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사회참여/외부특강 > 학술세미나 > 깨달음

학술세미나

[교재] 주제7. 두 단계의 깨달음 ㅡ 예류자(預流者)와 아라한(阿羅漢)

0 602 2018.03.03 21:21

주제7. 두 단계의 깨달음 ㅡ 예류자(預流者)와 아라한(阿羅漢)



깨달음의 완성을 지칭하는 표현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diṭṭheva dhamme sayaṃ abhiññā sacchikatvā upasampajja viharati

 ; 지금여기에서 스스로 실답게 알았기 때문에 실현한 뒤 구족하여 머문다.


가 있는데, 보통은 


bhikkhu āsavānaṃ khayā anāsavaṃ cetovimuttiṃ paññāvimuttiṃ diṭṭheva dhamme sayaṃ abhiññā sacchikatvā upasampajja viharati.


비구는 번뇌들을 부수어 번뇌가 없는 심해탈(心解脫)과 혜해탈(慧解脫)을 지금여기에서 스스로 실답게 알았기 때문에 실현한 뒤 구족하여 머문다.


인데, 율장과 4부 니까야에 150번 나타납니다[āsavānaṃ이 āsavānañca의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 28번 포함].


Ⅰ. 두 단계의 깨달음 ㅡ 예류자(預流者)와 아라한(阿羅漢)


그런데 깨달음의 경지를 두 단계로 구분하여 나타내는 표현이 있습니다.


①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아는 것[yathābhūtaṃ pajānāti]」

② 「있는 그대로 안 뒤 집착 없이 해탈하는 것[yathābhūtaṃ viditvā anupādāvimutto hoti]」


이때, ①「있는 그대로 꿰뚫어 아는 것[yathābhūtaṃ pajānāti]」은 


율장-0. 디가니까야-7, 맛지마니까야-35, 상윳따니까야-62, 앙굿따라니까야-80

 ⇒ 계 184번


나타나고, ②「있는 그대로 안 뒤 집착 없이 해탈하는 것[yathābhūtaṃ viditvā anupādāvimutto hoti]」은


율장-0. 디가니까야-5, 맛지마니까야-0, 상윳따니까야-8, 앙굿따라니까야-0

 ⇒ 계 13번


나타납니다. 용례에 의하면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아는 것[yathābhūtaṃ pajānāti]」은 예류자(預流者)의 경지이고, 「있는 그대로 안 뒤 집착 없이 해탈하는 것[yathābhūtaṃ viditvā anupādāvimutto hoti]」은 아라한(阿羅漢)의 경지입니다. 이 결론을 추출하기 위해 「있는 그대로 안 뒤 집착 없이 해탈하는 것」의 용례를 살펴보면서 그 연결선 상에서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아는 것」과의 관계를 검토해 보았습니다.


• 용례1. brahmajālasuttaṃ (DN 1)[범망경(D1)]


tayidaṃ, bhikkhave, tathāgato pajānāti — ‘ime diṭṭhiṭṭhānā evaṃgahitā evaṃparāmaṭṭhā evaṃgatikā bhavanti evaṃabhisamparāyā’ti, tañca tathāgato pajānāti, tato ca uttaritaraṃ pajānāti; tañca pajānanaṃ na parāmasati, aparāmasato cassa paccattaññeva nibbuti viditā. vedanānaṃ samudayañca atthaṅgamañca assādañca ādīnavañca nissaraṇañca yathābhūtaṃ viditvā anupādāvimutto, bhikkhave, tathāgato. 


비구들이여, 여래는 이것을 꿰뚫어 안다. ㅡ ‘이렇게 붙잡고 이렇게 집착된 이 경우의 견해 때문에 이런 이끌림이 있고 이런 다시 태어남이 있다.’라고. 여래는 이것을 꿰뚫어 알고, 이보다 더 높은 것도 꿰뚫어 안다. 그러나 그 앎을 집착하지 않는다. 집착하지 않는 자에게 개별적으로 꺼짐이 알려진다. 비구들이여, 여래는 수(受)의 일어남과 사라짐과 매력(魅力)과 위험(危險)과 해방(解放)을 있는 그대로 안 뒤 집착 없이 해탈한 자이다.


이 문장은 범망경(D1)의 62가지 삿된 견해를 분류하는 자리에서 13번 나타납니다. 다만, 생략에 의해 니까야 원전에서 실제적으로는 5번 나타납니다.


• 용례2. arahantasuttaṃ (SN 22.110)[아라한 경]


“pañcime, bhikkhave, upādānakkhandhā. katame pañca? seyyathidaṃ — rūpupādānakkhandho . pe . viññāṇupādānakkhandho. yato kho, bhikkhave, bhikkhu imesaṃ pañcannaṃ upādānakkhandhānaṃ samudayañca atthaṅgamañca assādañca ādīnavañca nissaraṇañca yathābhūtaṃ viditvā anupādāvimutto hoti. ayaṃ vuccati, bhikkhave, bhikkhu arahaṃ khīṇāsavo vusitavā katakaraṇīyo ohitabhāro anuppattasadattho parikkhīṇabhavasaṃyojano sammadaññāvimutto”ti.


비구들이여, 오취온(五取蘊)이 있다. 어떤 것이 다섯인가? 색취온(色取蘊) … 식취온(識取蘊)이다.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이러한 오취온의 일어남과 사라짐과 매력(魅力)과 위험(危險)과 해방(解放)을 있는 그대로 안 뒤 집착 없이 해탈한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비구는 아라한이고 번뇌가 다했고 삶을 완성했으며 할 바를 다했고 짐을 내려놓았으며 참된 이상을 실현했고 삶의 족쇄를 부수었으며 바른 무위(無爲)의 앎으로 해탈했다고 한다.


한편, sotāpannasuttaṃ(SN 22.109)[예류자경]은


“pañcime, bhikkhave, upādānakkhandhā. katame pañca? seyyathidaṃ — rūpupādānakkhandho . pe . viññāṇupādānakkhandho. yato kho, bhikkhave, ariyasāvako imesaṃ pañcannaṃ upādānakkhandhānaṃ samudayañca atthaṅgamañca assādañca ādīnavañca nissaraṇañca yathābhūtaṃ pajānāti. ayaṃ vuccati, bhikkhave, ariyasāvako sotāpanno avinipātadhammo niyato sambodhiparāyano”ti.


비구들이여, 오취온(五取蘊)이 있다. 어떤 것이 다섯인가? 예를 들면 - 색취온(色取蘊) … 식취온(識取蘊)이다.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이러한 오취온의 일어남과 사라짐과 매력(魅力)과 위험(危險)과 해방(解放)을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알 때, 이를 일러 성스러운 제자는 예류자(預流者)[흐름에 든 자]여서 벌 받는 존재를 넘어섰고, 한 방향이고, 깨달음이 결정되었다고 한다.


라고 합니다. 오취온(五取蘊)에 대해서 「일어남과 사라짐과 매력(魅力)과 위험(危險)과 해방(解放)을 있는 그대로 분명하게 안 뒤 집착 없이 해탈하면」 아라한이고, 「일어남과 사라짐과 매력(魅力)과 위험(危險)과 해방(解放)을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알면 예류자라고 정의하는 것입니다.


• 예류자(預流者) -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아는 자[yathābhūtaṃ pajānāti]

• 아라한(阿羅漢) - 있는 그대로 안 뒤 집착 없이 해탈한 자[yathābhūtaṃ viditvā anupādāvimutto hoti]


• 용례3. arahantasuttaṃ (SN 23.8)


arahantasuttaṃ (SN 22.110)[아라한 경]을 대상만 라다 존자로 바꾸어 동일하게 반복합니다. 마찬가지로 sotāpannasuttaṃ(SN 22.109)[예류자경]도 <sotāpannasuttaṃ(SN 23.7)>에서 동일하게 반복됩니다.


• 용례4. udakasuttaṃ (SN 35.86)[웃다까 경(S35:103)]


kathañca, bhikkhave, bhikkhu sabbajī hoti? yato kho, bhikkhave, bhikkhu channaṃ phassāyatanānaṃ samudayañca atthaṅgamañca assādañca ādīnavañca nissaraṇañca yathābhūtaṃ viditvā anupādāvimutto hoti; evaṃ kho, bhikkhave, bhikkhu sabbajī hoti.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떻게 해서 비구는 일체승자(一切勝者)인가? 비구들이여, 비구는 육촉처(六觸處)의 일어남과 사라짐과 매력(魅力)과 위험(危險)과 해방(解放)을 있는 그대로 안 뒤 집착 없이 해탈한다. 비구들이여, 이렇게 비구는 일체승자이다.


한편, 이 경은 이 문장의 바로 앞에서


kathañca, bhikkhave, vedagū hoti? yato kho, bhikkhave, bhikkhu channaṃ phassāyatanānaṃ samudayañca atthaṅgamañca assādañca ādīnavañca nissaraṇañca yathābhūtaṃ pajānāti; evaṃ kho, bhikkhave, bhikkhu vedagū hoti.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떻게 해서 비구는 지혜의 달인인가? 비구들이여, 비구는 육촉처(六觸處)의 일어남과 사라짐과 매력(魅力)과 위험(危險)과 해방(解放)을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안다. 비구들이여, 이렇게 비구는 지혜의 달인이다.


라고 합니다. 


예류자를 지혜의 달인[vedagū]으로, 아라한을 일체승자[sabbajī]로 표현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용례5. paramassāsappattasuttaṃ (SN 38.6)[최상의 안식(安息) 경]


“‘paramassāsappatto, paramassāsappatto’ti, āvuso sāriputta, vuccati. kittāvatā nu kho, āvuso, paramassāsappatto hotī”ti? “yato kho, āvuso, bhikkhu channaṃ phassāyatanānaṃ samudayañca atthaṅgamañca assādañca ādīnavañca nissaraṇañca yathābhūtaṃ viditvā anupādāvimutto hoti, ettāvatā kho, āvuso, paramassāsappatto hotī”ti. 


"도반 사리뿟따여, '최상의 안식을 얻음, 최상의 안식을 얻음'이라고 합니다. 도반이여, 도대체 어떤 것이 최상의 안식을 얻은 것입니까?"


"도반이여, 비구가 육촉처(六觸處)의 일어남과 사라짐과 매력(魅力)과 위험(危險)과 해방(解放)을 있는 그대로 안 뒤 집착 없이 해탈하는 것이 최상의 안식을 얻은 것입니다."


한편, assāsappattasuttaṃ (SN 38.5)[안식(安息) 경]은


“‘assāsappatto, assāsappatto’ti, āvuso sāriputta, vuccati. kittāvatā nu kho, āvuso, assāsappatto hotī”ti? “yato kho, āvuso, bhikkhu channaṃ phassāyatanānaṃ samudayañca atthaṅgamañca assādañca ādīnavañca nissaraṇañca yathābhūtaṃ pajānāti, ettāvatā kho, āvuso, assāsappatto hotī”ti.


"도반 사리뿟따여, '안식을 얻음, 안식을 얻음'이라고 합니다. 도반이여, 도대체 어떤 것이 안식을 얻은 것입니까?"


"도반이여, 비구가 육촉처(六觸處)의 일어남과 사라짐과 매력(魅力)과 위험(危險)과 해방(解放)을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아는 것이 안식을 얻은 것입니다."


라고 합니다. 앞의 경들과의 연결 가운데 이해하면,


• 예류자(預流者) -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아는 자[yathābhūtaṃ pajānāti] 

                → 지혜의 달인 → 안식을 얻은 자

• 아라한(阿羅漢) - 있는 그대로 안 뒤 집착 없이 해탈한 자[yathābhūtaṃ viditvā anupādāvimutto hoti]

                → 일체승자 → 최상의 안식을 얻은 자

 

를 설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용례6. paṭhamārahantasuttaṃ (SN 48.4)[아라한 경1]


“pañcimāni, bhikkhave, indriyāni. katamāni pañca? saddhindriyaṃ, vīriyindriyaṃ, satindriyaṃ, samādhindriyaṃ, paññindriyaṃ. yato kho, bhikkhave, ariyasāvako imesaṃ pañcannaṃ indriyānaṃ assādañca ādīnavañca nissaraṇañca yathābhūtaṃ viditvā anupādāvimutto hoti — ayaṃ vuccati, bhikkhave, bhikkhu arahaṃ khīṇāsavo vusitavā katakaraṇīyo ohitabhāro anuppattasadattho parikkhīṇabhavasaṃyojano sammadaññā vimutto”ti.


비구들이여, 다섯 가지 기능이 있다. 무엇이 다섯인가? 믿음의 기능, 정진의 기능, 사띠의 기능, 삼매의 기능, 지혜의 기능이다.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이러한 다섯 가지 기능의 매력(魅力)과 위험(危險)과 해방(解放)을 있는 그대로 안 뒤 집착 없이 해탈할 때, 이를 일러 성스러운 제자는 아라한이고 번뇌가 다했고 삶을 완성했으며 할 바를 다했고 짐을 내려놓았으며 참된 이상을 실현했고 삶의 족쇄를 부수었으며 바른 무위(無爲)의 앎으로 해탈했다고 한다.


한편, paṭhamasotāpannasuttaṃ (SN 48.2)[예류자 경1]은


“pañcimāni, bhikkhave, indriyāni. katamāni pañca? saddhindriyaṃ, vīriyindriyaṃ, satindriyaṃ, samādhindriyaṃ, paññindriyaṃ. yato kho, bhikkhave, ariyasāvako imesaṃ pañcannaṃ indriyānaṃ assādañca {samudayañca atthaṅgamañca assādañca (syā. kaṃ. pī. ka.) saṃ. ni. 2.175} ādīnavañca nissaraṇañca yathābhūtaṃ pajānāti — ayaṃ vuccati, bhikkhave, ariyasāvako sotāpanno avinipātadhammo niyato sambodhiparāyaṇo”ti.


비구들이여, 다섯 가지 기능이 있다. 무엇이 다섯인가? 믿음의 기능, 정진의 기능, 사띠의 기능, 삼매의 기능, 지혜의 기능이다.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이러한 다섯 가지 기능의 매력(魅力)과 위험(危險)과 해방(解放)을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알 때, 이를 일러 성스러운 제자는 예류자(預流者)[흐름에 든 자]여서 벌 받는 존재를 넘어섰고, 한 방향이고, 깨달음이 결정되었다고 한다.


고 합니다. 예류자와 아라한을 동일한 표현에 의해 구분하고 있습니다.


• 용례7. dutiyārahantasuttaṃ (SN 48.5)[아라한 경2]


“pañcimāni, bhikkhave, indriyāni. katamāni pañca? saddhindriyaṃ, vīriyindriyaṃ, satindriyaṃ, samādhindriyaṃ, paññindriyaṃ. yato kho, bhikkhave, bhikkhu imesaṃ pañcannaṃ indriyānaṃ samudayañca atthaṅgamañca assādañca ādīnavañca nissaraṇañca yathābhūtaṃ viditvā anupādāvimutto hoti — ayaṃ vuccati, bhikkhave, bhikkhu arahaṃ khīṇāsavo vusitavā katakaraṇīyo ohitabhāro anuppattasadattho parikkhīṇabhavasaṃyojano sammadaññā vimutto”ti.


비구들이여, 다섯 가지 기능이 있다. 무엇이 다섯인가? 믿음의 기능, 정진의 기능, 사띠의 기능, 삼매의 기능, 지혜의 기능이다.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이러한 다섯 가지 기능의 일어남과 사라짐과 매력(魅力)과 위험(危險)과 해방(解放)을 있는 그대로 안 뒤 집착 없이 해탈할 때, 이를 일러 성스러운 제자는 아라한이고 번뇌가 다했고 삶을 완성했으며 할 바를 다했고 짐을 내려놓았으며 참된 이상을 실현했고 삶의 족쇄를 부수었으며 바른 무위(無爲)의 앎으로 해탈했다고 한다.


한편, dutiyasotāpannasuttaṃ (SN 48.3)[예류자 경2]는


“pañcimāni, bhikkhave, indriyāni. katamāni pañca? saddhindriyaṃ, vīriyindriyaṃ, satindriyaṃ, samādhindriyaṃ, paññindriyaṃ. yato kho, bhikkhave, ariyasāvako imesaṃ pañcannaṃ indriyānaṃ samudayañca atthaṅgamañca assādañca ādīnavañca nissaraṇañca yathābhūtaṃ pajānāti — ayaṃ vuccati, bhikkhave, ariyasāvako sotāpanno avinipātadhammo niyato sambodhiparāyaṇo”ti.


비구들이여, 다섯 가지 기능이 있다. 무엇이 다섯인가? 믿음의 기능, 정진의 기능, 사띠의 기능, 삼매의 기능, 지혜의 기능이다.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이러한 다섯 가지 기능의 일어남과 사라짐과 매력(魅力)과 위험(危險)과 해방(解放)을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알 때, 이를 일러 성스러운 제자는 예류자(預流者)[흐름에 든 자]여서 벌 받는 존재를 넘어섰고, 한 방향이고, 깨달음이 결정되었다고 한다.


라고 합니다. 앞의 경들에 비해 samudayañca atthaṅgamañca assādañca ādīnavañca nissaraṇañca[일어남과 사라짐과 매력(魅力)과 위험(危險)과 해방(解放)]으로 표현하는 차이가 있습니다.


• 용례8. arahantasuttaṃ (SN 48.27)[아라한 경]


“chayimāni, bhikkhave, indriyāni. katamāni cha? cakkhundriyaṃ, sotindriyaṃ, ghānindriyaṃ, jivhindriyaṃ, kāyindriyaṃ, manindriyaṃ. yato kho, bhikkhave, bhikkhu imesaṃ channaṃ indriyānaṃ samudayañca atthaṅgamañca assādañca ādīnavañca nissaraṇañca yathābhūtaṃ viditvā anupādāvimutto hoti — ayaṃ vuccati, bhikkhave, ‘bhikkhu arahaṃ khīṇāsavo vusitavā katakaraṇīyo ohitabhāro anuppattasadattho parikkhīṇabhavasaṃyojano sammadaññā vimutto’”ti.


 비구들이여, 여섯 가지 감각기능이 있다. 무엇이 여섯인가? 눈의 감각기능, 귀의 감각기능, 코의 감각기능, 혀의 감각기능, 몸의 감각기능, 의(意)의 감각기능이다.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이러한 여섯 가지 감각기능의 일어남과 사라짐과 매력(魅力)과 위험(危險)과 해방(解放)을 있는 그대로 안 뒤 집착 없이 해탈할 때, 이를 일러 비구는 아라한이고 번뇌가 다했고 삶을 완성했으며 할 바를 다했고 짐을 내려놓았으며 참된 이상을 실현했고 삶의 족쇄를 부수었으며 바른 무위(無爲)의 앎으로 해탈했다고 한다.


한편, sotāpannasuttaṃ (SN 48.26)[예류자 경]은


“chayimāni, bhikkhave, indriyāni. katamāni cha? cakkhundriyaṃ ... pe ... manindriyaṃ. yato kho, bhikkhave, ariyasāvako imesaṃ channaṃ indriyānaṃ samudayañca atthaṅgamañca assādañca ādīnavañca nissaraṇañca yathābhūtaṃ pajānāti — ayaṃ vuccati, bhikkhave, ariyasāvako sotāpanno avinipātadhammo niyato sambodhiparāyaṇo”ti.


비구들이여, 여섯 가지 감각기능이 있다. 무엇이 여섯인가? 눈의 감각기능, 귀의 감각기능, 코의 감각기능, 혀의 감각기능, 몸의 감각기능, 의(意)의 감각기능이다.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이러한 여섯 가지 감각기능의 일어남과 사라짐과 매력(魅力)과 위험(危險)과 해방(解放)을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알 때, 이를 일러 성스러운 제자는 예류자(預流者)[흐름에 든 자]여서 벌 받는 존재를 넘어섰고, 한 방향이고, 깨달음이 결정되었다고 한다.


라고 합니다. 동일한 표현의 차이를 여섯 가지 감각기능[육근(六根)]에 적용하여 예류자와 아라한을 구분하고 있습니다.


• 용례9. arahantasuttaṃ (SN 48.33)[아라한 경]


“Pañcimāni, bhikkhave, indriyāni. Katamāni pañca? Sukhindriyaṃ, dukkhindriyaṃ, somanassindriyaṃ, domanassindriyaṃ, upekkhindriyaṃ. Yato kho, bhikkhave, bhikkhu imesaṃ pañcannaṃ indriyānaṃ samudayañca atthaṅgamañca assādañca ādīnavañca nissaraṇañca yathābhūtaṃ viditvā anupādāvimutto hoti—  ayaṃ vuccati, bhikkhave, bhikkhu arahaṃ khīṇāsavo vusitavā katakaraṇīyo ohitabhāro anuppattasadattho parikkhīṇabhavasaṃyojano sammadaññāvimutto”ti. 


비구들이여, 다섯 가지 기능이 있다. 무엇이 다섯인가? 즐거움의 기능[락근(樂根)], 괴로움의 기능[고근(苦根)], 만족의 기능[희근(喜根)], 고뇌의 기능[우근(憂根)], 평정의 기능[사근(捨根)]이다.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이러한 다섯 가지 기능의 일어남과 사라짐과 매력(魅力)과 위험(危險)과 해방(解放)을 있는 그대로 안 뒤 집착 없이 해탈할 때, 이를 일러 비구는 아라한이고 번뇌가 다했고 삶을 완성했으며 할 바를 다했고 짐을 내려놓았으며 참된 이상을 실현했고 삶의 족쇄를 부수었으며 바른 무위(無爲)의 앎으로 해탈했다고 한다.


한편, sotāpannasuttaṃ (SN 48.32)[예류자 경]은 


“pañcimāni, bhikkhave, indriyāni. katamāni pañca? sukhindriyaṃ, dukkhindriyaṃ, somanassindriyaṃ, domanassindriyaṃ, upekkhindriyaṃ. yato kho, bhikkhave, ariyasāvako imesaṃ pañcannaṃ indriyānaṃ samudayañca atthaṅgamañca assādañca ādīnavañca nissaraṇañca yathābhūtaṃ pajānāti — ayaṃ vuccati, bhikkhave, ariyasāvako sotāpanno avinipātadhammo niyato sambodhiparāyaṇo”ti.


비구들이여, 다섯 가지 기능이 있다. 무엇이 다섯인가? 즐거움의 기능[락근(樂根)], 괴로움의 기능[고근(苦根)], 만족의 기능[희근(喜根)], 고뇌의 기능[우근(憂根)], 평정의 기능[사근(捨根)]이다.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이러한 다섯 가지 기능의 일어남과 사라짐과 매력(魅力)과 위험(危險)과 해방(解放)을 있는 그대로 꿰뚫어 알 때, 이를 일러 성스러운 제자는 예류자(預流者)[흐름에 든 자]여서 벌 받는 존재를 넘어섰고, 한 방향이고, 깨달음이 결정되었다고 한다.


고 합니다. 동일한 표현의 차이를 느낌의 다섯 가지 기능에 적용하여 예류자와 아라한을 구분하고 있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