끌고 두렵고 괴로운 보(報)를 가져오고 미래의 태어남과 늙음과 죽음을 초래하는 번뇌들을 버리지 못한 자를 나는 미혹한 사람이라고 부른다. 악기웻사나여, 오염원이고 다시 존재로 이끌고 두렵고 괴로운 보(報)를 가져오고 미래의 태어남과 늙음과 죽음을 초래하는 번뇌들을 버린 자를 나는 미혹하지 않은 사람이라고 부른다. 악기웻사나여, 번뇌들을 버리면 미혹하지 않기 때문이다.


“tathāgatassa kho, aggivessana, ye āsavā saṃkilesikā ponobbhavikā sadarā dukkhavipākā āyatiṃ jātijarāmaraṇiyā pahīnā ucchinnamūlā tālāvatthukatā anabhāvaṃkatā āyatiṃ anuppādadhammā. seyyathāpi, aggivessana, tālo matthakacchinno abhabbo puna virūḷhiyā, evameva kho, aggivessana, tathāgatassa ye āsavā saṃkilesikā ponobbhavikā sadarā dukkhavipākā āyatiṃ jātijarāmaraṇiyā pahīnā ucchinnamūlā tālāvatthukatā anabhāvaṃkatā āyatiṃ anuppādadhammā”ti. 


악기웻사나여, 여래에게 오염원이고 다시 존재로 이끌고 두렵고 괴로운 보(報)를 가져오고 미래의 태어남과 늙음과 죽음을 초래하는 번뇌들은 버려졌고 뿌리 뽑혔고 윗부분이 잘린 야자수처럼 되었고 존재하지 않게 되었고 미래에 생겨나지 않는 상태가 되었다. 악기웻사나여, 예를 들면 야자수 나무가 윗부분을 잘라버리면 다시 자랄 수 없는 것과 같다. 악기웻사나여, 그와 같이 여래에게 오염원이고 다시 존재로 이끌고 두렵고 괴로운 보(報)를 가져오고 미래의 태어남과 늙음과 죽음을 초래하는 번뇌들은 버려졌고 뿌리 뽑혔고 윗부분이 잘린 야자수처럼 되었고 존재하지 않게 되었고 미래에 생겨나지 않는 상태가 되었다.


2) brahmanimantanikasuttaṃ (MN 49)[범천의 초대 경]


desentopi hi, pāpima, tathāgato sāvakānaṃ dhammaṃ tādisova adesentopi hi, pāpima, tathāgato sāvakānaṃ dhammaṃ tādisova. upanentopi hi, pāpima, tathāgato sāvake tādisova, anupanentopi hi, pāpima, tathāgato sāvake tādisova. taṃ kissa hetu? tathāgatassa, pāpima, ye āsavā saṃkilesikā ponobbhavikā sadarā dukkhavipākā āyatiṃ jātijarāmaraṇiyā — te pahīnā ucchinnamūlā tālāvatthukatā anabhāvaṃkatā āyatiṃ anuppādadhammā. seyyathāpi, pāpima, tālo matthakacchinno abhabbo puna virūḷhiyā; evameva kho, pāpima, tathāgatassa ye āsavā saṃkilesikā ponobbhavikā sadarā dukkhavipākā āyatiṃ jātijarāmaraṇiyā — te pahīnā ucchinnamūlā tālāvatthukatā anabhāvaṃkatā āyatiṃ anuppādadhammāti. 


빠삐만이여, 여래는 제자들에게 법을 설하더라도 한결같고 여래는 제자들에게 법을 설하지 않더라도 한결같다. 사악한 자여, 여래는 제자들을 지도하더라도 한결같고 여래는 제자들을 지도하지 않더라도 한결같다. 그것은 무슨 까닭인가? 빠삐만이여, 여래에게 오염원이고 다시 존재로 이끌고 두렵고 괴로운 보(報)를 가져오고 미래의 태어남과 늙음과 죽음을 초래하는 번뇌들은 버려졌고 뿌리 뽑혔고 윗부분이 잘린 야자수처럼 되었고 존재하지 않게 되었고 미래에 생겨나지 않는 상태가 되었다. 빠삐만이여, 예를 들면 야자수 나무가 윗부분을 잘라버리면 다시 자랄 수 없는 것과 같다. 빠삐만이여, 그와 같이 여래에게 오염원이고 다시 존재로 이끌고 두렵고 괴로운 보(報)를 가져오고 미래의 태어남과 늙음과 죽음을 초래하는 번뇌들은 버려졌고 뿌리 뽑혔고 윗부분이 잘린 야자수처럼 되었고 존재하지 않게 되었고 미래에 생겨나지 않는 상태가 되었다.


3) naḷakapānasuttaṃ (MN 68)[날라까빠나 경]


“sādhu sādhu, anuruddhā! tathāgatassa, anuruddhā, ye āsavā saṃkilesikā ponobbhavikā sadarā dukkhavipākā āyatiṃ jātijarāmaraṇiyā, pahīnā te ucchinnamūlā tālāvatthukatā anabhāvaṃkatā āyatiṃ anuppādadhammā. seyyathāpi, anuruddhā, tālo matthakacchinno abhabbo punavirūḷhiyā; evameva kho, anuruddhā, tathāgatassa ye āsavā saṃkilesikā ponobbhavikā sadarā dukkhavipākā āyatiṃ jātijarāmaraṇiyā, pahīnā te ucchinnamūlā tālāvatthukatā anabhāvaṃkatā āyatiṃ anuppādadhammā; tasmā tathāgato saṅkhāyekaṃ paṭisevati, saṅkhāyekaṃ adhivāseti, saṅkhāyekaṃ parivajjeti, saṅkhāyekaṃ vinodeti”.


훌륭하고 훌륭하다, 아누룻다들이여. 여래에게서 오염원이고 다시 존재로 이끌고 두렵고 괴로운 보(報)를 가져오고 미래의 태어남과 늙음과 죽음을 초래하는 번뇌들은 모두 버려졌고 뿌리 뽑혔고 윗부분이 잘린 야자수처럼 되었고 존재하지 않게 되었고 미래에 생겨나지 않는 상태가 되었다. 아누룻다들이여, 예를 들면 윗부분이 잘린 야자수가 다시 자랄 수 없는 것처럼, 여래에게서 오염원이고 다시 존재로 이끌고 두렵고 괴로운 보(報)를 가져오고 미래의 태어남과 늙음과 죽음을 초래하는 번뇌들은 모두 버려졌고 뿌리 뽑혔고 윗부분이 잘린 야자수처럼 되었고 존재하지 않게 되었고 미래에 생겨나지 않는 상태가 되었다. 그래서 여래는 헤아린 뒤에 어떤 것을 수용하고, 헤아린 뒤에 어떤 것을 참고, 헤아린 뒤에 어떤 것을 피하고, 헤아린 뒤에 어떤 것을 버린다.


나. akusalā dhammā = (pubbe attanā katāni) pāpakāni kammāni[(이전에 내가 지은) 악한 업들]


1) pāṭibhogasuttaṃ (AN 4.182)[보증 경]


“catunnaṃ, bhikkhave, dhammānaṃ natthi koci pāṭibhogo — samaṇo vā brāhmaṇo vā devo vā māro vā brahmā vā koci vā lokasmiṃ.


“비구들이여, 네 가지 법들에 대해서는 어떤 사문도 바라문도 신도 마라도 범천도 이 세상의 그 누구도 보증하지 못한다.


“katamesaṃ catunnaṃ? ‘jarādhammaṃ mā jīrī’ti natthi koci pāṭibhogo — samaṇo vā brāhmaṇo vā devo vā māro vā brahmā vā koci vā lokasmiṃ; ‘byādhidhammaṃ mā byādhiyī’ti natthi koci pāṭibhogo — samaṇo vā brāhmaṇo vā devo vā māro vā brahmā vā koci vā lokasmiṃ; ‘maraṇadhammaṃ mā mīyī’ti natthi koci pāṭibhogo — samaṇo vā brāhmaṇo vā devo vā māro vā brahmā vā koci vā lokasmiṃ; ‘yāni kho pana tāni pubbe attanā katāni pāpakāni kammāni saṃkilesikāni ponobhavikāni sadarāni dukkhavipākāni āyatiṃ jātijarāmaraṇikāni, tesaṃ vipāko mā nibbattī’ti natthi koci pāṭibhogo — samaṇo vā brāhmaṇo vā devo vā māro vā brahmā vā koci vā lokasmiṃ. 


무엇이 넷인가? ‘늙는 것에 대해 늙지 말라.’고 어떤 사문도 바라문도 신도 마라도 범천도 이 세상의 그 누구도 보증하지 못한다. ‘병드는 것에 대해 병들지 말라.’고 어떤 사문도 바라문도 신도 마라도 범천도 이 세상의 그 누구도 보증하지 못한다. ‘죽는 것에 대해 죽지 말라.’고 어떤 사문도 바라문도 신도 마라도 범천도 이 세상의 그 누구도 보중하지 못한다. 이전에 내가 지은 오염원이고 다시 존재로 이끌고 두렵고 괴로운 보(報)를 가져오고 미래의 태어남과 늙음과 죽음을 초래하는 악한 업들에 대해 그 보(報)가 생기지 말라.’고 어떤 사문도 바라문도 신도 마라도 범천도 이 세상의 그 누구도 보증하지 못한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네 가지 법들에 대해서는 어떤 사문도 바라문도 신도 마라도 범천도 이 세상의 그 누구도 보증하지 못한다.”


다. akusalā dhammā = cattāro yogā[네 가지 속박]


1) yogasuttaṃ (AN 4.10)[속박 경]


iti kāmayogo bhavayogo diṭṭhiyogo avijjāyogo, saṃyutto pāpakehi akusalehi dhammehi saṃkilesikehi ponobhavikehi sadarehi dukkhavipākehi āyatiṃ jātijarāmaraṇikehi. tasmā ayogakkhemīti vuccati. ime kho, bhikkhave, cattāro yogā.


이렇게 소유의 속박과 존재의 속박과 견해의 속박과 무명의 속박이 있고, 오염원이고 다시 존재로 이끌고 두렵고 괴로운 보(報)를 가져오고 미래의 태어남과 늙음과 죽음을 초래하는 악하고 해로운 법들에 묶여있다. 그래서 속박에서 벗어나지 못한 자[유가안온(瑜伽安穩)하지 못한 자]라고 불린다. 이것이 네 가지 속박이다.


iti kāmayogavisaṃyogo bhavayogavisaṃyogo diṭṭhiyogavisaṃyogo avijjāyogavisaṃyogo, visaṃyutto pāpakehi akusalehi dhammehi saṃkilesikehi ponobhavikehi sadarehi dukkhavipākehi āyatiṃ jātijarāmaraṇikehi. tasmā yogakkhemīti vuccati. ime kho, bhikkhave, cattāro visaṃyogā”ti.


이렇게 소유의 속박에서 벗어남과 존재의 속박에서 벗어남과 견해의 속박에서 벗어남과 무명의 속박에서 벗어남이 있고, 오염원이고 다시 존재로 이끌고 두렵고 괴로운 보(報)를 가져오고 미래의 태어남과 늙음과 죽음을 초래하는 악하고 해로운 법들에서 벗어난다. 그래서 속박에서 벗어난 자[유가안온(瑜伽安穩)한 자]라고 불린다. 이것이 네 가지 속박에서 벗어남이다.


3. 어떤 경우에 akusalā dhammā이 작용하는지를 설명하는 경전들


1) 재난에 빠짐 → akusalā dhammā가 그를 무너뜨림.

  ; mahāsuññatasuttaṃ (MN 122.1)[공(空)에 대한 큰 경]


ayaṃ vuccatānanda, upaddavo ācariyo. ācariyūpaddavena avadhiṃsu naṃ pāpakā akusalā dhammā saṃkilesikā ponobbhavikā sadarā dukkhavipākā āyatiṃ jātijarāmaraṇiyā. evaṃ kho, ānanda, ācariyūpaddavo hoti.


아난다여, 이 스승은 스승의 재난에 의해 재난에 빠졌다고 한다. 정신적 오염원이고 다시 존재로 이끌고 두렵고 괴로운 보(報)를 가져오고 미래의 태어남과 늙음과 죽음을 초래하는 악한 불선법(不善法)들이 그를 무너뜨린다. 아난다여, 이것이 스승의 재난이다.


ayaṃ vuccatānanda, upaddavo antevāsī. antevāsūpaddavena avadhiṃsu naṃ pāpakā akusalā dhammā saṃkilesikā ponobbhavikā sadarā dukkhavipākā āyatiṃ jātijarāmaraṇiyā. evaṃ kho, ānanda, antevāsūpaddavo hoti.


아난다여, 이 제자는 제자의 재난에 의해 재난에 빠졌다고 한다. 정신적 오염원이고 다시 존재로 이끌고 두렵고 괴로운 보(報)를 가져오고 미래의 태어남과 늙음과 죽음을 초래하는 악한 불선법(不善法)들이 그를 무너뜨린다. 아난다여, 이것이 제자의 재난이다." 


ayaṃ vuccatānanda, upaddavo brahmacārī. brahmacārūpaddavena avadhiṃsu naṃ pāpakā akusalā dhammā saṃkilesikā ponobbhavikā sadarā dukkhavipākā āyatiṃ jātijarāmaraṇiyā. evaṃ kho, ānanda, brahmacārūpaddavo hoti.


아난다여, 이 범행을 닦는 자는 범행을 닦는 자의 재난에 의해 재난에 빠졌다고 한다. 정신적 오염원이고 다시 존재로 이끌고 두렵고 괴로운 보(報)를 가져오고 미래의 태어남과 늙음과 죽음을 초래하는 악한 불선법(不善法)들이 그를 무너뜨린다. 아난다여, 이것이 범행을 닦는 자의 재난이다.  


“tatrānanda, yo cevāyaṃ ācariyūpaddavo, yo ca antevāsūpaddavo ayaṃ tehi brahmacārūpaddavo dukkhavipākataro ceva kaṭukavipākataro ca, api ca vinipātāya saṃvattati. 


아난다여, 여기서 범행을 닦는 자의 재난은 스승의 재난이나 제자의 재난보다 더 괴로운 보(報)를 초래하고, 더 쓴 보(報)를 가져오며, 악처에 떨어지게도 한다.


2) 육외입처(六外入處)에 제압됨 → akusalā dhammā가 그를 제압함.

  ; avassutapariyāyasuttaṃ (SN 35.196)[오염원들이 흐름에 대한 법문 경(S35:243)]


ayaṃ vuccatāvuso, bhikkhu rūpādhibhūto, saddādhibhūto, gandhādhibhūto, rasādhibhūto, phoṭṭhabbādhibhūto, dhammādhibhūto, adhibhūto, anadhibhū, adhibhaṃsu naṃ pāpakā akusalā dhammā saṃkilesikā ponobbhavikā sadarā dukkhavipākā āyatiṃ jātijarāmaraṇiyā. evaṃ kho, āvuso, avassuto hoti. 


도반들이여, 이를 일러 비구는 색(色)에 제압되었다. 성(聲)에 제압되었다. 향(香)에 제압되었다. 미(味)에 제압되었다. 촉(觸)에 제압되었다. 법(法)에 제압되었다고 합니다. 그는 제압된 자요, 제압하지 못하는 자라 합니다. 그러면 정신적 오염원이고 다시 존재로 이끌고 두렵고 괴로운 보(報)를 가져오고 미래의 태어남과 늙음과 죽음을 초래하는 악한 불선법(不善法)들이 그를 제압합니다. 도반들이여, 이와 같이 오염원들이 흐릅니다.


ayaṃ vuccatāvuso, bhikkhu rūpādhibhū, saddādhibhū, gandhādhibhū, rasādhibhū, phoṭṭhabbādhibhū, dhammādhibhū, adhibhū, anadhibhūto, adhibhosi te pāpake akusale dhamme saṃkilesike ponobbhavike sadare dukkhavipāke āyatiṃ jātijarāmaraṇiye. evaṃ kho, āvuso, anavassuto hotī”ti.


도반들이여, 이를 일러 비구는 색(色)에 제압되지 않았다. 성(聲)에 제압되지 않았다. 향(香)에 제압되지 않았다. 미(味)에 제압되지 않았다. 촉(觸)에 제압되지 않았다. 법(法)에 제압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는 제압하는 자요 제압된 자가 아니라고 합니다. 그러면 정신적 오염원이고 다시 존재로 이끌고 두렵고 괴로운 보(報)를 가져오고 미래의 태어남과 늙음과 죽음을 초래하는 악한 불선법(不善法)들이 그를  제압하지 못합니다. 도반들이여, 이와 같이 오염원들이 흐르지 않습니다.


[Ⅱ] taṇhā ponobbhavikā nandīrāgasahagatā tatratatrābhinandinī, seyyathidaṃ 

    — kāmataṇhā bhavataṇhā vibhavataṇhā

 「다시 존재로 이끌고, nandī와 rāga가 함께하며, 여기저기서 즐기는 자인 갈애 즉 욕애(慾愛)-유애(有愛)-무유애(無有愛)」


; 이 구문은 갈애[애(愛)]의 정의인데, 네 가지 경우에서 나타납니다.


1. dukkhasamudayaṃ ariyasaccaṃ - 사성제(四聖諦)의 고집성제(苦集聖諦)


1) mahāsatipaṭṭhānasuttaṃ (DN 22)[대념처경(大念處經)]

2) sammādiṭṭhisuttaṃ (MN 9)[정견(正見) 경]

3) mahāsatipaṭṭhānasuttaṃ (MN 10)[염처경(念處經)]

4) saccavibhaṅgasuttaṃ (MN 141)[진리의 분석 경]

5) dhammacakkappavattanasuttaṃ (SN 56.11)[전법륜경(轉法輪經)]

6) khandhasuttaṃ (SN 56.13)[무더기 경]

7) ajjhattikāyatanasuttaṃ (SN 56.14)[내입처(內入處) 경]

8) dukkhasuttaṃ (SN 22.104)[괴로움 경]


2. sakkāyasamudayo – 유신(有身)의 일어남


1) cūḷavedallasuttaṃ (MN 44)[교리문답의 작은 경]

2) antasuttaṃ (SN 22.103)[구분 경]

3) sakkāyasuttaṃ (SN 22.105)[유신(有身) 경]


3. bhārādānaṃ - 짐을 지는 것


1) bhārasuttaṃ (SN 22.22)[짐 경]


4. aghamūlaṃ - 재난의 뿌리


1) aghamūlasuttaṃ (SN 22.31)[재난의 뿌리 경]


[Ⅲ] taṇhāya ponobbhavikāya na vasaṃ gacchissanti[다시 존재로 이끄는 갈애의 지배를 받지 않는다]의 용례


1) mahāparinibbānasuttaṃ (DN 16)[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

2) paṭhamasattakasuttaṃ (AN 7.23)[믿음 경]


[Ⅳ] taṇhā cassa ponobbhavikā nandīrāgasahagatā tatratatrābhinandinī, sā cassa pavaḍḍhati / pahīyati[다시 존재로 이끌고, nandī와 rāga가 함께하며, 여기저기서 즐기는 자인 갈애가 증가 한다 / 버려진다]의 용례


1) mahāsaḷāyatanikasuttaṃ (MN 149)[위대한 여섯 감각장소 경]


[Ⅴ] 기타의 용례


1. ponobbhaviko jātisaṃsāro pahīno hoti[다시 존재로 이끄는 태어남의 윤회를 버렸다]의 용례


1) alagaddūpamasuttaṃ (MN 22)[뱀의 비유 경]


“evaṃ passaṃ, bhikkhave, sutavā ariyasāvako rūpasmiṃ nibbindati, vedanāya nibbindati, saññāya nibbindati, saṅkhāresu nibbindati, viññāṇasmiṃ nibbindati, nibbidā virajjati, virāgā vimuccati, vimuttasmiṃ vimuttamiti ñāṇaṃ hoti. ‘khīṇā jāti, vusitaṃ brahmacariyaṃ, kataṃ karaṇīyaṃ, nāparaṃ itthattāyā’ti pajānāti. ayaṃ vuccati, bhikkhave, bhikkhu ukkhittapaligho itipi, saṃkiṇṇaparikkho itipi, abbūḷhesiko itipi, niraggaḷo itipi, ariyo pannaddhajo pannabhāro visaṃyutto itipi.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보면서 잘 배운 성스러운 제자는 색(色)에 대해 염오(厭惡)하고 수(受)에 대해 염오하고 상(想)에 대해 염오하고 행(行)에 대해 염오하고 식(識)에 대해 염오한다. 염오로부터 이탐(離貪)하고, 이탐으로부터 해탈(解脫)한다. 해탈에서 해탈했다는 앎이 있다. ‘태어남은 다했다. 범행은 완성되었다. 해야 할 일을 했다. 다음에는 현재 상태[유(有)]가 되지 않는다.’라고 분명히 안다. 비구들이여, 이 비구는 빗장을 밀어제친 자, 해자를 메운 자, 기둥을 뽑아 버린 자, 걸쇠를 푼 자라라고도 하고, 깃발을 거두었고 짐을 내려놓았고 족쇄를 벗어난 성자라고도 불린다." 


“kathañca, bhikkhave, bhikkhu ukkhittapaligho hoti? idha, bhikkhave, bhikkhuno avijjā pahīnā hoti, ucchinnamūlā tālāvatthukatā anabhāvaṃkatā, āyatiṃ anuppādadhammā. evaṃ kho, bhikkhave, bhikkhu ukkhittapaligho hoti.


"비구들이여, 어떻게 비구는 빗장을 밀어제친 자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무명(無明)을 버렸고 뿌리를 잘랐고 윗부분이 잘린 야자수처럼 만들었고 멸절시켜 미래에 일어나지 않게끔 하였다. 비구들이여, 이렇게 비구는 빗장을 밀어제친 자이다."


“kathañca, bhikkhave, bhikkhu saṃkiṇṇaparikkho hoti? idha, bhikkhave, bhikkhuno ponobbhaviko jātisaṃsāro pahīno hoti, ucchinnamūlo tālāvatthukato anabhāvaṃkato, āyatiṃ anuppādadhammo. evaṃ kho, bhikkhave, bhikkhu saṃkiṇṇaparikkho hoti.


"비구들이여, 어떻게 비구는 해자를 메운 자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다시 존재로 이끄는 태어남의 윤회를 버렸고 뿌리를 잘랐고 윗부분이 잘린 야자수처럼 만들었고 멸절시켜 미래에 일어나지 않게끔 하였다. 비구들이여, 이렇게 비구는 해자를 메운 자이다."


“kathañca, bhikkhave, bhikkhu abbūḷhesiko hoti? idha, bhikkhave, bhikkhuno taṇhā pahīnā hoti, ucchinnamūlā tālāvatthukatā anabhāvaṃkatā, āyatiṃ anuppādadhammā. evaṃ kho, bhikkhave, bhikkhu abbūḷhesiko hoti.


"비구들이여, 어떻게 비구는 기둥을 뽑아버린 자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갈애[애(愛)]를 버렸고 뿌리를 잘랐고 윗부분이 잘린 야자수처럼 만들었고 멸절시켜 미래에 일어나지 않게끔 하였다. 비구들이여, 이렇게 비구는 기둥을 뽑아버린 자이다."


“kathañca, bhikkhave, bhikkhu niraggaḷo hoti? idha, bhikkhave, bhikkhuno pañca orambhāgiyāni saṃyojanāni pahīnāni honti, ucchinnamūlāni tālāvatthukatāni anabhāvaṃkatāni, āyatiṃ anuppādadhammāni. evaṃ kho, bhikkhave, bhikkhu niraggaḷo hoti.


"비구들이여, 어떻게 비구는 걸쇠를 푼 자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오하분결(五下分結)을 버렸고 뿌리를 잘랐고 윗부분이 잘린 야자수처럼 만들었고 멸절시켜 미래에 일어나지 않게끔 하였다. 비구들이여, 이렇게 비구는 걸쇠를 푼 자이다."


“kathañca, bhikkhave, bhikkhu ariyo pannaddhajo pannabhāro visaṃyutto hoti? idha, bhikkhave, bhikkhuno asmimāno pahīno hoti, ucchinnamūlo tālāvatthukato anabhāvaṃkato, āyatiṃ anuppādadhammo. evaṃ kho, bhikkhave, bhikkhu ariyo pannaddhajo pannabhāro visaṃyutto hoti. 


"비구들이여, 어떻게 비구는 깃발을 거두었고 짐을 내려놓았고 족쇄에서 벗어난 성자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나는 있다.’는 자기화를 버렸고 뿌리를 잘랐고 윗부분이 잘린 야자수처럼 만들었고 멸절시켜 미래에 일어나지 않게끔 하였다. 비구들이여, 이렇게 비구는 깃발을 거두었고 짐을 내려놓았고 족쇄에서 벗어난 성자이다.“


2) paṭhamacetovimuttiphalasuttaṃ (AN 5.71)[마음의 해탈의 결실 경1]


“pañcime, bhikkhave, dhammā bhāvitā bahulīkatā cetovimuttiphalā ca honti cetovimuttiphalānisaṃsā ca, paññāvimuttiphalā ca honti paññāvimuttiphalānisaṃsā ca.


비구들이여, 다섯 가지 법들은 닦고 많이 행하면 심해탈(心解脫)의 과(果)와 심해탈의 과(果)의 이익이 있고, 혜해탈(慧解脫)의 과(果)와 혜해탈의 과(果)의 이익이 있다. 


“katame pañca? idha, bhikkhave, bhikkhu asubhānupassī kāye viharati, āhāre paṭikūlasaññī, sabbaloke anabhiratasaññī, sabbasaṅkhāresu aniccānupassī, maraṇasaññā kho panassa ajjhattaṃ sūpaṭṭhitā hoti. ime kho, bhikkhave, pañca dhammā bhāvitā bahulīkatā cetovimuttiphalā ca honti cetovimuttiphalānisaṃsā ca, paññāvimuttiphalā ca honti paññāvimuttiphalānisaṃsā ca. yato kho, bhikkhave, bhikkhu cetovimutto ca hoti paññāvimutto ca hoti — ayaṃ vuccati, bhikkhave, ‘bhikkhu ukkhittapaligho itipi, saṃkiṇṇaparikho itipi, abbūḷhesiko itipi, niraggaḷo itipi, ariyo pannaddhajo pannabhāro visaṃyutto itipi’”. 


무엇이 다섯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몸에서 부정(不淨)을 이어 보면서 머문다. 음식에서 역겨움의 상(想)을 가지고, 온 세상에 즐길 것이 없다는 상(想)을 가지고, 모든 행(行)들에서 무상(無常)을 이어 보며, 죽음의 상(想)을 안으로 잘 확립한다. 비구들이여, 이 다섯 가지 법들은 닦고 많이 행하면 심해탈(心解脫)의 과(果)와 심해탈의 과(果)의 이익이 있고, 혜해탈(慧解脫)의 과(果)와 혜해탈의 과(果)의 이익이 있다. 비구들이여, 비구가 심해탈(心解脫)과 혜해탈(慧解脫)하면, 비구들이여, ‘비구는 빗장을 밀어제친 자라고도, 해자를 메운 자라고도, 기둥을 뽑아 버린 자라고도, 걸쇠를 푼 자라라고도, 깃발을 거두었고 짐을 내려놓았고 족쇄를 벗어난 성자라고도’ 불린다." 


… 이하 <뱀의 비유 경> 반복.


3) dutiyacetovimuttiphalasuttaṃ (AN 5.72)[마음의 해탈의 결실 경2]


pañcime, bhikkhave, dhammā bhāvitā bahulīkatā cetovimuttiphalā ca honti cetovimuttiphalānisaṃsā ca, paññāvimuttiphalā ca honti paññāvimuttiphalānisaṃsā ca. 


비구들이여, 다섯 가지 법들은 닦고 많이 행하면 심해탈(心解脫)의 과(果)와 심해탈의 과(果)의 이익이 있고, 혜해탈(慧解脫)의 과(果)와 혜해탈의 과(果)의 이익이 있다. 


katame pañca? aniccasaññā, anicce dukkhasaññā, dukkhe anattasaññā, pahānasaññā, virāgasaññā — ime kho, bhikkhave, pañca dhammā bhāvitā bahulīkatā cetovimuttiphalā ca honti cetovimuttiphalānisaṃsā ca, paññāvimuttiphalā ca honti paññāvimuttiphalānisaṃsā ca. yato kho, bhikkhave, bhikkhu cetovimutto ca hoti paññāvimutto ca — ayaṃ vuccati, bhikkhave, ‘bhikkhu ukkhittapaligho itipi, saṃkiṇṇaparikho itipi, abbūḷhesiko itipi, niraggaḷo itipi, ariyo pannaddhajo pannabhāro visaṃyutto itipi’”.


무엇이 다섯인가? 무상(無常)의 상(想), 무상(無常)에서 고(苦)의 상(想), 고(苦)에서 무아(無我)의 상(想), 버림의 상(想), 이탐(離貪)의 상(想) ㅡ 비구들이여, 이 다섯 가지 법들은 닦고 많이 행하면 심해탈(心解脫)의 과(果)와 심해탈의 과(果)의 이익이 있고, 혜해탈(慧解脫)의 과(果)와 혜해탈의 과(果)의 이익이 있다. 비구들이여, 비구가 심해탈(心解脫)과 혜해탈(慧解脫)하면, 비구들이여, ‘비구는 빗장을 밀어제친 자라고도, 해자를 메운 자라고도, 기둥을 뽑아 버린 자라고도, 걸쇠를 푼 자라라고도, 깃발을 거두었고 짐을 내려놓았고 족쇄를 벗어난 성자라고도’ 불린다." 


… 이하 <뱀의 비유 경> 반복.


2. ponobhaviko bhavasaṅkhāro[다시 존재로 이끄는 존재의 행(行)]의 용례


1) sarīraṭṭhadhammasuttaṃ (AN 10.49)[몸에 본유적임 경]


“dasayime, bhikkhave, dhammā sarīraṭṭhā. katame dasa? sītaṃ, uṇhaṃ, jighacchā, pipāsā, uccāro, passāvo, kāyasaṃvaro, vacīsaṃvaro, ājīvasaṃvaro, ponobhaviko bhavasaṅkhāro — ime kho, bhikkhave, dasa dhammā sarīraṭṭhā”ti.


“비구들이여, 열 가지는 몸과 본디부터 함께 한다. 무엇이 열인가? 차가움, 더움, 배고픔, 목마름, 대변, 소변, 몸의 단속, 말의 단속, 생활의 단속, 다시 존재로 이끄는 존재의 행(行)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열 가지는 몸과 본디부터 함께 한다.”


Comments

대원행 2022.09.30 22:42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07_08&wr_id=2 참조 (맛지마 니까야 관통 법회 - 68. 날라까빠나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