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번역의 도구 > 정형화된 문장

정형화된 문장

십업(十業) ㅡ 십악업-십선업

0 393 2018.06.26 20:50

sāleyyakasuttaṃ (MN 41-살라의 주민들 경) 중에서

 

“tividhaṃ kho, gahapatayo, kāyena dhammacariyāsamacariyā hoti, catubbidhaṃ vācāya dhammacariyāsamacariyā hoti, tividhaṃ manasā dhammacariyāsamacariyā hoti.


“장자들이여, 몸에 의한 세 가지 법(法)의 행위와 안정된 행위가 있습니다. 말에 의한 네 가지 법(法)의 행위와 안정된 행위가 있습니다. 의(意)에 의한 세 가지 법(法)의 행위와 안정된 행위가 있습니다.


“kathañca, gahapatayo, tividhaṃ kāyena dhammacariyāsamacariyā hoti? idha, gahapatayo, ekacco pāṇātipātaṃ pahāya pāṇātipātā paṭivirato hoti, nihitadaṇḍo nihitasattho lajjī dayāpanno sabbapāṇabhūtahitānukampī viharati.


장자들이여, 어떻게 몸에 의한 세 가지 법(法)의 행위와 안정된 행위가 있습니까? 장자들이여, 여기 어떤 사람은 생명을 해치는 행위를 버렸기 때문에 생명을 해치는 행위로부터 피한 자입니다. 몽둥이를 내려놓았고, 칼을 내려놓았고, 겸손하고, 친절하고, 모든 생명들을 해치지 않고 연민하며 머뭅니다.


“adinnādānaṃ pahāya adinnādānā paṭivirato hoti. yaṃ taṃ parassa paravittūpakaraṇaṃ, gāmagataṃ vā araññagataṃ vā, taṃ nādinnaṃ theyyasaṅkhātaṃ ādātā hoti.


그는 주지 않는 것을 가지는 행위를 버렸기 때문에 주지 않는 것을 가지는 행위로부터 피한 자입니다. 마을에 있거나 숲에 있는 주어지지 않은 남의 재산과 살림을 도둑처럼 가지지 않습니다.


“kāmesumicchācāraṃ pahāya kāmesumicchācārā paṭivirato hoti. yā tā māturakkhitā piturakkhitā mātāpiturakkhitā bhāturakkhitā bhaginirakkhitā ñātirakkhitā gottarakkhitā dhammarakkhitā sassāmikā saparidaṇḍā antamaso mālāguḷaparikkhittāpi, tathārūpāsu na cārittaṃ āpajjitā hoti. evaṃ kho, gahapatayo, tividhaṃ kāyena dhammacariyāsamacariyā hoti.


그는 음행(淫行)에 대한 삿된 행위를 버렸기 때문에 음행(淫行)에 대한 삿된 행위로부터 피한 자입니다. 어머니에 의해 보호되고, 아버지에 의해 보호되고, 부모에 의해 보호되고, 형제에 의해 보호되고, 자매에 의해 보호되고, 친척에 의해 보호되고, 가문에 의해 보호되고, 법에 의해 보호되고, 남편이 있고, 심지어 꽃다발을 두룬 여인들에 대해 행위를 저지르지 않습니다. 장자들이여, 이렇게 몸에 의한 세 가지 법(法)의 행위와 안정된 행위가 있습니다.


“kathañca, gahapatayo, catubbidhaṃ vācāya dhammacariyāsamacariyā hoti? idha, gahapatayo, ekacco musāvādaṃ pahāya musāvādā paṭivirato hoti. sabhāgato vā parisāgato vā, ñātimajjhagato vā pūgamajjhagato vā rājakulamajjhagato vā, abhinīto sakkhipuṭṭho — ‘ehambho purisa, yaṃ jānāsi taṃ vadehī’ti, so ajānaṃ vā āha — ‘na jānāmī’ti, jānaṃ vā āha — ‘jānāmī’ti, apassaṃ vā āha — ‘na passāmī’ti, passaṃ vā āha — ‘passāmī’ti. iti attahetu vā parahetu vā āmisakiñcikkhahetu vā na sampajānamusā bhāsitā hoti.


장자들이여, 어떻게 말에 의한 네 가지 법(法)의 행위와 안정된 행위가 있습니까? 장자들이여, 여기 어떤 사람은 거짓을 말하는 행위를 버렸기 때문에 거짓을 말하는 행위로부터 피한 자입니다. 의회에 가거나 모임에 가거나 친척 가운데 가거나 조합 가운데 가거나 왕족 가운데 가거나 의무를 가지고 질문을 받습니다. ㅡ ‘여보시오, 그대가 아는 것을 말하시오’라고. 그는 알지 못하는 것에 대해 말합니다. ㅡ ‘나는 알지 못합니다.’라고. 아는 것에 대해 말합니다. ㅡ ‘나는 압니다.’라고. 보지 못하는 것에 대해 말합니다. ㅡ ‘나는 보지 못합니다.’라고. 보는 것에 대해 말합니다. ㅡ ‘나는 봅니다.’라고. 이렇게 자신을 원인으로거나 남을 원인으로거나 무언가 작은 보상을 얻음을 원인으로 알면서 거짓을 말하지 않습니다.


“pisuṇaṃ vācaṃ pahāya pisuṇāya vācāya paṭivirato hoti, ito sutvā na amutra akkhātā imesaṃ bhedāya, amutra vā sutvā na imesaṃ akkhātā amūsaṃ bhedāya. iti bhinnānaṃ vā sandhātā, sahitānaṃ vā anuppadātā, samaggārāmo samaggarato samagganandī samaggakaraṇiṃ vācaṃ bhāsitā hoti.


그는 험담하는 행위를 버렸기 때문에 험담하는 행위로부터 피한 자입니다. 여기서 들은 뒤 저기서 말함으로부터 이것들의 해체로 이끌지 않고, 저기서 들은 뒤 이들에게 말함으로부터 이러한 해체로 이끌지 않습니다, 이렇게 파괴를 회유하는 자이거나 단결을 가져오는 자입니다. 화합을 좋아하고 화합을 꾀하고 화합을 즐기고 화합을 만드는 말을 말합니다.


“pharusaṃ vācaṃ pahāya pharusāya vācāya paṭivirato hoti. yā sā vācā nelā kaṇṇasukhā pemanīyā hadayaṅgamā porī bahujanakantā bahujanamanāpā — tathārūpiṃ vācaṃ bhāsitā hoti.


그는 거칠게 말하는 행위를 버렸기 때문에 거칠게 말하는 행위로부터 피한 자입니다. 침이 튀지 않고, 귀에 즐겁고, 애정이 넘치고, 매력적이고, 예의 바르고, 대중들이 좋아하고, 대중들이 마음에 들어 하는 그런 말을 말합니다.


“samphappalāpaṃ pahāya samphappalāpā paṭivirato hoti. kālavādī bhūtavādī atthavādī dhammavādī vinayavādī nidhānavatiṃ vācaṃ bhāsitā hoti kālena sāpadesaṃ pariyantavatiṃ atthasaṃhitaṃ. evaṃ kho, gahapatayo, catubbidhaṃ vācāya dhammacariyāsamacariyā hoti.


그는 쓸모없고 흐트러지게 말하는 행위를 버렸기 때문에 쓸모없고 흐트러지게 말하는 행위로부터 피한 자입니다. 적절한 때에 말하는 자이고, 진실 되게 말하는 자이고, 이익 되게 말하는 자이고, 법에 맞게 말하는 자이고, 율에 맞게 말하는 자입니다. 적절한 때에, 근거를 갖춘, 절제된, 이익 되는 말을 말합니다. 장자들이여, 이렇게 말에 의한 네 가지 법(法)의 행위와 안정된 행위가 있습니다.


“kathañca, gahapatayo, tividhaṃ manasā dhammacariyāsamacariyā hoti? idha, gahapatayo, ekacco anabhijjhālu hoti, yaṃ taṃ parassa paravittūpakaraṇaṃ taṃ nābhijjhātā hoti — ‘aho vata yaṃ parassa taṃ mamassā’ti!


장자들이여, 어떻게 의(意)에 의한 세 가지 법(法)의 행위와 안정된 행위가 있습니까? 장자들이여, 여기 어떤 사람은 간탐(慳貪)하지 않는 자입니다. ㅡ ‘참으로 남의 것이 나의 것이 되기를!’이라고 남의 재산과 살림을 간탐(慳貪)하지 않는 자입니다. 


“abyāpannacitto kho pana hoti appaduṭṭhamanasaṅkappo — ‘ime sattā averā abyābajjhā anīghā sukhī attānaṃ pariharantū’ti.


다시 그는 분노한 심(心)을 가진 자가 아닙니다. ㅡ ‘이 중생들이 친절하고 묶이지 않고 곤란 없고 행복하고 스스로를 보호 하여라!’라고 잘못되지 않은 의(意)의 사유를 합니다. 


“sammādiṭṭhiko kho pana hoti aviparītadassano — ‘atthi dinnaṃ atthi yiṭṭhaṃ atthi hutaṃ, atthi sukatadukkaṭānaṃ kammānaṃ phalaṃ vipāko, atthi ayaṃ loko atthi paro loko, atthi mātā atthi pitā, atthi sattā opapātikā, atthi loke samaṇabrāhmaṇā sammaggatā sammāpaṭipannā ye imañca lokaṃ parañca lokaṃ sayaṃ abhiññā sacchikatvā pavedentī’ti. evaṃ kho, gahapatayo, tividhaṃ manasā dhammacariyāsamacariyā hoti.


다시 그는 바른 견해를 가진 자입니다. ㅡ '①보시(報施)도 있고 제사(祭祀)도 있고 봉헌(奉獻)도 있다. ②선행(善行)과 악행(惡行)의 업(業)들에게 과(果)도 있고 보(報)도 있다. ③이 세상도 있고 저 세상도 있다. ④어머니도 있고 아버지도 있다. ⑤화생(化生)하는 중생은 있다. ⑥세상에는 이 세상과 저 세상을 스스로 실답게 안 뒤에 실현하여 선언하는, 바른 길에 들어서서 바르게 실천하는 사문·바라문들이 있다.'라고 바르게 보는 자입니다. 장자들이여, 이렇게 의(意)에 의한 세 가지 법(法)의 행위와 안정된 행위가 있습니다.

Comments