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사회참여/외부특강 > 학술세미나 > 깨달음

학술세미나

[교재] 【첨부4-2】 taṇhākkhayo virāgo nirodho nibbānaṃ의 용례

0 543 2018.03.03 09:40

【첨부4-2】 taṇhākkhayo virāgo nirodho nibbānaṃ의 용례


이 구문은 갈애의 부숨=이탐(離貪)=소멸(消滅)=열반(涅槃)의 의미로 해석될 수도 있고, 수행의 측면에서 「갈애의 부숨[염오(厭惡)-사띠토대] → 이탐(離貪) → 소멸(消滅) → 열반(涅槃)」의 단계적 진행을 설명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수행이 완성되어 열반(涅槃)이 실현된 상태 즉 무위(無爲)의 삶을 설명하는 「소멸(消滅) → 이탐(離貪) → 갈애의 부숨[염오(厭惡)]」로 이해할 수도 있습니다.


[Ⅰ] sabbasaṅkhārasamatho sabbūpadhipaṭinissaggo taṇhākkhayo virāgo nirodho nibbānaṃ


모든 행(行)들의 그침이고, 모든 재생을 초래하는 붙잡음(*)을 놓음이고, 갈애의 부숨이고, 이탐(離貪)이고, 소멸(消滅)이고, 열반(涅槃)이다.


(*) 재생을 초래하는 붙잡음 = 몸과 생명에 대한 갈망


Ⅰ-1] etaṃ santaṃ etaṃ paṇītaṃ yadidaṃ sabbasaṅkhārasamatho sabbūpadhipaṭinissaggo taṇhākkhayo virāgo nirodho nibbānan의 용례


; 이것은 고요하고 이것은 수승하다. 즉 모든 행(行)들의 그침이고, 모든 재생을 초래하는 붙잡음을 놓음이고, 갈애의 부숨이고, 이탐(離貪)이고, 소멸(消滅)이고, 열반(涅槃)이다.


1. mahāmālukyasuttaṃ (MN 64.1) ㅡ 초선(初禪)~무소유처(無所有處)에 반복


“katamo cānanda, maggo, katamā paṭipadā pañcannaṃ orambhāgiyānaṃ saṃyojanānaṃ pahānāya? idhānanda, bhikkhu upadhivivekā akusalānaṃ dhammānaṃ pahānā sabbaso kāyaduṭṭhullānaṃ paṭippassaddhiyā vivicceva kāmehi vivicca akusalehi dhammehi savitakkaṃ savicāraṃ vivekajaṃ pītisukhaṃ paṭham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ati. so yadeva tattha hoti rūpagataṃ vedanāgataṃ saññāgataṃ saṅkhāragataṃ viññāṇagataṃ te dhamme aniccato dukkhato rogato gaṇḍato sallato aghato ābādhato parato palokato suññato anattato samanupassati. so tehi dhammehi cittaṃ paṭivāpeti . so tehi dhammehi cittaṃ paṭivāpetvā amatāya dhātuyā cittaṃ upasaṃharati — ‘etaṃ santaṃ etaṃ paṇītaṃ yadidaṃ sabbasaṅkhārasamatho sabbūpadhipaṭinissaggo taṇhākkhayo virāgo nirodho nibbānan’’ti. so tattha ṭhito āsavānaṃ khayaṃ pāpuṇāti; no ce āsavānaṃ khayaṃ pāpuṇāti teneva dhammarāgena tāya dhammanandiyā pañcannaṃ orambhāgiyānaṃ saṃyojanānaṃ parikkhayā opapātiko hoti, tattha parinibbāyī, anāvattidhammo tasmā lokā. ayampi kho, ānanda, maggo ayaṃ paṭipadā pañcannaṃ orambhāgiyānaṃ saṃyojanānaṃ pahānāya. 


그러면 아난다여, 무엇이 오하분결(五下分結)을 버리기 위한 도(道)이고 실천인가? 아난다여, 여기 비구는 재생을 초래하는 붙잡음의 떨침과 불선법들의 버림과 몸의 무력증의 가라앉힘에 의해서 소유적 사유들로부터 벗어나고, 불선법(不善法)들로부터 벗어나서, 위딱까가 있고 위짜라가 있고 떨침에서 생긴 기쁨과 즐거움의 초선(初禪)을 성취하여 머문다. 그는 거기서 색(色)에 속하는 것이든, 수(受)에 속하는 것이든, 상(想)에 속하는 것이든, 행(行)에 속하는 것이든, 식(識)에 속하는 것이든 그 법들에 대해 무상(無常)하고 불만족스럽고[고(苦)] 병(病)이고 종기이고 화살이고 재난이고 질병이고 남[他]이고 부서지는 것이고 공(空)하고 무아(無我)라고 관찰한다. 그는 그 법들로부터 마음을 돌린다. 그는 그 법들로부터 마음을 돌리면서 불사(不死)의 세계로 마음을 집중한다. ㅡ ‘이것은 고요하고 이것은 수승하다. 즉 모든 행(行)들의 그침이고, 모든 재생을 초래하는 붙잡음을 놓음이고, 갈애의 부숨이고, 이탐(離貪)이고, 소멸(消滅)이고, 열반(涅槃)이다.’라고. 그는 거기에 서서 번뇌들의 부숨을 얻는다. 만약 번뇌들의 부숨을 얻지 못하면 그 법의 붙잡음과 법의 즐김으로부터 오하분결(五下分結)을 부수고 화생(化生)하여 거기서 완전한 열반에 든다. 그럼으로써 그 세상으로부터 돌아오지 않는 존재[불환자(不還者)]가 된다. 아난다여, 이것도 오하분결(五下分結)을 버리기 위한 도(道)이고 실천이다.


2. ānandasuttaṃ (AN 3.32)


“idhānanda, bhikkhuno evaṃ hoti — ‘etaṃ santaṃ etaṃ paṇītaṃ yadidaṃ sabbasaṅkhārasamatho sabbūpadhipaṭinissaggo taṇhākkhayo virāgo nirodho nibbānan’’ti. evaṃ kho, ānanda, siyā bhikkhuno tathārūpo samādhipaṭilābho yathā imasmiñca saviññāṇake kāye ahaṅkāramamaṅkāramānānusayā nāssu, bahiddhā ca sabbanimittesu ahaṅkāramamaṅkāramānānusayā nāssu; yañca cetovimuttiṃ paññāvimuttiṃ upasampajja viharato ahaṅkāramamaṅkāramānānusayā na honti tañca cetovimuttiṃ paññāvimuttiṃ upasampajja vihareyyā”ti. 


아난다여, 여기 비구는 이렇게 생각한다. ㅡ ‘이것은 고요하고 이것은 수승하다. 즉 모든 행(行)들의 그침이고, 모든 재생을 초래하는 붙잡음을 놓음이고, 갈애의 부숨이고, 이탐(離貪)이고, 소멸(消滅)이고, 열반(涅槃)이다.’라고. 아난다여, 이렇게 비구는 식(識)과 함께하는 이 몸에 대해 '나'라는 생각과 '내 것'이라는 생각과 자기화의 잠재성향이 없고 밖으로 모든 상(相)들에 대해 '나'라는 생각과 '내 것'이라는 생각과 자기화의 잠재성향이 없는 이런 삼매를 얻을 것이다. 구족하여 머물 때 '나'라는 생각과 '내 것'이라는 생각과 자기화의 잠재성향이 없는 심해탈(心解脫)과 혜해탈(慧解脫)을 구족하여 머물 것이다.


3. jhānasuttaṃ (AN 9.36) ㅡ 초선(初禪)~무소유처(無所有處)에 반복


“‘paṭhamampāhaṃ, bhikkhave, jhānaṃ nissāya āsavānaṃ khayaṃ vadāmī’ti, iti kho panetaṃ vuttaṃ. kiñcetaṃ paṭicca vuttaṃ? idha, bhikkhave, bhikkhu vivicceva kāmehi ... pe ... paṭham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ati. so yadeva tattha hoti rūpagataṃ vedanāgataṃ saññāgataṃ saṅkhāragataṃ viññāṇagataṃ, te dhamme aniccato dukkhato rogato gaṇḍato sallato aghato ābādhato parato palokato suññato anattato samanupassati. so tehi dhammehi cittaṃ paṭivāpeti. so tehi dhammehi cittaṃ paṭivāpetvā amatāya dhātuyā cittaṃ upasaṃharati — ‘etaṃ santaṃ etaṃ paṇītaṃ yadidaṃ sabbasaṅkhārasamatho sabbūpadhipaṭinissaggo taṇhākkhayo virāgo nirodho nibbānan’ti. so tattha ṭhito āsavānaṃ khayaṃ pāpuṇāti. no ce āsavānaṃ khayaṃ pāpuṇāti, teneva dhammarāgena tāya dhammanandiyā pañcannaṃ orambhāgiyānaṃ saṃyojanānaṃ parikkhayā opapātiko hoti tattha parinibbāyī anāvattidhammo tasmā lokā.


‘비구들이여, 초선(初禪)을 의지한 번뇌들의 부숨을 나는 말한다.’라고 이렇게 이것을 말했다. 이것은 무엇을 조건으로 말한 것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소유적 사유들로부터 벗어나고, 불선법(不善法)들로부터 벗어나서, 위딱까가 있고 위짜라가 있고 떨침에서 생긴 기쁨과 즐거움의 초선(初禪)을 성취하여 머문다. 그는 거기서 색(色)에 속하는 것이든, 수(受)에 속하는 것이든, 상(想)에 속하는 것이든, 행(行)에 속하는 것이든, 식(識)에 속하는 것이든 그 법들은 무상(無常)하고 불만족스럽고[고(苦)] 병(病)이고 종기이고 화살이고 재난이고 질병이고 남[他]이고 부서지는 것이고 공(空)하고 무아(無我)라고 관찰한다. 그는 그 법들로부터 마음을 돌린다. 그는 그 법들로부터 마음을 돌리면서 불사(不死)의 세계로 마음을 집중한다. - ‘이것은 고요하고 이것은 수승하다. 즉 모든 행(行)들의 그침이고, 모든 재생을 초래하는 붙잡음을 놓음이고, 갈애의 부숨이고, 이탐(離貪)이고, 소멸(消滅)이고, 열반(涅槃)이다.’라고. 그는 거기에 서서 번뇌들의 부숨을 얻는다. 만약 번뇌들의 부숨을 얻지 못하면 그 법의 붙잡음과 법의 즐김으로부터 오하분결(五下分結)을 부수고 화생(化生)하여 거기서 완전한 열반에 든다. 그럼으로써 그 세상으로부터 돌아오지 않는 존재[불환자(不還者)]가 된다.


4. samādhisuttaṃ (AN 10.6)


“idhānanda, bhikkhu evaṃsaññī hoti — ‘etaṃ santaṃ etaṃ paṇītaṃ yadidaṃ sabbasaṅkhārasamatho sabbūpadhipaṭinissaggo taṇhākkhayo virāgo nirodho nibbānan’’ti. evaṃ kho, ānanda, siyā bhikkhuno tathārūpo samādhipaṭilābho yathā neva pathaviyaṃ pathavisaññī assa, na āpasmiṃ āposaññī assa, na tejasmiṃ tejosaññī assa, na vāyasmiṃ vāyosaññī assa, na ākāsānañcāyatane ākāsānañcāyatanasaññī assa, na viññāṇañcāyatane viññāṇañcāyatanasaññī assa, na ākiñcaññāyatane ākiñcaññāyatanasaññī assa, na nevasaññānāsaññāyatane nevasaññānāsaññāyatanasaññī assa, na idhaloke idhalokasaññī assa, na paraloke paralokasaññī assa; saññī ca pana assā”ti.


아난다여, 여기 비구는 이런 상(想)을 가진 자이다. ㅡ ‘이것은 고요하고 이것은 수승하다. 즉 모든 행(行)들의 그침이고, 모든 재생을 초래하는 붙잡음을 놓음이고, 갈애의 부숨이고, 이탐(離貪)이고, 소멸(消滅)이고, 열반(涅槃)이다.’라고. 아난다여, 이렇게 비구는 땅에 대해 땅의 상(想)을 가진 자도 아닐 것이고, 물에 대해 물의 상(想)을 가진 자도 아닐 것이고, 불에 대해 불의 상(想)을 가진 자도 아닐 것이고, 바람에 대해 바람의 상(想)을 가진 자도 아닐 것이고, 공무변처에 대해 공무변처의 상(想)을 가진 자도 아닐 것이고, 식무변처에 대해 식무변처의 상(想)을 가진 자도 아닐 것이고, 무소유처에 대해 무소유처의 상(想)을 가진 자도 아닐 것이고, 비상비비상처에 대해 비상비비상처의 상(想)을 가진 자도 아닐 것이고, 이 세상에 대해 이 세상의 상(想)을 가진 자도 아닐 것이고, 저 세상에 대해 저 세상의 상(想)을 가진 자도 아닐 것이지만 그러나 상(想)을 가진 자일 것인 그런 삼매를 얻을 것이다.


5. saññāsuttaṃ (AN 11.7)


“idhānanda, bhikkhu evaṃsaññī hoti — ‘etaṃ santaṃ etaṃ paṇītaṃ, yadidaṃ sabbasaṅkhārasamatho sabbūpadhipaṭinissaggo taṇhākkhayo virāgo nirodho nibbānan’’ti. evaṃ kho, ānanda, siyā bhikkhuno tathārūpo samādhipaṭilābho yathā neva pathaviyaṃ pathavisaññī assa, na āpasmiṃ āposaññī assa, na tejasmiṃ tejosaññī assa, na vāyasmiṃ vāyosaññī assa, na ākāsānañcāyatane ākāsānañcāyatanasaññī assa, na viññāṇañcāyatane viññāṇañcāyatanasaññī assa, na ākiñcaññāyatane ākiñcaññāyatanasaññī assa, na nevasaññānāsaññāyatane nevasaññānāsaññāyatanasaññī assa, na idhaloke idhalokasaññī assa, na paraloke paralokasaññī assa, yampidaṃ diṭṭhaṃ sutaṃ mutaṃ viññātaṃ pattaṃ pariyesitaṃ anuvicaritaṃ manasā, tatrāpi na saññī assa, saññī ca pana assā”ti. 


아난다여, 여기 비구는 이런 상(想)을 가진 자이다. ㅡ ‘이것은 고요하고 이것은 수승하다. 즉 모든 행(行)들의 그침이고, 모든 재생을 초래하는 붙잡음을 놓음이고, 갈애의 부숨이고, 이탐(離貪)이고, 소멸(消滅)이고, 열반(涅槃)이다.’라고. 아난다여, 이렇게 비구는 땅에 대해 땅의 상(想)을 가진 자도 아닐 것이고, 물에 대해 물의 상(想)을 가진 자도 아닐 것이고, 불에 대해 불의 상(想)을 가진 자도 아닐 것이고, 바람에 대해 바람의 상(想)을 가진 자도 아닐 것이고, 공무변처에 대해 공무변처의 상(想)을 가진 자도 아닐 것이고, 식무변처에 대해 식무변처의 상(想)을 가진 자도 아닐 것이고, 무소유처에 대해 무소유처의 상(想)을 가진 자도 아닐 것이고, 비상비비상처에 대해 비상비비상처의 상(想)을 가진 자도 아닐 것이고, 이 세상에 대해 이 세상의 상(想)을 가진 자도 아닐 것이고, 저 세상에 대해 저 세상의 상(想)을 가진 자도 아닐 것이고, 보인 것, 들린 것, 알려진 것, 인식된 것, 얻어진 것, 조사된 것, 의(意)로 고찰된 것에 대한 상(想)을 가진 자도 아닐 것이지만 그러나 상(想)을 가진 자일 것인 그런 삼매를 얻을 것이다.


6. manasikārasuttaṃ (AN 11.8)


“idhānanda, bhikkhu evaṃ manasi karoti — ‘etaṃ santaṃ etaṃ paṇītaṃ, yadidaṃ sabbasaṅkhārasamatho sabbūpadhipaṭinissaggo taṇhākkhayo virāgo nirodho nibbānan’’ti. evaṃ kho, ānanda, siyā bhikkhuno tathārūpo samādhipaṭilābho yathā na cakkhuṃ manasi kareyya, na rūpaṃ manasi kareyya . pe . yampidaṃ diṭṭhaṃ sutaṃ mutaṃ viññātaṃ pattaṃ pariyesitaṃ anuvicaritaṃ manasā, tampi na manasi kareyya; manasi ca pana kareyyā”ti.


아난다여, 여기 비구는 이렇게 사고(思考)한다. ㅡ ‘이것은 고요하고 이것은 수승하다. 즉 모든 행(行)들의 그침이고, 모든 재생을 초래하는 붙잡음을 놓음이고, 갈애의 부숨이고, 이탐(離貪)이고, 소멸(消滅)이고, 열반(涅槃)이다.’라고. 아난다여, 이렇게 비구는 안(眼)을 사고하지 않을 것이고, 색(色)을 사고하지 않을 것이고, … 보인 것, 들린 것, 알려진 것, 인식된 것, 얻어진 것, 조사된 것, 의(意)로 고찰된 것을 사고하지 않을 것이지만 그러나 사고할 것인 그런 삼매를 얻을 것이다.


7. paṭhamasamādhisuttaṃ (AN 11.18)-dutiyasamādhisuttaṃ (AN 11.19)-tatiyasamādhisuttaṃ (AN 11.20)-catutthasamādhisuttaṃ (AN 11.21)


“idha, bhikkhave, bhikkhu evaṃsaññī hoti — ‘etaṃ santaṃ etaṃ paṇītaṃ, yadidaṃ sabbasaṅkhārasamatho sabbūpadhipaṭinissaggo taṇhākkhayo virāgo nirodho nibbānan’’ti. evaṃ kho, bhikkhave, siyā bhikkhuno tathārūpo samādhipaṭilābho yathā neva pathaviyaṃ pathavisaññī assa, na āpasmiṃ āposaññī assa, na tejasmiṃ tejosaññī assa, na vāyasmiṃ vāyosaññī assa, na ākāsānañcāyatane ākāsānañcāyatanasaññī assa, na viññāṇañcāyatane viññāṇañcāyatanasaññī assa, na ākiñcaññāyatane ākiñcaññāyatanasaññī assa, na nevasaññānāsaññāyatane nevasaññānāsaññāyatanasaññī assa, na idhaloke idhalokasaññī assa, na paraloke paralokasaññī assa, yampidaṃ diṭṭhaṃ sutaṃ mutaṃ viññātaṃ pattaṃ pariyesitaṃ anuvicaritaṃ manasā tatrāpi na saññī assa; saññī ca pana assā”ti.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이런 상(想)을 가진 자이다. ㅡ ‘이것은 고요하고 이것은 수승하다. 즉 모든 행(行)들의 그침이고, 모든 재생을 초래하는 붙잡음을 놓음이고, 갈애의 부숨이고, 이탐(離貪)이고, 소멸(消滅)이고, 열반(涅槃)이다.’라고. 비구들이여, 이렇게 비구는 땅에 대해 땅의 상(想)을 가진 자도 아닐 것이고, 물에 대해 물의 상(想)을 가진 자도 아닐 것이고, 불에 대해 불의 상(想)을 가진 자도 아닐 것이고, 바람에 대해 바람의 상(想)을 가진 자도 아닐 것이고, 공무변처에 대해 공무변처의 상(想)을 가진 자도 아닐 것이고, 식무변처에 대해 식무변처의 상(想)을 가진 자도 아닐 것이고, 무소유처에 대해 무소유처의 상(想)을 가진 자도 아닐 것이고, 비상비비상처에 대해 비상비비상처의 상(想)을 가진 자도 아닐 것이고, 이 세상에 대해 이 세상의 상(想)을 가진 자도 아닐 것이고, 저 세상에 대해 저 세상의 상(想)을 가진 자도 아닐 것이고, 보인 것, 들린 것, 알려진 것, 인식된 것, 얻어진 것, 조사된 것, 의(意)로 고찰된 것에 대한 상(想)을 가진 자도 아닐 것이지만 그러나 상(想)을 가진 자일 것인 그런 삼매를 얻을 것이다.


; 이하 4개의 경이 유사하게 설해짐.


8. girimānandasuttaṃ (AN 10.60)


“katamā cānanda, virāgasaññā? idhānanda, bhikkhu araññagato vā rukkhamūlagato vā suññāgāragato vā iti paṭisañcikkhati — ‘etaṃ santaṃ etaṃ paṇītaṃ yadidaṃ sabbasaṅkhārasamatho sabbūpadhippaṭinissaggo taṇhākkhayo virāgo nibbānan’ti. ayaṃ vuccatānanda, virāgasaññā. 


그러면 아난다여, 무엇이 이탐(離貪)의 상(想)인가? 아난다여, 여기 비구는 숲으로 가거나 나무 밑으로 가거나 빈 집으로 가서 이렇게 숙고한다. ㅡ ‘이것은 고요하고 이것은 수승하다. 즉 모든 행(行)들의 그침이고, 모든 재생을 초래하는 붙잡음을 놓음이고, 갈애의 부숨이고, 이탐(離貪)이고, 열반(涅槃)이다.’라고. 아난다여, 이것이 이탐(離貪)의 상(想)이라고 불린다.


(*) nirodho 없음


“katamā cānanda, nirodhasaññā? idhānanda, bhikkhu araññagato vā rukkhamūlagato vā suññāgāragato vā iti paṭisañcikkhati — ‘etaṃ santaṃ etaṃ paṇītaṃ yadidaṃ sabbasaṅkhārasamatho sabbūpadhippaṭinissaggo taṇhākkhayo nirodho nibbānan’ti. ayaṃ vuccatānanda, nirodhasaññā. 


그러면 아난다여, 무엇이 소멸(消滅)의 상(想)인가? 아난다여, 여기 비구는 숲으로 가거나 나무 밑으로 가거나 빈 집으로 가서 이렇게 숙고한다. ㅡ ‘이것은 고요하고 이것은 수승하다. 즉 모든 행(行)들의 그침이고, 모든 재생을 초래하는 붙잡음을 놓음이고, 갈애의 부숨이고, 소멸(消滅)이고, 열반(涅槃)이다.’라고. 아난다여, 이것이 소멸(消滅)의 상(想)이라고 불린다.


(*) virāgo 없음


9. āpaṇasuttaṃ (SN 48.50) ㅡ 변형된 형태


“saddhassa hi, bhante, ariyasāvakassa āraddhavīriyassa upaṭṭhitassatino samāhitacittassa etaṃ pāṭikaṅkhaṃ yaṃ evaṃ pajānissati — anamataggo kho saṃsāro. pubbā koṭi na paññāyati avijjānīvaraṇānaṃ sattānaṃ taṇhāsaṃyojanānaṃ sandhāvataṃ saṃsarataṃ. avijjāya tveva tamokāyassa asesavirāganirodho santametaṃ padaṃ paṇītametaṃ padaṃ, yadidaṃ — sabbasaṅkhārasamatho sabbūpadhipaṭinissaggo taṇhākkhayo virāgo nirodho nibbānaṃ. yā hissa, bhante, paññā tadassa paññindriyaṃ. 


"대덕이시여, 참으로 믿음을 가졌고 열심히 정진하고 사띠를 확립했으며 삼매를 닦는 마음의 성스러운 제자에게 이렇게 꿰뚫어 알 것이라고 예상됩니다. ㅡ '그 시작을 알지 못하는 것이 바로 윤회이다. 중생들은 무명에 덮이고 갈애에 묶여서 치달리고 윤회하기 때문에 처음 시작점은 알려지지 않는다. 그러나 어둠 덩어리인 무명의 남김없이 빛바랜 소멸, 이것은 고요한 경지요 이것은 숭고한 경지이니 즉 모든 행(行)들의 그침이고, 모든 재생을 초래하는 붙잡음을 놓음이고, 갈애의 부숨이고, 이탐(離貪)이고, 소멸(消滅)이고, 열반(涅槃)이다.'라고. 대덕이시여, 이런 지혜가 지혜의 기능입니다."


Ⅰ-2] yadidaṃ sabbasaṅkhārasamatho sabbūpadhipaṭinissaggo taṇhākkhayo virāgo nirodho nibbānan의 용례


1. nāgasuttaṃ (AN 4.114)


“kathañca, bhikkhave, bhikkhu gantā hoti? idha, bhikkhave, bhikkhu yāyaṃ disā agatapubbā iminā dīghena addhunā yadidaṃ sabbasaṅkhārasamatho sabbūpadhipaṭinissaggo taṇhākkhayo virāgo nirodho nibbānaṃ, taṃ khippaññeva gantā hoti. evaṃ kho, bhikkhave, bhikkhu gantā hoti. imehi kho, bhikkhave, catūhi dhammehi samannāgato bhikkhu āhuneyyo hoti . pe . anuttaraṃ puññakkhettaṃ lokassā”ti.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떻게 비구는 가는 자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이 긴 여정에서 전에 가본 적이 없는 방향 즉 모든 행(行)들의 그침이고, 모든 재생을 초래하는 붙잡음을 놓음이고, 갈애의 부숨이고, 이탐(離貪)이고, 소멸(消滅)이고, 열반(涅槃)으로 즉시에 가는 자이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가는 자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네 가지 요소를 구족한 비구는 공양 받아 마땅하고, 선사받아 마땅하고, 보시 받아 마땅하고, 합장 받아 마땅하며, 세상의 위없는 복밭[福田]이다.


2. sotasuttaṃ (AN 5.140)


“kathañca, bhikkhave, bhikkhu gantā hoti? idha, bhikkhave, bhikkhu yā sā disā agatapubbā iminā dīghena addhunā, yadidaṃ sabbasaṅkhārasamatho sabbūpadhipaṭinissaggo taṇhākkhayo virāgo nirodho nibbānaṃ, taṃ khippaññeva gantā hoti. evaṃ kho, bhikkhave, bhikkhu gantā hoti.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떻게 비구는 가는 자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이 긴 여정에서 전에 가본 적이 없는 방향 즉 모든 행(行)들의 그침이고, 모든 재생을 초래하는 붙잡음을 놓음이고, 갈애의 부숨이고, 이탐(離貪)이고, 소멸(消滅)이고, 열반(涅槃)으로 즉시에 가는 자이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가는 자이다.


Ⅰ-3] idampi kho ṭhānaṃ duddasaṃ yadidaṃ sabbasaṅkhārasamatho sabbūpadhipaṭinissaggo taṇhākkhayo virāgo nirodho nibbānaṃ의 용례


; 「‘adhigato kho myāyaṃ dhammo gambhīro duddaso duranubodho santo paṇīto atakkāvacaro nipuṇo paṇḍitavedanīyo. ālayarāmā kho panāyaṃ pajā ālayaratā ālayasammuditā. ālayarāmāya kho pana pajāya ālayaratāya ālayasammuditāya duddasaṃ idaṃ ṭhānaṃ yadidaṃ idappaccayatāpaṭiccasamuppādo. idampi kho ṭhānaṃ duddasaṃ yadidaṃ sabbasaṅkhārasamatho sabbūpadhipaṭinissaggo taṇhākkhayo virāgo nirodho nibbānaṃ. ahañceva kho pana dhammaṃ deseyyaṃ, pare ca me na ājāneyyuṃ; so mamassa kilamatho, sā mamassa vihesā’ti.」


‘내가 성취한 이 법은 심오하고 보기 어렵고 깨닫기 힘들고 평화롭고 숭고하며 takka의 영역을 넘어섰고 독창적이며 현자들만이 경험할 수 있다. 그러나 사람들은 집착의 경향을 즐기고 집착의 경향을 좋아하고 집착의 경향을 기뻐한다. 집착의 경향을 즐기고 집착의 경향을 좋아하고 집착의 경향을 기뻐하는 사람들은 이런 토대 즉 이것의 조건성인 연기(緣起)를 보기 어렵다. 또한 이러한 토대 즉 모든 행(行)들의 그침이고, 모든 재생을 초래하는 붙잡음을 놓음이고, 갈애의 부숨이고, 이탐(離貪)이고, 소멸(消滅)이고, 열반(涅槃)을 보기 어렵다. 그러니 내가 이 법을 설한다 해도 저들이 알지 못한다면 그것은 나만 피로하고 나만 불편해질 것이다.


1. brahmayācanakathā (DN 14.12)

2. pāsarāsisuttaṃ (MN 26.1)

3. bodhirājakumārasuttaṃ (MN 85.1)

4. brahmāyācanasuttaṃ (SN 6.1)


[Ⅱ] yadidaṃ madanimmadano pipāsavinayo ālayasamugghāto vaṭṭupacchedo taṇhākkhayo virāgo nirodho nibbānaṃ의 용례


; 교만의 분쇄이고 갈증의 제거이고 집착의 경향의 근절이고 윤회의 멸절이고 갈애의 부숨이고, 이탐(離貪)이고, 소멸(消滅)이고, 열반(涅槃)이다


1. aggappasādasuttaṃ (AN 4.34)[으뜸가는 믿음 경]


“yāvatā, bhikkhave, dhammā saṅkhatā vā asaṅkhatā vā, virāgo tesaṃ aggamakkhāyati, yadidaṃ madanimmadano pipāsavinayo ālayasamugghāto vaṭṭupacchedo taṇhākkhayo virāgo nirodho nibbānaṃ. ye, bhikkhave, virāge dhamme pasannā, agge te pasannā. agge kho pana pasannānaṃ aggo vipāko hoti. 


비구들이여, 유위법(有爲法)이거나 무위법(無爲法)에 관한한 이탐(離貪)이 그들의 으뜸이라고 불린다. 즉 교만의 분쇄, 갈증의 제거, 집착의 경향의 뿌리 뽑음, 윤회의 끊어짐, 갈애의 부숨, 이탐(離貪), 소멸(消滅), 열반(涅槃)이다. 비구들이여, 이탐(離貪)의 법에 대해 분명함을 가진 자들은 으뜸에 대해 분명함을 가진 자들이고, 으뜸에 대해 분명함을 가진 자들에게 으뜸의 보(報)가 있다.


2. cundīsuttaṃ (AN 5.32)


“yāvatā, cundi, dhammā saṅkhatā vā asaṅkhatā vā, virāgo tesaṃ aggamakkhāyati, yadidaṃ — madanimmadano pipāsavinayo ālayasamugghāto vaṭṭupacchedo taṇhākkhayo virāgo nirodho nibbānaṃ. ye kho, cundi, virāge dhamme pasannā, agge te pasannā. agge kho pana pasannānaṃ aggo vipāko hoti. 


쭌디여, 유위법(有爲法)이거나 무위법(無爲法)에 관한한 이탐(離貪)이 그들의 으뜸이라고 불린다. 즉 교만의 분쇄, 갈증의 제거, 집착의 경향의 뿌리 뽑음, 윤회의 끊어짐, 갈애의 부숨, 이탐(離貪), 소멸(消滅), 열반(涅槃)이다. 쭌디여, 이탐(離貪)의 법에 대해 분명함을 가진 자들은 으뜸에 대해 분명함을 가진 자들이고, 으뜸에 대해 분명함을 가진 자들에게 으뜸의 보(報)가 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