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사회참여/외부특강 > 학술세미나

학술세미나

[교재] 2. 중생구제(衆生救濟) ㅡ 정등각(正等覺)이 설한 구원(救援)으로 이끄는 법(法)

0 744 2018.03.03 09:27

2. 중생구제(衆生救濟) ㅡ 정등각(正等覺)이 설한 구원(救援)으로 이끄는 법(法)


정등각(正等覺)에 의해 선언된 법은 이익 되고 구원으로 이끕니다. 그래서 그 법을 따라 바르게 실천하는 제자들은 이익 된 삶을 살고, 열반으로 이끌리는 도관(導管)에 흡수되어 고멸(苦滅)을 실현합니다. 법(法)은 부처님에 의해 제시된 중생 구제의 방법이고, 이 방법에 이끌리는 사람들은 구제됩니다. 그러나 정등각에 의해 선언되지 않은 법은 이익 되지 않고 구원으로 이끌지 않습니다. 그래서 그 법에 따라 실천하는 제자들은 이익 되지 못한 삶을 살고 열반으로 이끌리지 못합니다. 그 법의 실천에서 벗어나 정등각이 설한 열반으로 이끄는 도관(導管)으로 흡수되어야 합니다. 


불교 안에서 구제(救濟) 또는 구원(救援)은 오직 정등각인 여래가 설한 법의 실천입니다[법주(法洲)]. 스스로의 실천을 통해 자기를 구원하고[자주(自洲)], 다른 사람들에게 실천을 부추겨서 그들의 구원된 삶을 일으킵니다[포교(布敎) 또는 법보시(法布施)]. 이것이 중생구제(衆生救濟)입니다. 이것이 부처님이 알려주는 중생구제의 실제적인 방법입니다.


pāsādikasuttaṃ, nigaṇṭhanāṭaputtakālaṅkiriyā (DN 29.2)[정신(淨信) 경 니간타 나타뿟따의 죽음] 등은 이렇게 말합니다. 정등각이 아닌 니간타 나타뿟따의 법과 정등각인 부처님의 법의 차이이고, 그 제자들의 삶의 차이입니다.


• niyyāna: going out; departure; release; deliverance. (nt.)

• niyyānika: leading out to salvation; profitable. (adj.)

• niyyāti: goes out; gets out of. (ni + yā + a)


tena kho pana samayena nigaṇṭho nāṭaputto pāvāyaṃ adhunākālaṅkato hoti. tassa kālaṅkiriyāya bhinnā nigaṇṭhā dvedhikajātā bhaṇḍanajātā kalahajātā vivādāpannā aññamaññaṃ mukhasattīhi vitudantā viharanti — “na tvaṃ imaṃ dhammavinayaṃ ājānāsi, ahaṃ imaṃ dhammavinayaṃ ājānāmi, kiṃ tvaṃ imaṃ dhammavinayaṃ ājānissasi? micchāpaṭipanno tvamasi, ahamasmi sammāpaṭipanno. sahitaṃ me, asahitaṃ te. purevacanīyaṃ pacchā avaca, pacchāvacanīyaṃ pure avaca. adhiciṇṇaṃ te viparāvattaṃ, āropito te vādo, niggahito tvamasi, cara vādappamokkhāya, nibbeṭhehi vā sace pahosī”ti. vadhoyeva kho maññe nigaṇṭhesu nāṭaputtiyesu vattati. yepi nigaṇṭhassa nāṭaputtassa sāvakā gihī odātavasanā, tepi nigaṇṭhesu nāṭaputtiyesu nibbinnarūpā virattarūpā paṭivānarūpā, yathā taṃ durakkhāte dhammavinaye duppavedite aniyyānike anupasamasaṃvattanike asammāsambuddhappavedite bhinnathūpe appaṭisaraṇe. 


그때 니간타 나따뿟다가 빠와에서 죽은 뒤의 무렵이었다. 그가 죽자 분열된 니간타들은 둘로 갈라져서 다툼을 일으키고 갈등을 일으키고 논쟁에 빠지고 서로 간에 입의 칼로 찌르며 머물렀다. ㅡ ‘그대는 이 법(法)과 율(律)을 알지 못한다. 나는 이 법과 율을 안다.’, ‘그대가 이 법과 율에 대해 알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가?’, ‘그대는 잘못 실천하는 자이고 나는 바르게 실천하는 자이다.’, ‘나는 일관되지만 그대는 일관되지 않다.’, ‘그대는 앞에 말해야 하는 것을 뒤에 말하고 뒤에 말해야 하는 것을 앞에 말한다.’, ‘그대가 성취한 것은 파기되었다.’, ‘그대가 준비한 말은 비난되었다. 말을 취소하라. 아니면 할 수 있다면 설명해 보라.’라고. [180524]그대는 이 법()과 율()을 알지 못한다. 나는 이 법과 율을 안다.’, ‘어떻게 그대가 이 법과 율을 알 것인가?’, ‘그대는 잘못 실천하는 자이고 나는 바르게 실천하는 자이다.’, ‘나의 말은 일관되지만 그대의 말은 일관되지 않다.’, ‘그대는 앞에 말해야 하는 것을 뒤에 말했고 뒤에 말해야 하는 것을 앞에 말했다.’, ‘그대가 성취한 것은 파기되었다.’, ‘그대가 준비한 말은 비난되었다. 말을 취소하라. 아니면 만약 가능하다면 설명하라.’라고.

 

니간타 나따뿟따의 제자들 사이에서는 오직 투쟁만이 있는 듯하였다. 니간타 나따뿟따의 흰 옷을 입은 재가 제자들도 니간타 나따뿟따의 제자들에게 싫증내는 모습이었고 관심이 떨어진 모습이었고 배척하는 모습이었다. 그것은 법(法)과 율(律)이 잘못 설해지고 잘못 선언되고 구원으로 이끌지 않고 가라앉음으로 이끌지 않고 바르게 깨달은 자[정등각(正等覺)]에 의해 선언되지 않고 탑이 부서지고 귀의처가 아니기 때문이었다. 


~


“evaṃ hetaṃ, cunda, hoti durakkhāte dhammavinaye duppavedite aniyyānike anupasamasaṃvattanike asammāsambuddhappavedite. idha, cunda, satthā ca hoti asammāsambuddho, dhammo ca durakkhāto duppavedito aniyyāniko anupasamasaṃvattaniko asammāsambuddhappavedito, sāvako ca tasmiṃ dhamme na dhammānudhammappaṭipanno viharati na sāmīcippaṭipanno na anudhammacārī, vokkamma ca tamhā dhammā vattati. so evamassa vacanīyo — ‘tassa te, āvuso, lābhā, tassa te suladdhaṃ, satthā ca te asammāsambuddho, dhammo ca durakkhāto duppavedito aniyyāniko anupasamasaṃvattaniko asammāsambuddhappavedito. tvañca tasmiṃ dhamme na dhammānudhammappaṭipanno viharasi, na sāmīcippaṭipanno, na anudhammacārī, vokkamma ca tamhā dhammā vattasī’ti. iti kho, cunda, satthāpi tattha gārayho, dhammopi tattha gārayho, sāvako ca tattha evaṃ pāsaṃso. yo kho, cunda, evarūpaṃ sāvakaṃ evaṃ vadeyya — ‘etāyasmā tathā paṭipajjatu, yathā te satthārā dhammo desito paññatto’ti. yo ca samādapeti, yañca samādapeti, yo ca samādapito tathattāya paṭipajjati. sabbe te bahuṃ apuññaṃ pasavanti. taṃ kissa hetu? evaṃ hetaṃ, cunda, hoti durakkhāte dhammavinaye duppavedite aniyyānike anupasamasaṃvattanike asammāsambuddhappavedite. 


“쭌다여, 참으로 잘못 설해지고 잘못 선언되고 구원으로 이끌지 않고 가라앉음으로 이끌지 않고 정등각(正等覺)에 의해 선언되지 않은 법(法)과 율(律)에서 그것은 그렇다. 


쭌다여, 여기 스승이 정등각(正等覺)이 아니고 법도 잘못 설해지고 잘못 선언되고 구원으로 이끌지 않고 가라앉음으로 이끌지 않고 정등각(正等覺)에 의해 선언되지 않았다. 그러나 제자는 그 법에서 법으로 이끄는 법을 실천하면서 머물지 않고 여법하게 실천하면서 머물지 않고 법을 따라 행하며 머물지 않고 그 법으로부터 벗어난다.

 

그에게 이렇게 말할 것이다. ㅡ ‘도반이여, 그것은 그대에게 이익입니다. 그것은 그대에게 참으로 이익입니다. 그대의 스승은 정등각(正等覺)이 아니고 법도 잘못 설해지고 잘못 선언되고 구원으로 이끌지 않고 가라앉음으로 이끌지 않고 정등각(正等覺)에 의해 선언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그대는 그 법에서 법으로 이끄는 법을 실천하면서 머물지 않고 여법하게 실천하면서 머물지 않고 법을 따라 행하며 머물지 않고 그 법으로부터 벗어납니다.’라고.

 

쭌다여, 이런 경우에는 스승도 거기서 저열하고 법도 거기서 저열하지만 제자는 훌륭하다. 쭌다여, 누가 그런 제자에게 이렇게 말할 것이다. ㅡ ‘참으로 존자여. 그대의 스승이 가르치고 선언한 법에 따라 실천하시오’라고. 이렇게 부추기는 자도, 부추기는 것도, 부추겨져서 그렇게 실천하는 자도 모두 큰 재앙을 쌓게 된다. 그것은 무슨 이유 때문인가? 쭌다여, 그것은 법(法)과 율(律)이 잘못 설해지고 잘못 선언되고 구원으로 이끌지 않고 가라앉음으로 이끌지 않고 정등각(正等覺)에 의해 선언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idha pana, cunda, satthā ca hoti asammāsambuddho, dhammo ca durakkhāto duppavedito aniyyāniko anupasamasaṃvattaniko asammāsambuddhappavedito, sāvako ca tasmiṃ dhamme dhammānudhammappaṭipanno viharati sāmīcippaṭipanno anudhammacārī, samādāya taṃ dhammaṃ vattati. so evamassa vacanīyo — ‘tassa te, āvuso, alābhā, tassa te dulladdhaṃ, satthā ca te asammāsambuddho, dhammo ca durakkhāto duppavedito aniyyāniko anupasamasaṃvattaniko asammāsambuddhappavedito. tvañca tasmiṃ dhamme dhammānudhammappaṭipanno viharasi sāmīcippaṭipanno anudhammacārī, samādāya taṃ dhammaṃ vattasī’ti. iti kho, cunda, satthāpi tattha gārayho, dhammopi tattha gārayho, sāvakopi tattha evaṃ gārayho. yo kho, cunda, evarūpaṃ sāvakaṃ evaṃ vadeyya — ‘addhāyasmā ñāyappaṭipanno ñāyamārādhessatī’ti. yo ca pasaṃsati, yañca pasaṃsati, yo ca pasaṃsito bhiyyoso mattāya vīriyaṃ ārabhati. sabbe te bahuṃ apuññaṃ pasavanti. taṃ kissa hetu? evañhetaṃ, cunda, hoti durakkhāte dhammavinaye duppavedite aniyyānike anupasamasaṃvattanike asammāsambuddhappavedite.


다시, 쭌다여, 여기 스승이 정등각(正等覺)이 아니고 법도 잘못 설해지고 잘못 선언되고 구원으로 이끌지 않고 가라앉음으로 이끌지 않고 정등각(正等覺)에 의해 선언되지 않았다. 그러나 제자는 그 법에서 법으로 이끄는 법을 실천하면서 머물고 여법하게 실천하면서 머물고 법을 따라 행하며 머물고 그 법을 받아들인다.

 

그에게 이렇게 말할 것이다. ㅡ ‘도반이여, 그것은 그대에게 손해입니다. 그것은 그대에게 어려움을 줍니다. 그대의 스승은 정등각(正等覺)이 아니고 법도 잘못 설해지고 잘못 선언되고 구원으로 이끌지 않고 가라앉음으로 이끌지 않고 정등각(正等覺)에 의해 선언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그대는 그 법에서 법으로 이끄는 법을 실천하면서 머물고 여법하게 실천하면서 머물고 법을 따라 행하며 머물고 그 법을 받아들입니다.’라고.

 

쭌다여, 이런 경우에는 스승도 거기서 저열하고 법도 거기서 저열하고 제자도 이렇게 저열하다. 쭌다여, 누가 그런 제자에게 이렇게 말할 것이다. ㅡ ‘참으로 존자여. 방법에 따라 실천하고 방법에 따라 노력하시오’라고. 이렇게 부추기는 자도, 부추기는 것도, 부추겨져서 그렇게 실천하는 자도 모두 큰 재앙을 쌓게 된다. 그것은 무슨 이유 때문인가? 쭌다여, 그것은 법(法)과 율(律)이 잘못 설해지고 잘못 선언되고 구원으로 이끌지 않고 가라앉음으로 이끌지 않고 정등각(正等覺)에 의해 선언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idha pana, cunda, satthā ca hoti sammāsambuddho, dhammo ca svākkhāto suppavedito niyyāniko upasamasaṃvattaniko sammāsambuddhappavedito, sāvako ca tasmiṃ dhamme na dhammānudhammappaṭipanno viharati, na sāmīcippaṭipanno, na anudhammacārī, vokkamma ca tamhā dhammā vattati. so evamassa vacanīyo — ‘tassa te, āvuso, alābhā, tassa te dulladdhaṃ, satthā ca te sammāsambuddho, dhammo ca svākkhāto suppavedito niyyāniko upasamasaṃvattaniko sammāsambuddhappavedito. tvañca tasmiṃ dhamme na dhammānudhammappaṭipanno viharasi, na sāmīcippaṭipanno, na anudhammacārī, vokkamma ca tamhā dhammā vattasī’ti. iti kho, cunda, satthāpi tattha pāsaṃso, dhammopi tattha pāsaṃso, sāvako ca tattha evaṃ gārayho. yo kho, cunda, evarūpaṃ sāvakaṃ evaṃ vadeyya — ‘etāyasmā tathā paṭipajjatu yathā te satthārā dhammo desito paññatto’ti. yo ca samādapeti, yañca samādapeti, yo ca samādapito tathattāya paṭipajjati. sabbe te bahuṃ puññaṃ pasavanti. taṃ kissa hetu? evañhetaṃ, cunda, hoti svākkhāte dhammavinaye suppavedite niyyānike upasamasaṃvattanike sammāsambuddhappavedite.


다시, 쭌다여, 여기 스승은 정등각(正等覺)이고, 법은 잘 설해지고 잘 선언되고 구원으로 이끌고 가라앉음으로 이끌고 정등각(正等覺)에 의해 선언되었다. 그러나 제자는 그 법에서 열반으로 이끄는 법을 실천하면서 머물지 않고 여법하게 실천하면서 머물지 않고 법을 따라 행하며 머물지 않고 그 법으로부터 벗어난다.

 

그에게 이렇게 말할 것이다. ㅡ ‘도반이여, 그것은 그대에게 손해입니다. 그것은 그대에게 어려움을 줍니다. 그대의 스승은 정등각(正等覺)이고, 법은 잘 설해지고 잘 선언되고 구원으로 이끌고 가라앉음으로 이끌고 정등각(正等覺)에 의해 선언되었습니다. 그러나 그대는 그 법에서 열반으로 이끄는 법을 실천하면서 머물지 않고 여법하게 실천하면서 머물지 않고 법을 따라 행하며 머물지 않고 그 법으로부터 벗어납니다.’라고.

 

쭌다여, 이런 경우에는 스승도 거기서 훌륭하고 법도 거기서 훌륭하지만 제자는 거기서 이렇게 저열하다. 쭌다여, 누가 그런 제자에게 이렇게 말할 것이다. ㅡ ‘참으로 존자여. 그대의 스승이 가르치고 선언한 법에 따라 실천하시오’라고. 이렇게 부추기는 자도, 부추기는 것도, 부추겨져서 그렇게 실천하는 자도 모두 큰 공덕을 쌓게 된다. 그것은 무슨 이유 때문인가? 쭌다여, 그것은 법(法)과 율(律)이 잘 설해지고 잘 선언되고 구원으로 이끌고 가라앉음으로 이끌고 정등각(正等覺)에 의해 선언되었기 때문이다.”


“idha pana, cunda, satthā ca hoti sammāsambuddho, dhammo ca svākkhāto suppavedito niyyāniko upasamasaṃvattaniko sammāsambuddhappavedito, sāvako ca tasmiṃ dhamme dhammānudhammappaṭipanno viharati sāmīcippaṭipanno anudhammacārī, samādāya taṃ dhammaṃ vattati. so evamassa vacanīyo — ‘tassa te, āvuso, lābhā, tassa te suladdhaṃ, satthā ca te sammāsambuddho, dhammo ca svākkhāto suppavedito niyyāniko upasamasaṃvattaniko sammāsambuddhappavedito. tvañca tasmiṃ dhamme dhammānudhammappaṭipanno viharasi sāmīcippaṭipanno anudhammacārī, samādāya taṃ dhammaṃ vattasī’ti. iti kho, cunda, satthāpi tattha pāsaṃso, dhammopi tattha pāsaṃso, sāvakopi tattha evaṃ pāsaṃso. yo kho, cunda, evarūpaṃ sāvakaṃ evaṃ vadeyya — ‘addhāyasmā ñāyappaṭipanno ñāyamārādhessatī’ti. yo ca pasaṃsati, yañca pasaṃsati, yo ca pasaṃsito VAR bhiyyoso mattāya vīriyaṃ ārabhati. sabbe te bahuṃ puññaṃ pasavanti. taṃ kissa hetu? evañhetaṃ, cunda, hoti svākkhāte dhammavinaye suppavedite niyyānike upasamasaṃvattanike sammāsambuddhappavedite.


다시, 쭌다여, 여기 스승은 정등각(正等覺)이고, 법은 잘 설해지고 잘 선언되고 구원으로 이끌고 가라앉음으로 이끌고 정등각(正等覺)에 의해 선언되었다. 그리고 제자도 그 법에서 열반으로 이끄는 법을 실천하면서 머물고 여법하게 실천하면서 머물고 법을 따라 행하며 머물고 그 법을 받아들인다.

 

그에게 이렇게 말할 것이다. ㅡ ‘도반이여, 그것은 그대에게 이익입니다. 그것은 그대에게 참으로 이익입니다. 그대의 스승은 정등각(正等覺)이고, 법은 잘 설해지고 잘 선언되고 구원으로 이끌고 가라앉음으로 이끌고 정등각(正等覺)에 의해 선언되었습니다. 그리고 그대도 그 법에서 열반으로 이끄는 법을 실천하면서 머물고 여법하게 실천하면서 머물고 법을 따라 행하며 머물고 그 법을 받아들입니다.’라고.

 

쭌다여, 이런 경우에는 스승도 거기서 훌륭하고 법도 거기서 훌륭하고 제자도 거기서 이렇게 훌륭하다. 쭌다여, 누가 그런 제자에게 이렇게 말할 것이다. ㅡ ‘참으로 존자여. 방법에 따라 실천하고 방법에 따라 노력하시오’라고. 이렇게 부추기는 자도, 부추기는 것도, 부추겨져서 더욱 기쁘게 노력하는 자도 모두 큰 공덕을 쌓게 된다. 그것은 무슨 이유 때문인가? 쭌다여, 그것은 법(法)과 율(律)이 잘 설해지고 잘 선언되고 구원으로 이끌고 가라앉음으로 이끌고 정등각(正等覺)에 의해 선언되었기 때문이다.”


~


“idha pana, cunda, satthā ca loke udapādi arahaṃ sammāsambuddho, dhammo ca svākkhāto suppavedito niyyāniko upasamasaṃvattaniko sammāsambuddhappavedito, aviññāpitatthā cassa honti sāvakā saddhamme, na ca tesaṃ kevalaṃ paripūraṃ brahmacariyaṃ āvikataṃ hoti uttānīkataṃ sabbasaṅgāhapadakataṃ sappāṭihīrakataṃ yāva devamanussehi suppakāsitaṃ. atha nesaṃ satthuno antaradhānaṃ hoti. evarūpo kho, cunda, satthā sāvakānaṃ kālaṅkato anutappo hoti. taṃ kissa hetu? satthā ca no loke udapādi arahaṃ sammāsambuddho, dhammo ca svākkhāto suppavedito niyyāniko upasamasaṃvattaniko sammāsambuddhappavedito, aviññāpitatthā camha saddhamme, na ca no kevalaṃ paripūraṃ brahmacariyaṃ āvikataṃ hoti uttānīkataṃ sabbasaṅgāhapadakataṃ sappāṭihīrakataṃ yāva devamanussehi suppakāsitaṃ. atha no satthuno antaradhānaṃ hotīti. evarūpo kho, cunda, satthā sāvakānaṃ kālaṅkato anutappo hoti.


다시, 쭌다여, 아라한이고 정등각인 스승이 세상에 출현하였다. 법은 잘 설해지고 잘 선언되고 구원으로 이끌고 가라앉음으로 이끌고 정등각(正等覺)에 의해 선언되었다. 그러나 제자들은 그 바른 법에 대해서 의미를 알지 못하고, 모든 실천의 모음이고 비상(非常)함을 행하고 신과 인간들로부터 잘 알려진 전적으로 완전한 범행(梵行)을 드러내지 못하고 명백하게 하지 못한다. 그런데 그들의 스승이 떠난다.

 

쭌다여, 스승의 이러한 죽음으로부터 제자들의 자책(自責)이 있다. 그것은 무슨 이유 때문인가? 아라한이고 정등각인 스승이 참으로 세상에 출현하였다. 법은 잘 설해지고 잘 선언되고 구원으로 이끌고 가라앉음으로 이끌고 정등각(正等覺)에 의해 선언되었다. 그러나 우리들은 그 바른 법에 대해서 의미를 알지 못하고, 모든 실천의 모음이고 비상(非常)함을 행하고 신과 인간들로부터 잘 알려진 전적으로 완전한 범행(梵行)을 드러내지 못하고 명백하게 하지 못한다. 그런데 우리의 스승이 떠난다. 쭌다여, 이러한 죽음은 스승에 비해 제자들에게 후회해야 마땅함이 있다.


“idha pana, cunda, satthā ca loke udapādi arahaṃ sammāsambuddho. dhammo ca svākkhāto suppavedito niyyāniko upasamasaṃvattaniko sammāsambuddhappavedito. viññāpitatthā cassa honti sāvakā saddhamme, kevalañca tesaṃ paripūraṃ brahmacariyaṃ āvikataṃ hoti uttānīkataṃ sabbasaṅgāhapadakataṃ sappāṭihīrakataṃ yāva devamanussehi suppakāsitaṃ. atha nesaṃ satthuno antaradhānaṃ hoti. evarūpo kho, cunda, satthā sāvakānaṃ kālaṅkato ananutappo hoti. taṃ kissa hetu? satthā ca no loke udapādi arahaṃ sammāsambuddho. dhammo ca svākkhāto suppavedito niyyāniko upasamasaṃvattaniko sammāsambuddhappavedito. viññāpitatthā camha saddhamme, kevalañca no paripūraṃ brahmacariyaṃ āvikataṃ hoti uttānīkataṃ sabbasaṅgāhapadakataṃ sappāṭihīrakataṃ yāva devamanussehi suppakāsitaṃ. atha no satthuno antaradhānaṃ hotīti. evarūpo kho, cunda, satthā sāvakānaṃ kālaṅkato ananutappo hoti.


다시, 쭌다여, 아라한이고 정등각인 스승이 세상에 출현하였다. 법은 잘 설해지고 잘 선언되고 구원으로 이끌고 가라앉음으로 이끌고 정등각(正等覺)에 의해 선언되었다. 그리고 제자들은 그 바른 법에 대해서 의미를 알고, 모든 실천의 모음이고 비상(非常)함을 행하고 신과 인간들로부터 잘 알려진 전적으로 완전한 범행(梵行)을 드러내고 명백하게 한다. 그런데 그들의 스승이 떠난다.

 

쭌다여, 스승의 이러한 죽음으로부터 제자들의 자책(自責)이 없다. 그것은 무슨 이유 때문인가? 아라한이고 정등각인 스승이 참으로 세상에 출현하였다. 법은 잘 설해지고 잘 선언되고 구원으로 이끌고 가라앉음으로 이끌고 정등각(正等覺)에 의해 선언되었다. 그리고 우리들은 그 바른 법에 대해서 의미를 알고, 모든 실천의 모음이고 비상(非常)함을 행하고 신과 인간들로부터 잘 알려진 전적으로 완전한 범행(梵行)을 드러내고 명백하게 한다. 그런데 우리의 스승이 떠난다. 쭌다여, 이러한 죽음은 스승에 비해 제자들에게 후회해야 마땅함이 없다.


~


 “ahaṃ kho pana, cunda, etarahi satthā loke uppanno arahaṃ sammāsambuddho. dhammo ca svākkhāto suppavedito niyyāniko upasamasaṃvattaniko sammāsambuddhappavedito. viññāpitatthā ca me sāvakā saddhamme, kevalañca tesaṃ paripūraṃ brahmacariyaṃ āvikataṃ uttānīkataṃ sabbasaṅgāhapadakataṃ sappāṭihīrakataṃ yāva devamanussehi suppakāsitaṃ. ahaṃ kho pana, cunda, etarahi satthā thero rattaññū cirapabbajito addhagato vayoanuppatto.


"쭌다여, 나는 지금 현재의 아라한이고 정등각인 스승으로 세상에 출현하였다. 법은 잘 설해지고 잘 선언되고 구원으로 이끌고 가라앉음으로 이끌고 정등각(正等覺)에 의해 선언되었다. 그리고 제자들은 그 바른 법에 대해서 의미를 알고, 모든 실천행의 모음이고 비상(非常)함을 행하고 신과 인간들로부터 잘 알려진 전적으로 완전한 범행(梵行)을 드러내고 명백하게 한다. 쭌다여, 내가 원로이고 출가한 지 오래되었으며 삶의 전환점을 지났고 사라질 때에 이른 장로인 현재의 스승이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