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사회참여/외부특강 > 학술세미나

학술세미나

[교재] Ⅱ. 깨달음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경전 용례 - 여래는 이것을 깨닫고 실현하였다.

0 584 2018.03.03 10:07

Ⅱ. 깨달음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경전 용례

    ㅡ 「taṃ tathāgato abhisambujjhati abhisameti 여래는 이것을 깨닫고 실현하였다」


1. 여래(如來)의 출현과 무관하게 존재하는 조건성 ㅡ ①삼법인(三法印)

   ; uppādāsuttaṃ (AN 3.137)[출현 경(A3:134)] 


“uppādā vā, bhikkhave, tathāgatānaṃ anuppādā vā tathāgatānaṃ, ṭhitāva sā dhātu dhammaṭṭhitatā dhammaniyāmatā. sabbe saṅkhārā aniccā. taṃ tathāgato abhisambujjhati abhisameti. abhisambujjhitvā abhisametvā ācikkhati deseti paññāpeti paṭṭhapeti vivarati vibhajati uttānīkaroti — ‘sabbe saṅkhārā aniccā’ti. 

 

"비구들이여, '모든 조건적인 것들은 무상(無常)하다[제행무상(諸行無常)].'이라는 것은 여래들의 출현으로부터거나 출현하지 않음으로부터거나 흔들리지 않는 것이고, 법으로 확립된 것이고, 법으로 결정된 것이다. 여래는 이것을 깨닫고 실현하였다. 깨닫고 실현한 뒤 '모든 조건적인 것들은 무상(無常)하다[제행무상(諸行無常)].'이라고 공표하고, 전달하고, 선언하고, 시작하고, 드러내고, 분석하고, 해설한다.

 

uppādā vā, bhikkhave, tathāgatānaṃ anuppādā vā tathāgatānaṃ ṭhitāva sā dhātu dhammaṭṭhitatā dhammaniyāmatā. sabbe saṅkhārā dukkhā. taṃ tathāgato abhisambujjhati abhisameti. abhisambujjhitvā abhisametvā ācikkhati deseti paññāpeti paṭṭhapeti vivarati vibhajati uttānīkaroti — ‘sabbe saṅkhārā dukkhā’ti. 

 

비구들이여, '모든 조건적인 것들은 고(苦)다[제행개고(諸行皆苦)].'이라는 것은 여래들의 출현으로부터거나 출현하지 않음으로부터거나 흔들리지 않는 것이고, 법으로 확립된 것이고, 법으로 결정된 것이다. 여래는 이것을 깨닫고 실현하였다. 깨닫고 실현한 뒤 '모든 조건적인 것들은 고(苦)다[제행개고(諸行皆苦)].'이라고 공표하고, 전달하고, 선언하고, 시작하고, 드러내고, 분석하고, 해설한다.

 

uppādā vā, bhikkhave, tathāgatānaṃ anuppādā vā tathāgatānaṃ ṭhitāva sā dhātu dhammaṭṭhitatā dhammaniyāmatā. sabbe dhammā anattā. taṃ tathāgato abhisambujjhati abhisameti. abhisambujjhitvā abhisametvā ācikkhati deseti paññāpeti paṭṭhapeti vivarati vibhajati uttānīkaroti — ‘sabbe dhammā anattā’”ti. 

 

"비구들이여, '모든 있는 것들은 무아(無我)다[제법무아(諸法無我)].'이라는 것은 여래들의 출현으로부터거나 출현하지 않음으로부터거나 흔들리지 않는 것이고, 법으로 확립된 것이고, 법으로 결정된 것이다. 여래는 이것을 깨닫고 실현하였다. 깨닫고 실현한 뒤 '모든 있는 것들은 무아(無我)다[제법무아(諸法無我)].'이라고 공표하고, 전달하고, 선언하고, 시작하고, 드러내고, 분석하고, 해설한다.”


2. 여래(如來)의 출현과 무관하게 존재하는 조건성 ㅡ ②연기(緣起)와 연기(緣起)된 법(法)

   ; paccayasuttaṃ (SN 12.20)[조건 경]


sāvatthiyaṃ viharati ... pe ... “paṭiccasamuppādañca vo, bhikkhave, desessāmi paṭiccasamuppanne ca dhamme. taṃ suṇātha, sādhukaṃ manasi karotha, bhāsissāmī”ti. “evaṃ, bhante”ti kho te bhikkhū bhagavato paccassosuṃ. bhagavā etadavoca —


사왓티에 머물다. … “비구들이여, 그대들에게 연기(緣起)와 연기된 법(法)들에 대해 설하겠다. 그것을 듣고 잘 사고(思考)하라. 나는 설할 것이다.” “알겠습니다, 대덕이시여.”라고 그 비구들은 세존께 대답했다. 세존은 이렇게 말하였다. ㅡ


“katamo ca, bhikkhave, paṭiccasamuppādo? jātipaccayā, bhikkhave, jarāmaraṇaṃ. uppādā vā tathāgatānaṃ anuppādā vā tathāgatānaṃ, ṭhitāva sā dhātu dhammaṭṭhitatā dhammaniyāmatā idappaccayatā. taṃ tathāgato abhisambujjhati abhisameti. abhisambujjhitvā abhisametvā ācikkhati deseti paññāpeti paṭṭhapeti vivarati vibhajati uttānīkaroti. ‘passathā’ti cāha — ‘jātipaccayā, bhikkhave, jarāmaraṇaṃ’”.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연기(緣起)인가? 비구들이여, ‘생(生)의 조건으로부터 노사(老死)가 있다.’는 이 요소는 여래들의 출현으로부터거나 출현하지 않음으로부터거나 흔들리지 않는 것이고, 법으로 확립된 것이고, 법으로 결정된 것이며, 여기에서의 조건성이다. 여래는 이것을 깨닫고 실현하였다. 깨닫고 실현한 뒤 '보라! 비구들이여, 생(生)의 조건으로부터 노사(老死)가 있다.'라고 공표하고, 전달하고, 선언하고, 시작하고, 드러내고, 분석하고, 해설한다.


“bhavapaccayā, bhikkhave, jāti ... pe ... upādānapaccayā, bhikkhave, bhavo... taṇhāpaccayā, bhikkhave, upādānaṃ... vedanāpaccayā, bhikkhave, taṇhā... phassapaccayā, bhikkhave, vedanā... saḷāyatanapaccayā, bhikkhave, phasso... nāmarūpapaccayā, bhikkhave, saḷāyatanaṃ... viññāṇapaccayā, bhikkhave, nāmarūpaṃ... saṅkhārapaccayā, bhikkhave, viññāṇaṃ... avijjāpaccayā, bhikkhave, saṅkhārā uppādā vā tathāgatānaṃ anuppādā vā tathāgatānaṃ, ṭhitāva sā dhātu dhammaṭṭhitatā dhammaniyāmatā idappaccayatā. taṃ tathāgato abhisambujjhati abhisameti. abhisambujjhitvā abhisametvā ācikkhati deseti paññāpeti paṭṭhapeti vivarati vibhajati uttānīkaroti. ‘passathā’ti cāha ‘avijjāpaccayā, bhikkhave, saṅkhārā’. iti kho, bhikkhave, yā tatra tathatā avitathatā anaññathatā idappaccayatā — ayaṃ vuccati, bhikkhave, paṭiccasamuppādo.


비구들이여, ‘유(有)의 조건으로부터 생(生)이 있다.’는 … 비구들이여, ‘취(取)의 조건으로부터 유(有)가 있다.’는 … 비구들이여, ‘애(愛)의 조건으로부터 취(取)가 있다.’는 … 비구들이여, ‘수(受)의 조건으로부터 애(愛)가 있다.’는 … 비구들이여, ‘촉(觸)의 조건으로부터 수(受)가 있다.’는 … 비구들이여, ‘육입(六入)의 조건으로부터 촉(觸)이 있다.’는 … 비구들이여, ‘명색(名色)의 조건으로부터 육입(六入)이 있다.’는 … 비구들이여, ‘식(識)의 조건으로부터 명색(名色)이 있다.’는 … 비구들이여, ‘행(行)의 조건으로부터 식(識)이 있다.’는 … 비구들이여, ‘무명(無明)의 조건으로부터 행(行)이 있다.’는 이 요소는 여래들의 출현으로부터거나 출현하지 않음으로부터거나 흔들리지 않는 것이고, 법으로 확립된 것이고, 법으로 결정된 것이며, 여기에서의 조건성이다. 여래는 이것을 깨달았고 실현하였다. 깨닫고 실현한 뒤 '보라! 비구들이여, 무명(無明)의 조건으로부터 행(行)이 있다.'라고 공표하고, 전달하고, 선언하고, 시작하고, 드러내고, 분석하고, 해설한다. 비구들이여, 이렇게 거기서 사실임, 사실을 벗어나지 않음, 다른 방법으로 생겨나지 않음, 여기에서의 조건성 ㅡ 비구들이여, 이것이 연기(緣起)라고 불린다.


“katame ca, bhikkhave, paṭiccasamuppannā dhammā? jarāmaraṇaṃ, bhikkhave, aniccaṃ saṅkhataṃ paṭiccasamuppannaṃ khayadhammaṃ vayadhammaṃ virāgadhammaṃ nirodhadhammaṃ. jāti, bhikkhave, aniccā saṅkhatā paṭiccasamuppannā khayadhammā vayadhammā virāgadhammā nirodhadhammā. bhavo, bhikkhave, anicco saṅkhato paṭiccasamuppanno khayadhammo vayadhammo virāgadhammo nirodhadhammo. upādānaṃ bhikkhave ... pe ... taṇhā, bhikkhave... vedanā, bhikkhave... phasso, bhikkhave... saḷāyatanaṃ, bhikkhave... nāmarūpaṃ, bhikkhave... viññāṇaṃ, bhikkhave... saṅkhārā, bhikkhave... avijjā, bhikkhave, aniccā saṅkhatā paṭiccasamuppannā khayadhammā vayadhammā virāgadhammā nirodhadhammā. ime vuccanti, bhikkhave, paṭiccasamuppannā dhammā.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연기된 법인가? 비구들이여, 노사(老死)는 무상(無常)하고 유위(有爲)이고 연기된 것이고 부서짐의 법이고 사라짐의 법이고 이탐(離貪)의 법이고 소멸(消滅)의 법이다. 비구들이여, 생(生)은 무상(無常)하고 유위(有爲)이고 연기된 것이고 부서짐의 법이고 사라짐의 법이고 이탐(離貪)의 법이고 소멸(消滅)의 법이다. 비구들이여, 유(有)는 무상(無常)하고 유위(有爲)이고 연기된 것이고 부서짐의 법이고 사라짐의 법이고 이탐(離貪)의 법이고 소멸(消滅)의 법이다. 비구들이여, 취(取)는 … 비구들이여, 애(愛)는 … 비구들이여, 수(受)는 … 비구들이여, 촉(觸)은 … 비구들이여, 육입(六入)은 … 비구들이여, 명색(名色)은 … 비구들이여, 식(識)은 … 비구들이여, 행(行)은 … 비구들이여, 무명(無明)은 무상(無常)하고 유위(有爲)이고 연기된 것이고 부서짐의 법이고 사라짐의 법이고 이탐(離貪)의 법이고 소멸(消滅)의 법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연기된 법이라고 불린다.


“yato kho, bhikkhave, ariyasāvakassa ‘ayañca paṭiccasamuppādo, ime ca paṭiccasamuppannā dhammā’ yathābhūtaṃ sammappaññāya sudiṭṭhā honti, so vata pubbantaṃ vā paṭidhāvissati — ‘ahosiṃ nu kho ahaṃ atītamaddhānaṃ, nanu kho ahosiṃ atītamaddhānaṃ, kiṃ nu kho ahosiṃ atītamaddhānaṃ, kathaṃ nu kho ahosiṃ atītamaddhānaṃ, kiṃ hutvā kiṃ ahosiṃ nu kho ahaṃ atītamaddhānan’ti; aparantaṃ vā upadhāvissati — ‘bhavissāmi nu kho ahaṃ anāgatamaddhānaṃ, nanu kho bhavissāmi anāgatamaddhānaṃ, kiṃ nu kho bhavissāmi anāgatamaddhānaṃ, kathaṃ nu kho bhavissāmi anāgatamaddhānaṃ, kiṃ hutvā kiṃ bhavissāmi nu kho ahaṃ anāgatamaddhānan’ti; etarahi vā paccuppannaṃ addhānaṃ ajjhattaṃ kathaṃkathī bhavissati — ‘ahaṃ nu khosmi, no nu khosmi, kiṃ nu khosmi, kathaṃ nu khosmi, ayaṃ nu kho satto kuto āgato, so kuhiṃ gamissatī’ti — netaṃ ṭhānaṃ vijjati. taṃ kissa hetu? tathāhi, bhikkhave, ariyasāvakassa ayañca paṭiccasamuppādo ime ca paṭiccasamuppannā dhammā yathābhūtaṃ sammappaññāya sudiṭṭhā”ti.


3. 오온(五蘊)의 특성 ㅡ pupphasuttaṃ (SN 22.94)[꽃 경]

 

“nāhaṃ, bhikkhave, lokena vivadāmi, lokova mayā vivadati. na, bhikkhave, dhammavādī kenaci lokasmiṃ vivadati. yaṃ, bhikkhave, natthisammataṃ loke paṇḍitānaṃ, ahampi taṃ ‘natthī’ti vadāmi. yaṃ, bhikkhave, atthisammataṃ loke paṇḍitānaṃ, ahampi taṃ ‘atthī’ti vadāmi”.

 

"비구들이여, 나는 세상과 다투지 않는다. 단지 세상이 나와 다툴 뿐이다. 비구들이여, 법을 말하는 자는 세상에서 누구와도 다투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세상에서 현자들이 없다고 동의하는 것을 나도 역시 없다고 말한다. 세상에서 현자들이 있다고 동의하는 것을 나도 역시 있다고 말한다."

 

“kiñca, bhikkhave, natthisammataṃ loke paṇḍitānaṃ, yamahaṃ ‘natthī’ti vadāmi? rūpaṃ, bhikkhave, niccaṃ dhuvaṃ sassataṃ avipariṇāmadhammaṃ natthisammataṃ loke paṇḍitānaṃ; ahampi taṃ ‘natthī’ti vadāmi. vedanā... saññā... saṅkhārā... viññāṇaṃ niccaṃ dhuvaṃ sassataṃ avipariṇāmadhammaṃ natthisammataṃ loke paṇḍitānaṃ; ahampi taṃ ‘natthī’ti vadāmi. idaṃ kho, bhikkhave, natthisammataṃ loke paṇḍitānaṃ; ahampi taṃ ‘natthī’ti vadāmi”.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세상에서 현자들이 없다고 동의하고 나도 없다고 말하는 것인가? 비구들이여, 현자들은 상(常)하고 지속되고 불변이고 변하지 않는 것인 색(色)은 없다고 동의하고 나도 그것은 없다고 말한다. 수(受) ... 상(想) ... 행(行) ... 상(常)하고 지속되고 불변이고 변하지 않는 것인 식(識)은 없다고 동의하고 나도 그것은 없다고 말한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세상에서 현자들이 없다고 동의하고 나도 그것을 없다고 말하는 것이다.

 

“kiñca, bhikkhave, atthisammataṃ loke paṇḍitānaṃ, yamahaṃ ‘atthī’ti vadāmi? rūpaṃ, bhikkhave, aniccaṃ dukkhaṃ vipariṇāmadhammaṃ atthisammataṃ loke paṇḍitānaṃ; ahampi taṃ ‘atthī’ti vadāmi. vedanā aniccā ... pe ... viññāṇaṃ aniccaṃ dukkhaṃ vipariṇāmadhammaṃ atthisammataṃ loke paṇḍitānaṃ; ahampi taṃ ‘atthī’ti vadāmi. idaṃ kho, bhikkhave, atthisammataṃ loke paṇḍitānaṃ; ahampi taṃ ‘atthī’ti vadāmi”.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세상에서 현자들이 있다고 동의하고 나도 있다고 말하는 것인가? 비구들이여, 현자들은 무상(無常)하고 불만족스럽고 변하는 것인 색(色)은 있다고 동의하고 나도 그것은 있다고 말한다. 수(受) ... 상(想) ... 행(行) ... 무상(無常)하고 불만족스럽고 변하는 것인 식(識)은 있다고 동의하고 나도 그것은 있다고 말한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세상에서 현자들이 있다고 동의하고 나도 그것을 있다고 말하는 것이다.

 
“atthi, bhikkhave, loke lokadhammo, taṃ tathāgato abhisambujjhati abhisameti; abhisambujjhitvā abhisametvā taṃ ācikkhati deseti paññapeti paṭṭhapeti vivarati vibhajati uttānīkaroti.

 

비구들이여, 세상에는 세상의 법이 있다. 여래(如來)는 그것을 깨닫고 실현하였다. 깨닫고 실현한 뒤에 그것을 공표하고, 전달하고, 선언하고, 시작하고, 드러내고, 분석하고, 해설한다.

 

“kiñca, bhikkhave, loke lokadhammo, taṃ tathāgato abhisambujjhati abhisameti, abhisambujjhitvā abhisametvā ācikkhati deseti paññapeti paṭṭhapeti vivarati vibhajati uttānīkaroti? rūpaṃ, bhikkhave, loke lokadhammo taṃ tathāgato abhisambujjhati abhisameti. abhisambujjhitvā abhisametvā ācikkhati deseti paññapeti paṭṭhapeti vivarati vibhajati uttānīkaroti.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세상에 있는 세상의 법이어서 여래(如來)는 그것을 깨닫고 실현하였고, 깨닫고 실현한 뒤에 그것을 공표하고, 전달하고, 선언하고, 시작하고, 드러내고, 분석하고, 해설하는가? 비구들이여, 색(色)은 세상에 있는 세상의 법이어서 여래(如來)는 그것을 깨닫고 실현하였고, 깨닫고 실현한 뒤에 그것을 공표하고, 전달하고, 선언하고, 시작하고, 드러내고, 분석하고, 해설한다.

 

“yo, bhikkhave, tathāgatena evaṃ ācikkhiyamāne desiyamāne paññapiyamāne paṭṭhapiyamāne vivariyamāne vibhajiyamāne uttānīkariyamāne na jānāti na passati tamahaṃ, bhikkhave, bālaṃ puthujjanaṃ andhaṃ acakkhukaṃ ajānantaṃ apassantaṃ kinti karomi! vedanā, bhikkhave, loke lokadhammo ... pe ... saññā, bhikkhave... saṅkhārā, bhikkhave... viññāṇaṃ, bhikkhave, loke lokadhammo taṃ tathāgato abhisambujjhati abhisameti. abhisambujjhitvā abhisametvā ācikkhati deseti paññapeti paṭṭhapeti vivarati vibhajati uttānīkaroti.

 

비구들이여, 여래가 이렇게 공표하고, 전달하고, 선언하고, 시작하고, 드러내고, 분석하고, 해설했는데도 불구하고 알지 못하고 보지 못하는 어리석은 범부, 어리석고 눈이 없어 알지 못하고 보지 못하는 자에게 내가 무엇을 할 수 있겠는가? 비구들이여, 수(受)는 세상에 있는 세상의 법이어서 ... 비구들이여, 상(想)은 ... 비구들이여, 행(行)은 ... 비구들이여, 식(識)은 세상에 있는 세상의 법이어서 여래(如來)는 그것을 깨닫고 실현하였고, 깨닫고 실현한 뒤에 그것을 공표하고, 전달하고, 선언하고, 시작하고, 드러내고, 분석하고, 해설한다.

 

“yo, bhikkhave, tathāgatena evaṃ ācikkhiyamāne desiyamāne paññapiyamāne paṭṭhapiyamāne vivariyamāne vibhajiyamāne uttānīkariyamāne na jānāti na passati tamahaṃ, bhikkhave, bālaṃ puthujjanaṃ andhaṃ acakkhukaṃ ajānantaṃ apassantaṃ kinti karomi!

 

비구들이여, 여래가 이렇게 공표하고, 전달하고, 선언하고, 시작하고, 드러내고, 분석하고, 해설했는데도 불구하고 알지 못하고 보지 못하는 어리석은 범부, 어리석고 눈이 없어 알지 못하고 보지 못하는 자에게 내가 무엇을 할 수 있겠는가?

 

“seyyathāpi, bhikkhave, uppalaṃ vā padumaṃ vā puṇḍarīkaṃ vā udake jātaṃ udake saṃvaḍḍhaṃ udakā accuggamma ṭhāti anupalittaṃ udakena; evameva kho, bhikkhave, tathāgato loke jāto loke saṃvaḍḍho lokaṃ abhibhuyya viharati anupalitto lokenā”ti.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청련(靑蓮)이나 홍련(紅蓮)이나 백련(白蓮)이 물에서 생겨서 물에서 자라지만 물을 벗어나서 물에 젖지 않고 피어 있는 것과 같다. 그와 같이 여래는 세상에서 태어나서 세상에서 자랐지만 세상을 지배한 뒤 세상에 젖지 않고 머문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