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사회참여/외부특강 > 학술세미나 > 깨달음

학술세미나

manomayaṃ kāyaṃ[의성신(意成身)]의 용례

manomayaṃ kāyaṃ[의성신(意成身)]의 용례


1. 사문과경(D2)과 그 수행체계를 반복하는 경전들 ㅡ 암밧타 경(D3), 소나단다 경(D4), 꾸따단따 경(D5), 마할리 경(D6), 잘리야 경(D7), 깟사빠 사자후 경(D8), 수바 경(D10), 께밧따 경(D11), 로힛짜 경(D12)


“so evaṃ samāhite citte parisuddhe pariyodāte anaṅgaṇe vigatūpakkilese mudubhūte kammaniye ṭhite āneñjappatte manomayaṃ kāyaṃ abhinimmānāya cittaṃ abhinīharati abhininnāmeti. so imamhā kāyā aññaṃ kāyaṃ abhinimmināti rūpiṃ manomayaṃ sabbaṅgapaccaṅgiṃ ahīnindriyaṃ.


그가 이와 같이 마음이 삼매를 닦고, 청정하고, 깨끗하고, 흠이 없고, 오염원이 사라지고, 부드럽고, 자기 활동성을 회복하고, 안정되고, 흔들림이 없는 상태에 이르렀을 때 의(意)로 만든 몸[의성신(意成身)]으로 마음을 향하게 하고 기울게 합니다. 그는 이 몸으로부터 형상을 가지고, 의(意)로 만들고, 모든 수족이 다 갖추어지고, 감각기능[근(根)]이 결여되지 않은 다른 몸을 만들어냅니다.


“seyyathāpi, mahārāja, puriso muñjamhā īsikaṃ pavāheyya. tassa evamassa — ‘ayaṃ muñjo, ayaṃ īsikā, añño muñjo, aññā īsikā, muñjamhā tveva īsikā pavāḷhā’ti. seyyathā vā pana, mahārāja, puriso asiṃ kosiyā pavāheyya. tassa evamassa — ‘ayaṃ asi, ayaṃ kosi, añño asi, aññā kosi, kosiyā tveva asi pavāḷho”ti. seyyathā vā pana, mahārāja, puriso ahiṃ karaṇḍā uddhareyya. tassa evamassa — ‘ayaṃ ahi, ayaṃ karaṇḍo. añño ahi, añño karaṇḍo, karaṇḍā tveva ahi ubbhato’ti. evameva kho, mahārāja, bhikkhu evaṃ samāhite citte parisuddhe pariyodāte anaṅgaṇe vigatūpakkilese mudubhūte kammaniye ṭhite āneñjappatte manomayaṃ kāyaṃ abhinimmānāya cittaṃ abhinīharati abhininnāmeti. so imamhā kāyā aññaṃ kāyaṃ abhinimmināti rūpiṃ manomayaṃ sabbaṅgapaccaṅgiṃ ahīnindriyaṃ. idampi kho, mahārāja, sandiṭṭhikaṃ sāmaññaphalaṃ purimehi sandiṭṭhikehi sāmaññaphalehi abhikkantatarañca paṇītatarañca. 


대왕이여, 예를 들면 사람이 문자 풀로부터 갈대를 골라내는 것과 같습니다. 그에게 이런 생각이 들 것입니다. '이것은 문자 풀이고 이것은 갈대이다. 문자 풀과 갈대는 다르다. 문자 풀로부터 갈대가 제거되었다.'라고. 대왕이여, 다시 예를 들면 사람이 칼을 칼집에서 끄집어내는 것과 같습니다. 그에게 이런 생각이 들 것입니다. '이것은 칼이고 이것은 칼집이다. 칼과 칼집은 다르다. 칼집으로부터 칼은 끄집어내졌다.'라고. 대왕이여, 다시 예를 들면 사람이 뱀을 개미집으로부터 끄집어내는 것과 같습니다. 그에게 이런 생각이 들 것입니다. '이것은 뱀이고 이것은 개미집이다. 뱀과 개미집은 다르다. 개미집으로부터 뱀은 끄집어내졌다.'라고. 대왕이여, 그와 마찬가지로 그는 마음이 삼매를 닦고, 청정하고, 깨끗하고, 흠이 없고, 오염원이 사라지고, 부드럽고, 자기 활동성을 회복하고, 안정되고, 흔들림이 없는 상태에 이르렀을 때 의(意)로 만든 몸[의성신(意成身)]으로 마음을 향하게 하고 기울게 합니다. 그는 이 몸으로부터 형상을 가지고, 의(意)로 만들고, 모든 수족이 다 갖추어지고, 감각기능[근(根)]이 결여되지 않은 다른 몸을 만들어냅니다. 대왕이여, 이것 역시 스스로 보이는 사문의 결실이니 앞에서 설명한 스스로 보이는 사문의 결실들보다 더 뛰어나고 더 수승한 것입니다.


2. 사꿀루다이 큰 경(M77)


“puna caparaṃ, udāyi, akkhātā mayā sāvakānaṃ paṭipadā, yathāpaṭipannā me sāvakā imamhā kāyā aññaṃ kāyaṃ abhinimminanti rūpiṃ manomayaṃ sabbaṅgapaccaṅgiṃ ahīnindriyaṃ.


우다인이여, 또한 나는 나의 제자들에게 이와 같은 길을 설했습니다. 그 길을 실천하는 나의 제자들은 이 몸으로부터 형상을 가지고, 의(意)로 만들고, 모든 수족이 다 갖추어지고, 감각기능[근(根)]이 결여되지 않은 다른 몸을 만들어냅니다.


3. AN 1, 14. etadaggavaggo, 2. dutiyavaggo (AN 1.198-208)[앙굿따라 니까야 하나의 모음 제일의 품]


“etadaggaṃ, bhikkhave, mama sāvakānaṃ bhikkhūnaṃ manomayaṃ kāyaṃ abhinimminantānaṃ yadidaṃ cūḷapanthako” .


비구들이여, 나의 제자 비구들 안에서 쭐라빤타까는 의성신(意成身)을 만드는 자 가운데 제일이다.


4. manāpadāyīsuttaṃ (AN 5.44)[마음에 흡족한 공양을 올리는 자 경] 


atha kho uggo gahapati vesāliko aparena samayena kālamakāsi. kālaṅkato ca uggo gahapati vesāliko aññataraṃ manomayaṃ kāyaṃ upapajji.


그후 얼마 되지 않아 웨살리 출신의 장자 욱가는 죽었다. 죽은 후에 웨살리 출신의 장자 욱가는 어떤 의성신으로 태어났다.


5. kakudhatherasuttaṃ (AN 5.100)[까꾸다의 경]


tena kho pana samayena kakudho nāma koliyaputto āyasmato mahāmoggallānassa upaṭṭhāko adhunākālaṅkato aññataraṃ manomayaṃ kāyaṃ upapanno. tassa evarūpo attabhāvapaṭilābho hoti — seyyathāpi nāma dve vā tīṇi vā māgadhakāni gāmakkhettāni. so tena attabhāvapaṭilābhena neva attānaṃ no paraṃ byābādheti.


그때 꼴리야 출신의 까꾸다는 존자 마하목갈라나의 시자였는데, 방금 죽어서 어떤 의성신(意成身)으로 태어났다. 그는 예를 들어 둘 혹은 셋의 마가다의 마을에 있는 밭 크기의 몸을 얻었다. 그는 그 몸을 얻어서 자신도 괴롭히지 않고 남도 괴롭히지 않았다.


6. nirodhasuttaṃ (AN 5.166)[소멸의 경]


“idhāvuso, bhikkhu sīlasampanno samādhisampanno paññāsampanno saññāvedayitanirodhaṃ samāpajjeyyāpi vuṭṭhaheyyāpi — atthetaṃ ṭhānaṃ. no ce diṭṭheva dhamme aññaṃ ārādheyya, atikkammeva kabaḷīkārāhārabhakkhānaṃ devānaṃ sahabyataṃ aññataraṃ manomayaṃ kāyaṃ upapanno saññāvedayitanirodhaṃ samāpajjeyyāpi vuṭṭhaheyyāpi — atthetaṃ ṭhānan”ti.


벗들이여, 세상에 비구가 계(戒)를 갖추고 삼매를 갖추고 지혜를 갖추면 상수멸(想受滅)에 들거나 거기에서 일어나는 것이 가능합니다. 만약에 그가 현세에서 무위(無爲)의 앎을 성취하지 못하면, 거친 음식으로 사는 신들의 동반자를 뛰어넘어 어떤 의성신(意成身)으로 태어나 상수멸(想受滅)에 들거나 거기서 일어나는 것이 가능합니다.


7. nandiyasuttaṃ (AN 11.13)[난디야의 경]


“puna caparaṃ tvaṃ, nandiya, devatā anussareyyāsi — ‘yā devatā atikkammeva kabaḷīkārāhārabhakkhānaṃ devatānaṃ sahabyataṃ aññataraṃ manomayaṃ kāyaṃ upapannā, tā karaṇīyaṃ attano na samanupassanti katassa vā paticayaṃ. seyyathāpi, nandiya, bhikkhu asamayavimutto karaṇīyaṃ attano na samanupassati katassa vā paticayaṃ; evamevaṃ kho, nandiya, yā tā devatā atikkammeva kabaḷīkārāhārabhakkhānaṃ devatānaṃ sahabyataṃ aññataraṃ manomayaṃ kāyaṃ upapannā, tā karaṇīyaṃ attano na samanupassanti katassa vā paticayaṃ. iti kho te, nandiya, devatā ārabbha ajjhattaṃ sati upaṭṭhāpetabbā.


"다시 난디야여, 그대는 다음과 같이 천신을 계속해서 생각해야 한다. 덩어리 음식을 먹는 신들의 동료를 넘어서서 어떤 의성신(意成身)으로 다시 태어난 신들은 자신에게서 더 이상 해야 할 것을 발견하지 못하고, 이미 한 것을 다시 반복할 필요를 보지 못한다. 마치 확실하게 해탈한 비구가 자신에게서 더 이상 해야 할 것을 발견하지 못하고, 이미 한 것을 다시 반복할 필요를 보지 못하는 것처럼, 덩어리 음식을 먹는 신들의 동료를 넘어서서 어떤 의성신(意成身)으로 다시 태어난 신들은 자신에게서 더 이상 해야 할 것을 발견하지 못하고, 이미 한 것을 다시 반복할 필요를 보지 못한다. 난디야여, 그대는 이와 같이 천신을 대상으로 안으로 사띠를 확립해야 한다.


※ manomaya가 manomayaṃ kāyaṃ[의성신(意成身)] 이외로 쓰인 경우


1. poṭṭhapādasuttaṃ(D9)[뽓타빠다 경]


tayo kho me, poṭṭhapāda, attapaṭilābhā — oḷāriko attapaṭilābho, manomayo attapaṭilābho, arūpo attapaṭilābho.


뽓타빠다여, 나는 세 가지 자아의 획득이 있다고 [말한다]. 그것은  ①거친 자아의 획득, ②의(意)로 만든 자아의 획득, ③무색(無色)의 자아의 획득이다.


2. 길들이지 않고 보호하지 않음 경(S35:94)[adantāguttasuttaṃ(SN 35.77)]


Papañcasaññā itarītarā narā,
Papañcayantā upayanti saññino;
Manomayaṃ gehasitañca sabbaṃ,
Panujja nekkhammasitaṃ irīyati.


망상(妄想)의 상(想)을 가진 이런저런 인간들은

망상(妄想)으로 접근하는 상(想)을 가진 자들이다.

세속과 연결된 모든 의성(意成)을 떨치고

출리와 연결된 삶을 살아야한다.


3. 세상이 수축하는 때 광음천(光音天)에 태어나는 중생들의 설명 ㅡ brahmajālasuttaṃ(DN 1)[범망경], pāthikasuttaṃ(DN 24.6)[빠띠까경], aggaññasuttaṃ(DN 27.2)[세기경], paṭhamakosalasuttaṃ (AN 10.29)[꼬살라 경1] 


“hoti so, bhikkhave, samayo yaṃ ayaṃ loko saṃvaṭṭati. saṃvaṭṭamāne, bhikkhave, loke yebhuyyena sattā ābhassarasaṃvattanikā bhavanti. te tattha honti manomayā pītibhakkhā sayaṃpabhā antalikkhecarā subhaṭṭhāyino ciraṃ dīghamaddhānaṃ tiṭṭhanti. 


비구들이여, 세상이 수축하는 그런 때가 온다. 비구들이여, 세상이 수축될 때 대부분의 중생들은 광음천(光音天)[제이선천(第二禪天)]에 나게 된다. 그들은 거기서 의(意)로 만들고[의성(意成)] 희열을 음식으로 삼고 스스로 빛나고 허공을 다니고 깨끗하고 오랜 세월을 머문다.

Comments

대원행 04.26 20:34
http://www.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9_06&wr_id=151 참조 (나는 불교를 믿는다(240423) ― 제4장 제자들[출가 제자1) 출가하면 좋은 점(사문과경-지와 견, 의성신) & 계율 제정의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