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사회참여/외부특강 > 대답–해피스님

대답–해피스님

대답 - 해피스님(210224) 불교에서는 ― 밥 남기는 걸로 뭐라고 안하죠?

대답 - 해피스님(210224) 불교에서는 밥 남기는 걸로 뭐라고 안하죠?

https://www.youtube.com/watch?v=6VwUerQYBPE

 

불교에서는 밥을 남기면 안 되느냐는 질문과 음식 남기면 저승 갈 때 생전에 남긴 음식을 다 먹어야 되느냐는 두 가지 질문에 답하였습니다.

 

불교는 남기면 안된다는 기준보다는 출가자에게 남겨서 저장하였다가 먹지 않아야 한다는 기준이 있다는 점과 음식에 적당량을 알 것을 강조한다는 점을 설명하였습니다. 특히, 출가자가 식사할 때 마음에 새기는 게송을 소개하였습니다. ― 「비구는 여리(如理)하게 가늠하면서 탁발 음식을 수용한다. 달리기 위해서도 아니고, 여분을 위해서도 아니고, 꾸밈을 위해서도 아니고, 장식을 위해서도 아니고, 오직 이 몸을 유지할 영양을 위한 만큼, 해침을 자제할 만큼, 범행에 도움이 되기 위한 만큼. 이렇게 나는 이전의 느낌을 부수고, 새로운 느낌을 일으키지 않을 것이다. 그러면 나의 삶은 흠 잡을 데 없고, 안락한 생활양식이 유지될 것이다.’

 

재가자의 입장에서도 음식의 적당량을 알아서 과하지 않게 먹는 것은 중요합니다. 그러나 출가자와 달라서 남은 음식은 잘 보관하였다가 다시 먹는 것이 옳다고 말하였습니다.

 

또한, 한국불교의 오관게(五觀偈)를 소개하였는데, http://www.sky33.org/mod22.htm발우공양과 불교정신입니다.

 

발우공양은 음식을 남기는 법이 없어 낭비가 없으며, 음식을 남기지 않아 설거지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설거지로 인해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다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지만 이러한 특징은 지혜의 반영일 뿐이다.

 

이 공양이 여기에 오기까지 얼마나 많은 사람의 피와 땀의 고통이 배어있는가를 헤아리고, (計功多少 量彼來處)

 

자기의 덕행이 공양을 받기에 부끄럽지 않는가를 생각한다.(忖己德行 全缺應供)

 

마음을 악으로부터 보호하고 허물을 여의는 것은 탐치 삼독(癡 三毒)을 버리는 것이 으뜸이니,(防心離過 貪等爲宗)

 

이 음식을 약으로 알아 육신의 고달품을 치료하여,(正思良藥 爲療形枯)

 

道業을 이루고자 이 공양을 받습니다. (爲成道業 應受此食)

 

문답은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nikay06_04&wr_id=1647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nikay06_04&wr_id=1648입니다.

Comments

아빈뇨 2021.03.15 17:54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