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사회참여/외부특강 > 학술세미나 > 윤회의 진실

학술세미나

[교재] 차례

0 830 2018.02.24 10:24


ㅡ  차             례  ㅡ



선행(先行)하는 공부 / 1


• 세 가지 질문 / 3

• 사람의 정의 – 육계(六界) / 7

• 중(中)으로 설해진 법(法)으로의 십이연기(十二緣起) / 11

• 중도(中道)[majjhimā paṭipadā]인 팔정도(八正道) / 13

• takka[갈애의 형성과정]과 ponobbhavika[다시 존재로 이끎] / 15

• 세 가지 법(法) 경(A10:76)[tayodhammasuttaṃ] / 19


[그림 교재] 세 가지 법 경(A10:70)의 이해 [소유의 삶 → 존재의 삶 → 해탈된 삶] / 22



그림으로 그린 공부의 토대들 / 25


• 아산(我山)과 무아산(無我山)으로 이해하는 세상[소유의 삶 → 존재의 삶 ⇒ 해탈된 삶] / 27 

• 전승(傳承)의 중심 네 가지 / 28

• 사성제(四聖諦) - ①포괄적인 사성제(四聖諦) / 29

• 사성제(四聖諦) - ②심층적인 사성제(四聖諦) / 30

• 사성제(四聖諦)의 개념[전승된 가르침과의 연결] / 31

• 중생의 묶임으로 이해한 세계관(世界觀) / 32

• 불교(佛敎)의 중심(中心) ㅡ 업(業)의 개념[Ⅰ] / 33

• 불교(佛敎)의 중심(中心) - 업(業)의 개념[Ⅱ] / 34

• 세 가지 특별함 / 35



 【윤회(輪迴)에 대한 확정적 가르침】 / 36-ⅰ


• 윤회(輪迴)에 대한 확정적 가르침의 요약 / 36-ⅱ

• 윤회(輪迴)에 대한 확정적 가르침 / 36-ⅲ

• [그림 교재] 윤회(輪廻)[육계(六界) → 중(中) → 중도(中道)] / 36-ⅵ



Ⅰ. 개요 / 37


1. 연기(緣起)적인 윤회(輪迴) / 39

2. 윤회의 주체 = 연기(緣起)하는 식(識) / 40

3. 과학-기계의 영역 ↔ 수행-지혜의 영역 / 40



Ⅱ. 윤회를 설하는 경전들[saṃsāra 또는 vaṭṭa] / 45


1. vaṭṭa의 특별한 용례 / 47

2. saṃsāra의 용례 중 주목할 내용 / 48

3. 부처님의 윤회를 직접 설하는 경전들 / 49

4. 부처님의 전생을 설하는 경전들 / 50


[첨부] 시작을 알지 못함 상윳따(S15)의 경전 요약 / 52



Ⅲ. 윤회와 깨달음 / 57


1. 왓차곳따 삼명(三明) 경(M71) / 59

2. 윤회의 측면에서 부처님의 한 평생을 서술하는 게송들 / 60


1) 부처님의 탄생게(誕生偈) / 60

2) 부처님의 출가게송 / 60

3) 부처님의 오도송(悟道頌) / 61

4) 부처님의 유훈(遺訓) / 62


3. 존재[bhava]라는 용어 / 62

4. 깨달음을 선언하는 표현들 / 63


[참고] 불사(不死)[amata - the deathless state] / 64



Ⅳ. 윤회 – 기본적인 설명 / 67 


(1) 육계(六界)의 가르침 / 69

(2) 몸과 마음의 서로 조건 됨에 의한 윤회 → 식(識)의 윤회 / 69

(3) 몸이 죽어도 따라 죽지 않는 마음 / 70

(4) 잉태(孕胎) - 입태(入胎) - 태어남 → [간답바 – 육계(六界) - 식(識)]의 입태(入胎) / 71

(5) 식(識) - 조건에 의해 생겨남 → 연기(緣起)하는 식(識)의 윤회(輪廻) / 71

(6) 이 세상과 저 세상 사이에 빈 틈 없음 = 죽는 순간 태어남 → 중유(中有) 또는 중음신(中陰身) 없음 / 75


  [참고] 과학자들이 확인한 시간의 최소 단위 = 10⁻⁴³초 / 76


(7) 불이 꺼지듯 식(識)은 흔적을 남기지 않음 → 왓차곳따 불 경(M72) / 76


  [참고] 어떤 불이 타다가 꺼지는 것일까? / 78

  [참고] 십사무기(十事無記)에 속하는 여래의 사후에 대한 설명 / 78


(8) 다시 태어나지 않음 → 아라한의 후신(後身) 없음 / 79



Ⅳ-1. 윤회에서 벗어난 상태를 설명하는 방법들 / 83


[1] 번뇌 다한 비구는 몸이 무너져 죽은 후에 어떻게 됩니까? / 85

[2] 어떻게 소멸되고 사라지는 것일까? / 88

[3] 고(苦)와 고멸(苦滅)을 불이 타고 있는 상태와 불이 꺼진 상태로 설명함 / 89

[4] ‘연료를 조건으로 타오르는 불’의 비유 그리고 도기공의 가마의 비유 / 90


1. 「마른 풀과 나뭇가지라는 연료를 조건으로」의 용례 / 90

2. 「기름을 조건으로 심지를 조건으로 기름등불이」의 용례 / 93

3. 「어떤 사람이 도기공의 가마로부터 뜨거운 도기를 끄집어내서 평평한 땅 위에 내려놓으면 거기서 뜨거운 열기는 식을 것이고 도기들만 남게 될 것이다」의 용례 / 96


[5] 식(識)의 머묾[viññāṇaṃ patiṭṭhita]을 설하는 경전들 / 100

[6] 죽고 태어남이 없을 때 이 세상도 없고 저 세상도 없고 이 둘의 중간도 없음/ 106

[7] 갈애가 연료 ㅡ 토론장 경(S44:9) / 111



Ⅴ. 윤회의 선언[단견(斷見)의 극복] / 115


[1] ‘저 세상은 있다!’고 선언하는 경전들 / 117

[2] 견해의 의미 – 앎[ñāṇa]와 견해[diṭṭhi]의 차이 / 119

[3] 빠야시 경(D23)의 정견(正見) / 122

[4] 윤회의 선언 → 단견(斷見) 또는 단멸론(斷滅論)의 극복 / 124

    ; 바른 견해를 가진 불교신자에게 기대되는 두 가지 측면의 효과 / 125


  [참고] 사생(四生)과 오도윤회(五道輪廻) / 128



Ⅵ. 좋은 세상에 태어나는 법 / 133


[참고] 생천(生天)에 대한 오해 / 135


1. 토대 : 업(業)-지음 있음-정진(精進) → 전승된 가르침[과거-미래-현재의 부처님] / 136

2. 대표적인 조건 : 믿음-오계-배움-보시-지혜의 다섯 가지 법 / 138

3. 좋은 세상에 태어나는 방법 / 140


[3-1] 전체 영역에 대해 설하는 경 / 141


1) 포괄적 설명 - devadahasuttaṃ (SN 22.2)[데와다하 경] / 141

2) saṅkhārupapattisuttaṃ (MN 120)[행(行)에 의한 태어남의 경] / 142

3) cūḷakammavibhaṅgasuttaṃ (MN 135)[업(業) 분석의 작은 경] / 144

4) mahākammavibhaṅgasuttaṃ (MN 136)[업(業) 분석의 큰 경] / 146

5) āneñjasappāyasuttaṃ (MN 106)[흔들림 없음에 적합한 길 경] / 148


[3-2] 욕계(慾界)의 영역에 대해 설하는 경 / 148


6) 포살일의 준수 / 148

7) 공덕행의 토대 경(A8:36) - 보시와 오계의 실천의 강도에 따른 태어남 / 151

8) ‘pecca sagge pamodatī[죽은 뒤에는 하늘에서 기뻐한다]’의 용례 / 152

9)  「마치 하인처럼 지옥(地獄) 또는 천상(天上)으로 데려다 놓는다.」의 용례 / 153



Ⅶ. 윤회의 실제[십이연기(十二緣起)] / 157


[1] 삶의 메커니즘 약술(略述) / 159


 [설명 & 그림 교재]


• 삶의 메커니즘 / 160

• 삶의 연속 / 162

• 누적된 삶과 지금의 삶 / 163

• 심(心)-의(意)-식(識)에 의한 삶의 구분 / 164

• 삶의 메커니즘 - ①1차 인식 / 166

• 삶의 메커니즘 - ②takka[애(愛)의 형성 과정] / 175

• 【식(識)의 의지와 집착】 / 180

• 삶의 메커니즘 - ③행위 / 181

• takka의 input-output / 182

• 삶의 메커니즘 - ④새로운 존재 ~ ⑤무아(無我) & 윤회(輪迴) / 185


[2] 십이연기(十二緣起) 약술(略述) / 187


 [설명 & 그림 교재]


•[설명] 냐띠까 경(S12:45) - 범행(梵行)의 시작 / 189


• 십지연기(十支緣起) - 윤회(輪迴) / 191

• 십이연기(十二緣起) - 윤회(輪迴) / 192

• 지금여기의 삶 & 누적된 삶 / 193

• 십이연기(十二緣起)의 단계적 구분 / 194


•[설명] 십이연기(十二緣起)[중(中) → 고(苦)] 약술 / 195



Ⅷ. 윤회(輪廻)에서 벗어나는 방법 - [팔정도(八正道)] / 205


[1] 수행(修行)의 개념 / 207


  [참고] 보면서 보지 못함! / 219


  [첨부한 그림 교재]


• 수행(修行)의 중심 개념① / 222

• 수행(修行)의 중심 개념② / 223

• 사념처(四念處)의 개념[보는 자와 염처(念處)의 관계] / 224

• 입출식념경(M118)[ānāpānassatisuttaṃ]의 호흡수행 16단계 / 225

• 고(苦)와 고멸(苦滅)의 힘겨루기 / 226

• 계 경(S46:3)과 입출식념경(M118)으로 이해하는 칠각지의 진행과정 / 227

• 일곱 가지 보리분법(菩提分法)의 개괄 / 228



[2] 수행지도(修行地圖) / 229


팔정도(八正道)[중도(中道) → 고멸(苦滅)] / 231 


[참고] 가르침의 근본을 설하는 경전들 / 235

[참고] 삼매수행(三昧修行) / 240

[참고] appamāda[불방일(不放逸)]의 의미 / 242


[첨부한 그림 교재]


• 수행지도(修行地圖) / 246

• vitakka의 의미 - 외적 영역[nimitta]과 내적 영역[cittassa nimitta]으로

  이해하는 삶의 메커니즘 / 248

  

  ⇒ vitakka 없음[무심(無尋)]의 의미 / 249


• 내면의 영역과 높은 수행의 이해 / 251

• takka를 중심에 둔 수행지도(修行地圖) / 252

• takka의 분석[심(心)의 형성과정 ↔ 활동성] → 깨달음의 수행법 / 254



● 후원보시 안내 / 255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