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사회참여/외부특강 > 학술세미나 > 깨달음

학술세미나

[교재] Ⅵ. 여래(如來)에 의한 법[mayā dhammo]

0 635 2018.03.03 21:05

Ⅵ. 여래(如來)에 의한 법[mayā dhammo]


1. mahāparinibbānasuttaṃ (DN 16)[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


1) “kiṃ panānanda, bhikkhusaṅgho mayi paccāsīsati? desito, ānanda, mayā dhammo anantaraṃ abāhiraṃ karitvā. natthānanda, tathāgatassa dhammesu ācariyamuṭṭhi. - gilānasuttaṃ (SN 47.9)


아난다여, 그런데 비구상가는 나에 대해서 무엇을 바라는가? 아난다여, 나에 의해 설해진 법은 안과 밖이 없이 설하였기 때문에, 아난다여, 여래의 법들에는 스승만의 특별한 앎[사권(師拳)]이 없다. 


2) atha kho bhagavā āyasmantaṃ ānandaṃ āmantesi — “siyā kho panānanda, tumhākaṃ evamassa — ‘atītasatthukaṃ pāvacanaṃ, natthi no satthā’ti. na kho panetaṃ, ānanda, evaṃ daṭṭhabbaṃ. yo vo, ānanda, mayā dhammo ca vinayo ca desito paññatto, so vo mamaccayena satthā. yathā kho panānanda, etarahi bhikkhū aññamaññaṃ āvusovādena samudācaranti, na kho mamaccayena evaṃ samudācaritabbaṃ. theratarena, ānanda, bhikkhunā navakataro bhikkhu nāmena vā gottena vā āvusovādena vā samudācaritabbo. navakatarena bhikkhunā therataro bhikkhu ‘bhante’ti vā ‘āyasmā’ti vā samudācaritabbo. ākaṅkhamāno, ānanda, saṅgho mamaccayena khuddānukhuddakāni sikkhāpadāni samūhanatu. channassa, ānanda, bhikkhuno mamaccayena brahmadaṇḍo dātabbo”ti. “katamo pana, bhante, brahmadaṇḍo”ti? “channo, ānanda, bhikkhu yaṃ iccheyya, taṃ vadeyya. so bhikkhūhi neva vattabbo, na ovaditabbo, na anusāsitabbo”ti.


그때 세존께서는 아난다 존자에게 말씀하셨다. ㅡ "아난다여, 그런데 그대들은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다. ㅡ '이전에는 스승이 있었다. 이제는 스승이 없다.'라고. 아난다여. 그러나 이렇게 보지 않아야 한다. 아난다여, 「나로부터 그대들에게 설해지고 선언된 법과 율이 나의 죽음 이후에는 그대들의 스승이 될 것」이다. 


아난다여, 그리고 지금은 비구들이 서로를 도반(道伴)이라는 말로 부르고 있다. 그러나 나의 죽음 이후에는 그대들은 이렇게 불러서는 안 된다. 아난다여, 건넌 장로 비구는 손아래 비구를 이름이나 성이나 도반이라는 말로 불러야 한다. 손아래 비구는 건넌 장로를 ‘대덕’이라거나 ‘존자’라고 불러야 한다.


아난다여, 상가가 원한다면 나의 죽음 이후에는 소소한 학습계목들은 폐지해도 좋다."


"아난다여, 나의 죽음 이후에는 찬나 비구에게 범천의 징계를 주어야 한다." "대덕이시여, 그러면 어떤 것이 범천의 징계입니까?" "아난다여, 찬나 비구가 자기가 하고 싶은 대로 말하더라도 비구들은 그에게 말을 하지도 말고, 훈계하지도 말고, 충고하지도 말아야 한다."


2. pāthikasuttaṃ, sunakkhattavatthu (DN 24.1)[빠티까 경]

ㅡ yassatthāya bhagavatā dhammo desito so niyyāti takkarassa sammā dukkhakkhayāyā


niyyāti는 to go out, get out (esp. of saŋsāra)여서 윤회의 밖으로 나가는 것입니다. 누가 나가는 것입니까? 세존에 의해 설해진 법을 바르게 실천하는 자입니다. 무엇을 위해 나가는 것입니까? 고멸(苦滅)을 위해 나가는 것입니다. 그러면 어디로 나가는 것입니까? 고멸(苦滅)의 자리입니다. 윤회하는 고(苦)의 자리에서 벗어남이고 열반의 실현입니다. 


이때, 이 경의 주제는 여래에 의해서 설해진 법을 실천하는 자의 바른 고멸(苦滅)이라는 포괄적 목적을 위해 여래는 법을 설하는 것이지 어떤 특정한 것을 위함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한 가지 사실이 분명해집니다. 부처님이 설한 법을 바르게 실천하면 고(苦)가 소멸합니다. 고멸(苦滅)의 자리로 나가는 것이고, 열반을 실현하는 것입니다.


‘taṃ kiṃ maññasi, sunakkhatta, kate vā uttarimanussadhammā iddhipāṭihāriye akate vā uttarimanussadhammā iddhipāṭihāriye yassatthāya mayā dhammo desito so niyyāti takkarassa sammā dukkhakkhayāyā’ti? ‘kate vā, bhante, uttarimanussadhammā iddhipāṭihāriye akate vā uttarimanussadhammā iddhipāṭihāriye yassatthāya bhagavatā dhammo desito so niyyāti takkarassa sammā dukkhakkhayāyā’ti. ‘iti kira, sunakkhatta, kate vā uttarimanussadhammā iddhipāṭihāriye, akate vā uttarimanussadhammā iddhipāṭihāriye, yassatthāya mayā dhammo desito, so niyyāti takkarassa sammā dukkhakkhayāya.


‘수낙캇따여, 어떻게 생각하는가? 인간을 넘어선 법인 신통(神通)의 비상(非常)함을 행함에 대한 것이거나 인간을 넘어선 법인 신통(神通)의 비상(非常)함을 행하지 않음에 대한 것이거나 나에 의해 누구를 위해 설해진 법을 실천하는 자는 바른 고(苦)의 부숨을 위해 고멸(苦滅)의 자리로 나가는가?’ ‘대덕이시여, 인간을 넘어선 법인 신통(神通)의 비상(非常)함을 행함에 대한 것이거나 인간을 넘어선 법인 신통(神通)의 비상(非常)함을 행하지 않음에 대한 것이거나 여래에 의해 누구를 위해 설해진 법을 실천하는 자는 바른 고(苦)의 부숨을 위해 고멸(苦滅)의 자리로 나갑니다.’ ‘수낙캇따여, 참으로 이렇게 인간을 넘어선 법인 신통(神通)의 비상(非常)함을 행함에 대한 것이거나 인간을 넘어선 법인 신통(神通)의 비상(非常)함을 행하지 않음에 대한 것이거나 나에 의해 누구를 위해 설해진 법을 실천하는 자는 바른 고(苦)의 부숨을 위해 고멸(苦滅)의 자리로 나간다.’


taṃ kiṃ maññasi, sunakkhatta, paññatte vā aggaññe, apaññatte vā aggaññe, yassatthāya mayā dhammo desito, so niyyāti takkarassa sammā dukkhakkhayāyā’ti? ‘paññatte vā, bhante, aggaññe, apaññatte vā aggaññe, yassatthāya bhagavatā dhammo desito, so niyyāti takkarassa sammā dukkhakkhayāyā’ti. ‘iti kira, sunakkhatta, paññatte vā aggaññe, apaññatte vā aggaññe, yassatthāya mayā dhammo desito, so niyyāti takkarassa sammā dukkhakkhayāya.


‘수낙캇따여, 어떻게 생각하는가? 세상의 기원을 선언함에 대한 것이거나 세상의 기원을 선언함이 아닌 것에 대한 것이거나 나에 의해 누구를 위해 설해진 법을 실천하는 자는 바른 고(苦)의 부숨을 위해 고멸(苦滅)의 자리로 나가는가?’ ‘대덕이시여, 세상의 기원을 선언함에 대한 것이거나 세상의 기원을 선언함이 아닌 것에 대한 것이거나 여래에 의해 누구를 위해 설해진 법을 실천하는 자는 바른 고(苦)의 부숨을 위해 고멸(苦滅)의 자리로 나갑니다.’ ‘수낙캇따여, 참으로 이렇게 세상의 기원을 선언함에 대한 것이거나 세상의 기원을 선언함이 아닌 것에 대한 것이거나 나에 의해 누구를 위해 설해진 법을 실천하는 자는 바른 고(苦)의 부숨을 위해 고멸(苦滅)의 자리로 나간다.’


3. alagaddūpamasuttaṃ (MN 22)[뱀의 비유 경]


1) evameva kho, bhikkhave, kullūpamo mayā dhammo desito nittharaṇatthāya, no gahaṇatthāya. kullūpamaṃ vo, bhikkhave, dhammaṃ desitaṃ, ājānantehi dhammāpi vo pahātabbā pageva adhammā.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뗏목에 비유하여 나에 의해 설해진 법은 건넘을 위한 것이지 움켜쥠을 위한 것이 아니다. 비구들이여, 그대들에게 설한 뗏목 비유의 법을 이해하는 자들에 의해서는 법들도 버려져야 하는데 법 아닌 것들이야 말해 무엇 하겠는가!


2) “evaṃ svākkhāto, bhikkhave, mayā dhammo uttāno vivaṭo pakāsito chinnapilotiko. evaṃ svākkhāte, bhikkhave, mayā dhamme uttāne vivaṭe pakāsite chinnapilotike ye te bhikkhū arahanto khīṇāsavā vusitavanto katakaraṇīyā ohitabhārā anuppattasadatthā parikkhīṇabhavasaṃyojanā sammadaññā vimuttā, vaṭṭaṃ tesaṃ natthi paññāpanāya. evaṃ svākkhāto, bhikkhave, mayā dhammo uttāno vivaṭo pakāsito chinnapilotiko. evaṃ svākkhāte, bhikkhave, mayā dhamme uttāne vivaṭe pakāsite chinnapilotike yesaṃ bhikkhūnaṃ pañcorambhāgiyāni saṃyojanāni pahīnāni, sabbe te opapātikā, tattha parinibbāyino, anāvattidhammā tasmā lokā. evaṃ svākkhāto, bhikkhave, mayā dhammo uttāno vivaṭo pakāsito chinnapilotiko. evaṃ svākkhāte, bhikkhave, mayā dhamme uttāne vivaṭe pakāsite chinnapilotike yesaṃ bhikkhūnaṃ tīṇi saṃyojanāni pahīnāni, rāgadosamohā tanubhūtā, sabbe te sakadāgāmino, sakideva imaṃ lokaṃ āgantvā dukkhassantaṃ karissanti. evaṃ svākkhāto, bhikkhave, mayā dhammo uttāno vivaṭo pakāsito chinnapilotiko. evaṃ svākkhāte, bhikkhave, mayā dhamme uttāne vivaṭe pakāsite chinnapilotike yesaṃ bhikkhūnaṃ tīṇi saṃyojanāni pahīnāni, sabbe te sotāpannā, avinipātadhammā, niyatā sambodhiparāyanā. evaṃ svākkhāto, bhikkhave, mayā dhammo uttāno vivaṭo pakāsito chinnapilotiko. evaṃ svākkhāte, bhikkhave, mayā dhamme uttāne vivaṭe pakāsite chinnapilotike ye te bhikkhū dhammānusārino saddhānusārino sabbe te sambodhiparāyanā. evaṃ svākkhāto, bhikkhave, mayā dhammo uttāno vivaṭo pakāsito chinnapilotiko. evaṃ svākkhāte, bhikkhave, mayā dhamme uttāne vivaṭe pakāsite chinnapilotike yesaṃ mayi saddhāmattaṃ pemamattaṃ sabbe te saggaparāyanā”ti.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나에 의해 잘 설해진 법은 분명하고 열려있고 설명되었고 새로운 것이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분명하고 열려있고 설명되었고 새로운 것인 나에 의해 잘 설해진 법에서 번뇌가 다했고 삶을 완성했으며 해야 할 바를 했고 짐을 내려놓았으며 최고의 선(善)을 성취했고 존재의 족쇄를 완전히 부수었으며 바른 무위의 앎으로 해탈한 아라한 비구들에게 윤회는 선언되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나에 의해 잘 설해진 법은 분명하고 열려있고 설명되었고 새로운 것이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분명하고 열려있고 설명되었고 새로운 것인 나에 의해 잘 설해진 법에서 오하분결(五下分結)을 완전히 부순 비구들에게 그들은 모두 화생하여 거기서 완전한 열반에 들기 때문에 그 세계로부터 다시 돌아오는 법은 없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나에 의해 잘 설해진 법은 분명하고 열려있고 설명되었고 새로운 것이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분명하고 열려있고 설명되었고 새로운 것인 나에 의해 잘 설해진 법에서 세 가지 족쇄가 버려지고 탐진치(貪嗔癡)가 엷어진 비구들에게 그들은 모두 일래자(一來者)여서 단지 한 번만 이 세상에 돌아와서 고(苦)의 끝을 만들 것이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나에 의해 잘 설해진 법은 분명하고 열려있고 설명되었고 새로운 것이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분명하고 열려있고 설명되었고 새로운 것인 나에 의해 잘 설해진 법에서 세 가지 족쇄가 버려진 비구들에게 그들 모두는 예류자(預流者)여서 벌 받는 존재를 넘어섰고, 한 방향이고, 깨달음이 결정되었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나에 의해 잘 설해진 법은 분명하고 열려있고 설명되었고 새로운 것이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분명하고 열려있고 설명되었고 새로운 것인 나에 의해 잘 설해진 법에서 법을 따르는 자와 믿음을 따르는 자인 그 비구들은 모두 깨달음이 결정되었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나에 의해 잘 설해진 법은 분명하고 열려있고 설명되었고 새로운 것이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분명하고 열려있고 설명되었고 새로운 것인 나에 의해 잘 설해진 법에서 나를 믿고 나에게 영향 받은 그들은 모두 하늘이 결정되었다.


4. bahuvedanīyasuttaṃ (MN 59)[많은 경험 경] - bhikkhusuttaṃ (SN 36.20) & pañcakaṅgasuttaṃ (SN 36.19)


assosi kho āyasmā ānando āyasmato udāyissa pañcakaṅgena thapatinā saddhiṃ imaṃ kathāsallāpaṃ. atha kho āyasmā ānando yena bhagavā tenupasaṅkami; upasaṅkamitvā bhagavantaṃ abhivādetvā ekamantaṃ nisīdi. ekamantaṃ nisinno kho āyasmā ānando yāvatako ahosi āyasmato udāyissa pañcakaṅgena thapatinā saddhiṃ kathāsallāpo taṃ sabbaṃ bhagavato ārocesi. evaṃ vutte, bhagavā āyasmantaṃ ānandaṃ etadavoca — “santaññeva kho, ānanda, pariyāyaṃ pañcakaṅgo thapati udāyissa nābbhanumodi, santaññeva ca pana pariyāyaṃ udāyī pañcakaṅgassa thapatissa nābbhanumodi. dvepānanda, vedanā vuttā mayā pariyāyena, tissopi vedanā vuttā mayā pariyāyena, pañcapi vedanā vuttā mayā pariyāyena, chapi vedanā vuttā mayā pariyāyena, aṭṭhārasapi vedanā vuttā mayā pariyāyena, chattiṃsapi vedanā vuttā mayā pariyāyena, aṭṭhasatampi vedanā vuttā mayā pariyāyena. evaṃ pariyāyadesito kho, ānanda, mayā dhammo. evaṃ pariyāyadesite kho, ānanda, mayā dhamme ye aññamaññassa subhāsitaṃ sulapitaṃ na samanujānissanti na samanumaññissanti na samanumodissanti tesametaṃ pāṭikaṅkhaṃ — bhaṇḍanajātā kalahajātā vivādāpannā aññamaññaṃ mukhasattīhi vitudantā viharissanti. evaṃ pariyāyadesito kho, ānanda, mayā dhammo. evaṃ pariyāyadesite kho, ānanda, mayā dhamme ye aññamaññassa subhāsitaṃ sulapitaṃ samanujānissanti samanumaññissanti samanumodissanti tesametaṃ pāṭikaṅkhaṃ — samaggā sammodamānā avivadamānā khīrodakībhūtā aññamaññaṃ piyacakkhūhi sampassantā viharissanti”.


아난다 존자가 우다이 장로와 빤짜깡가 목수가 함께한 이 우정의 대화를 듣게 되었다. 그러자 아난다 존자는 세존을 뵈러 갔다. 가서는 세존께 절을 올리고 한 곁에 앉았다. 한 곁에 앉아서 아난다 존자는 우다이 존자와 빤짜깡가 목수가 함께한 이 우정의 대화를 들은 그대로 모두 세존께 말씀드렸다. 


이렇게 말하자 세존께서는 아난다 존자에게 이렇게 말씀하셨다. ㅡ "아난다여, 빤짜깡가 목수가 우다이에게 기뻐하지 않은 것은 이유가 있다. 또한, 우다이가 빤짜깡가 목수에게 기뻐하지 않은 것도 이유가 있다. 나는 단계적으로 두 가지로도 경험을 설했고, 단계적으로 세 가지로도 경험을 설했고, 단계적으로 다섯 가지로도 경험을 설했고, 단계적으로 여섯 가지로도 경험을 설했고, 단계적으로 열여덟 가지로도 경험을 설했고, 단계적으로 서른여섯 가지로도 경험을 설했고, 단계적으로 백여덟 가지로도 경험을 설했다. 아난다여, 이렇게 나에 의해 단계적으로 설해진 법이 있다. 참으로 아난다여, 이렇게 나에 의해 단계적으로 설해진 법에 대해 서로 간에 잘 말했고 잘 설해졌음을 동의하지 않고 수긍하지 않고 인정하지 않는 사람들이 있다면, 그들에게는 논쟁이 생기고 말다툼이 생기고 분쟁이 생기며 혀를 무기 삼아 서로를 찌르면서 지낼 것이 예상된다. 아난다여, 이렇게 나에 의해 단계적으로 설해진 법에 대해 서로 간에 잘 말했고 잘 설해졌음을 동의하고 수긍하고 인정하는 사람들이 있다면, 그들은 사이좋게 화합하고 정중하고 다투지 않고 물과 우유가 잘 섞이듯이 서로를 우정 어린 눈으로 보면서 지낼 것이 예상된다."


5. kalyāṇamittasuttaṃ (SN 3.18)[선우(善友) 경]


“evametaṃ, mahārāja, evametaṃ, mahārāja! svākkhāto, mahārāja, mayā dhammo. so ca kho kalyāṇamittassa kalyāṇasahāyassa kalyāṇasampavaṅkassa, no pāpamittassa no pāpasahāyassa no pāpasampavaṅkassāti.


그렇습니다, 대왕이여. 그렇습니다, 대왕이여. 대왕이여, 나에 의해 잘 설해진 법은 좋은 친구, 좋은 동료, 좋은 벗과 함께하는 자를 위한 것이지 나쁜 친구, 나쁜 동료, 나쁜 벗과 함께하는 자를 위한 것이 아닙니다. 


6. dutiyadasabalasuttaṃ (SN 12.22)[십력(十力) 경2]


“evaṃ svākkhāto, bhikkhave, mayā dhammo uttāno vivaṭo pakāsito chinnapilotiko. evaṃ svākkhāte kho, bhikkhave, mayā dhamme uttāne vivaṭe pakāsite chinnapilotike alameva saddhāpabbajitena kulaputtena vīriyaṃ ārabhituṃ — ‘kāmaṃ taco ca nhāru ca aṭṭhi ca avasissatu, sarīre upasussatu maṃsalohitaṃ. yaṃ taṃ purisathāmena purisavīriyena purisaparakkamena pattabbaṃ, na taṃ apāpuṇitvā vīriyassa saṇṭhānaṃ bhavissatī’”ti.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나에 의해 잘 설해진 법은 분명하고 열려있고 설명되었고 새로운 것이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분명하고 열려있고 설명되었고 새로운 것인 나에 의해 잘 설해진 법에서 믿음으로 출가한 좋은 가문의 아들이 노력을 시작하는 것은 적절하다. ㅡ ‘참으로 피부와 힘줄과 뼈만 남아라! 몸에서 살과 피가 마르더라도 남자다운 근력과 남자다운 노력과 남자다운 분발로써 얻어야 하는 것을 얻지 않는 한 정진을 멈추지 않으리!’라고.


7. pālileyyasuttaṃ (SN 22.81)[빨리레이야 경]


tena kho pana samayena aññatarassa bhikkhuno evaṃ cetaso parivitakko udapādi — “kathaṃ nu kho jānato kathaṃ passato anantarā āsavānaṃ khayo hotī”ti? atha kho bhagavā tassa bhikkhuno cetasā cetoparivitakkamaññāya bhikkhū āmantesi — “vicayaso desito, bhikkhave, mayā dhammo; vicayaso desitā cattāro satipaṭṭhānā; vicayaso desitā cattāro sammappadhānā; vicayaso desitā cattāro iddhipādā; vicayaso desitāni pañcindriyāni; vicayaso desitāni pañca balāni; vicayaso desitā sattabojjhaṅgā; vicayaso desito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evaṃ vicayaso desito, bhikkhave, mayā dhammo. evaṃ vicayaso desite kho, bhikkhave, mayā dhamme atha ca panidhekaccassa bhikkhuno evaṃ cetaso parivitakko udapādi — ‘kathaṃ nu kho jānato kathaṃ passato anantarā āsavānaṃ khayo hotī’”ti?


그때 어떤 비구에게 이런 마음의 빠리위딱까가 일어났다. ㅡ ‘어떻게 알고 어떻게 볼 때 곧바로 번뇌들의 부숨이 있을까?’라고. 그러자 세존께서 그 비구의 마음으로부터 마음의 빠리위딱까를 알고서 비구들에게 말했다. ㅡ “비구들이여, 나에 의해 심사되어 설해진 법이 있다. 심사되어 설해진 사념처(四念處), 심사되어 설해진 사정근(四正勤), 심사되어 설해진 사여의족(四如意足), 심사되어 설해진 오근(五根), 심사되어 설해진 오력(五力), 심사되어 설해진 칠각지(七覺支), 심사되어 설해진 팔정도(八正道)이다. 비구들이여, 이렇게 나에 의해 심사되어 설해진 법이 있다. 비구들이여, 이렇게 나에 의해 심사되어 설해진 법에서 그러나 여기 어떤 비구에게 이런 빠리위딱까가 일어났다. ㅡ ‘어떻게 알고 어떻게 볼 때 곧바로 번뇌들의 부숨이 있을까?’라고. 


8. paṭhamagilānasuttaṃ (SN 35.57)[병 경1]


“sādhu sādhu, bhikkhu! sādhu kho tvaṃ, bhikkhu, rāgavirāgatthaṃ mayā dhammaṃ desitaṃ ājānāsi. rāgavirāgattho hi, bhikkhu, mayā dhammo desito. taṃ kiṃ maññasi bhikkhu, cakkhu niccaṃ vā aniccaṃ vā”ti?


훌륭하고 훌륭하다, 비구여. 비구여, 그대가 나에 의해 설해진 법을 탐(貪)의 빛바램을 위한 것이라고 알다니 훌륭하다. 비구여, 참으로 나에 의해 설해진 법은 탐(貪)의 빛바램을 위한 것이다. 비구여, 어떻게 생각하는가? 안(眼)은 상(常)한가, 무상(無常)한가?


9. dutiyagilānasuttaṃ (SN 35.58)[병 경2]


“sādhu sādhu, bhikkhu! sādhu kho tvaṃ, bhikkhu, anupādāparinibbānatthaṃ mayā dhammaṃ desitaṃ ājānāsi. anupādāparinibbānattho hi, bhikkhu, mayā dhammo desito. taṃ kiṃ maññasi, bhikkhu, cakkhu niccaṃ vā aniccaṃ vā”ti?


훌륭하고 훌륭하다, 비구여. 비구여, 그대가 나에 의해 설해진 법을 집착 없는 완전한 열반을 위한 것이라고 알다니 훌륭하다. 비구여, 참으로 나에 의해 설해진 법은 집착 없는 완전한 열반을 위한 것이다. 비구여, 어떻게 생각하는가? 안(眼)은 상(常)한가, 무상(無常)한가?


10. titthāyatanādisuttaṃ (AN 3.62)[외도의 주장 경(A3:61)]


삼종외도(三種外道)의 비판에 이어 이들과 구별되는 것으로의 여래에 의해 설해진 법을 설명하는 경입니다. 아래의 문장은 ①육계(六界), ②육촉처(六觸處), ③열여덟 가지 의(意)의 행보(行步), ④사성제(四聖諦)를 여래에 의해 설해진 법으로 제시하는데, 경은 이어서 네 가지 각각에 그 내용을 설명합니다. 


“ayaṃ kho pana, bhikkhave, mayā dhammo desito aniggahito asaṃkiliṭṭho anupavajjo appaṭikuṭṭho samaṇehi brāhmaṇehi viññūhi. katamo ca, bhikkhave, mayā dhammo desito aniggahito asaṃkiliṭṭho anupavajjo appaṭikuṭṭho samaṇehi brāhmaṇehi viññūhi? imā cha dhātuyoti, bhikkhave, mayā dhammo desito aniggahito asaṃkiliṭṭho anupavajjo appaṭikuṭṭho samaṇehi brāhmaṇehi viññūhi. imāni cha phassāyatanānīti, bhikkhave, mayā dhammo desito aniggahito asaṃkiliṭṭho anupavajjo appaṭikuṭṭho samaṇehi brāhmaṇehi viññūhi. ime aṭṭhārasa manopavicārāti, bhikkhave, mayā dhammo desito aniggahito asaṃkiliṭṭho anupavajjo appaṭikuṭṭho samaṇehi brāhmaṇehi viññūhi. imāni cattāri ariyasaccānīti, bhikkhave, mayā dhammo desito aniggahito asaṃkiliṭṭho anupavajjo appaṭikuṭṭho samaṇehi brāhmaṇehi viññūhi.


“비구들이여, 나에 의해 설해진 이 법은 현명한 사문-바라문들에 의해 질책 받지 않고 더럽혀지지 않고 비난받지 않고 책망 받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현명한 사문-바라문들에 의해 질책 받지 않고 더럽혀지지 않고 비난받지 않고 책망 받지 않는 나에 의해 설해진 법인가?


비구들이여, 나에 의해 설해진 ‘이런 육계(六界)가 있다.’라는 법은 현명한 사문-바라문들에 의해 질책 받지 않고 더럽혀지지 않고 비난받지 않고 책망 받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나에 의해 설해진 ‘이런 육촉처(六觸處)가 있다.’라는 법은 현명한 사문-바라문들에 의해 질책 받지 않고 더럽혀지지 않고 비난받지 않고 책망 받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나에 의해 설해진 ‘이런 열여덟 가지 의(意)의 행보(行步)가 있다.’라는 법은 현명한 사문-바라문들에 의해 질책 받지 않고 더럽혀지지 않고 비난받지 않고 책망 받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나에 의해 설해진 ‘이런 사성제(四聖諦)가 있다.’라는 법은 현명한 사문-바라문들에 의해 질책 받지 않고 더럽혀지지 않고 비난받지 않고 책망 받지 않는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